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534B1 - 로우프용 클립 - Google Patents

로우프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534B1
KR950011534B1 KR1019880013223A KR880013223A KR950011534B1 KR 950011534 B1 KR950011534 B1 KR 950011534B1 KR 1019880013223 A KR1019880013223 A KR 1019880013223A KR 880013223 A KR880013223 A KR 880013223A KR 950011534 B1 KR950011534 B1 KR 950011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rope
bolt
rope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455A (ko
Inventor
야스오 와다
Original Assignee
조오지루시 첸블록 가부시기가이샤
쓰다 슈우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오지루시 첸블록 가부시기가이샤, 쓰다 슈우사꾸 filed Critical 조오지루시 첸블록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우프용 클립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로우프용 클립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동 클립 본체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동 클립 본체의 종 단면도.
제4도는 동 와이어 로우프의 클 렵 고정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동 일부 확대 사시도.
제6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7도는 동 클립 본체의 종단면도.
제8도는 동 클립 본체의 사시도.
제9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10도는 동 사시도.
제11도는 대향 부재를 클립 본체와 별개로 구성한 제4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12도는 동 사용시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동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14도는 종래 예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 본체 11 : 삽입구멍
12 : 대향 부재 12a : 삽입부
14 : 유지부 2 : U볼트
21 : 절곡부 3 : 너트
본 발명은 로우프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행한 한 쌍의 볼트 삽입구멍을 구비한 클립 본체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U볼트 및 그 U볼트의 단부에 나사 맞춤되는 한 쌍의 너트로 이루어지는 로우프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로우프용 클립은, 예를 들면 일본국 사단법인 일본 크레인 협회 발행의 보올 피팅(ball fitting)작업자 필독(개정판 소화 61년 11월 1일 6판 발행)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인 한 쌍의 볼트 삽입구멍을 가지고, 이들 양 삽입구멍의 길이방향 일단측에서, 양 삽입구멍 사이에 로우프 받침홈을 구비한 클립 본체(A)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U볼트(B) 및 그 U볼트(B)의 각 단부에 나사맞춤되는 한 쌍의 너트(C,C)로 이루어지고, 와이어로우프의 말단을 절곡하여 중합시킨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두개의 로우프를 상기 클립 본체(A)의 로우프 받침홈에 맞대어 넣는 한편, U볼트(B)로 두 개의 로우프를 외측으로부터 끌어 넣고, 그 U볼트(B)를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 넣어 너트의 나사맞춤에 의하여, 클립 본체(A)와 U볼트(B)로 클립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로우프용 클립에 있어서의 클립 본체(A)의 로우프 받침홈은, 와이어로우프의 절곡 중합부분의 한쪽의 로우프만을 고정하는 홈 깊이로 되어 있고, 또 그 로우프 받침홈의 개방 외측에 다른쪽 로우프를 위치시키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클립 본체(A)만으로서는 다른쪽 로우프를 고정시킬 수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와이어로우프의 절곡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두 개의 로우프를 상기 클립 본체(A)의 로우프 받침홈에 맞대어, U볼트(E)와 너트(C)를 사용하여 클립 고정할 때에, 상기 로우프의 절곡에 대한 장력(tension) 작용에 의하여 두 개의 로우프를 상기 로우프 받침홈에 맞댄 상태로 작업자가 유지할 필요가 있고, 또 이 유지작업은 상기 로우푸의 장력에 대항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대단히 곤란하여 맣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U볼트(B)의 설치작업을 행하기가 어렵고, 또 그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 상기 U볼트(B)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시킨 후에도, 그 U볼트(B)의 굴곡부측에 위치하는 로우프가 상기 삽입구멍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취급하기가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립 본체측에 설치하는 로우프 받침부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클립 본체에 로우프 말단의 절곡 중합부분을 평행상태인 그대로 임시 고정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클립 본체에 U볼트를 체결하여 클립 고정작업을 간단 용이하고, 