KR950013300B1 - 환경 풍동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환경 풍동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300B1
KR950013300B1 KR1019880001516A KR880001516A KR950013300B1 KR 950013300 B1 KR950013300 B1 KR 950013300B1 KR 1019880001516 A KR1019880001516 A KR 1019880001516A KR 880001516 A KR880001516 A KR 880001516A KR 950013300 B1 KR950013300 B1 KR 95001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tunnel
main
nozzle
auxiliary
tunne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358A (ko
Inventor
히로시게 후가자와
고오지 나까가와
마사노리 요시다
가쓰도시 아라야
요시노리 마쓰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1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경 풍동 시험장치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한 환경 풍동 시험장치의 실시예의 설명도이고,
제 1 도는 장치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다른 실시예의 장치의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풍동측정부 2 : 주노즐
3 : 자동차(시험대상물) 4a, 4b, 4c : 보조노즐
5a, 5b, 5c : 송풍기 6 : 후부편류날개
7 : 배출구 9 : 도입덕트
10a, 10b, 10c : 송풍덕트
본 발명은 환경풍동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환경하에 있어서의 주행모터 시험에 적합한 환경풍동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항공기, 자동차등의 공력(空力) 특성의 시험(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풍동시험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10812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측정) 대상물을 자유분류중에 놓는 개방형, 덕트중에 두는 밀폐형이 사용되고 있으나, 어느 형식에 있어서도 시험 대상물 주위의 기류의 흐름을 실제로 움직이는 상태에 근사시키기 위해서는 기류의 횡단면적을 시험대상물의 수배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기류 온도를 -40℃∼-50℃로 내려 극한지를 모의한 상태에서의 주행성능시험을 예를들면 자동차를 사용하여 행하는 환경풍동 시험장치에서는 기류형성용의 송풍기에 가하여 기류를 저온으로 하기 위한 냉동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는 기류의 횡단면적은 시험 대상물의 횡단면적과 같은 정도의 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시험대상물 주위의 기류를 실제의 움직임 상태로 정밀도 좋게 근사시키기 위해서는 대형화 및 운전경비의 증가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또 운전경비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는 시험대상물 주위의 기류를 실제의 움직임 상태로 정밀도 좋게 근사시킬 수 있는 환경풍동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시험 대상물의 주위를 흐르는 기류를 시험 대상물의 횡단면적과 같은 정도의 면적을 가지게하여 형성한 주기류와, 이 주기류에 접하도록 주기류와 동등 또는 주기류보다도 빠른 속도의 보조적인 기류를 형성하는 보조노즐을 설치하여 주기류와 보조기류가 복합한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주기류에 접하도록, 주기류와 동등 또는 주기류보다 빠른 속도의 보조기류의 유역(유벽)을 형성함으로서, 주기류가 시험대상물에 닿아 박리되고, 확산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고, 주기류가 시험대상물의 주위벽면에 따라 흐르도록 즉, 실제의 움직임 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흐르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장치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풍동측정부(1)에는 주기류를 도입하는 주 노즐(2)이 설치되고, 상기 주노즐(2)은 기류를 내뿜는 취출구(2a)를 가지고, 그 횡단면적은 상기 취출구(2a)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자동차(3)의 횡단면적과 같은 정도의 것이다. 보조노즐(4a, 4b, 4c)은 상기 주노즐(2)과 자동차(3)와의 사이에 위치하고(기류의 하류에 위치) 또 상기 주 노즐(2)의 양측 및 상측의 주위에 있고, 그 취출구는 주노즐(2)과 마찬가지로 자동차(3)에 평행기류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노즐(4a, 4b, 4c)의 상류측에는 각각 공기를 압송하는 송풍기(5a, 5b, 5c)가 직결하여 설치되어 있다. 후부 편류날개(6)는 자동차(3)의 후부에 위치하고 기류를 대략 직각방향으로 위치하는 배기고(7)의 방향으로 인도하는 기능이 있다.
