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167Y1 - 파이프 크램프 - Google Patents

파이프 크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167Y1
KR200242167Y1 KR2020010013648U KR20010013648U KR200242167Y1 KR 200242167 Y1 KR200242167 Y1 KR 200242167Y1 KR 2020010013648 U KR2020010013648 U KR 2020010013648U KR 20010013648 U KR20010013648 U KR 20010013648U KR 200242167 Y1 KR200242167 Y1 KR 200242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iece
channel
rib
pip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회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3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167Y1/ko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의 이음새영역의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파이프 크램프는 상기 이음새영역의 외주면을 소정의 원주각만큼 둘러싸고 있으며, 양측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유볼트와, 상기 유볼트의 수나사와 너트로 상기 이송관이 조여지도록 결합하고, 상기 이송관의 접선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배치된 사각형상의 채널과, 상기 채널의 배면 일측에 하방을 향하여 이송관의 외경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리브와, 상기 채널의 배면과 상기 리브의 비노출면을 동시에 면접촉하기 위하여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동편과, 상기 채널의 바닦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편에 스크류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와, 상기 가동편을 이음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왕복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채널의 바닦면에 이음방향으로 소정길이 관통되어 있는 그루브와, 상기 가동편과 상기 이음새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이음새영역의 균열부위를 기밀시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팩킹과, 상기 리브의 노출면에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팩킹이 상기 균열부위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동편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볼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되어 그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크램프{pipe clamp}
본 고안은 파이프 크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이음새부분의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연결부위의 이음새부분은 비교적 확경된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의 내경면에 면접촉되도록 삽입된 삽입단부가 상호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이음새부분에는 결합된 상태가 거의 완벽하다하더라도,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확률이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노출되어 있는 이음새부분에는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과 견고하게 상호 일체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용접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파이프의 이음새부분이 거의 완벽하게 용접되어 있다하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하고, 수압이 변화함에 따라 용접부위 중 어느 일측에 균열이 생겨 누수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누수현상이 발생하면 균열부위를 수리하기 위하여 용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접이 가능하다하더라도 용접기를 가져와야 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속하게 균열부위를 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누수가 많이 생겨 수리에 더 많은 어려움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파이프의 이음새에서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누수현상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크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 간의 이음새영역에 누수를 차단하는 파이프크램프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영역의 외주면을 소정의 원주각만큼 둘러싸고 있으며, 양측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유볼트와,상기 유볼트의 수나사와 너트로 상기 이송관이 조여지도록 결합하고, 상기 이송관의 접선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배치된 사각형상의 채널과, 상기 채널의 배면 일측에 하방을 향하여 이송관의 외경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리브와, 상기 채널의 배면과 상기 리브의 비노출면을 동시에 면접촉하기 위하여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동편과, 상기 채널의 바닦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편에 스크류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와, 상기 가동편을 이음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왕복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채널의 바닦면에 이음방향으로 소정길이 관통되어 있는 그루브와, 상기 가동편과 상기 이음새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이음새영역의 균열부위를 기밀시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팩킹과, 상기 리브의 노출면에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팩킹이 상기 균열부위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동편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파이프크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크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크램프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크램프의 국부단면도이다.
-도면의 부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볼트 12 ; 채널
14 ; 리브 15 ; 기밀팩킹
16 ; 가동편 18 ; 보강리브
19 ; 지지판 20 ; 너트
21 ; 이송관 23 ; 그루브
24 ; 볼트홀 25 ; 고정볼트
27 ; 가압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크램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크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크램프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크램프의 국부단면도이다.