또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로우프용의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평행인 한 쌍의 볼트 삽입구멍(11,11)을 구비한 클립본체 (1)와, 상기 삽입구멍(11,11)에 삽입되는 U볼트(2) 및 그 U볼트(2)의 각 단부에 나사맞춤되는 한 쌍의 너트(3,3)로 구성되는 로우프용 클립으로서, 상기 클립 본체(1)축으로부터, 그 클립 본체(2)에 대향하며 상기 U볼트(2)의 굴곡부(21)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12a)를 가지는 대향부재(12)를 연장설치 하고, 이 대향부재(12)와 상기 클립본체(1)와의 사이의 대향면 사이에서, 2개의 로우프를 상기 삽입구멍(11,11)사이에 병렬 설치하여 유지시키는 유지부(14)를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와이어로우프의 말단을 루우프 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중합부분을 클립 고정하는 경우, 상기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두개의 로우프를 클립 본체(1)의 유지부(14)내에 삽입함으로써, 두 개의 로우프를 클립 본체(1)와 대향부재 (12)와의 사이에 로우프의 절곡에 의한 장력작용을 이용하여 지탱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지상태하에서, 로우프 유지에 유의할 필요없이 U볼트(2)를 상기 대향부재(1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두개의 로우프를 끌어 안도록 삽입하여, 그 U볼트(2)의 각 단부를 상기 삽입구멍(11,11)에 삽입하여 너트(3,3)로 나사맞춤하여, 클립 본체(1)와 U볼트(2)를 조 임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상기 중합부분을 클립 고정하는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로우프용 클립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평행인 한 쌍의 볼트의 삽입구멍(11,11)을 구비한 클립 본체이고, 그 클립 본체(1)에는 그 클립본체(1)에 대향하고, 또, 후기하는 U볼트(2)의 굴곡부 (21)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구멍으로 이루어진 삽입부(12a)를 가진 통형상의 대향벽으로 이루어진 대향부재(12)를 연결부(13)를 거쳐 일체로 연장설치하여, 이 대향벽 (12)과 상기 클립 본체(1)와의 대향면 사이에서, 2개의 로우프를 상기 삽입구멍(11,11)사이에 병렬 설치하여 유지시키는 유지홈으로 이루어진 유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홈(14)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이 C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과 개방단과의 중간부에 클림본체(1)와 대향벽(12)과의 양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한돌출부(15,15), (16,16)을 설치하여, 이들 각 제한돌출부(15, 16)에 의하여 상기 유지홈(14)에 로우프 하나씩의 삽입을 허용하고, 그 유지홈(14)에 2개의 로우프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양 로우프의 개방측으로의 탈출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한돌출부(15,15), (16,16)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유지홈(14)의 형상을 U자 형상으로 형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면부호 2는 상기 삽입구멍(11,11)에 삽입되는 U볼트이고, 그 U볼트(2)의 각 단부에는 한 쌍의 너트(3,3)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도면부호 4는 말단을 루우프 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두 개의 로우프(4a,4b)를 클립 고정시키는 와이어로우프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로우프(4)의 말단을 루우프 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중합부분을 클립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두 개의 로우프(4a,4b)를 클립본체(1)의 유지홈(14)에 삽입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유지홈(14)의 중간부에는 제한돌출부(15,15), (16,16)가 내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그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우프(4a,4b)를 하나씩 상기 제한돌출부(15,15), (16,16)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삽입하는 한편, 이들 두 개의 로우프(4a,4b)를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지홈(14)의 저부에서 상기 삽입구멍(11,11) 사이에 병렬 설치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지작용으로 상기 두 개의 로우프(4a,4b)는 클펍 본체(1)와 통형상 대향벽(12)에 의하여 상기 장력작용을 이용하여 지탱하는 형상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 상기 제한돌출부(15,15), (16,16)에 의하여 상기 양 로우프(4a,4b)의 유지홈(14)의 개방측으로의 불의의 탈출을 제한하여, 상기 양 루우프(4a,4b)를 클립본체(1)에 의하여 확실하게 임시 고정 유지 되게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립 본체(1)에 상기 양 로우프(4a,4b)를 임시 고정한 상태하에서, 로우프 유지에 유의할 필요 없이, 상기 대향벽(12)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부(12a)를 거쳐 상기 로우프(4a,4b)를 끌어 안도록 삽입하고, 그 U볼트(2)의 각 단부를 