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144Y1 - 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144Y1
KR200274144Y1 KR2019990000350U KR19990000350U KR200274144Y1 KR 200274144 Y1 KR200274144 Y1 KR 200274144Y1 KR 2019990000350 U KR2019990000350 U KR 2019990000350U KR 19990000350 U KR19990000350 U KR 19990000350U KR 200274144 Y1 KR200274144 Y1 KR 200274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pe
groove
gaske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727U (ko
Inventor
오양근
Original Assignee
오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양근 filed Critical 오양근
Priority to KR2019990000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14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14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이음 부위에서의 이탈 및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관의 나사산 가공, 홈가공 또는 용접 작업이 불필요하며, 작업성 및 시공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됨은 물론, 원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자체의 좌우측단에 확개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확개부와 관외측면 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형형상의 가스킷; 상기 본체의 좌우측단에 장착되어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가스킷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도록 상기 가스킷 좌우측면을 가압하며, 환형의 걸림턱과 플랜지사이의 홈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조인 트; 및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홈의 상하측에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는 압박부가 지그재그로서 형성되며,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조인트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더블조인트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관 연결장치 {Connecting device of pipe}
본 고안은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식성을 갖도록 코팅처리되는 강관(鋼管)을 이음 연결하는 경우, 체결단이 관외측면에 직접 접촉되어 압박하는 체결력을 증가시켜 이탈 및 누수방지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관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직경의 강관(P1,P2)을 이음 연결하는 관 연결장치는, 강관(P1,P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누수방지로 인해 기밀을 유지하는 소정형상의 가스킷(1)(gasket)과, 강관(P1,P2)의 이음부위에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스킷 (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를 체결함에 따라 가스킷(1)을 강관 (P1,P2)의 원주방향으로 압박하게 되는 본체(3,4)와, 가스킷(1)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체결부재(2) 체결시 강관(P1,P2)의 외측면을 강하게 압박하여 높은 압력 및 하중에서도 이탈 및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업링(5)(back up ring)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관 연결장치는, 원통형상을 갖는 본체(3,4)의 가압편(3a,4a)이 강관(P1,P2) 외측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킷 (1)이 강관(P1,P2)을 압박하도록 본체(3,4)를 체결부재(2)로서 체결함에 따라 강관 (P1,P2)을 간접적으로 체결하게 된다.이로 인해, 강관(P1,P2)의 체결력이 약하여 강관(P1,P2)의 이음연결부위에서 높은압력 및 하중으로 인해 누수 및 이탈로 인한 기밀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강관(P1,P2)의 이음 연결부위로부터 누수되는 경우 많은 양의 물이 유출(流出)되어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재시공 작업을 하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을 이음연결하는 경우 체결단이 관외측면에 직접 접촉되어 압박하는 체결력을 증가시켜 이음부위에서 높은 압력 및 하중으로 인한 이탈 및 누수방지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을 이음 연결시 관의 나사산 가공 또는 용접작업이 불필요하며, 특수구조에 따른 관의 사이즈 및 각도 결정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관을 이음 연결시 관의 확관 및 홈가공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시공성이 뛰어나며, 종래에 사용되는 관 연결장치에 간단한 구조변경으로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원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관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의 요부발췌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수평상태의 동일직경의 관을 연결하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45。엘보우 관을 연결하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T자형상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직경이 상이한 관을 연결하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수평상태의 동일직경의 관을 연결하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관 이음연결장치에 사용되는 더블조인트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90。엘보우 관을 연결하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의 변형예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11; 확개부 12; 몸체
13; 가스킷 14,24; 고정공
15; 플랜지 16; 걸림턱
17,21; 결함홈 18; 관통홈
19,36; 조인트20,38; 더블조인트
22,23; 압박부 30; 소켓
31,34; 고정공 33; 가스킷
32,35; 플랜지 B2,B3; 체결부재
P1,P2; 강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체의 좌우측단에 확개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기 확개부와 관외측면 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형상의 가스킷; 상기 몸체의 좌우측단에 장착되어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가스킷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도록 상기 가스킷 좌우측면을 가압하며, 환형의 걸림턱과 플랜지 사이의 홈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조인트; 및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홈의 상하측에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는 압박부가 지그재그로서 형성되며,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조인트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더블조인트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인트는 상기 몸체의 좌우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의 좌우양측에서 독립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이 소정의 관에 용접 고정되며 고정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타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소켓; 상기 관외측면과 소켓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형상의 가스킷; 상기소켓의 고정공과 대응되도록 고정공이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소켓의 플랜지를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가스킷을 상기관 외측면에 대해 압박하며, 환형의 걸림턱과 상기 플랜지 사이의 홈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조인트; 및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홈의 상하측에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는 압박부가 지그재그로서 형성되며,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조인트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더블조인트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켓은; 직경이 상이한 관, 엘보우 관 및 T자형상의 분기관을 이음연결시 이들 관중 어느 하나에 용접 고정되어 사용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좌우대칭으로 분할형성되며, 자체의 일측에 확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형성되어 관외측면에 밀착지지되는 연장편 외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걸림턱 사이의 홈에 관통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확개부와 관외측면 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 형상의 가스킷; 및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홈의 상하측에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는 압박부가 지그재그로서 형성되며,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연장편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더블조인트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를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는 본 고안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는, 자체의 좌우측단에 확개부(10,11)가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12), 관 (P1,P2)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형상의 가스킷(13)이 확개부(10,11)와 관(P1,P2) 외측면 사이에 밀착삽입되며, 고정공(14)이 형성된 자체의 플랜지(15)를 체결부재(B1)로서 체결시 가스킷(13)이 관(P1,P2)외측면을 압박하도록 가스킷(13)의 좌우측면을 가압하게 되며 플랜지(15)와 환형의 걸림턱(16)사이에 형성되는 홈(17)에 관통홈(18)이 다수개 형성되는 한쌍의 조인트(19)가 몸체(12)의 좌우측단에 장착된다.
