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121B1 -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121B1
KR950012121B1 KR1019930009374A KR930009374A KR950012121B1 KR 950012121 B1 KR950012121 B1 KR 950012121B1 KR 1019930009374 A KR1019930009374 A KR 1019930009374A KR 930009374 A KR930009374 A KR 930009374A KR 950012121 B1 KR950012121 B1 KR 95001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input
simulation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21B1/ko

Links

Landscapes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제1도는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구성 블럭도이다.
이 발명은 입출력 시뮬레이션(simulation)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PLC)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입출력 모듈(module)에 입출력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첨가한,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진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구성 블럭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구성은, 어떠한 대상물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40)와, 입력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된 아이솔레이터(isolator)(23)와, 아이솔레이터(23)의 출력단에 연결된 입력버퍼(21)로 이루어진 입력 모듈(module)(20)과, 입력모듈(20)의 출력단에 연결된 중앙처리장치(10)와, 중앙처리장치(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출력버퍼(31)와, 출력버퍼(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아이솔레이터(33)로 이루어진 출력모듈(30)과, 출력모듈(30)의 출력단에 연결된 출력부(50)와, 상기 입출력모듈(20, 30)과 중앙처리장치(10)간에 제어신호 및 데이타(data)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 버스(D-BUS) 및 제어버스(C-BUS)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력부(40)는 출력부(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모듈(20)의 아이솔레이터(23)로 출력한다. 입력된 신호를 아이솔레이터(23)를 통하여 입력버퍼(21)로 입력되고, 상기 입력버퍼(21)에 입력된 신호는 중앙처리장치(10)에서 출력되는 버퍼 인에이블(enbale)신호가 작동되는 시점에서 데이타 버스(D-BUS)상에 출력되어 중앙처리장치(10)로 입력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작동 프로그램(program)에 따라 데이타를 처리하여 데이타 버스(D-BUS)상에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10)에서 출력되는 출력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타 버스(D-BUS)상에 출력된 신호가 출력버퍼(31)로 입력된다.
출력버퍼(31)에 입력된 출력신호는 출력때까지 그 값을 유지보관하다가, 중앙처리장치(10)에서 출력되는 출력버퍼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면 아이솔레이터(33)를 통하여 출력부(50)로 출력되며, 출력부(50)는 출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입력된 신호가 원하고자 하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잘못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동작하게 되는 오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출력 모듈이외에 별도의 시뮬레이션 모듈을 두어 입력되는 신호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므로써, 오류의 발생을 검사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는 설계상의 오류와, 작업상의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충분한 디버깅(debugging)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손쉽게 입력 또는 출력신호를 시험해 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입출력 모듈이외에 별도의 시뮬레이션 모듈을 두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기술은, 시뮬레이션 하고자 하는 입력신호의 수가 제한되어 있고 시뮬레이션 기능이 입력에만 제한되어 있으므로, 임의의 신호와, 현장에서 발생되는 모든 입출력 신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또한 별도의 전용모듈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출력 모듈에 시뮬레이션 기능을 부가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모든 입출력 신호에 대한 충분한 디버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발명의 구성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신호와 작동된 대상물의 동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할 것이지 아니면,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시뮬레이션 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시뮬레이션 신호를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하고자 하는경우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뮬레이션 신호를 선택하지 않고,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버스상에서 전송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 해당신호를 데이타버스상에 출력하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 모듈에서 데이타 버스상으로 출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처리한 다음 그 결과를 데이타버스상에 출력하고 각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버스상에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시뮬레이션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시뮬레이션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고,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모듈과; 상기 출력모듈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입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입력모듈로 출력하거나,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출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모듈로 출력하는 시뮬레이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구성 블럭도이다.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구성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신호와 작동된 대상물의 동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40)와, 상기 입력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된 입력모듈(60)과, 입력모듈(60)의 출력단에 연결된 중앙처리장치(10)와, 중앙처리장치(10)의 출력단에 뎐결된 출력모듈(70)과, 상기 출력모듈(7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부(50)와, 시뮬레이터(simulator)(80)와, 상기 입출력모듈(60,70)과 중앙처리장치(10)와의 데이타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타 버스(D-BUS)와 제어버스(C-BUS)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입력모듈(60)은 상기 입력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된 아이솔레이터(23)와, 아이솔레이터(23)의 출력단에 연결된 버퍼(61)와, 버퍼(61)의 출력단에 연결된 입력버퍼(21)와, 입력단자가 아이솔레이터(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시뮬레이터(80)에 연결된 송신버퍼(631)와, 출력단자가 버퍼(6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입력단자가 시뮬레이터(80)에 연결된 수신버퍼(633)로 이루어진 시뮬레이션 버퍼(63)와, 일측단자가 접지되고 타측단자가 버퍼(61)의 인에이블단자에 연결된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1)와, 입력단자가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수신버퍼(633)의 인에이블단자에 연결된 인버터(inverter)(1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출력모듈(7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출력버퍼(31)와, 출력버퍼(31)의 출력단에 연결된 버퍼(71)와, 버퍼(71)의 출력단에 연결된 아이솔레이터(33)와, 입력단자가 출력버퍼(3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시뮬레이터(80)에 연결된 송신버퍼(731)와, 출력단자가 버퍼(7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입력단자가 시뮬레이터(80)에 연결된 수신버퍼(733)로 이루어진 시뮬레이션 버퍼(73)와, 일측단자가 접지되고 타측단자가 버퍼(71)의 인에이블단자에 연결된 출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2)와, 입력단자가 출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2)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수신버퍼(733)의 인에이블(enable)단자에 연결된 인버터(1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시뮬레이터(80)는 (정정) 상기 시뮬레이션 버퍼(6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는 입력 신호 발광부(81)와, 상기 시뮬레이션 버퍼(7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 신호 발광부(81)와, 별도의 입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입력부(40)는 제어하고자 하는 어떤 대상물 즉, 출력부(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나, 출력부(50)가 입력신호에 따라 원하고자 하는 동작을 수행하였는가를 판단하고자 하는 센서 신호들을 입력모듈(60)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40)에서 출력된 신호는 입력모듈(60)의 아이솔레이터(23)를 통하여 버퍼(61)와 시뮬레이션 버퍼(63)의 송신버퍼(631)로 입력된다.
