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389B1 - 하물 적재판, 하역장치 및 입체격납장치 - Google Patents

하물 적재판, 하역장치 및 입체격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389B1
KR950011389B1 KR1019910007324A KR910007324A KR950011389B1 KR 950011389 B1 KR950011389 B1 KR 950011389B1 KR 1019910007324 A KR1019910007324 A KR 1019910007324A KR 910007324 A KR910007324 A KR 910007324A KR 950011389 B1 KR950011389 B1 KR 95001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allet
crane
loading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897A (ko
Inventor
요시카쓰 우스다
요시아끼 헨미
Original Assignee
니혼세큐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기다야마 유타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세큐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기다야마 유타까 filed Critical 니혼세큐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물 적재판, 하역장치 및 입체격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은 하물 적재판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하물 적재판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하물 적재판을 사용한 선반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하역장치의 한 실시예인 스타커크레인의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스타커크레인의 크레인 캐리지의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하역장치인 스타커크레인의 슬라이드 포크의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하역장치의 한 실시예인 포크리프트트럭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8도는 제9도는 본 발명의 하역장치인 포크리프트트럭의 유지부의 사시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하역장치에 관련된 하물 인수대의 사시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입체격납설비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입체격납설비의 선반부의 사시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종래의 하역장치인 포크리프트트럭의 유지부의 사시도.
제17도는 종래의 다른 하역장치인 포크리프트트럭의 유지부의 사시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종래의 출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0도 및 제21도는 종래의 하역장치인 포크리프트트럭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2도 및 제23도는 시트팔레트용의 종래의 입체격납설비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24도는 종래의 입체격납설비의 선반부의 사시도.
제25도는 화물을 올려놓은 목제팔레트의 사시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따른 시트팔레트의 하물을 올려놓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물적재판 5, 22 : 스타커크레인(stacker crane)
6 : 크레인포스트 7 : 슬라이드 포크
8 : 포크리프트트럭(fork lift truck) 9 : 유지부
10 : 포크부 11, 12 : 하물인수대
16 : 시트팔레트 17 : 하물
19 : 벨트콘베이어 20, 24 : 창고선반
21 : 크레인레일 23 : 지주
25 : 선반판 26 : 목제팔레트
40 : 크레인캐리지 41 : 시저스
42 : 지지대 43 : 실린더
44 : 상부지지부재 45 : 구동장치
46 : 캐리지와이어 또는 체인, 하부 지지부재
48 : 안내로울러
본 발명은, 하물등의 하역과정에 있어서 하물을 옮겨 싣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올려놓는 경우에, 혹은 선반형상으로 형성해서 이 위에 하물을 올려놓고 격납하여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경우등에 사용되는 하물적재 판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물적재판에 대응하여 하물의 하역을 행하기에 적합한 스타커크레인(stacker crane), 포크리프트(fork lift truck)등에 하역장치의 개량, 나아가서 상기 하물적재판이나 하역장치를 포함하는 개량된 입체 격납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물의 하역이나 보관용으로 작업의 간소화, 규격화, 신속화를 목적으로 하는 각종 팔레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종전에는 이러한 팔레트로서 나무틀로 짜여진 목제팔레트(26)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제25도 참조).