이때, 전술한 조인트(19)는 몸체(12)의 좌우측단에 장착되어 좌우양측에서 독립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있다.
전술한 걸림턱(16)을 수용하여 조인트(19)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칭으로 분할형성되는 더블조인트(20) 내측면에 걸림턱(16)을 수용하는 홈(21)을 형성하되, 조인트(19)에 결합되어 고정공(24)이 형성된 고정편(25)을 체결부재(B2)로서 체결시 조인트(19) 내측면에 돌출되어 관(P1,P2) 외측면을 압박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압박부(22,23)가 홈(21)의 상하측에 지그재그로서 형성되며, 전술한 압박부 (22,23)의 단부는 관(P1,P2)에 대한 압박력을 증가시켜 높은 하중 및 압력조건에서 관(P1,P2)의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술한 더블조인트(20)의 압박부(22,23)중, 하측의 압박부(23)는 전술한 조인트(19)의 걸림턱(16)과 플랜지(15)사이에 형성된 홈(17)에 형성된 관통홈(18)에 삽입되어 조인트(19)의 내측면에 돌출되며, 상측의 압박부(22)는 전술한 조인트 (19)의 걸림턱(16)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인트(19)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26은 전술한 더블조인트(20)를 접힘 가능하게 힌지 고정시키는 고정핀, 27은 가스킷(13)이 안착되는 안착홈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는, 일측이 소정의 관에 용접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소켓(30)의 타측에 고정공 (31)이 형성된 플랜지(32)가 형성되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형상의 가스킷(33)이 소정의 관외측면과 소켓(30) 사이에 밀착 삽입되며, 소켓(30)의 고정공(31)과 대응되도록 조인트(36)의 플랜지(35)에 형성된 고정공 (34)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3)로서 소켓(30)의 플랜지(32)와 조인트(36)의 플랜지 (35)를 체결시 가스킷(33)을 관외측면에 대해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조인트(36)의 걸림턱(37)과 플랜지(35)사이의 홈(39)에 형성되는 관통홈(미도시됨)과, 전술한 조인트(36)에 체결부재(B3)로서 고정되는 더블조인트(38)에 대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에 대한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때, 전술한 소켓(30)의 일단부가 용접고정되는 소정의 관은, 직경이 상이한 관(P3,P4)을 이음연결시 사용(도 6에 도시됨), 45。엘보우 관(P5)을 이음연결시 사용(도 4에 도시됨), 90。엘보우 관(P6)을 이음연결시 사용(도 9에 도시됨), T자형상의 분기관(P7)을 이음연결시 사용(도 5에 도시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는, 좌우대칭으로 분할형성되며, 자체의 일측에 확개부(40,41)가 형성되며 타측에 형성되어 관(P1,P2)외측면에 밀착지지되는 연장편 외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걸림턱 (42,43)사이의 홈(44)에 관통홈(미도시됨)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45,46)와, 확개부(40,41)와 관(P1,P2) 외측면 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몸체(45,46)를 체결부재(B5)로서 체결시 관(P1,P2) 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형상의 가스킷(47)과, 걸림턱(42)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고, 걸림턱(42)을 수용하는 홈(미도시됨)의 상하측에 관(P1,P2) 외측면을 압박하는 압박부(48,49)가 지그재그로서 형성되며, 체결부재(미도시됨)로서 체결시 압박부 (47,48)가 연장편 내측면에 돌출되어 관(P1,P2) 외측면을 압박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더블조인트(50,5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관통홈, 홈 및 더블조인트(50,51)에 대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에 대한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 연결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 놓이는 직경이 동일한 관(P1,P2)을 이음 연결하는 경우, 양단부에 확개부(10,11)가 형성된 몸체(12)내측으로 관(P1,P2)의 양단부가 삽입되며, 확개부(10,11)와 관(P1,P2) 외측면 사이에 소정형상의 가스킷(13)을 삽입시킨후 전술한 몸체(12) 양단부에 장착되는 한쌍의 조인트(19)를 체결부재(B1)로서 체결함에 따라, 조인트(19)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착홈(27)에 안착되는 가스킷(13)을 관(P1,P2)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시키게 된다.이와 동시에 가스킷(13)은 확개부(10,11)에 의해 관(P1,P2)외측면에서 이의 원주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가스킷(13)이 확개부(10,11)와 관(P1,P2) 외측면 사이에 밀착되므로 관(P1,P2)의 이음 연결부위를 통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조인트(19)에 대해 전술한 더블조인트(20)를 결합시킨 후 고정공(24)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2)로서 더블조인트(20)를 체결함에 따라 관(P1,P2)외측면을 더블조인트(20)의 압박부(22,23)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박하게 된다.이로 인해, 높은 하중 및 압력 조건에서도 관(P1,P2)의 밀림으로 인한 이탈으로 발생되는 누수(漏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더블조인트(20)를 접힘 가능하게 힌지 고정시킨 고정핀(26)을 중심축으로 하여 더블조인트(20)를 벌린 후, 전술한 조인트(19) 상측에 형성된 환형의 걸림턱(16)이 이와 대응되게 더블조인트(20)에 형성된 홈(21)에 함몰되도록 결합시킴에 따라, 더블조인트(20)의 홈(21)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지그재그로서 형성된 상,하측의 압박부(22,23)중, 하측의 압박부(23)는 전술한 조인트(19)의 걸림턱 (16)과 플랜지(15) 사이에 형성된 홈(17)에 형성된 관통홈(18)에 삽입되어 조인트 (19)의 내측면에 돌출되며, 상측의 압박부(22)는 전술한 조인트(19)의 걸림턱(16)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인트(19)의 내측면에 돌출된다.