본 파이프 크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의 이음새영역을 아래에서 둘러싸면서 조임방향으로 지지하며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는 한 쌍의 유볼트(10)와, 상기 유볼트(10)의 상부에 상기 이송관의 접선방향으로 길게 위치한 직육면체 형상의 채널(12)과, 상기 채널(12)의 배면에 벽면을 따라 연장가능하게형성되어 있으며, 이송관과 인접하도록 원주형상을 추종하는 리브(14)와, 상기 리브(14)와 상기 채널(12)의 배면 사이에 면접촉되어 있으며 이음새영역의 균열부위에 기밀을 위한 기밀팩킹(15)을 가압방향으로 가동하기 위한 가동편(1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채널(12)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상기 유볼트(1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응력)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12)은 육면 중 상부를 향한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양단부에는 한 쌍의 지지판(19)이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19)의 상부에 상기 유볼트(10)를 수축방향으로 팽팽하게 조이기 위한 너트(20)가 스크루결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이송관(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볼트(10)가 반원의 원주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12)에 형성된 리브(14)가 원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12)의 바닦면에는 유볼트(10)의 간격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관통되어 있는 그루브(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편(16)의 상부에는 고정용 볼트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루브(23)의 방향으로 만 이동하도록 가동편(16)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5)가 상기 그루브(23)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홀(24)에 스크루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동편(16)의 절곡부위에는 기밀팩킹(15)이 이송관의 이음새영역과 동시에 접하도록 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기밀팩킹(15)은 상기 너트(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수축된다. 리브(14)에는 상기 가동편(16)을 이송관(21)의 진향방향으로 즉 상기 그루브(23)를따라 상기 가동편(16)이 이동되도록 한 가압볼트(27)가 스크루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파이프 크램프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압볼트(27)를 회전시켜 진행방향으로 전진시키면 가동편(16)이 그루브(23)에서 안내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게 되면, 가동편(16)의 절곡부위에 안착된 기밀팩킹이 이송관(21)의 이음새영역에 밀착하여 기밀하게된다. 만약 다른 이음새영역에 균열이 발생하면 너트(20)를 풀고 가압볼트(27)를 복원시켜 균열부위로 회전시켜 다시 너트(20)와 가압볼트(27)를 조여 기밀팩킹(15)을 가압한다.
본 고안은 파이프의 이음새에서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누수현상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되어 그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 간의 이음새영역에 누수를 차단하는 파이프크램프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영역의 외주면을 소정의 원주각만큼 둘러싸고 있으며, 양측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유볼트와;
    상기 유볼트의 수나사와 너트로 상기 이송관이 조여지도록 결합하고, 상기 이송관의 접선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배치된 사각형상의 채널과;
    상기 채널의 배면 일측에 하방을 향하여 이송관의 외경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리브와;
    상기 채널의 배면과 상기 리브의 비노출면을 동시에 면접촉하기 위하여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동편과;
    상기 채널의 바닦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편에 스크류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와;
    상기 가동편을 이음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왕복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채널의 바닦면에 이음방향으로 소정길이 관통되어 있는 그루브와;
    상기 가동편과 상기 이음새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이음새영역의 균열부위를 기밀시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팩킹과;
    상기 리브의 노출면에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팩킹이 상기 균열부위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동편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크램프.
KR2020010013648U 2001-05-10 2001-05-10 파이프 크램프 KR200242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48U KR200242167Y1 (ko) 2001-05-10 2001-05-10 파이프 크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48U KR200242167Y1 (ko) 2001-05-10 2001-05-10 파이프 크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167Y1 true KR200242167Y1 (ko) 2001-10-15

Family

ID=7308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648U KR200242167Y1 (ko) 2001-05-10 2001-05-10 파이프 크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1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12Y1 (ko) 2014-06-18 2014-10-13 최상환 유체 이송관의 파손에 따른 유체 유출 대응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12Y1 (ko) 2014-06-18 2014-10-13 최상환 유체 이송관의 파손에 따른 유체 유출 대응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1142A (en) Leak repair clamp
US7591489B2 (en) Detachable pipe joint
KR101085122B1 (ko) 플레어 가공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
US20230313919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KR20190000523U (ko) 배관보수용 클램프 챔버
US66852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aled mechanical connection
KR200242167Y1 (ko) 파이프 크램프
JP3433248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KR200379077Y1 (ko) 플랜지
CN210600609U (zh) 一种中低压管线带压堵漏装置
KR200274144Y1 (ko) 관 연결장치
JP2004144215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の水配管接続構造体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JP4149036B2 (ja) 管体フランジ部漏洩補修機構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331250Y1 (ko) 연결관의 플랜지구조
KR102256443B1 (ko)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
KR200211190Y1 (ko)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KR950010613Y1 (ko) 관이음쇠
KR200346950Y1 (ko) 파이프 연결구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20140126541A (ko) 유체 이송관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