(정정)상기에서 아이솔레이터(23)를 통하여 송신버퍼(631)로 입력되는 신호는 시뮬레이터(80)의 입력 신호 발광부(81)로 출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 발광부(81)는 신호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뮬레이터(80)를 통하여 표시되는 입력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정확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시뮬레이터(80)의 입력 신호 발광부(81)에 표시된 입력신호가 원하고자 하는 신호가 아닌 경우에, 사용자는 정확한 입력신호를 다시 입력하거나, 임의의 신호를 주어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1)를 작동시킨다.
상기에서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1)가 작동됨에 따라 로우 레벨의 신호가 버퍼(61)의 인에이블단자로 인가되어 버퍼(61)가 구동되지 않고,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1) 작동에 따라 출력된 로우 레벨 신호는 인버터(11)를 통하여 하이 레벨의 신호로 반전 출력되어 수신버퍼(633)의 인에블단자로 인가되어 수신버퍼(633)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시뮬레이터(80)를 통하여 입력버퍼(21)로 출력된다.
상기에서 출력부(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확한 신호가 입력되어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S1)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버퍼(633)가 구동되지 않고 버퍼(61)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입력부(40)에서 출력된 신호가 버퍼(61)를 통하여 입력 버퍼(21)로 출력된다.
상기 입력버퍼(21)로 입력되는 시뮬레이션 입력 신호나, 입력부(40)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서 출력되는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가 제어 버스(C-BUS)를 통하여 입력버퍼(21)의 인에이블단자로 입력되면, 데이타 버스(D-BUS)상에 출력되어 중앙처리장치(10)로 입력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해당하는 출력 신호를 데이타 버스(D-BUS) 상에 출력한다.
상기에서 입력부(4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나, 별도로 생성된 시뮬레이션 입력 신호에 따른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처리되어 데이타 버스(D-BUS)상에 출력된 신호는, 제어 버스(C-BUS)를 통하여 출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면, 출력모듈(70)의 출력 버퍼(31)로 입력된다.
상기 출력 버퍼(31)로 입력된 신호는 버퍼(71)와 시뮬레이션 버퍼(73)의 송신버퍼(731)로 출력되고, (정정) 상기 시뮬레이션(73)의 송신버퍼(731)로 입력된 신호는 시뮬레이터(80)이 출력 신호 발광부(83)로 입력된다.
상기 출력 신호 발광부(83)는 신호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출력 신호 발광부(83)를 통하여 표시되는 출력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신호의 상태가 원하고자하는 신호가 아니거나, 별도의 출력신호를 주어 그에 해당하는 출력부(50)의 작동상태를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 출력 시뮬레이션 선택 스위치(S2)를 작동시킨다.
출력 시뮬레이션 선택 스위치(S2)의 작동에 따라 버퍼(71)의 인에이블단자로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버퍼(71)가 구동되지 않게 되고, 수신버퍼(733)의 인에이블단자에는 인버터(12)를 통하여 반전출력된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버퍼(71)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전송로는 차단되고, 시뮬레이터(80)의 스위치부(83)에서 별도로 생성된 시뮬레이션 출력신호가 수신버퍼(733)를 통해 아이솔레이터(23)로 입력된다.
상기와 달리 출력 시뮬레이션 선택 스위치(S2)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버퍼(733)가 구동되지 않고 버퍼(71)가 구동됨에 따라, 시뮬레이터(80)에서 출력되는 시물레이션 출력 신호가 아닌 중앙 처리 장치(10)에서 출력된 신호가 버퍼(71)를 통하여 아이솔레이터(33)로 출력된다.
