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681B1 -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 Google Patents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681B1
KR950011681B1 KR1019920020291A KR920020291A KR950011681B1 KR 950011681 B1 KR950011681 B1 KR 950011681B1 KR 1019920020291 A KR1019920020291 A KR 1019920020291A KR 920020291 A KR920020291 A KR 920020291A KR 950011681 B1 KR950011681 B1 KR 95001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drum
tool
crimping dru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14A (ko
Inventor
쉬모데 하르트뮤트
스트롬 지그프레드
티힐레 헬뮤트
위베 올리히
다비드 베른드
헤트란드 데트레브
코른펠드 한스-죠하임
살텐 죠한-게오르그
Original Assignee
웨이드뮐러 인테르파세 게엠베하 & 코우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드뮐러 인테르파세 게엠베하 & 코우,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웨이드뮐러 인테르파세 게엠베하 & 코우
Publication of KR93000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5Hand tools for crimping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1Hand tools for crimping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e.g.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47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including composite tool
    • Y10T29/5148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including composite tool including severing means
    • Y10T29/515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including composite tool including severing means to trim electric component
    • Y10T29/5151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22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10T29/53226Fastening by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제1도는 핸들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공구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공구의 상부핸들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공구의 하부핸들 단면도.
제4도는 핸들이 완전히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공구의 확대 종단면도.
제5도는 스트립핑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의 인장요소 사시도.
제6도는 구동장치 및 크림핑드럼이 부착된 상태로서, 일측으로부터 본 하부핸들의 사시도.
제7도는 가동 클램핑턱이 부착된 상태로서, 타측으로부터의 본 공구의 하부핸들의 사시도.
제8도는 공급부가 코어 선단 슬리브에 사용된 상태로서, 크림핑드럼의 확대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 따른 크림핑드럼의 측면도.
제10도는 크림핑스탬프가 삽입된 크림핑레버의 개략도.
제11도는 크림핑레버와 크림핑스탬프의 사시도.
제12도는 크림핑드럼이 쌍을 이룬 구동장치의 이송레버사시도.
제13도는 코어 선단 슬리브용 이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급부와 크림핑부의 영역에 있는 공구 확대사시도.
제13a도는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형상도.
제14도는 스트립의 형태로 연결되는 코어 선단 슬리브의 사시도.
제15a 내지 제15c도는 공구의 여러 작동위치를 나타낸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몸체 3 : 상부핸들
4, 8, 18, 19 : 드래싱부 9, 9a : 제어면
10 : 조인틀레버 11 : 하부핸들
18, 19 : 크림핑부 20 : 이송레버
22, 60 : 코어선단 슬리브 24, 25 : 스트립핑부
26 : 인장요소 28 : 도선선단
39, 42 : 안내트랙 40, 41 : 핀
47, 48, 49 : 요홈 50 : 체결탭
52 : 체결러그 53 : 체결벽
54 : 돌출부 56 : 크림핑스탬프
61 : 경사면 63 : 블래이드
본 발명은 도선선단 드레싱용 공구(tongs)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서로 상대작동 가능한 2개의 핸들, 2개 이상의 드래싱(dressing)부, 그리고 구동장치를 갖고서, 이들에 의해 드래싱부가 핸들의 작동중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타입의 공구는 이미 독일 특허번호 DE-C-2,402,187에 개시되었다. 공지의 공구는 상대 작동할수 있는 2개의 핸들, 도선선단을 벗겨내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드래싱부 및 하나의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이들에 의해 드래싱부가 핸들의 작동중 구동될 수 있도록 된 스트립핑(stripping)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른 방법으로 도선선단을 드래싱할 수 있게 하는데 착안하여, 드래싱 공정시 필요한 공구의 각개의 드래싱 기능이 일련의 작동으로 직접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가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한 2개의 핸들, 2개 이상의 드래싱부, 그리고 구동장치를 갖고서, 이들에 의해 드래싱부가 핸들의 작동중 구동될 수 있도록 된 도선선단 드래시용 공구에 있어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또 다른 하나의 드레싱부가 제공된다.
상기 추가적인 드래싱부(보다 구체적으로는 키림핑부)는 드래싱되는 도선단부도움으로 구동장치와 선택적으로 커플링(coupling)되어진다.
본 발명은 구동장치로서 구동될 수 있는 다수의 드래싱부를 갖지만, 이들 모두가 핸들이 유동에 따라 구동장치에 의해 영구히 구동되지는 않도록 된 조합 공구로 되어 있다.
드래싱부의 최소한 하나 이상은 실제사용이 필요할 때까지 구동장치로부터 커플링을 이루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된다.
그 결과, 이와같은 드래싱 장치상의 마모가 감소되는 한편, 드래싱부가 커플링되지 않을 때 작은 힘을 가하여 공구가 작동될 수 있다.
드래싱부는 도선선단에 의하여 구동장치와 커플링됨으로써 사용자가 또 다른 조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추가적인 드래싱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구의 조작을 상당히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핸들의 동작중에 구동장치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드래싱부는 사용이 빈번한 스트립부(stripping station)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구동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지는 드래싱부는 사용횟수가 적은 크림핑부가 된다.
일반적으로, 도선선단을 벗겨내고 코어선단 슬리브를 도선선단 외주면상에 크림핑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순차로 이루어지는 전후 공정들이다.
이들 두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므로서 이들 드래싱 공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2개의 공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스트립핑만을 실시하는 경우에 본 발명 공구는 적은 힘을 가해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이 공구는 예를들면 도선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와 같은 또 다른 드래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단부는 반드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절단부의 절단장치는 핸들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첨부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후방부가 상부 및 비작동핸들(3)로 형성된 일체형 중공 몸체(2)를 구비한다.,
몸체(2)의 전방부는 고정 클램핑턱(4)의 형상으로 된다.
몸체(2)의 커버(5)는 축(6)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되고 몸체(2)의 내부는 공구(1)의 상부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몸체(2)의 하부영역에 있는 작동클램핑턱(8)은 선회 가능하도록 베어링핀(7)에 지지된다.