따라서, 전술한 더블조인트(20)의 압박부(22,23)가 조인트(19) 내측면에 삽입되는 관(P1,P2) 외측면을 이의 원주방향으로 압박하게 된다.이때, 압박부(22,23)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 형상에 의해 관(P1,P2) 외측면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관을 이음 연결하는 경우, 체결단이 관외측면에 직접 접촉되어 압박하는 체결력을 증가시켜 이음 부위에서 높은 압력 및 하중으로 인한 이탈 및 누수방지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을 이음 연결시 관의 나사산 가공, 홈가공 또는 용접 작업이 불필요하며, 특수구조에 따른 관의 사이즈 및 각도 결정이 용이하여 작업성 및 시공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며, 종래에 사용되는 관 연결장치에 간단한 구조변경으로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원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4)

  1. 자체의 좌우측단에 확개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확개부와 관외측면 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형상의 가스킷;
    상기 본체의 좌우측단에 장착되어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가스킷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도록 상기 가스킷 좌우측면을 가압하며, 환형의 걸림턱과 플랜지사이의 홈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조인트; 및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홈의 상하측에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는 압박부가 지그재그로서 형성되며, 체결부재로서 체결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조인트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관외측면을 압박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더블조인트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몸체의 좌우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의 좌우양측에서 독립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가,
    직경이 상이한 관, 엘보우 및 'T'자형의 분기관을 이음 연결시 이들중 어느 하나에 그 일측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고정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그 타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소켓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4. 삭제
KR2019990000350U 1999-01-15 1999-01-15 관 연결장치 KR200274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50U KR200274144Y1 (ko) 1999-01-15 1999-01-15 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50U KR200274144Y1 (ko) 1999-01-15 1999-01-15 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27U KR20000015727U (ko) 2000-08-05
KR200274144Y1 true KR200274144Y1 (ko) 2002-05-08

Family

ID=5475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350U KR200274144Y1 (ko) 1999-01-15 1999-01-15 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1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553B1 (ko) 2008-11-27 2011-05-23 김정숙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85B1 (ko) * 2011-11-08 2018-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오픈 드레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553B1 (ko) 2008-11-27 2011-05-23 김정숙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27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9785A (en) Mechanical pipe outlet
KR101828783B1 (ko)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CN112752919B (zh) 管道连接用装配装置
KR101134992B1 (ko) 플레어 가공을 이용한 클램프 타입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
KR200398123Y1 (ko)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이음연결용 체결장치
KR20110116248A (ko) 튜브 커넥터
KR101211494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US2778662A (en) Axially and radially sealed divided sleeve type pipe clamp
KR200274144Y1 (ko) 관 연결장치
KR200220136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452357B1 (ko) 관이음 장치
US5299842A (en) Fluid line clamp
KR200379077Y1 (ko) 플랜지
KR101960492B1 (ko) 무용접 파이프 이음구
KR102392302B1 (ko) 관 이음 장치
KR10025802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50046508A (ko) 관 접속구조
KR200242167Y1 (ko) 파이프 크램프
CN220706671U (zh) 一种无缝环形钛管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2005353A (ja) 導管接続装置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KR102060562B1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폐수 처리용 플라스틱관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