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613Y1 - 관이음쇠 - Google Patents

관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613Y1
KR950010613Y1 KR2019930010803U KR930010803U KR950010613Y1 KR 950010613 Y1 KR950010613 Y1 KR 950010613Y1 KR 2019930010803 U KR2019930010803 U KR 2019930010803U KR 930010803 U KR930010803 U KR 930010803U KR 950010613 Y1 KR950010613 Y1 KR 950010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fitting
shape
fitt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662U (ko
Inventor
배기영
Original Assignee
배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영 filed Critical 배기영
Priority to KR2019930010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613Y1/ko
Publication of KR950001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이음쇠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정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관이음쇠를 이용하여 두개의 관이 커플링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b도는 제2a도의 A-A선에 따른 관이음쇠의 연결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음쇠본체 12a,12b,12c : 관단부
13a,13b,14a : 커플링 결합용 홈 14 : 피연결관
15 : 고무패킹 16a,16b : 커플링 하우징
17 : 볼트 18 : 너트
본 고안은 배수관의 접속등에 사용되며 상으로 제조된 관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피접속관을 관이음쇠 본체와 상호 접속하는 하나의 관이음쇠에 있어서, 그 중앙부에 위치한 관이음쇠 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단부에 커프링용 홈이 형성된 관단부와, 상기 관이음쇠 본체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단부에 커플링용 홈이 형성되지 않은 용접용 관단부로 구성되어, 고압이 인가되는 중, 대형의 강관접속에의 활용이 용이하고 일측에 용접용 관단부가 형성됨에 따른 튼튼한 관 접속이 가능함과 아울러, 커플링용 홈 형성 수를 감소시킴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관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관연결방식으로는 크게 용접방식과 플랜지 결합방식, 나사가공방식, 그리고 커를링 결합방식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용접방식은 피접속관 끼리 직접 접속하는 것으로 결합력이 크고 견고한 결합을 행할 수 있으므로 관내 압력이 높은 경우는 적합하나, 설치 제거가 불가능하고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효율이 극도로 떨어질 경우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플랜지 결합방식은 사전에 연결관과 플랜지의 용접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현장작업시 관의 수평이 맞아야하며 많은 수의 볼트 너트를 사용함에 따른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조임의 결합 결손이 발생하기 쉽고, 관접속이 불완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나사가공방식은 일반적으로 소형관 이음에 사용되며 현장에서 직접 나사 가공기로 나사가공을 해야하므로 나사규격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또한 정확한 관접속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숙련과 경험이 필요하다.
커플링 결합방식은 관이음쇠와 피접속관에 설치된 홈을 이용하여 커플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작업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제거도 용이하기 때문에 관이음쇠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플링 결합방식의 하나로 몰크 조인트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몰크 조인트는 한번 장착하면 재보수시 탈착이 불가능하며 대형관에서는 압력에 의해 누수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플링용 결합방식에 사용되는 관이음쇠가 대부분 주철(주물)이나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어 강관을 소재로 하는 일반배관에서 그 상대성이 나쁘며, 관이음쇠의 관단부에 형성되는 커플링용 홈을 형성하는 데에는 유압 프레스동의 고가 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므로 관이음쇠 제조경비가 비싸게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압이 인가되는 중, 대형의 강관에도 사용이 용이한 관이음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피접속관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강으로 형성된 관이음쇠에 있어서,
타자 형상으로 형성된 이음쇠 본체와,
상기 이음쇠 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커플링용 홈이 형성되지 않은 용접용 관단부와,
상기 이음쇠 본체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이음쇠 외주면의 일부가 내부 반경방향으로 삽입되어 들어간 커플링용 홈이 형성된 관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관이음쇠는 금속강으로 제조되고, 티(T)자 형상으로 형성된 이음쇠 본체(11)가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음쇠 본체(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관단부(12a,12b)의 원주부에 커플링용 홈(13a,1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쇠 본체(11)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관단부(12c)에는 커플링 홈이 형성되지 않은 용접용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용 홈(13a,13b)은 커플링내의 고정기구와 계합하여 결합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커플링용 홈(13a,13b)이 형성된 관단부와 결합되는 피접속관의 관단부에도 동일한 구조의 커플링용 홈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관이음쇠에는 피접속관중 기초가 되는 피접속관은 커플링용홈(13a,13b)이 설치되지 않은 용접용 관단부 (12c)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튼튼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커플링용 홈(13a,13b)이 형성된 관단부(12a,12b)는 커플링용 홈이 형성된 다른 쪽 피접속관과 커플링 고정기구에 의해 결합된다.
제2a도는 커플링용 홈이 형성된 관단부를 이용하여 두개의 관이 커플링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b도는 커플링 결합된 상태의 관이음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2a,b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이음쇠 본체(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관단부 즉, 커플링용 홈(13a)이 형성된 관단부(12a)는 단부에 동일한 구조의 커플링용 홈(14a)이 형성된 피접속관(14)의 관단부와 커플링 고정기구(15,16a,16b,17,18)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커플링 고정기구는 커플링용 홈 (13a,14a)이 각각 형성된 관단부의 외측면에 삽입되어 관연결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15)과, 상기 커플링용 홈(13a,14a)의 상부에 놓여 양측면에서 볼트(17)와 너트(18)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두개의 관을 연결시키는 커플링 하우징(16a,16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용 홈(13a,14a)의 형상을 유(U)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커플링의 유격을 적게 함으로써 순간적인 고압이 가해 졌을때, 탈관될 위험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커플링용 홈(13a,14a)과, 커플링 고정기구(15,16a,16b,17,18)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시키는 커플링 방식은 연결되는 관이 서로 수평을 이루지 않아도 연결이 가능하고, 커플링 하우징(16a,16b)을 상하로 결착시킨 후 볼트(17)와 너트(18)를 조임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는 그 재질을 강으로 하고 하나의 관이음쇠에 있어서 이음쇠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일측 관단부에는 커플링용 홈이 형성되지 않은 용접용 관단부를 형성하고, 타측 관단부에는 커플링용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관이음쇠 각 단부마다 커플링용 홈을 형성함에 따른 제조경비를 낮출 수 있고, 기초가 되는 피접속관과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시켜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커플링용 홈을 이용하여 피접속관과 커플링 결합 고정구를 이용하여 특별히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로도 쉽게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관이음쇠가 강으로 제조되어 고압이 인가되는 중, 대형 강관과의 결합에도 사용가능하여 종래의 주철로 제조된 관이음쇠가 강으로 제조된 일반강관과의 결합에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의 형태는 상기에서 설명한 관이음쇠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티자 형상의관이음쇠를 예시하고 있으나, 십(+)자 형상, 엘보우 형상, 또는 관이음쇠의 직경이 변화되는 레듀샤 형태의 관이음쇠로의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복수개의 피접속관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강으로 형성된 관이음쇠에 있어서, 티자 형상으로 형성된 이음쇠 본체와, 상기 이음쇠 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커플링용 홈이 형성되지 않은 용접용 관단부와, 상기 이음쇠 본체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이음쇠 외주면의 일부가 내부 반경방향으로 삽입되어 들어간 커플링용 홈이 형성된 관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쇠의 형상은 십자 형상, 엘보우 형상, 레듀샤 형상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KR2019930010803U 1993-06-18 1993-06-18 관이음쇠 KR950010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803U KR950010613Y1 (ko) 1993-06-18 1993-06-18 관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803U KR950010613Y1 (ko) 1993-06-18 1993-06-18 관이음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662U KR950001662U (ko) 1995-01-04
KR950010613Y1 true KR950010613Y1 (ko) 1995-12-22