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하역장치도 이 목제 팔레트를 취급하기 위한 2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포크부를 가지는 포크리프트럭등으로서, 이 포크부를 전후로 또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한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이와같은 하역장치에 대응하는, 하물을 옮겨 실을대에 필요한 하물적체대, 혹은 보관을 위한 격납설비도 다만 팔레트를 올려놓기 위한 평면부만을 갖는 것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근년에 이러한 목제팔레트 대신에 가격이 싸고, 얇고, 가벼운 등의 여러 가지 많은 잇점을 가지는 시트팔레트(16)(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제 55-168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가 보급되고 있다.(제26도 참조). 더욱이, 상기 공보에는 그때까지의 미크럼팔레트(시트팔레트), 즉 나무조각을 사용하는 것(강도가 부족, 미끄럼 마찰이 크다), 혹은 엷은 금속판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양측에 두꺼운 종이를 부착해서 형성한 것(제작이 복잡하고 무겁다)등에 대신하여,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제조된 미끄럼팔레트(시트팔레트)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시트팔레트는 강성에 약하다는 특성이 있으며, 스스로 많은 하물을 지탱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시트팔레트를 취급하기 위한 하역장치 혹은 보관을 우한 격납설비에는 푸슈풀기구, 즉 하물을 올려놓은 시트 팔레트의 손잡이부를 잡고 끌어당기거나 하물을 시트팔레트마다 밀어주기 위한 기구를 구비시키는 특수한 대응책이 필요하였다. 이와같은 대책을 제공한 하역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한 공개공보제 56-76605호 [포크와 슬립시트 챠킹부와 이들을 신축시키는 신축장치로 이루어지는 슬립시트 부착부를 갖춘 스타커크레인 및 입체격납실로 이루어지는 입체격납설비를 제안]에 제공된 스타커크레인이 있으며, 여기서는 올려놓여지고 있는 하물마다 시트팔레트를 입체창고에 수납 혹은 인출하기 위한 푸슈풀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제 57-120596호 [첨부도면 제15도 및 제16도에서와 같이 핀가보드(101)에 착, 탈이 자유롭게 부착된 본체(102)의 프레임(103)에 시트팔레트를 유지시키는 리테이너(109)를 하부에 갖추고 있으며, 리테이너 실린더(108)에 의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승강레일(105)를 설치하고, 프레임(103)의 전방에는 푸슈풀기구(110)에 의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페이스(117)의 하부에 죠우(118) 및 글리퍼(120)를 설치하고, 죠우(118)의 후부에는 브라케트(124)를 설치하고, 이 브라케트(124)에는 죠우(118)의 상승시 시트팔레트를 잡아거는 후크(125)를 요동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후크(125)에 로울러(127)을 설치한, 하역 장치에서의 시트팔레트를 밀어내는 장치를 제안, 그리고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제 58-56797호 [제17도에서와 같이 글리퍼장치(206)의 제1의 글리퍼 플레이트(261)을 페이스 플레이트(203)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제1의 글리퍼 플레이트(261)가 시트팔레트 누름장치(207)의 누름판(271)의 승강과 연동하도록 구성한 리프트 트럭의 푸슈풀장치를 제안]에는, 각각 리프트 트럭에 배치하는 포크부용 푸슈풀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같은 푸슈풀기구를 갖는 하역장치를 이용하면, 보관 및 격납을 포함하여 시트팔레트만을 취급할 수 있는 일관된 하역 시스템으로서 운용할 수도 있다. 혹은, 푸슈풀기구를 구비한 포크리프트트럭을 사용하면, 종래의 목제 팔레트와 시트팔레트를 혼재 병용한 하역 시스템으로 할 수도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제 58-6826호 혹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제 58-100023호에는 이와같은 푸슈풀기구를 갖는 하역장치를 이용하는 보관격납 설비용의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즉,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제 58-6828호에는 통상의 팔레트를 올려 놓는 하물인수대의 한쪽에 인접해서 시트팔레트 적재대를 병설하고, 상기 하물인수대 위에 올려 놓인 통상의 팔레트상의 하물을, 이 팔레트 위로 이동시켜서 시트 팔레트 위로 뒤에서 밀어 옮겨 싣도록 하물 미는 수단이 부착된 왕복이동 대차를 설치해서 이루어진, 시트팔레트로의 하물 이동 적재장치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장치를 통해서 입체장치로부터 인출한 통상의 팔레트상의 하물을 시트팔레트 위로 옮겨 실으면, 그 후에는 푸슈풀기구가 부착된 리프트 트럭에서 취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상의 팔레트와 시트팔레트와를 혼재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제 58-100023호에는 첨부된 도면 제18도 및 19도에서와 같이, 하물(303)을 통상의 팔레트(302)상에 쌓여 놓은 유니트로드를, 격납실의 일정한 셀내에 격납하는 입체 자동 창고로부터 종래의 스타커크레인 및 반출콘베어(301)에 의하여 옮겨쌓는 장치, 즉 유니트 로드를 올려놓는 옮김대와 전후로 접동가능한 프레샤레이트(306) 및 팔레트라크부(307)로 이루어지는 이동적재장치(304)로 운송하고, 상기 유니트로드의 팔레트(302)상의 하물을 슬립시트 공급장치(309)가 설치된 슬립시트대(308)상에 옮겨쌓는 출고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입체창고로부터 인출한 통상의 팔레트상의 하물을 시트팔레트상으로 옮겨놓으면, 그후에는 푸슈풀기구가 부착된 리프트 트럭에 의해 취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상의 팔레트와 시트팔레트를 혼재병용할 수 있다.