상기 삽입구멍(11,11)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각 단부에 각각 너트(3,3)를 나사맞춤함으로써, 상기 클립 본체(1)와 U볼트(2)와의 사이에 상기 로우프(4a,4b)를 간단 용이하게, 또 신속하게 클립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제6도 내지 제13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는 클립 본체(1)에 일체로 설치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삽입부 (12a)를 가진 통형상 대형벽(12) 대신에 클립 본체(1)에 연결부(13)을 연장설치함과 동시에, 그 연결부(13)의 선단에 상방으로 올라가는 한쌍의 측벽(12b, 12b)를 설치하여, 이들 양 측벽(12b, 12b)에 의하여 대향부재(12, 12)를 형성하고, 또, 상기 대향부재(12, 12)와 상기 클립 본체(1)와의 대향면 사이에서, 2개의 로우프를 상기 삽입구멍 (11,11)사이에 병렬 설치하여 유지시키는 유지홈(유지부)(14)를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유지홈(14)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한돌출부(15,15), (16,16)중에서 클립 본체(1)측 제한돌출부(15,15)를 로우프 지름과 대략 동일한 길이까지 안쪽으로 돌출시켜 대향부재(12)측의 제한돌기(16,16)의 내측으로의 돌출량을 약간만 억제하고, 상기 로우프(4)를 대향부재(12)측으로부터 유지홈(14)에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9도 및 제10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클립본체(1)의 양측에 위쪽이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C형상의 대향부재(12)를 상기 제1및 제2실시예와 같이 연결부(13)를 거치지 않고, 직접 일체되게 연장설치한 것이다.
상기 클립본체(1)와 대향부재(12)에 걸친 로우프 받침면에는 돌기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17)가 설치되어 있어 로우프(4)의 미끄러짐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2 및 제3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도, 상기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제11도 내지 제13도는 대향부재(12)를 클립 본체(1)와는 별개로 형성한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 평행인 한쌍의 볼트 삽입구멍(11,11)을 가지며, 이들 삽입구멍(11,11)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서, 양 삽입구멍(11,11) 사이에 로우프 받침홈(10a)을 구비한 기존의 클립 본체(1)를 사용하는 한편, 그 클립 본체(1)와는 별개로 대향부재(12)로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볼트 삽입구멍(12c, 12c)를 가지며, 또 클립 본체(1)의 외면에 부가하여 설치가능한 판부(12d)와, 선단을 혹(갈고리)형으로 한 유지편(12e, 12e)을 연장설치한 것을 주로 하여, 1매의 금속판의 펀칭(punching) 성형등에 의하여 형성하고, 사용시에 상기 대향부재(12)의 유지편 (12d, 12d)을 제12도와 같이 서로 대향형상으로 절곡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사용할 때에는, 제12도와 같이 유지편(12e, 12e)를 서로 대향상으로 절곡한 대향부재(12)를,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 본체(1)의 타측면에 상기 대향부재 (12)의 판부(12d)를 맞닿게 하고, 상기 유지편(12e, 12e)를 클립 본체(1)의 로우프 받침홈(10a)을 외측으로부터 끼운상태에서 설치하는 한편, 말단을 루우프 형상으로 절곡한 와이어루프(4)의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두 개의 로우프(4a,4b)를 상기 클립 본체(1)의 로우프 받침홈(10a)과 상기 대향부재(12)의 유지편(12e', 12e)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지부(14)내에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하여, 상기 두 개의 로우프(4a,4b)에 그 절곡에 대한 큰 장력작용이 생기고 있어도, 상기 두 개의 로우프(4a,4b)는 상기 로우프 받침홈(10a)과 유지편 (12e, 12e)에 의하여 상기 장력작용을 이용하여 지탱하는 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지상태하에서, 로우프(4)의 유지에 유의할 필요없이 상기 클럽 본체(1)의 U볼트(2)의 죄임에 의한 상기 중합부분의 클립 고정작업을 극히 간단 용이하게 또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이 대향부재(12)를 클립 본체(1)와 별개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판체의 펀칭가공에 의하여 그 대향부재(12)를 간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의 클립 본체(1)에 대향부재(12)를 부착물로서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가격도 저렴하게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로우프 (4)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와이어로우프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로우프의 클립 고정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평행인 한 쌍의 볼트 삽입구멍(11,11)을 구비한 클립 본체(1)와, 상기 삽입구멍(11,11)에 삽입되는 U볼트(2) 및 그 U볼트(2)의 각 단부에 나사맞춤되는 한 쌍의 너트(3,3)로 이루어지는 로우프용 클립으로서 상기 로우프 본체(1)측으로부터 그 클립 본체(1)에 대향하고, 또 상기 U볼트(2)의 굴곡부(21)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부(12a)를 