상기 클램핑턱(8)은 고정 클램핑턱(4)에 대향 설치된다.
조인트레버(10)는 후방에서 베어링핀(7)을 상방으로 걸고 몸체(2)와 대면하는 작동클램핑턱(8)의 제어면(9)을 따라 미끄럼하며 작동클램핑턱(8)의 개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공구(1)의 하부핸들(11)은 구동부(1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구동부(12)는 선회가능하도록 베어링핀(13)에 의해 몸체(2)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하부핸들(11)은 구동부(12)와 베어링핀(13)에 의해 몸체(2)상에 지지되어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서, 하부핸들(11)과 상부핸들(3) 사이에서 상대 작동이 가능해진다.
인장스프링(14)은 일측이 베어링핀(13)상측의 구동부(12)와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상부핸들(3)의 방향으로 놓여있는 지점에서 몸체(2)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핸들(11)은 인장스프링(14)의 도움으로 시계방향으로 베어링핀(13) 주위에서 회전되고 인장스프링(14)은 계속해서 핸들(3,11)을 개방위치로 유지시키려 한다.
구동부(12)의 후방단에 형성된 치형부(15)는 몸체(2)에 지지된 스프링 하중 록킹훅(16)과 상호 작용하므로서 공구(1)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에서 블록으로서 회전될 수 있다.
전방과 상부에 위치된 몸체(2)의 부분에는 크림핑드럼(18)과 크림핑레버(19)가 속하는 크림핑부(17)가 있다.
구동부(12)에 의하여 크림핑드럼(18)이 회전되는 동안, 크림핑레버(19) 역시 구동부(12)에 의하여 가동되어진다.
여기서 구동부(12)는 제4도에 도시된 이송레버(20)를 이용하여 크림핑드럼(18)을 회전시킨다.
이송레버는 돌출부(5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져 커플링수단으로 동작한다.
구동부(12)와 조인트레버(10)는 구동장치(21)를 이룬다.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상부핸들의 단면도이다.
상부핸들(3)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비티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하부영역에 핸들(3)의 벽측면에 연결된 베이스(3a)를 가진다.
또한, 베이스(3a)는 핸들(3)에서 몸체(2)로 연장되어 있고, 크림핑부(17)의 근처 지점까지 안내된다.
베이스(3a), 상부핸들(3) 및 카바(5)로 이루어진 공간에서 스트립의 형태로 서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22)와 같은 코어선단에 크림프된 접촉요소가 저장될 수 있다.
이들은 크링핑부(17)에 근접한 베이스(3a)상에 의치된 공급 및 이송부(23)의 도움으로 크링핑부(17)에 공급된다.
제3도는 하부핸들(11)의 단면 형상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하부핸들(11)은 상부핸들의 방향으로 개방되고 U형상으로 구성된다.
스트립핑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부품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도의 것들과 동일한 요소는 동일 참조번호가 붙여진다.
긴 인장요소(26)에 일체로 연결된 한쌍의 절단턱(24,25)은 고정 클램핑턱(4)과 가동클램핑턱(8)사이에 정열된다.
절단턱(24,25)과 인장요소(26)는 예를들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램핑턱(4)에 고정된 상부절단턱(24)은 벗겨진 도선단부(28)에 대하여 고정 가능한 선단고정부(27)를 지지한다.
선단고정부(27)는 클램핑방법으로 종방향슬롯(29)에 위치될 수 있다.
상호 대향측상에 각각의 전방영역에서, 절단턱(24,25)은 도선선단부의 절연부를 통하여 절단하기 위한 블래이드(30,31)를 갖는다.
가동클램핑턱(8)이 시계방향으로 베어링핀(7)에 대해 회전할 경우, 일측에서는 도선단부(28)가 클램핑턱(4,8) 사이에 클램프 되는 한편, 절단턱(24,25)은 서로를 향하여 가동될 수 있게 되어 블래이드(30,31)는 도선단부(28)의 절연부를 통하여 절단될 수 있다.
하부 클램핑턱(8)과 하부절단턱(25)의 가동은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가동클램핑턱(8)의 제어면(9)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조인트레버(10)를 구동하여 가동된다.
또한, 이 조인트레버(10)는 핸들(3,10)의 방향으로 절단턱(24,25)의 종방향 이동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상부 및 하부절단턱(24,25)들은 긴 인장요소(26)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 인장요소(26)는 대향측에 2개의 수평횡방향 암(32,33)을 가지며, 횡방향암들은 몸체(2)의 측면 영역에 위치된 상호 대향 종방향슬롯(34)에 안내된다.
수평횡방향암(32,33)은 직사각형 또는 둥근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경우 종방향슬롯(34)에서 횡방향함(32,33)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또한, 하방으로 향한 돌출부(A)는 긴 인장요소(26)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단턱(24,25)을 향하는 돌출부(A)의 전방면은 돌출부(A)의 위쪽에 있는 긴 인장요소(26)가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조인트레버(10)로 작용된다.
긴 인장요소(26)의 후방단에는 신축 가능하게 설계된 선단부(35)가 있고 예를들면 인장요소(26)의 후방부를 절곡하여 좁힘으로써 얻어진다.
이 선단부(35)는 하부핸들(11)에 부착된 지지요소(S)상에 탄성 지지된다. 지지요소(S)는 예를들면 하부핸들(11)의 2측벽들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횡방향로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조인트레버(10)가 돌출부(A)에서 이탈될 경우, 긴 인장요소(26)와 함께 절단턱(24,25)은 공구(1)의 전방축 방향으로 탄성선단부(35)로서 다시 가동된다.
상, 하 절단턱(24,25)과 긴 인장요소(26)으로 이루어진 부품은 단순화 시키기 위하여 긴 인장요소로 설계될 수 있다.
조인트레버(1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회할 수 있도록 구동부(12)의 베어링에 지지된 비드(10a)를 그 상단에 가진다.