또하 일관해서 시트팔레트만을 취급하는 시스템으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제 56-76605호 (전술)에 푸슈풀기구를 갖는 하역장치를 포함하는 보관격납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시트팔레트에 대응할 수 있는 푸슈풀기구를 갖는 종래의 하역장치 및 격납설비의 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20도에는, 하역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포크리프트트럭(8)이 제시되고 있다. 이 포크리프트트럭(8)은, 시트팔레트(16)상에 올려놓여진 하물(17)을 취급하기 위하여, 차체전단부에 배치된 마스트상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부착된 포크부에 푸슈풀기구를 배치한 유지부(9)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푸슈풀 기구의 움직임으로, 평면상에 올려놓인 시트팔레트(16)와 하물(17)을 평면으로부터 평면으로 자유자제로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예컨대 제20도와 같이 지표면에 올려놓여진 시트팔레트(16)와 하물(17)과를 유지부(9)의 프라텐상으로 잡아 당겨 올려놓은후 이동시켜서, 제21도에서와 같이 벨트콘베이어(19)상으로 프라텐에 의하여 화물(17)을 밀어내서 옮겨놓을 수가 있다. 또한, 원격지로 운송하는 경우라면, 하물(17)을 소정 트럭의 하물대나, 콘테이너 안으로 밀어내서 적재한다.
푸슈 풀장치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며, 그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컨대 상기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제 58-56797호 및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제 57-120596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시트팔레트에 올려놓은 하물을 일정기간 보관하기 위한, 예컨대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제 56-7660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입체 격납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2도는 입체격납설비(입체창고)의 평면도이며, 제23도는 그 측면도이다. 이 입체격납설비는, 제24도에서와 같이 복수의 선반판(25)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주(23)에 여러단으로 배치한 창고선반(24)를 횡방향(제22도)에서는 지면 상하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여러개(도면에서는 5개)배열하고, 세로방향(제22도에서는 지면 좌우방향)으로도 규칙적으로 여러개 배열하고 있으며, 각 창고선반(24) 사이에는 스타커크레인(22)이 임의의 선반 앞으로 주행이동할 수 있도록 크레인레일(21)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스타커크레인(22)에 구비된, 승강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유지부(9) (제20도 참조)에는, 창고선반의 임의의 위치에서 하물을 시트팔레트마다 제24도중 D 방향으로 출입시킬 수 있도록 푸슈풀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은 푸슈풀기구를 갖는 스타커크레인(22)에 대해서도, 같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제 56-766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참조부호(19)는 벨트콘베이어로서, 시트팔레트(16)와 하물(17)을, 예컨대 하물인수대로부터 스타커크레인(22)이 취급될 수 있는 위치로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혹은 역으로 하물(17)을 출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팔레트용 하역장치에 있어서는, 복잡한 푸슈풀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그 가격이 고가이다.