샤시다이나모미터의 샤시 로울러(8)는 상기 자동차(3)의 주행상태에 있어서의 동력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주노즐(2)로부터 주기류를 도입하고(유속은 자동차의 실제 주행속도로 조정), 다시 송풍기(5a, 5b, 5c)에 의하여 보조노즐(4a, 4b, 4c)로부터도 보조기류를 도입하여 상기 주기류의 주위에 보조기류 유역을 형성한다. 보조기류의 유속은 주기류와 동등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주기류의 주위에 보조기류의 유역을 형성함으로써 주기류가 자동차(3)에 닿아 박리되어 확산하려고 하는 것을 보조기류유역이 저지한다. 또한, 시험대상물의 형상에 따라서는 주기류의 박리현상이 발생하기 쉽게되나, 보조기류의 유속을 주기류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하면 박리를 저지하는 효과가 한층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보조노즐(4a, 4b, 4c)의 두께는 작고, 따라서 주기류를 형성하는 주노즐(2)과 보조노즐을 합쳐도 그 크기는 종래의 주노즐만의 장치에 비교하여 소형화(약
Figure kpo00001
)가 가능하게 된다. 또 주기류와 보조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송풍기의 총합구동원도, 종래의 주기류만으로 실제의 움직이는 상태를 재현하는 장치의 구동원보다 작아도 되므로 설비비 및 운전경비에 대하여 대폭으로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보조노즐을 좌우 및 상면에 설치하고 있으나, 목적에 따라 시험대상물에 관하여 기류를 정밀도 좋게 근사시키고 싶은 면의 측면에 보조노즐을 설치해도 좋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고, 제 3 도는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송풍기(5a, 5b, 5c)는 보조노즐(4a, 4b, 4c)로부터 분리하여 도입덕트(9)에 설치되고, 도입덕트(9)의 기류의 일부가 유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송풍덕트(10a, 10b, 10c)는 상기 송풍기(5a, 5b, 5c)와 보조노즐(4a, 4b, 4c)를 연결하는 덕트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송풍기(5a, 5b, 5c)를 구동하여 보조노즐(4a, 4b, 4c)로부터 보조기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예의 효과외에 송풍기의 형상이 제약되지 않는 것, 송풍기 구동용의 모터(5)가 저온환경에 견디는 구조의 것이 아니더라도 좋다는 것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 노즐외에 주 노즐의 주위에 보조노즐을 설치하고, 보조노즐이 형성하는 보조기류에 의하여 주노즐이 형성하는 주기류의 박리를 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환경풍동 시험장치의 소형화(종래장치의 약)가 도모되기 때문에 설비비 및 운전경비에 대한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풍동내에 주기류를 도입하는 주노즐과 상기 주기류를 풍동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환경 풍동 시험장치에 있어서, 주노즐의 취출구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 시험대상물과 상기 노즐과의 사이에 주기류에 접하는 위치에 주기류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취출구를 가지는 보조노즐을 설치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풍동 시험장치.
  2. 풍동내에 주기류를 도입하는 주노즐과 상기 주기류를 풍동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구로 이루어지는 환경 풍동 시험장치에 있어서, 주노즐의 취출구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 시험대상물과 상기 노즐과의 사이에 주지류의 측면 및 상면에 주노즐과 평행한 방향으로 취출구를 가지는 보조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풍동 시험장치.
  3. 풍동내에 주기류를 도입하는 주노즐과 상기 주기류를 풍동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환경풍동 시험장치에 있어서, 노즐의 측면 및 상면에 주노즐과 평행한 방향으로 취출구를 가지는 보조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풍동 시험장치
KR1019880001516A 1987-05-20 1988-02-15 환경 풍동 시험장치 KR950013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121260 1987-05-20
JP62121260A JP2515800B2 (ja) 1987-05-20 1987-05-20 環境風洞試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358A KR880014358A (ko) 1988-12-23
KR950013300B1 true KR950013300B1 (ko) 1995-11-02

Family

ID=1480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516A KR950013300B1 (ko) 1987-05-20 1988-02-15 환경 풍동 시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15800B2 (ko)
KR (1) KR950013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0844B2 (ja) * 2007-10-29 2012-06-13 株式会社東洋製作所 自走車の環境試験用風洞装置
CN103821741A (zh) * 2014-03-18 2014-05-28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车辆室内试验用车轮冷却风机
CN105277331B (zh) * 2014-06-03 2017-12-2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热环境风洞及其怠速模拟系统
CN104210996B (zh) * 2014-08-01 2016-08-31 安徽省地坤汽车天窗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总成测试天窗玻璃风载机构的提升机构
JP6516294B2 (ja) * 2015-11-24 2019-05-22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メカニクス 環境風洞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358A (ko) 1988-12-23
JP2515800B2 (ja) 1996-07-10
JPS63286737A (ja) 198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7763A (en) Flap systems for aircraft
US540510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creased fluid flow turning vane efficiency
US4463772A (en) Flush inlet for supersonic aircraft
US4199185A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wind resistance imposed on a prime mover-trailer combination
KR950013300B1 (ko) 환경 풍동 시험장치
ATE283792T1 (de) Lufteinlass
Chmielewski Boundary-layer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aerodynamic contractions
Howell et al. Aerodynamic drag reduction for a simple bluff body using base bleed
US36471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onic booms
US4549706A (en) Flow data sensor duct system
US5531406A (en) Flow-vectored trailing-edge for airfoils and jets
JPH09269281A (ja) 自走車用の環境試験装置
JP2576928B2 (ja) 極超音速インテーク風洞試験用模型
JPH09145534A (ja) 超音速ノズル
US2425508A (en) Dust separator, especially for carburetor air intake ducts
JPH0658284B2 (ja) 自動車用環境風洞
JP2001208643A (ja) モジュール型風胴装置
GB1479023A (en) Aircraft engine intakes
JPS6176929A (ja) 風洞境界層制御装置
SU1391490A3 (ru) Гондола двигател самолета
Kuhn Design concepts for minimizing hot-gas ingestion in V/STOL aircraft
Wallis Ventilation System Aerodynamics—A New Design Method
KR102547447B1 (ko) 비행체 흡입구의 배압 조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비행체
US3031156A (en) Exhaust systems for jet propulsion engines
Graham et al. Investigation of off-design performance of shock-in-rotor type supersonic bl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