그 하단에는 조인트레버(10)가 예를들면 슬라이딩 롤러와 같은 슬라이딩 요소(10b)를 가진다.
따라서 조인트레버(10)는 베어링(36)에 지지되고 구동부(12)와 가동클램핑턱(8)의 가이드면(9)사이에 놓여진다.
더욱이 베어링(36)은 베어링편(13)에 대하여 공구(1)의 전방으로 배치된 위치에 놓여진다.
하부핸들(11)이 상부핸들(3)의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구동부(12)는 동시에 베어링핀(13)의 주위에서 회전한다.
이 경우, 회전은 반시계방향으로 일어난다.
이것은 조인트레버(10)가 우측으로 벗어나 제어면(9)의 반시계방향으로 되어 제어면(9)에 대응 형성함과 함께 가동클램핑턱(8)을 처음으로 닫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정클램핑턱(4)의 방향으로 가동함을 의미한다.
가동클램핑턱(8)이 후방으로 제어면(9)에 연결된 급경사 제어면(9a)에 도달할 경우, 이 가동클램핑턱은 이탈되고 베어링핀(7) 주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턱과 절단턱은 개방한다.
이미 설명된 조인트레버(10)의 가동시에 긴 인장요소(26)는 동시에 후방으로 구동되고 즉, 조인트레버(10)의 슬라이딩 요소(10b)가 돌출부(A)의 전방면에 대향하여 가압되고 상기 돌출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핸들(11,3)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핸들(3,11)가 이탈된 경우, 이들은 인장스프링(14)의 인장력 때문에 다시 한 번 서로 이격되어 가동될 수 있고, 한편 구동부(12)는 베어링핀(13) 주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조인트레버(10)가 제어면들(9,9a)에 더이상 작용되지 않고, 긴인장요소(26)는 탄성선단부(35)의 효과때문에 이동된다.
따라서 조인트레버(10)는 더이상 돌출부(A)를 지지하지 못한다.
이보다는 오히려 조인트레버는 제어면(9)의 전방부로 이 돌출부(A)와 함께 이동된다.
긴 인장요소(26)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선(28)의 절연부는 도선으로 부터 당겨 떨어진 절연부는 반대측으로 미끄러져 나온다.
제6도 및 제7도는 가동핸들이나 하부핸들(11)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이 경우 그 일측은 제6도에 도시되어 있고 그 타측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12)는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하부핸들(11)의 전방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구동부(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그 벽영역(12a, 12b)을 가지고, 각 경우에 하부핸들(11)의 측벽의 연장부를 형성하며, 횡방향으로 층층이 강화될 수 있다. 하부핸들(11)의 측벽의 연장부를 형성하여, 횡방향으로 층층히 강화될 수 있다. 하부핸들(11)의 전방측벽의 개구(37)는 로드 형상 지지요소(36)(제4도)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치형부(15)는 우측벽요소(12b)상에서만 존재한다.
제6도에는 조인트레버(10)의 일단(10a)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6)과 좌측벽요소(12a)내에 베어링핀(13)을 부착하기 위한 개구(13a)가 되시되어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14)의 부착을 위한 개구(38)가 양측벽요소(12a, 12b)에 제공된다.
또한, 크림핑레버(19)의 핀(40)은 양측벽요소(12a, 12b)에서 안내되도록 절곡된 안내트럭(39)이 있다.
이 크림핑레버(19)는 중첩되게 정열된 양 가이드 트랙(39)을 통과한다.
제7도에 따르면, 이송레버(20)의 선단에 절곡안내트랙(42)과 결합하는 핀(41)이 우측벽요소(12b)상에 제공된다.
이 이송레버(20)는 구동부(12)와 크림핑드럼(18)사이의 커플링을 나타낸다.
조인트레버(10)가 베어링에 어떻게 지지되고 가동클램핑턱(8)을 어떻게 구동시키는지는 제7도에서 알 수 있다.
조인트레버(10)는 2개의 평행 웨브로 이루어지고 각 경우 제어면(9, 9a)을 따라 미끄럼하는 외부로 위치된 슬라이딩 롤러(10b)를 갖는다.
절단될 수 있는 도선을 지지하기 위한 카운터 베어링(43)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될 수 있다.
절단되어질 도선을 잡아주는 카운터 베어링(43)은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 베어링(43)은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블레이드(blade, 44)와 연계적으로 작동한다.
즉, 도선(45)이 카운터 베어링(43)에 고정된 상태에서 핸들(11,3)이 닫혀지면 블레이드(44)에 의하여 도선이 절단되어 진다.
하부핸들(11)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도선은 측벽의 슬롯(46)에 삽입되어진다.
크림핑에 필요한 공(1)의 부품을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4도에 따르면, 크림핑드럼(18)은 몸체(2)의 전방상부영역에 지지된다.
크림핑드럼(18)은 몸체(2)의 대향측벽에 부착된 축(18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축(18a)은 몸체 평면에 거의 직각으로 작동한다.
또한, 크림핑드럼(18)은 이 축(18a)에 축방향으로 일정량만큼 이동되고, 이것은 스프링힘의 도움으로 축방향에서 전방으로 미리 인장된다.
즉, 크림핑드럼(18)의 전방측 평면도를 도시한 제1 및 제4도에 도시한 도면의 평면 외부로 미리 인장된다.
크림핑드럼(18)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외주상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요홈(47,48,49)을 가진다.
이들 요홈(47,48,49)은 도선에 크림프된 접촉요소(contact elements)를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접촉요소는 예로서 코어 선단 슬리브가 될 수 있다.
요홈(47,48,49)은 다른 크기의 단면을 갖는 도선용으로 각기 다른 크기의 코어선단 슬리브를 사용하기 위하여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요홈(47,48,49)은 동일 각도 간격으로 외주면에 정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도는 요홈(47)과 함께 크림핑드럼(18)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크림핑드럼(18)은 각각의 요홈에 해당된 그 좌측과 전방측에 돌출부(50)를 가진다.