또한, 이와같은 푸슈풀기구를 갖는 하역장치에서는 하물의 적재, 하강시에, 이에 대응하는 격납설비, 하물 적재판 등이 마찰력에 의하여 수평방향의 큰 힘을 받는다. 이 때문에, 이와같은 설비는 대단한 견고한 것으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푸슈풀기구에 의하여 취급되는 시트팔레트는 파지부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기간이 짧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여러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역장치에 별도의 푸슈풀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다만 상하이동기구와 전후이동기구만을 갖는 것, 즉 종전의 하역장치를 변경(파지부의 형상변경)하면서 시트팔레트용 하역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신규의 하물적재판 구조와, 이에 대응한 하역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입체격납설비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관 혹은 이동적재를 위하여 하물이 상면으로 올려놓여지는 거의 평판형상의 하물적재판을 제공하는데, 하역장치의 포크형상 유지부가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상면 및 한측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상기 하물적재판상에 여러개 설치해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간부가 하면에도 뚫려져 있는 하물적재판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하물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승강 및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된 포크형상의 유지부를 갖는 포크리프트트럭, 스타커레인 등의 하역장치를, 그 유지부가 머리빗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체격납설비를, 머리빗 형상이 하물유지부를 갖는 스타커크레인과, 하물유지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면 및 한 측면에 뚫는 여러개의 공간부를 갖는 다수의 선반판을 다단, 다열로 배열한 선반과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하역장치의 포크형상 유지부를 거의 평판형상의 하물적재판의 공간부의 측면 구멍 혹은 하면 구멍을 통하여 이 공간부내로 삽입한 후 다시 상면 구멍을 통해 빼낼 수 있으므로, 하물 적재판위에 올려놓여진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일체로 유지부에 유지시킨채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역으로,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유지한 하역장치의 포크형상 유지부를, 거의 평면형상의 하물적재판의 공간부의 상면구멍을 통해서 이 공간부내로 삽입하고,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하물적재판에 올려놓은후, 포크 형상 유지부를 하물 적재판의 측면의 구멍 혹은 하면의 구멍을 통해서 이 공간부내로부터 빼냄으로써,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하물적재판위로 옮겨놓을 수 있다.
즉, 시트팔레트에 대하여 푸슈풀동작을 하지 않고 하역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로 지정된 부분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거의 평판형상의 하물적재판(1)이 제시되어 있다. 이 하물적재판(1)에는 기다란 다수의 공간부(1c)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공간부(1c)는, 하물적재판(1)의 상면(1a) 및 측면(1b)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방향으로부터 봉형상의 부재를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1c)의 형상 및 배치에 대응하여 하역장치내에 구성된 포크형상의 유지부를 하물적재판 측면(1b)의 구멍을 통해서 공간부(c)내에 삽입한 후, 상면(1a)의 구머을 통해서 빼냄으로써, 하물적재판 위에 올려놓여진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일체로 포크형상부재로 유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유지한 하역장치의 포크형상의 유지부를, 하물적재판의 상면(1a)의 구멍을 통해서 공간부(1c)내로 하강시켜서 삽입하여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하물적재판에 올려놓은후, 하물적재판의 측면(1b)의 구멍을 통해서 포크형상의 유지부를 공간부(1c)내로부터 빼냄으로써,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옮겨 놓을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하물적재판(1)에 있어서, 공간부(1c)를 등간격으로 더욱이 밀집되게 설치한 것은, 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시트팔레트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배려했기 때문이며, 설혹 시트팔레트가 아니고 충분한 강성을 갖는 예컨대 강판제의 팔레트에만 대응하는 것이라면, 공간부(1c)는 2개 이상 설치하면 족하다.