상기 아이솔레이터(33)로 입력된 신호는 출력부(50)로 출력되고, 상기 출력부(50)는 인가되는 출력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입출력 신호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므로써,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10)의 프로그램상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하고, 시뮬레이터(80)에서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따른 출력부(50)의 작동상태를 검사하여 프로그램상의 오류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간의 배선이 잘못된 경우에 출력부(50)가 오동작을 수행하므로, 각각의 출력접점을 온/오프하여 출력부(50)의 작동상태를 판단하여 해당출력신호와 해당출력에 의한 작동상태의 일치를 비교하여 배선상의 오류를 검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출력신호의 제한없이 임의의 입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작업상과 설계상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고, 별도의 시뮬레이션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입출력모듈에 시뮬레이션 기능을 부가하므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공유면적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진,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신호와 작동된 대상물의 동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할 것이지 아니면,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시뮬레이션 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시뮬레이션 신호를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뮬레이션 신호를 선택하지 않고,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 버스상에서 전송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 해당신호를 데이타버스상에 출력하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 모듈에서 데이타 버스상으로 출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처리한 다음 그 결과를 데이타버스상에 출력하고 각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버스상에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시뮬레이션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시뮬레이션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고,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모듈과; 상기 출력모듈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입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입력모듈로 출력하거나,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출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모듈로 출력하는 시뮬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모듈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데이타버스상에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시뮬레이션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입력 시뮬레이션 선택부와, 상기 입력 시뮬레이션 선택부에서 시뮬레이션 신호를 데이타버스상에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시뮬레이션 버퍼와, 상기 입력부와 입력 시뮬레이션 버퍼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버스상에서 전송신호가 인가되면 입력된 신호를 데이타 버스상에 출력하는 입력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뮬레이션 버퍼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시뮬레이터로 입력시키는 송신버퍼와,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버퍼로 출력하는 수신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뮬레이션 선택부에서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버퍼에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작동되지 않아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버퍼에 전송시키지 않고, 인버터를 통해 하이신호가 인가된 수신버퍼가 작동되어 시뮬레이터를 통해 출력된 시뮬레이션 입력신호를 입력버퍼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뮬레이션 선택부는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와,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버퍼로 출력시키는 버퍼와, 입력 시뮬레이션 스위치의 신호를 반전 출력하여 입력 시뮬레이션 버퍼의 수신버퍼로 전송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모듈은,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제어버스에서 전송신호가 인가되면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버퍼와, 상기 출력버퍼에서 출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시뮬레이션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출력 시뮬레이션 선택부와, 상기 출력 시뮬레이션 선택부에서 시뮬레이션 신호를 출력하고자 선택된 경우에 출력버퍼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시뮬레이션 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뮬레이션 버퍼는, 상기 출력버퍼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시뮬레이터로 입력시키는 송신버퍼와, 상기 시뮬레이터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수신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뮬레이션 선택부는, 출력 시뮬레이션 스위치와, 출력 시뮬레이션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출력버퍼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버퍼와, 출력 시뮬레이션 스위치의 신호를 반전 출력하여 출력 시뮬레이션 버퍼의 수신버퍼로 전송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뮬레이션 선택부에서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버퍼에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작동되지 않아 출력버퍼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부에 전송시키지 않고, 인버터를 통해 하이신호가 인가된 수신버퍼가 작동되어 시뮬레이터를 통해 출력된 시뮬레이션 출력신호를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뮬레이터는, 상기 입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는 입력 신호 발광부와, 상기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 신호 발광부와; 상기 표시되는 입력신호의 상태와 출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각각 별도의 시뮬레이션 입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KR1019930009374A 1993-05-27 1993-05-27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KR95001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374A KR950012121B1 (ko) 1993-05-27 1993-05-27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374A KR950012121B1 (ko) 1993-05-27 1993-05-27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21B1 true KR950012121B1 (ko) 1995-10-14

Family

ID=1935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374A KR950012121B1 (ko) 1993-05-27 1993-05-27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1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763A (en) Automatic tester for microprocessor board
CA1124873A (en) Sequence control system
KR950012121B1 (ko)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EP0362392A1 (en) Pc simulation system
CN110687363A (zh) Sfp埠测试治具
US6618634B1 (en) Microcomputer system using repeated reset to enter different operating modes and method to do the same
KR970003824B1 (ko) 판독 전용 시퀀스 컨트롤러
JPS6362765B2 (ko)
US6035353A (en) Computer including data signal monitoring circuit
KR950015191B1 (ko) 다중 프로세서 디버깅 장치 및 방법
KR100269187B1 (ko) 인터럽트 방식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3702605B2 (ja) トリガ機能を持つ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入出力信号の時間間隔測定方法
JP3057539B2 (ja) 通信エミュレータ装置
JPS6210373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KR940012128A (ko) 마이크로 컴퓨터
KR100263589B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 제어 장치의 확장 보드 인식장치 및 방법
KR200157438Y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콘트롤러
KR950013230B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 검사 장치
KR910000646B1 (ko)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JPS5875203A (ja) 二重化シ−ケンス制御装置
JPH02300940A (ja) コンピュータ制御システムの表示装置の保守回路
RU6251U1 (ru) Имитатор ир-60 для отладки корабельных цифровых управляющих систем
JPH03196234A (ja) 表示装置
KR19990047434A (ko) 자기 진단 상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966077A (zh) 测试设备及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