이들 돌출부(50)는 각각의 해당된 요홈이 코어 선단 슬리브와 같은 것을 수용할 수 있는 작동위치에 있을 때 크림핑드럼(18)을 하는데 사용된다.
크림핑드럼(18)은 손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몸체(2)가 크림핑드럼(18) 외주영역의 대응홈에 제공된다.
전방측상의 돌출부(50)는 상기 스프링력의 도움으로 대응홈으로 압축되므로서, 크림핑드럼(18)은 일정위치에 안정화된다.
작동위치에서 요홈을 하기 위해 크림핑드럼(18)의 회전은 어느때라도 가능하지만, 크림핑드럼(18)은 이상태에서 구동장치(21)에 쌍을 이룬다.
손으로 크림핑드럼(18)을 회전시킬 경우, 돌출부(50)(탭)는 스프링힘에 대하여 이들을 지지하는 개구외측으로 회전되지만, 돌출부(50)는 높이가 너무 작아서 구동장치와 쌍을 이루기에 충분히 큰 크림핑드럼(18)의 축방향변위가 발생된다.
다시말하면, 크림핑드럼(18)은 일정 크기의 코어 선단 슬리이브를 처리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다.
또한, 크림핑드럼(18)은 그 외주상에 요홈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각도간격으로 위치된 추가홈(51)을 가지며, 상기 크림핑스탬프는 요홈(47,48,49)이 작동위치에 있을 경우, 추가 홈(51)내로 삽입된다.
각 요홈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림핑드럼(18)의 외주 위쪽으로 돌출한 러그(52)에 의해 도선 삽입측(전방측)의 반대쪽 크림핑드럼(18) 후방측에서 종료한다.
도선이 도선 삽입측(제8도의 전방측)으로부터 요홈(47,48,49)으로 삽입될 경우 그 선단은 러그(52)와 접촉하고, 이 러그는 적당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축방향 후방으로 배치된 완성된 크림핑드럼(18)에 이른다.
구동장치와 쌍을 이루는 크림핑드럼(18)의 계속되는 회전중, 체결러그(52)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에 고정된 벽(53) 후방에 결합한다.
이와같이 크림핑드럼(18)의 축방향 변위는 일정시간동안 될 수 있다.
일단 크림핑공정이 완료되면, 크림핑드럼(18)은 후방으로 회전되고, 즉 러그가 다시 자유롭게 되어 크림핑드럼(18)은 스프링힘 때문에 다시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된다.
요홈(47,48,49)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크림핑드럼(18)의 후방측상에, 제7도 및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54)가 있다.
크림핑드럼(18)이 도선선단을 요홈(47,48,49)으로 삽입하므로서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될 경우, 러그(52)가 벽(53) 후방에 결합할 뿐 아니라, 동시에 돌출부(54)는 이송레버(20)의 탄선단에서 수직 슬롯(55)와 결합한다.
이것은 제7도에 가장 잘 도시되었다.
크림핑드럼(18)이 요소(52,53)의 효과 때문에 그 축방향 후방위치에 정확하게 해결되므로, 크림핑드럼(18)은 구동부(12)의 도움으로 이송레버(20)를 거쳐 회전될 수 있다.
정확한 일련의 작동은 제15a도 내지 제15c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요약컨데, 핸들(3,11)이 일련의 개방 공정중 및 공정과 함께 가압될 경우, 크림핑드럼(18)의 작동은 요홈이 부하위치에서 크림핑 위치로 처음으로 회전되고, 다시 부하위치로 되돌아와서 계속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요소나 코어선단 슬리브용 3개의 요홈이 제공된다.
예를들면, 각각의 요홈은 0.5/0.75 및 1/1.5 및 2.5㎟의 단면크기를 대한 코어선단 슬리브를 지지할 수 있다.
도선선단이 크림핑드럼(18)의 회전 가동을 따르기 위해 몸체(2)의 벽에 원형 세그멘트와 같은 적당한 슬롯이 제공된다.
제12도는 이송레버(2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이송레버는 전방단에 수직 슬롯(55)과 후방단에 절곡 안내슬롯(42)을 가진 키이형상의 구성을 갖는 판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개구각은 수직 슬롯(55)을 향한다.
이송레버(20)는 몸체(2)의 후방벽과 벽요소(12b)의 후방측 사이에 안내될 수 있다.
제10 및 제11도는 크림핑레버(19)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크림핑레버(19)는 크림핑스탬프가 크림핑드럼(18)에 의해 크림핑 위치로 이동된 경우 크림프된 요소에 적당한 방법으로 안내되는 크림핑스탬프(56)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크림핑레버(19)는 그 하단에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가 몸체(2)에 지지되는 베어링 장치(57)를 가진다.
예를들면 베어링장치(57)는 몸체(2)에 부착된 축(A)이 그를 통하여 이동되는 강화중공 실린더로 될 수 있다(제4도).
베어링장치(57)에서 크림핑레버(19)의 대향단으로, 상기 레버는 베어링장치(57)의 훅에 평행하게 이동되는 상기 핀(40)이 제공된다.
크림핑레버(19)는 이 핀(40)에 의해 구동부(12)내측, 더 구체적으로는 양측벽영역(12a, 12b)내측에 위치된 절곡 안내트랙(39)에 결합한다.
그 결과, 특히 구동부(12)와 크림핑레버(19)사이에 안정되게 연결된다.
제13도는 연결된 코어단 슬리브용 공급 및 이송장치(23)를 가진 크림핑드럼(1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크림핑드럼(18)은 이 경우 적재위치에 있다.
공급 및 이송장치(23)는 크림핑드럼위로 그리고 크림핑드럼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수 있는 이송플레이트(58)를 가진다.
이송플레이트(58)의 하측에는 브러시 또는 돌출러그 또는 플라스틱러그(59)가 제공되어 진다.
상기 러그(59)는 참조번호 60으로 나타내어지는 코어단 슬리브(60)를 크림핑드럼(18)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 플레이트(58)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도움으로 크림핑드럼(18)의 방향으로 미리 인장된다.