제2도도 본 발명에 의한 하물적재판(1)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하물적재판(1)에도 기다란 여러개의 공간부(1c)를 설치해두고 있으며, 이는 슬리트(slit)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하물적재판(1)은 기부(1d)로부터 한쪽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돌출부(1e)가 형성되어 있어서, 머리빗 형상을 띠우고 있다. 즉, 공간부(1c)는 상기 판형상부재의 상면(1a) 및 측면(1b)에 대해서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면도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각각의 면에 대응하는 3방면으로부터 봉형상의 부재(하역장치의 유지부)를 삽입시키거나 빼낼 수가 있다. 즉, 상기 제1실시예의 기능에 더하여, 포크형상의 유지부를 아래쪽으로부터 공간부(1c)내로의 삽입시키거나 빼낼 수가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하물적재판(1)도 하물을 적재한 평판형상의 시트팔레트 혹은 강성체의 팔레트를 그 상면(1a)에, 하물과 함께 올려놓고 공간부(c)에 이용하여 승강 및 전후이동이 자유로운 포크형상의 유지부로서 하역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하물적재판(1)은, 제7도에서와 같이 그 밑에 다리부를 설치하여 대형상으로 구성하거나, 여러 하물을 집중적으로 격납하기 위하여 제3도에서와 같이 지지틀(2)내에 상하방향으로 여러단으로 배치된 선반형상으로 구성해서 하물을 올려놓는데 사용한다. 제3도에서, 참조부호(3)은 선반의 다리부재, (4)는 지붕부재이다. 또한, 하물적재판(1)은 선반의 양쪽으로 하물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그 양측면에 공간부(1c)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하며, 이상 기술한 하물적재판에 대해서는, 하물적재판(1)의 공간부(c)의 형상 및 배치에 대응하는 하물유지부를 갖는 하역장치(후술)를 사용하여 그러한 유지부를 상하, 전후로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일체로 하물적재판(1)에 올려놓거나 혹은 하물적재판(1)으로부터 반출하는 등 하물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제 본원 제2의 발명으로서, 상술한 하물적재판(1)에 대하여 하역작업을 행하는데 적합한 하물유지부를 구비한 각종 하역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하물적재판(1)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종횡으로 다수 배열시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입체격납설비(입체창고)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같은 입체격납설비에 부가해서 입체격납설비내에서의 하역작업에는 스타커크레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4도, 5도 및 제6도는, 본원 제2의 발명인 하역장치의 한 실시예인 스타커크레인(5)의 주요부를 보여주고 있다. 이 스타커크레인(5)은 제12도 및 제13도에서와 같은 입체격납설비에 사용되는 것이다. 제4도에서는, 입체격납설비의 바닥면에 부설된 크레인레일(21)(제12도 및 제13도 참조)의 길이방향(부설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구성된 크레인포스트(6)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구성된 크레인캐리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레인캐리지(40)에는, 하물 및 시트팔레트를 올려놓기 위한 유지부인 슬라이드 포크(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포크(7)는 전술한 하물적재판(1)의 공간부(1c)의 형상 및 배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크레인레일(21)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포크(7)에는 하물적재판(1)이 공간부(1c) 의 형상 및 배치에 대응해서, 돌출부(7e)와 공간부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에 제시한 본 발명에 의한 하물적재판(1) 혹은 제2도에 제시한 본 발명에 의한 소위 머리빗 형상의 하물적재판(1)을 선반판으로 구성하여 입체격납설비에 설치하고, 하물적재판(1)상에 혹은 그의 위로부터 하물을 하역할 수 있다.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포크(7)는 신축이 자유로운 슬라이드포크 전, 후진용 시저스(41)를 통하여 지지대(42)에 지지되어 있다. 시저스(41)는 지지대(42)에 부착된 실린더(43)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 지지대(42)는 구동장치(45)(제4도 참조)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제4도에서 참조부호(46)은 캐리지지지와이어 또는 체인, (44)는 캐리지 상부 지지부재, (6)은 크레인포스트, (47)은 캐리지 하부지지부재이다. (48)은 안내로울러로서, 캐리지 상하부지지부재(44), (47)을 크레인포스트(6)에 안내한다.
참조부호(49)는 슬라이드 포크의 지지대(42)의 하부에 부착된 로울러로서, 동지지대(42)를 캐리지 하부지지부재(47)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더욱이, 이상 설명한 스타커크레인으로는, 구동장치(45) 및 로울러(49)를 사용하여 지지대(42)가 회전가능하지만, 회전가능이 없는 경우에는 한쪽의 격납실만을 입고(격납)하거나 출고(인출)하거나 할 수가 있다.