가진 대향부재(12)를 연장설치하여, 이 대향부재(12)와 상기 클립 본체(12)와의 사이에 대향면에 2개의 로우프를 상기 삽입구멍(11,11)사이에 병렬 설치하여 유지시키는 유지부(14)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와이어로우프의 말단을 로우프 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증합부분을 클립 고정할 때에 상기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두 개의 로우프를 상기 클립 본체(1)의 유지부(14)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로우프를 클립 본체(1)와 대향부(12)와의 사이에 로우프의 절곡에 대한 장력작용을 이용하여 지탱하는 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지상태하에서 로우프의 유지에 유의할 필요없이, 상기 클립 본체(1)에의 U볼트(2)의 죄임에 의한 상기 중합부분의 클립 고정작업을 극히 간단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어 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평행인 한 쌍의 볼트 삽입구멍(11,11)을 구비한 클립 본체(1)와, 상기 삽입구멍 (11,11)에 삽입되는 U볼트(2) 및 그 U볼트(2)의 각 단부에 나사맞춤되는 한 쌍의 너트(3,3)로 이루어지는 로우프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클립 본체(1)측으로부터, 그 클립 본체(1)에 대향하며 상기 U볼트(2)의 굴곡부(21)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부(12a)를 가진 대향부재(12)를 연장설치하고, 상기 대향부재(12)와 상기 클립 본체(1)와의 사이의 대향면 사이에서, 2개의 로우프를 상기 삽입구멍(11,11) 사이에 병렬 설치하여 유지시키는 유지부(1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프용 클립.
KR1019880013223A 1987-12-21 1988-10-11 로우프용 클립 KR950011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31587 1987-12-21
JP62-324315 1987-12-21
JP63-219394 1988-09-01
JP63219394A JPH0814300B2 (ja) 1987-12-21 1988-09-01 ロープ用クリップ
JP88-219394 1988-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455A KR890010455A (ko) 1989-08-08
KR950011534B1 true KR950011534B1 (ko) 1995-10-06

Family

ID=2652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23A KR950011534B1 (ko) 1987-12-21 1988-10-11 로우프용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14300B2 (ko)
KR (1) KR950011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8730A (zh) * 2017-11-28 2018-12-04 桐庐天元机电有限公司 一种用于弧形闸门的平衡吊具结构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455A (ko) 1989-08-08
JPH0814300B2 (ja) 1996-02-14
JPH01266315A (ja) 198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4079A (en) Supporting clamp for mounting constructional components, for example tubes or the like
JP2610285B2 (ja) アンカーレール
US4118838A (en) Pipe clamp
US4148113A (en) Clamp for securing a plurality of elongated articles
US5141186A (en) Pipe clamp
US5987711A (en) Rope clamp
US5052648A (en) Suspension cable shelf mounting system
SK45297A3 (en) Universal beam-type suspension
US7108248B2 (en) Cable pulley block having detachable fastening of a cable to a cable drum
US3031217A (en) Brackets and bracket anchoring devices
US20130047409A1 (en) Tie device for elongate articles
US20080244874A1 (en) Device for Holding Arrangement of Oblong Objects
KR950011534B1 (ko) 로우프용 클립
US3993272A (en) Sheet metal fastener
US5402970A (en) Band-type clamp for wire harness
US4444372A (en) Tensile force absorbing anchoring in concrete
LT4863B (lt) Izoliuoto antžeminio kabelio, ypatingai - daugiagyslio antžeminio kabelio, galinis gnybtas
FR2395421A1 (fr) Systeme reglable de montage, de fixation et d'ancrage avec un fer en u
GB2271806A (en) Clip member for use with I-shaped fence posts
US5314154A (en) Through hole strap mount
US4141528A (en) Sound dampening fastening element
US6120014A (en) Twist-correcting device for wire rope isolator
JP3433449B2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3367610B2 (ja) 導体用ホルダー
HU211352B (en) Device for securing a rail-like structural component to a diagonal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