이 스프링은 예를들면 이송 플레이트(58)와 몸체(2)의 측벽사이에 정열될 수 있다.
크림핑드럼(18)이 도선단의 도움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러그(52)가 벽(53) 후방으로 가동될 경우, 그리고 크림핑드럼(18)이 작동 위치에서 크림핑 위치로 회전될 경우, 상부에 위치된 돌출부(54)의 하나가 그와 함께 이송 플레이트(58)와 결합하고, 다시 말하면 크림핑드럼(18)으로부터 떨어진 이송 플레이트를 돌출부(54)에 대하여 경사면(61)위로 정확하게 압축한다.
이 경사면(61)은 제7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송 플레이트(58)가 돌출부(54)에 의해 크림핑드럼(18)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경우, 크림핑 스프링과 물체(2)사이에 위치된 크림핑 스프링(58a)은 인장되므로, 크림핑드럼(18)이 다시 그 작동위치로 도달하고 이것이 다시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이송플레이트(58)는 상기 크림핑 스프링(58a)에 의해 크림핑드럼(18)으로 이동된 다음 코어단 슬리브(60)를 작동위치에 있는 요홈으로 밀게 된다.
경사면(61)은 돌출부(54)가 크림핑드럼(18)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경사면(61)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노출된다.
탄성요소(68)는 코어단 슬리브를 각각의 축방향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
제13a도는 공급 및 이송장치(23)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한다.
러그 또는 브러시 대신에 이 경우 이송플레이트(58b)는 예를들면 스프링 강철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탄성 스프링요소(58c)를 그 바닥측에 지지한다.
탄성스프링 요소(58c)는 코어단 슬리브 벨트상에 고정되며 코어단 슬리브(60)를 각각의 지지층(3a)에 대해 가압하는 수평암(58d)을 가진다.
이송 플레이트(58b)와 함께 스프링 요소(58c)가 크림핑드럼(58b)위로 이동될 경우 코어단 슬리브를 부하위치에 있는 요홈으로 밀기 위하여 크림핑드럼(18)에 대하여 측면에 놓여있는 코어단 슬리브(60)와 종속 코어단 슬리브 사이에 있는 영역에, 크림핑드럼(18), 스프링요소(58c)의 방향 또는 상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된 암(58e)이 결합된다.
이송플레이트(58b)의 반대방향 가동중 수평암(58d)은 코어단 슬리브 위쪽으로 떨어져 미끄러진다.
암(58e)과 수평암(58d)은 별도 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제14도는 코어단 슬리브들을 확대도시한다.
이들은 벨트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며 서로 평행하게 놓여있다.
인접코어 선단슬리브들(60) 사이의 연결웨브는 참조번호 62로 표시한다.
이 연결웨브(62)는 예를들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레이트(63)로 절단된다.
크림핑드럼(18)이 부하위치에서 크림핑 위치로 회전되는 즉시 요홈(47)에 놓여있는 코어단 슬리브(60)는 하향으로 이동되어 연결웨브(62)가 블레이드(63)위로 밀려지고 이것에 의해 절단된다.
크림핑중 공구(1)의 작동방법을 제1, 4 및 제15도를 참고하여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5도는 핸들이 완전 개방된 상태(제15a도), 핸들이 절반 가압된 상태(제15b도) 그리고 핸들이 완전 가압된 상태(제15c도)의 집게를 도시한다.
제1도 및 제15a도에 있어서, 크림핑드럼(19)은 제4, 15b 및 15c도의 크림핑위치에 있는 동안 작동위치에 있다.
도선선단이 작동위치에 있는 요홈(47)으로 처음에 삽입될 경우, 크림핑드럼(18)은 스프링힘에 대하여 정확하게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러그(52)는 벽(53)의 축방향 위치 후방으로 놓여있는 축방향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작동위치에 있는 요홈(47)에 끼워진 돌출부(54)는 이송레버(20)의 수직슬롯(55)과 결합한다.
핸들(3,11)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될 경우, 러그(52)는 벽(53) 후방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크림핑드럼(18)의 축방향위치로 된다.
동시에 요홈(47)은 크림핑 위치의 방향에서 작동 위치의 외부로 이동되어 나온다. 핸들이(3, 11)이 함께 압축될 경우, 구동부(32)는 베어링핀(13)에 대하여 도면상반시계방향으로 정확하게 회전된다.
동시에 이송레버(20)는 크림핑드럼(18)의 방향으로 처음에 이동되는데, 그 이유는 핀(41)이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벗어난 각도의 형태로 구성된 가이드(42)의 상부영역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이는 크림핑드럼(18)의 회전이 처음에 이송레버(20)의 가동에 의해 일어남을 의미한다.
동시에 디프레션(47)은 크림핑레버(19)의 회전이 일어나기전 작동위치에서 크림핑위치(제15b도)로 이동된다.
크림핑드럼이 상기 경로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핀(40)은 일정각을 갖는 가이드(39)내의 일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핸들(3,11)은 요홈(47)이 크림핑위치(제15b도)에 도달한 후 함께 가압될 경우(제15c도), 크림핑레버(19)의 핀(40)은 가이드(39)의 수직 일부에서 상향으로 되므로서 크림핑레버(19)는 그 베어링축(A)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동시에, 크림핑스탬프(56)는 크림핑 위치에 있는 코어단 슬리브로 압축된다.
핸들(2,11)의 이와같은 최후의 가동부분중, 핀(41)(제4도 참조)은 중심에서 하방으로 정확하게 가이드(42)의 하부 일부에 형성되므로써, 이송레버는 더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크림핑스탬프(56)가 코어단 슬리브에 대하여 가압될 경우, 크림핑드럼(18)은 고정되어 있다.
핸들(3,11)이 함께 완전히 가압되는 크림핑단계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핸들(3,11)에서 하중이 제거될 경우 스프링(14)은 핸들(3,11)을 개방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스프링(14)은 베어링핀(13)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구동부(12)를 당긴다.