혹은 제6도에서와 같이 양쪽에 머리빗 형상으로 돌출부(7e)를 형성한 슬라이드포크(7)를 자유롭게 전, 후진할 수 있도록 크레인캐리지(40)에 배치한 구조로 되게 하고, 어느쪽의 돌출부(7e)에서도 하물 및 시트팔레트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하면, 회전가능이 없는 스타커크레인일지라도 양쪽의 격납실에 대해서 자유롭게 하역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같은 스타커크레인에 대해서도, 예컨대 이미 열겨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제 56-76605호에도 개시되어 있으므로 기타의 상세한 내용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7도에는, 본 발명의 하역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유지부(9)를 구비한 포크리프트트럭(8)이 제시되어 있다. 유지부(9)는, 제8도의 사시도에 확대해서 도시되어 있다. 유지부(9)는, 제8도 사시도에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같이, 스타커크레인(5)의 유지부인 슬라이드포크(7)와 마찬가지로 포크부(10)가 진술한 하물적재판(1)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하물적재판(1)의 돌출부(1e)의 형상 및 배치에 대응해서 이것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 공간부(10c)와, 하물적재판(1)의 공간부(1c)의 첫수에 대응하는 돌출부(10c)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에서 다리부의 위에 고정설치된 머리빗 형상이 하물적재판(1) 상에 자유롭게 하물(17)을 올려놓은 시트팔레트(16)를 하역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상의 실시예에서 모든 하역장치의 유지부에는 푸슈풀기구가 전연 없으며 다만 전, 후진 및 상, 하 이동만으로 하역작업이 행하여지는 것이지만, 푸슈풀기구를 함께 구비해두어도 아무런 지장이 없으며, 푸슈풀기구를 함께 갖는 경우에는, 종래의 단순한 평판형상의 하물적재판을 포함하는 설비에 대해서도, 혹은 수송용 트럭의 하물대 등에 대해서도 시트팔레트를 사용한채 하역을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유익한 것이 된다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제9도에서, 이와같은 푸슈풀기구까지 구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포크리프트트럭의 유지부(9A)의 한 예를 보여준다.
더욱이, 본원의 사상 즉, 하물을 이동적재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의 시트 팔레트에 대해서는, 전, 후진 기구와 상하동작 기구만을 구비한 머리빗 형상의 유지부를 갖는 푸슈풀기구를 배제한 하역장치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생각을 연장하면, 제10도에서와 같이 공간부(11c)를 다수 설치한 하물인수대(11)로 전술한 하물적재판(1)과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빗 형상의 유지부를 갖는 각종 하역장치에 의한 하물의 이동적재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효하다. 더욱이, 제11도에 제시하는 하물인수대(12)는 벨트콘베이어의 끝단부에 연속해서 배치한 것으로서 매우 적절한 것이며, 벨트콘베이어와 동등한 로울러 콘베이어의 기능과, 전술한 빗형상 유지부를 갖는 하물장치에 적합한 공간부를 갖춘 하물인수대의 기능과를 함께 갖는다. 이 하물인수대(12)는, 측면부에 돌출부(12e)와 공간부(12c)를 번갈아 여러개 배열한 물체(13)와 다수의 돌출부(12e)의 선단부분에 각각 지지축으로서 구성된 로울러(14)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로울러(14)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D)으로는 하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로울러의 축방향(도면중 E방향)으로부터 전술한 본 발명의 하역장치(예컨대 포크리프트트럭)의 머리빗 형상의 유지부를 집어넣은 후에 윗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팔레트마다 하물을 받아내고 혹은 역으로 하물을 이 하물인수대(12)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상술한 하물인수대(11), (12)에 하물을 올려놓거나 또는 올려놓여진 하물을 유지해서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는 하물장치의 하나인 모노레일식 오버헤드 콘베어(도시하지 않았음)에 본원 제2발명을 적용해도 좋고, 윗쪽에 설치된 레일에 매달려 이동하고 자유롭게 승강하며 또한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선단이 L자 형상인 2개의 선단부분(유지부)를 머리빗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 머리빗 형상의 유지부를 에컨대 하물인수대(11)의 공간부(11c)의 옆쪽으로부터 시트팔레트(16)의 하방으로 집어넣어서 그위에 시트팔레트를 유지시킨채 윗쪽으로 이동시킨후, 희망장소로 이동시킨다. 