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90Y1 -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90Y1
KR200211190Y1 KR2020000024140U KR20000024140U KR200211190Y1 KR 200211190 Y1 KR200211190 Y1 KR 200211190Y1 KR 2020000024140 U KR2020000024140 U KR 2020000024140U KR 20000024140 U KR20000024140 U KR 20000024140U KR 200211190 Y1 KR200211190 Y1 KR 200211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ransfer pipe
pressing
sealing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4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90Y1/ko

Links

Landscapes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액체 및 기체)를 이송·공급하기 위해 밸브와 이송관(管, pipe)을 결합함에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용이함은 물론, 견고한 결합과 완벽하게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하우징의 결합공 내면 외측단에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면과, 외주면이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는 밀폐부재와,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한 압착·결합시 전방으로 돌출된 압착편이 상기 밀폐부재를 압착시키는 압착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밸브하우징과 이송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용접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작 및 설치작업이 간편·용이하게 이송관을 결합할 수 있고 압착부재에 의해 압착·변형되는 밀폐부재에 의해 이송관을 견고하게 압착·고정시킴과 동시에 완벽한 수밀유지를 이룰 수 있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밸브, 밀폐부재, 압착부재 및 이송관의 노화 및 충격에 의한 훼손(파손)시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훼손된 부위를 교체(보수)할 수 있으며 훼손으로 인해 버려지는 자재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PIPE CONNECTOR FOR VALVE}
본 고안은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액체 및 기체)를 이송·공급하기 위해 밸브와 이송관(管, pipe)을 결합함에 있어 구 조가 간단하여 제작·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용이함은 물론, 견고한 결합과 완벽하게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지정된 장소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송·공급하기 위해서는 동력수단인 모우터 펌프, 이송관, 밸브(valve) 등과 같은 각종 이송수단이 요구되는 바, 특히 밸브는 유체를 이송·공급함에 있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이송·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밸브는 유체의 이송로인 이송관과 연통되도록 결합는 것으로서, 종래의 밸브와 이송관의 결합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의 밸브하우징(2) 양단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공(3)이 관통된 플랜지부(4)가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와 내·외경을 갖는 이송관(5)의 일측단에는 상기 밸브하우징(2)에 형성된 플랜지부(4)와 대응되는 플랜지부(4a)가 형성되며 밸브하우징(2)에 형성된 결합공(6)과 이송관(5)의 중심이 일치되는 상태로 각각의 플랜지부(4, 4a)를 맞데어지도록 한 후, 체결수단인 보울트(7)와 너트(8)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밸브(1)와 이송관(5)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밸브하우징(2)의 플랜지부(4)와 이송관(5)의 플랜지부(4a) 사이에는 유체의 이송·공급시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재질의 패킹(9)이 끼워져 체결시 압착되고 이송관(5)에 형성된 플랜지부(4a)는 별도로 가공된 후, 용접에 의해 이송관(5)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밸브와 이송관의 연결에서 밸브 하우징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맞데어 지는 이송관에 형성된 플랜지부는 별도로 가공된 후, 용접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서, 용접작업에 따른 번거로움과 용접불량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누수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직경이 큰 대형관을 연결할 경우에는 밸브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관에 결합된 플랜지부의 정확한 위치(체결수단인 보울트 및 너트의 체결을 위해 