한편, 이와동시에 핀(41)은 가이드(42)의 하부 일부에서 가이드의 중심영역으로 이송레버(20)가 되돌아 이동되지 않고 작동한다.
따라서, 크림핑드럼(18)은 처음에 정지되어 있다.
한편, 이와달리 초기 개방단계중, 핀(40)은 가이드(39)의 수직 일부에서 하향으로 작동하여 크림핑레버(19)는 베어링축(58)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크림핑스탬프(46)는 크림핑드럼(18)에서 제거된다.
핀(41)이 가이드(42)의 중심영역에 위치되고 핀(40)이 가이드(39)의 수직 일부의 하부영역에 위치될 경우, 다음 가동단계가 시작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핀(41)은 가이드(42)의 상부영역에 작동하고 그 결과 이송레버(20)를 핸들(3,11)의 방향에서 후방으로 당긴다.
핀(54)는 수직슬롯(55)에 의해 그와 함께 결합되어 크림핑드럼(1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요홈(47)은 다시 작동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2번째 가동단계중 크림핑레버(19)는 핀(40)이 가이드(39)의 수평 일부에서만 작동하므로 실제로 정지되어 있다.
요홈(47)이 그 부하 위치에 도달하고 그리고 이송레버(20)가 제4도의 우측으로 완전히 복귀한 직후, 체결러그(52)는 체결벽(53)에서 자유롭게 되므로서 크림핑드럼(18)은 다시 정확하게 전방으로 가압된다.
그 이유는 몸체(2)의 후방벽과 이것과의 사이에 정열된 스프링 때문이다.
이와동시에, 돌출부(54)는 수직슬롯(55)에서 빠져나와 이송레버(20)와 크림핑드럼(18)사이에서 더이상 결합되지 않는다.
이때, 크림핑드럼(18)의 후방이동의 결과, 즉 축방향 후방 변위의 결과로서, 경사면(61)은 이에 놓인 돌출부(54)가 후방으로 당겨지므로 이탈된다.
스프링 구동의 결과로서, 이송플레이트(58)는 또 다른 코어선단 슬리브를 작동 위치에 있는 요홈으로 밀수 있다.
몸체(2)와 이송플레이트(58)사이의 인장스프링은 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된 58로 될 수 있다.
크림핑드럼(18)은 회전 결과로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의 가동 사이클후 다시 축방향 원위치로 복귀되고, 즉 구동장치와 이송레버(20)에서 결합이 해제된다.
크림핑드럼(18)이 도선선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경우, 돌출부(54)와 이송레버(20)사이에는 결합이 되지 않는다.
핸들(3,11)이 함께 가동될 경우, 상기와 같은 동일 공정이 일어난다.
한편, 이송레버(20)는 왕복 가동하는 한편, 크림핑레버(19)는 그 회전축(A)에 대하여 선회된다.
따라서, 크림핑스탬프(56)는 요홈이 작동위치에 있을 경우에도 크림핑위치로 가동된다.
이 경우 크림핑드럼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8도의 참조번호(51)로 나타낸 그 표면에 추가홈을 가진다.
이들홈은 요홈이 작동위치에 있을 경우 크림핑위치에 있다.
따라서 크림핑스탬프(56)는 맨 마지막 언급된 경우에도 완전 가동하게 된다. 본질적인 특징은 크림핑드럼이 필요치 않을 경우, 즉 크림핑 공정이 실시될 필요가 없을 경우, 크림핑드럼은 이송레버(20)와 크림핑레버(19)의 가동에 대해서는 보다는 회전에 대해 더 많은 힘이 필요하므로 회전되지 않는다.

Claims (26)

  1. 서로 상대운동 가능한 상, 하부핸들(3,11)과, 상기 상, 하부핸들(3,11)의 선단에 형성되어 자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선의 선단을 드래싱하는 고정 및 작동 클램핑 턱(4,8)과, 상기 핸들과 연동하여, 상기 핸들의 동작 중에 상기 작동 클램핑 턱(8)을 가동시키는 구동장치(21)와, 상기 고정 및 작동 클램핑 턱(4,8)의 상향에 위치하여 별도의 도선 선단을 크림핑하는 크림핑부(17)와, 상기 크림핑부(17)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크림핑부(17)가 자신의 회전축을 따라 축 이동할 때에만, 상기 구동장치(21)와 크림핑부(17)를 커플링시키는 커플링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크링부(17)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크림핑드럼(18)을 구비하며, 상기 크림핑드럼(18)은 크림핑되어지기 위한 도선의 선단이 삽입될 때,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부(17)는 크림핑드럼(18)의 적재위치에서 크림핑되어질 도선의 선단이 크림핑드럼(18)에 삽입되어지면 상기 구동장치에 커플링되고, 커플링 후 전달되는 외력에 의하여 크림핑위치로 도선의 선단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도선의 선단에 크림핑 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드럼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파인 다수개의 요홈(47,48,49)을 구비되며, 상기 요홈에는 도선이 선단에 크림핑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접촉요소(22,60)가 삽입되어지며, 상기 삽입된 접촉요소는 크림핑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47,48,49)은 크림핑드럼(18)의 앞쪽 원형면에서 뒤쪽 원형면측으로 이어지며 상기 요홈이 끝나는 크림핑드럼의 뒤쪽 원형면에는 외주 상측으로 돌출한 체결러그(5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러그(52)는 크림핑드럼(18)이 축방향이동하고 축회전한 후에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체결벽(53)의 뒷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수단은 상기 크림핑드럼(18)의 뒤쪽 원형면에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54)와, 상기 구동장치(21)에 힌지연결되며, 크림핑드럼(18)이 축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54)와 맞물리는 이송레버(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드럼(18)은, 요홈(47,48,49)를 선회시켜, 상기 요홈을 적재위치에서 크림핑스탬프(56)에 대향하는 위치인 크림핑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크림핑위치에서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크림핑드럼(18)이 그 외주상에 또 다른 홈(51)을 가지며, 상기 홈에는 요홈(47,48,19)이 접촉요소(22,60)을 적재하는 위치에 있을 때, 크림핑스탬프(56)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9. 제3항에 있어서, 크림핑드럼(18)은 도선의 선단이 삽입되어지는 앞쪽 원형면에 체결탭(50)을 가지며, 상기 체결탭이 크림핑드럼의 앞쪽면에 형성된 부재와 탄력적으로 간섭함으로써, 요홈(47,48,49)을 적재위치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0. 