또한, 머리빗형상의 유지부를 하물인수대(11)의 공간부(11c)의 윗쪽으로부터 집어넣어, 시트팔레트(16)를 하물인수대(11)에 올려놓은후 공간부(11c)의 옆쪽으로부터 빼냄으로서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내려놓는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본원 제2발명의 하역장치는 모두 전술한 본 발명의 하물적재판(1)에 대응하는 형상의 유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원 제3의 발명인 입체격납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입체격납설비는, 이미 상술한 하물적재판(1)을 여러개 사용하여 질서있게 배열하고, 제3도에 제시한 실시예와 같은 선반과, 이 선반군 사이에 설치된 제4도의 실시예와 같은 스타커크레인(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다시 공지의 벨트콘베이어와, 이 끝단부에 배치된 전술한 하물인수대(11), (12)를 부가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입체격납설비의 한 실시예를 제12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입체격납설비(입체창고)의 평면도이며, 제13도는 이의 측면도이다. 이 입체격납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은, 상기한 제22도 내지 제23도에 제시한 종래의 것과 같으며, 선반판의 구성과 이에 대응하는 하역장치의 유지부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입체격납설비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러장의 선반판(하물적재판)(1)을 일정간격을 두고 지주(23)상에 여러단 배치한 창고선반(20)을 횡방향(제12도에서는 지면상하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여러개(도면에서는 5개) 배열하고, 종방향(제12도에서는 지면좌우방향)으로도 규칙적으로 여러개 배열하고 있으며, 각 창고선반(20)사이에는 스타커크레인(5)이 임의의 선반앞으로 주행이동할 수 있도록 크레인레일(21)이 부설되어 있다.
스타커크레인(5)에 구비된 승강이 자유롭게 유지부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창고선반군의 임의의 위치에서 하물을 각각의 시트팔레트(16)마다 올려놓거나 혹은 인출이 기능하도록 선반판(하물적재판)(1)에 대응하는 머리빗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19)는 벨트콘베이어로서, 시트팔레트(16)와 하물(17)을 예컨대 스타커크레인이 취급가능한 위치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혹은 역으로 시트팔레트(16)와 하물(17)을 출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벨트콘베이어(19)의 양끝단부에 연접하여 제11도의 하물인수대(12)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하물인수대(12) 상에서 머리빗 형상의 유지부를 갖는 포크리프트트럭 혹은 푸슈풀기구를 갖는 포트리프트트럭등에 의하여 하역작업이 행하여 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입체격납설비에 있어서 시트팔레트와 하물을 격납하는 절차는, 우선 포크리프트트럭으로 하물을 벨트콘베이어(19)의 한쪽 끝단에 인접한 하물인수대(12) 위에 올려놓은후, 벨트콘베이어(19)에 의해서 다른쪽 끝단에 인접한 하물인수대(12)위로 이송한다. 이곳에서 유지부상에 하물을 옮겨실은 스타커크레인(5)을 바람직한 선반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크레인캐리지(40)의 승강동작과 슬라이드포크(7)(유지부)의 전후동작을 적절히 조합해서 제어함으로서 원하는 단의 선반으로 하물을 격납한다. 또한 하물의 출고시에는 역순서를 취하여, 선반에 격납된 하물중 필요한 것을 벨트콘베이어(19)의 끝단부에 인접한 하물인수대(12)로 올려놓은후, 포크리프트트럭을 사용해서 수송 트럭등으로 옮겨 싣는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물적재판에는 하역장치의 포크형상의 유지부를 삽입하거나 혹은 빼낼 수 있도록 적어도 상면 및 한측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여러개 설치하였으므로, 푸슈풀기구를 갖기 않고 전후이동 및 상하이동 기구밖에 갖지 않는 간단한 하역장치를 사용하여 평판 형상의 팔레트와 그위의 하물을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발명에 의하면, 하역장치의 승강이 자유롭고 또한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된 포크 형상의 유지부가 머리빗 형상을 띠우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하물적재판과 조합하여 시트팔레트에 대한 하물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격납설비는, 선반판으로서 전술한 하물적재판을 사용하고, 이에 대응하는 머리빗 형상의 하물 유지부를 구비한 하역장치를 구비하였으므로, 창고선반이 횡방향의 과대한 힘을 받는 일이 없으므로 비교적 간편한 구성이 채용가능하며, 시트팔레트를 일관해서 취급할 수 있는 입체격납 설비를 적은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목제팔레트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푸슈풀기구를 갖지 않는 하역장치를 구비한 기존의 입체격납설비를, 다만 선반부와 하역장치의 유지부와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즉 적은 비용 부담으로도 일관해서 시트팔레트를 취급할 수 있는 입체 격납설비로 변경할 수 있는 점도 산업상 유익하다.