관통된 체결공) 설정이 어렵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체를 이송관을 이용하여 이송·공급함에 있어, 유체를 차단하거나 이송·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맞데어져 결합되는 플랜지부를 이송관에 용접하지 않고도 간편·용이하게 이송관을 결합할 수 있고 수밀유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이송관이 삽입되어지는 밸브의 결합공 내에 압착·내설되도록 함에 따라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와 땅속으로 매립되어지는 이송관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공급함에 있어, 밸브하우징의 결합공 내면 외측단에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면과, 외주면이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는 밀폐부재와, 상기 이송관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전방으로 압착편이 돌출된 압착부재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압착부재에는 밸브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되 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플랜지부와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한 압착·결합시 전방으로 돌출된 압착편이 밀폐부재를 압착시켜 경사면과 이송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이송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관 연결구의 요부를 발췌해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 12 : 밸브하우징
14, 34 : 플랜지부 16 : 결합공
17 : 보울트 18 : 너트
22 : 경사면 30 : 밀폐부재
30a, 40a : 통공 32 : 압착편
35 : 이송관 40 : 압착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밸브(10)의 결합공(16) 내면 외측단에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면(2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2)의 기울기와 대응되는 외주면을 갖는 밀폐부재(30)가 삽입되며, 소정 곡률반경의 내경을 가지며 전방으로 압착편(32)이 돌출된 압착부재(40)에 의해 이송관(35)이 끼워진 후, 밸브하우징(12)에 형성된 결합공(16)에 이송관(35)이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이송관(35)의 외경과 압착부재(40)의 내경은 정밀가공시 사용되는 오차 허용범위(약 ±0.01㎜)내외로 정밀가공이 요구되고 밀폐부재(30)의 내경은 이송관(35)의 외경보다 신축허용범위내로 작으므로 밸브(10)의 결합공(16)에 삽입된 이송관(35)이 밀폐부재(30)에 의해 압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를 분해하여 보인 종단면도로서, 양쪽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16)에 이송관(35)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밸브하우징(12)과 이송관(35)이 연결되되, 상기 밸브하우징(12)의 경사면(22)에는 밀폐부재(30)가 밀착되고 플랜지부(14)에는 압착부재(40)가 밀착되어 보울트(17) 및 너트(18)에 의해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밸브하우징(12)의 결합공(16)으로 삽입된 이송관(35)은 밀폐부재(30)와 압착부재(40)의 통공(30a, 40a)으로 관통됨에 따라, 밀폐부재(30)와 압착부재(4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의 요부를 발췌해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 3에서와 같이 밸브하우징(12)의 결합공(16)에 이송관(35)이 삽입·결합된 후, 이송관(35)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너트(18)를 조임게 됨에 따라, 압착부재(40)가 플랜지부(14)쪽으로 전진되면서 압착편(32)이 밀폐부재(30)를 눌러 압착시키게 되고 압착편(32)에 의해 눌려 압착된 밀폐부재(30)는 결합공(16)에 형성된 경사면(22)에 의해 전면 하방으로 밀착되어 통공(30a, 40a)으로 관통된 이송관(35)의 외주면에 압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너트(18)를 조임허용 범위내에서 최대한 조이게 되면, 압착편(32)에 의해 밀폐부재(30)가 압착·변형을 일으키며 결합공(16)과 이송관(35) 외주면 사이에 완전 밀착되므로 밸브하우징(12)의 결합공(16)과 이송관(35)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틈이 밀폐되어 수밀이 유지되며, 또한, 밀폐부재(30)와 압착부재(40)에 의해 이송관(35)이 압착되면서 결합공(16)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단부에 플랜지부(14)가 형성된 밸브하우징(12)의 결합공(16)의 내면 외측단에 경사면(22)을 형성하고 외주면이 상기 경사면(22)과 대응되는 밀폐부재(30)와 전면으로 압착편(32)이 돌출된 압착부재(40)와 이송관(35)을 이용하여 일정한 사용압력을 갖는 유체를 이송·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밸브하우징(12)에 형성된 경사면(22)에 밀폐부재(30)를 끼워 넣어 외주면이 경사면(22)에 당접된 상태를 취하도록 한다.