제1항에 있어서, 핸들은(3,11)은 캐비티 형태의 상, 하부 핸들(3,11)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핸들의 전방부에 크림핑부(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하부핸들(11)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부(12)와, 상기 구동부(12)의 작동에 따라 작동 클램핑 턱(8)을 가동시키는 조인트레버(10)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12)에는 상부핸들(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2. 제11항에 있어서, 크림핑드럼(18)과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이송레버(20)가 구동부(12)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3. 제7항에 있어서, 크림핑스탬프(56)는 크림핑레버(19)에 부착되며, 상기 크림핑레버(19)의 일단은 상부핸들(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을 상기 구동부(12)에 힌지결합되어 구동부(12)의 구동에 따라 크림핑스탬프로 크림핑드럼 축으로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4. 제13항에 있어서, 크림핑레버(19)는 핀(40)에 의하여 구동부(12)에 결합되며, 가이드트랙(39)의 안내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5. 제11항에 있어서, 구동부(12)와 상부핸들(3) 사이에는 인장스프링(14)이 설치되어 하부핸들(11)이 닫히면 인장되었다가, 하부핸들(11)에서 외력이 제거되며 하부핸들은 원상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부핸들(3)내에는 크림핑작업시에 필요한 접촉요소(22,60)을 저장하는 장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접촉요소(22,60)는 일렬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코어선단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8. 제17항에 있어서, 크림핑드럼(18)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블레이드(63)가 구비되어지며 서로 연결되어 있는 코어선단 슬리브(22,60)중 1개가 적재위치에서 크림핑드럼(18)의 요홈(47,48,49)에 삽입되고 크림핑드럼이 크림핑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블레이드(63)는 삽입된 코어선단 슬리브를 다수의 코어선단 슬리브에서 끊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19. 제17항에 있어서, 크림핑드럼(18)의 외주면 쪽으로 일정량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이송장치(23)와, 크림핑드럼(18)의 뒤쪽 원형면에 형성된 돌출부(54)를 부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크림핑드럼(18)이 회전함에 따라 상돌출부(54)가 이송장치의 경사진면(61)을 왕복하면 상기 이송장치가 코어선단 슬리브(22,60)를 크림핑드럼(47, 48, 49)에 밀어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0.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및 작동 클램핑 턱(4,8)에 의하여 스트립핑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작동 클램핑 턱(8)은 베어링핀(7)에 의하여 상부핸들(3)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작동 클램핑 턱(8)은 상부에 제어면(9,9a)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면(9,9a)으로 일단이 구동부(12)에 힌지연결되어진 조인트레버(10)의 타단이 미끄럼운동함으로써 작동 클램핑 턱(8)이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3.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및 클램핑 턱(4,8)의 사이에는 인장요소(26)가 배치되어지고, 상기 인장요소(26)는 앞부분에 상, 하부절단턱(24,25)과, 가운데 부분에 제어면(9)을 향하는 돌출부(A)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면(9)은 제어면(9,9a)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조인트레버(10)의 슬라이딩요소(10b)에 의하여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인장요소(26)는 종방향슬롯(3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수평횡방향아암(32,3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인장요소(26)의 후방으로 지지요소(S)에 의하여 지지되는 신축적인 단부(35)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단부는 조인트레버(10)의 슬라이딩요소(10b)에 의하여 후향 이동되어진 인장요소를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요소(26)가 일체형 플라스틱부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KR1019920020291A 1991-11-04 1992-10-31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KR950011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36302A DE4136302C1 (ko) 1991-11-04 1991-11-04
DEP4136302.7 1991-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14A KR930009714A (ko) 1993-06-21
KR950011681B1 true KR950011681B1 (ko) 1995-10-07

Family

ID=644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291A KR950011681B1 (ko) 1991-11-04 1992-10-31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00998A (ko)
EP (1) EP0540880B1 (ko)
JP (1) JPH0789509B2 (ko)
KR (1) KR950011681B1 (ko)
AT (1) ATE132664T1 (ko)
CA (1) CA2081999C (ko)
DE (2) DE4136302C1 (ko)
ES (1) ES2084234T3 (ko)
TW (1) TW1975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9529C1 (ko) * 1992-03-24 1993-07-08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4930 Detmold, De
FR2704169B1 (fr) * 1993-04-22 1995-07-07 Legrand Sa Outil à main pour la coupe d'un conducteur électrique isolé, son dénudage et le sertissage d'un embout de câblage sur son extrémité dénudée.