Claims (4)

  1. 보관 혹은 이동적재를 위하여, 그 상면에 하물이 올려놓여지는 거의 평판형상의 하물적재판에 있어서, 하역장치의 하물을 유지하기 위한 포크형상의 유지부가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그 상면 및 한 측면이 개방된 여러개의 공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하면도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늘하물적재판.
  3. 하물적재판의 돌출부 및 공간부에 대응하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 및 전후이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된 유지부를 갖춘 포크리프트트럭, 스타커크레인 등의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하물적재판의 형상 및 배치에 대응해서 상기 하물적재판의 돌출부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 공간부, 및 상기 하물적재판의 공간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치.
  4. 여러개의 선반판을 다단 다열로 배열한 선반과, 그리고 상기 선반에 대하여 하물을 출입시키는 스티커크레인을 구비하고 있는 입체격납설비에 있어서, 상기 스타커크레인은 공간부 및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는 포크형상의 하물유지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선반판은 상기 하물유지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그 상면 및 한 측면이 개방된 여러개의 공간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격납설비.
KR1019910007324A 1990-05-21 1991-05-07 하물 적재판, 하역장치 및 입체격납장치 KR950011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1042 1990-05-21
JP2131042A JPH0428604A (ja) 1990-05-21 1990-05-21 荷物載置板並びに荷役装置及び立体格納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897A KR910019897A (ko) 1991-12-19
KR950011389B1 true KR950011389B1 (ko) 1995-10-02

Family

ID=1504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324A KR950011389B1 (ko) 1990-05-21 1991-05-07 하물 적재판, 하역장치 및 입체격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8604A (ko)
KR (1) KR950011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0509A (ja) * 1991-02-12 1992-09-16 Kawasaki Steel Corp 立体倉庫設備
FR2842754B1 (fr) * 2002-07-26 2004-10-15 Tivox Ab Dispositif pour le chargement-dechargement de toles d'une machine de decoupe
JP5863150B2 (ja) * 2012-05-25 2016-02-16 村田機械株式会社 段積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8604A (ja) 1992-01-31
KR910019897A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69294B (zh) 用于储存和运输储存在仓库的货架中的物品的系统
JP5106783B2 (ja) 棚式倉庫及び荷役方法
KR102435562B1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JP2620707B2 (ja) リフトスォーク式荷役装置
US3782564A (en) Product picking stacker crane system
CN214454058U (zh) 一种货架以及自动存取货仓库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US3608749A (en) Plural depth storage system with a plurality of article handling means
JP4964438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コンテナの入出庫装置
KR950011389B1 (ko) 하물 적재판, 하역장치 및 입체격납장치
JP2897619B2 (ja) 自動倉庫
US3696954A (en) Side loading stacker
JP2660602B2 (ja) 自動倉庫
JPH06115632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660600B2 (ja) ケース移載装置
CN111302022A (zh) 一种图书仓储系统及该图书仓储系统中的图书搬运方法
RU1792892C (ru) Склад дл хранени тарных грузов
CN214826315U (zh) 搬运装置及仓储系统
JP2726182B2 (ja) 物品の保管・搬送用パレット
CN110217618B (zh) 一种装箱作业装置
JPH0721612U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荷物載置台
SU10414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стеллажей
JPS6160506A (ja) 立体自動倉庫システム
JPS6153962B2 (ko)
SU54737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грузки и загрузки стеллажей склада штучными груз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