이상태에서, 이송관(35)의 일측 단부를 압착부재(40)에 형성된 통공(40a)을 관통시켜 그 단부 일부위가 드러나지도록 끼운 후, 이송관(35)을 결합공(16)에 삽입하게 되면, 통공(40a)을 관통하여 드러나진 이송관(35)의 단부가 경사면(22)과 당접된 밀폐부재(30)의 통공(30a)을 관통하여 결합공(16)내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이때, 압착부재(40)가 밸브하우징(12)에 형성된 플랜지부(14)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근접되되, 플랜지부(14)에 형성된 체결공(13)과 압착부재(40)에 형성된 체결공(34)은 상호간에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하여, 결합공(16)에 이송관(35)이 삽입 되면, 밸브하우징(12)의 플랜지부(14)에 형성된 체결공(13)과 압착부재(40)에 형성된 체결공(34)에 보울트(17)를 끼우고 너트(18)를 체결하게 되면 이송관(35)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압착부재(40)는 이송관(35)에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공차 허용범위내로 정밀가공된 후, 빡빡하게 끼워진 상태이므로 통공(40a)으로 끼워진 이송관(35)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플랜지부(14)에 형성된 체결공(13)의 중심과 어긋나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압착부재(40)를 일측방으로 회동·조절하게 되면 보울트(17)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3, 34) 상호간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밸브하우징(12)의 결합공(16)내로 이송관(35)이 끼워진 상태에서, 플랜지(14)와 압착부재(40)의 체결공(13, 34)으로 끼워진 보울트(17)에 너트(18)를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너트(18)의 조임에 의해 압착부재(40)가 플랜지부(14)쪽으로 밀려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부재(40) 전면에 돌출된 압착편(32)이 밀폐부재(30)를 눌러 압착시키게 되고 압착편(32)에 의해 눌려져 압착된 밀폐부재(30)는 이송관(35)을 압착하면서 밸브하우징(12)의 결합공(16) 내면과 이에 끼워진 이송관(35)의 외주면 사이에서 압착·변형되어 이들 사이에 발생되는 미세한 틈을 밀폐하여 수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압착편(32)에 의해 가해지는 압착력에 의해 이송관(35)을 압착·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체를 이송·공급함에 있어, 밸브(10)와 관(35)의 결합을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간편하게 수행 할 수 있고, 또한, 밀폐부재(30) 및 압착부재(40) 또는 이송관(35)의 노화로 인해 교체가 요구될 경우에는 밸브(10)를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 한 후, 너트(18)를 풀어 압착부재(40)에 의한 밀폐부재패(30)의 압착력을 제거하게 되면, 밸브하우징(12)으로부터 이송관(35)을 쉽게 분해할 수 있으므로 교체작업을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는 지상으로 유체 이송·공급시 이용하기 보다는 이송관이 땅속에 매립된 상태로 유체의 이송·공급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체를 이송·공급함에 있어,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를 이용함에 따라, 밸브하우징과 이송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용접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작 및 설치작업이 간편·용이하고 압착부재에 의해 압착·변형 되는 밀폐부재에 의해 이송관을 견고하게 압착·고정시킴과 동시에 완벽한 수밀유지를 이룰 수 있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밸브, 밀폐부재, 압착부재 및 이송관의 노화 및 충격에 의한 훼손(파손)시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훼손된 부위를 교체(보수)할 수 있으며 훼손으로 인해 버려지는 자재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와 땅속으로 매립되어지는 이송관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공급함에 있어,
    밸브하우징(12)의 결합공(16) 내면 외측단에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면(22)과;
    외주면이 상기 경사면(22)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는 밀폐부재(30)와;
    다수의 체결공(34)이 형성되고 보울트(17) 및 너트(18)에 의한 압착·결합시 전방으로 돌출된 압착편(32)이 상기 밀폐부재(30)를 압착시키는 압착부재(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KR2020000024140U 2000-08-25 2000-08-25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KR200211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140U KR200211190Y1 (ko) 2000-08-25 2000-08-25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140U KR200211190Y1 (ko) 2000-08-25 2000-08-25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90Y1 true KR200211190Y1 (ko) 2001-01-15

Family

ID=7308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140U KR200211190Y1 (ko) 2000-08-25 2000-08-25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19A (ko) * 2001-12-03 2003-06-12 박선심 염사(染絲)장치의 파이프 이음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19A (ko) * 2001-12-03 2003-06-12 박선심 염사(染絲)장치의 파이프 이음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080A (en) Repairable composite seal ring
EP0177116A1 (en) Adapter seal
US20120279601A1 (en) Pipe Repair Device
JP2001248734A (ja) 弁軸等の軸のシール装置
JP3246746B2 (ja) パイプ・コネクタ
US5863078A (en) Pipe coupling
KR200211190Y1 (ko) 밸브의 이송관 연결구
KR20040059793A (ko) 호스 어셈블리용 피팅부 체결구조
KR100777788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US7549678B2 (en) Systems for actuating a pipe connection
US20060131883A1 (en) Externally pressurized connection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CN216520074U (zh) 无死角连接外螺纹接头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242167Y1 (ko) 파이프 크램프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JP4545861B2 (ja) 管継手
JP2017110491A (ja) 圧送管の連結構造
KR200196300Y1 (ko) 음료냉각기의 콕크연결부
KR19990015708A (ko) 관 이음 구조.
JP7486789B2 (ja) 圧接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給水装置
US11994247B2 (en) Quick connector for end-to-end coupling of industrial conduit sections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US20230151914A1 (en) Tension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7242046B2 (ja) 流体管の流体機器接続構造とそれに用いられる継ぎ輪及び流体圧試験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