Family

ID=1935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803U KR950010613Y1 (ko) 1993-06-18 1993-06-18 관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6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662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124B2 (en) Pipe junction with seal pressing device
JPS6124593B2 (ko)
US20130270821A1 (en) Coupling assembly that establishes a pipe connection through pressure clamping
US6581981B2 (en) Pipe-fitting with flexible sleeve and cinching nut
JP2005147243A (ja) バルブピット用フランジ接合体
US3874713A (en) Coupling apparatus for pipes
KR950010613Y1 (ko) 관이음쇠
JP4717409B2 (ja) 挿入体の設置工事における切断口防錆方法
JPH07310871A (ja) 流体用配管における管接続構造
EP0565372A2 (en) Pipe couplings
JP4169832B2 (ja) 管体補修方法およびその機構
JPH10227380A (ja) フランジ形管継手
CN218761867U (zh) 一种保护连接结构
JP4261842B2 (ja) 残管継手方法及び残管継手構造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242167Y1 (ko) 파이프 크램프
GB2129897A (en) Joining pipes
KR200216805Y1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EP0222719A1 (en) A connection device for sealingly connecting tubular elements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JPH11325352A (ja) 配管漏洩応急防止方法及びラップジョイント用割りフランジ
KR200247986Y1 (ko) 비용접식 강관체결구조
JP2002327881A (ja) 流体配管用継手
JPH08233171A (ja) 離脱防止管継手とそ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1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