DE4413748A1 (de) * 1994-04-20 1995-11-02 Josef Krampe Zangenartiges Werkzeug zum Verdrillen des teilweise freigelegten Endbereichs eines eine Litze als Ader aufweisenden isolierten Leiters
FR2725650A1 (fr) * 1994-10-13 1996-04-19 Legrand Sa Outil a main pour le sertissage d'un embout de cablage sur l'extremite denudee d'un conducteur electrique, et, eventuellement, pour le denudage prealable de cette extremite
IT1293706B1 (it) * 1997-06-04 1999-03-10 Elematic Srl Pinza per terminali elettrici con cursore e caricatore continuo
DE19912340C1 (de) * 1999-03-19 2000-08-31 Guenther Wallrabenstei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trennen (Vereinzeln) von in einem Gurtband angeordneten Aderendhülsen
US6763583B1 (en) * 2000-09-22 2004-07-20 Clyde Wesley Bryan Tool for working on live electrical wires
DE20217733U1 (de) 2002-11-16 2004-04-0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Crimpzange
DE20310378U1 (de) 2003-07-05 2004-11-18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Zange mit einer Crimpstation
DE20310377U1 (de) * 2003-07-05 2004-11-18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Zange mit einer Abisolierstation
US7017448B2 (en) * 2004-04-23 2006-03-28 Ideal Industries, Inc. Precision hand-held wire stripper
CN100361787C (zh) * 2004-08-12 2008-01-16 威德米勒界面有限公司及两合公司 具有弯边装置的钳子
US7877864B2 (en) * 2006-03-08 2011-02-01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mpression tool with rotating, multiple cable cradle
US7594315B2 (en) * 2006-04-11 2009-09-29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mpression tool with adjustable driving pin
EP2182595A3 (en) * 2008-11-03 2010-10-20 Tri-Star Technologies Contact magazine loader for hand held crimper
WO2014099876A1 (en) * 2012-12-18 2014-06-26 Smart Wire Grid, Inc. Installation fixture for installing devices on power lines
US20150113804A1 (en) * 2013-10-29 2015-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 strip and crimp tool
DE202014100340U1 (de) * 2014-01-27 2014-02-19 Jokari-Krampe Gmbh Abisolier- und Crimpzange mit Zwangssperre
CN104009362B (zh) * 2014-05-26 2016-05-18 宁波江丰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多股通信线缆集合压制的装置及方法
US9819134B2 (en) 2015-02-27 2017-11-14 General Electric Company Tool for stripping and crimping a wire
CN104967061A (zh) * 2015-07-03 2015-10-07 成都新三电线厂 一种能适用不同尺寸规格的线缆剥线钳装置
TWM521832U (zh) * 2015-12-11 2016-05-11 Hanlong Ind Co Ltd 壓接鉗
BE1027095B1 (de) * 2019-03-05 2020-10-05 Phoenix Contact Gmbh & Co Magazin zur Verarbeitung von Aderendhülsen und Handwerkzeug zum Verpressen von Aderendhülsen
DE102019117856A1 (de) * 2019-07-02 2021-01-0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agazin zur Verarbeitung von Aderendhülsen und Handwerkzeug zum Verpressen von Aderendhülsen
DE102019123904A1 (de) * 2019-09-05 2021-03-1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Crimpeinsatz und Presswerkzeug
DE102020121823A1 (de) 2020-08-20 2022-02-24 Rennsteig Werkzeuge Gmbh Zur Durchführung einer Vercrimpung ausgebildete Handzange sowie Handzange mit einem Zangenkop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6161A (ko) * 1961-12-04
US3710610A (en) * 1970-06-05 1973-01-16 Bunker Ramo Wire terminal crimping tool
GB1432843A (en) * 1973-04-04 1976-04-22 Rommel Reiner Tongs
AT326748B (de) * 1973-07-13 1975-12-29 Amp Inc Vorrichtung zum trennen elektrischer verbinder von tragstreifen und zum andrucken der getrennten verbinder an drahte
DE2402187C3 (de) * 1974-01-17 1980-02-07 C. A. Weidmueller Kg, 4930 Detmold Handzange zum Abisolieren von Leiterenden
JPS5227440Y2 (ko) * 1975-05-08 1977-06-22
US4126936A (en) * 1977-09-29 1978-11-28 Koller Joseph A Identification system for point to point wiring
JPS6355753A (ja) * 1986-08-25 1988-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ラツキング装置
US4774762A (en) * 1987-04-10 1988-10-04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Hand-held automatic power crimper
FR2642233B1 (fr) * 1989-01-20 1991-04-05 Telemecanique Electrique Outil de sertissage a chargement automatique
DE4008515A1 (de) * 1990-03-16 1991-09-19 Zoller & Froehlich Hand-pressgeraet
DE4209529C1 (ko) * 1992-03-24 1993-07-08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4930 Detmold,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0880B1 (de) 1996-01-03
CA2081999C (en) 2000-10-31
JPH05217655A (ja) 1993-08-27
DE4136302C1 (ko) 1993-03-11
CA2081999A1 (en) 1993-05-05
DE59204908D1 (de) 1996-02-15
ATE132664T1 (de) 1996-01-15
JPH0789509B2 (ja) 1995-09-27
KR930009714A (ko) 1993-06-21
ES2084234T3 (es) 1996-05-01
TW197537B (ko) 1993-01-01
EP0540880A1 (de) 1993-05-12
US5500998A (en) 1996-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681B1 (ko) 도선선단 드래싱용 공구
US4281442A (en) Apparatus for applying connectors to multiconductor flat cable
CA2665486C (en) Terminal applicato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2092253C (en) Pliers for dressing conductor ends
US4040179A (en) Apparatus for mating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an electrical connector
EP0338996B1 (en) Easy access metal staple stapler
US5724871A (en) Stripping tools
JP2952466B2 (ja) 電線被覆の剥離工具
US4557164A (en) Wire and cable stripping device
US20040079132A1 (en) Pressing tool
US7055361B2 (en) Pliers-type handtool having a crimping station
US5400941A (en) Core end sleeves which are linked to one another in the form of a belt, and device for their transportation
US4590786A (en) Cable shoe tongs with a stop means
US4022051A (en) Feeding apparatus of members to be crimped in crimping tools
EP0001678B1 (en) Wire deploying apparatus
US5123344A (en) Application device for marking wires and cables
FI69226B (fi) Anordning foer koppling av ledningar
JPH09136269A (ja) 連続ビス締付機
EP0391772A1 (fr) Appareil pour la fixation d'agrafes de jonction sur un tapis transporteur ou similaire
SU440736A1 (ru) Клещи дл опрессовки кабельных наконечников и гильз
JP2005116307A (ja) ジョイント圧着機
GB2294162A (en) Wire stripping tools
KR200245698Y1 (ko) 택건의 택핀 피딩 장치
KR200153621Y1 (ko) 절단기용 이송장치
JP2006005977A (ja) ジョイント電線の製造方法及び電線皮剥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