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502A -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502A
KR950010502A KR1019930019676A KR930019676A KR950010502A KR 950010502 A KR950010502 A KR 950010502A KR 1019930019676 A KR1019930019676 A KR 1019930019676A KR 930019676 A KR930019676 A KR 930019676A KR 950010502 A KR950010502 A KR 95001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output terminal
output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158B1 (ko
Inventor
정재천
노인열
이태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158B1/ko
Publication of KR95001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트라스트 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전압과 기준입력전압의 차를 증폭하고 제1및 제2출력 단자를 가지며 한쌍의 에미터 결합 제1 및 제2트램지스터로 구성한 증폭회로; 상기 증폭회로의 제1출력단자에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결합되어 제1기준전압에 따라 제I정전류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공급하는 정전류수단;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접지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에 따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기준입력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입력회로; 상기 증폭회로의 제2출력단자에 결합된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외부 콘트라스트 조정전압을 결합하기 위한 저항수단; 및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접지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을 발생하며 발생된 출력전압을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피드백 결합시키고 출력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트라스트 선형조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트라스트 조절회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

Claims (6)

  1. 출력전압과 기준입력전압의 차를 증폭하고 제1 및 제2출력단자를 가지며 한쌍의 에미터 결합 제1 및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한 증폭회로; 사이 증폭회로의 제1출력단자에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결합되어 제1기준전압에 따라 제1정전류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공급하는 정전류수단;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접지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에 따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기준입력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입력회로; 상기 증폭회로의 제2출력단자에 결합된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외부콘트라스트 조정전압을 결합하기 위한 저항수단; 및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을 발생하며 발생된 출력전압을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피드백 결합시키고 출력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스트 조절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의 공통 에미터전류를 제2기준전압에 의해 접지로 싱크하는 정전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된 기준전압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기준입력전압이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정전류수단을 통해서 상기 제1출력단자에 콜렉터가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저항과, 상기 출력전압이 베이스에 결합되고 콜렉터와 상기 제2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출력단자와 전원전압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입력회로는 상기 제1출력단자에 콜렉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에미터가 연결된 출력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출력단자에 콜렉터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에미터가 연결되고 베이스에 상기 제1기준전압이 결합된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트랜지스어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제1에미터저항과, 상기 출력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2에미터저항 및 커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제1출력단자에 콜렉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단자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에미터가 연결된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회로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19676A 1993-09-24 1993-09-24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KR10027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676A KR100272158B1 (ko) 1993-09-24 1993-09-24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676A KR100272158B1 (ko) 1993-09-24 1993-09-24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502A true KR950010502A (ko) 1995-04-28
KR100272158B1 KR100272158B1 (ko) 2000-11-15

Family

ID=1936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676A KR100272158B1 (ko) 1993-09-24 1993-09-24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436A (ko) * 1997-12-30 1999-07-15 김영환 대형 모니터에서의 콘트라스트 이득 보상장치
KR20200109183A (ko) 2019-03-12 2020-09-22 박수연 결합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436A (ko) * 1997-12-30 1999-07-15 김영환 대형 모니터에서의 콘트라스트 이득 보상장치
KR20200109183A (ko) 2019-03-12 2020-09-22 박수연 결합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2158B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4684B1 (en) Amplifier
US5475343A (en) Class AB complementary output stage
KR940020668A (ko) 조절된 캐스코드 이득 증대를 위한 궤환 증폭기(Feedback Amplifier for Regulated Cascode Gain Enhancement)
KR890005979A (ko) 증폭장치
KR960039566A (ko) 차동증폭 및 출력오프셋회로와 이를 구비한 반도체집적회로 및 노이즈 제거방법
KR970068137A (ko) 증폭회로
KR920003670A (ko) D/a 변환기
US5710522A (en) Amplifier having an active current source
KR970705229A (ko) IF 증폭기/제한기(IF Amplifiers/Limiters)
KR960027254A (ko) 선형성이 양호한 오퍼레이션널 트랜스콘덕턴스 증폭기
KR970012601A (ko) 오디오/비디오 상호접속용 비디오 차동 버스 수신기
KR940017113A (ko) 차동증폭회로
KR920020831A (ko) 차동 증폭기
KR950005170B1 (ko) 증폭기
KR950010502A (ko)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KR920013891A (ko) 모노리틱 집적 파워 증폭기의 단일 이득 최종 스테이지
US5677647A (en) High power pulse waveform generator
KR0141591B1 (ko) 증폭장치
KR900004098A (ko) 이득 제어 증폭회로
KR980006805A (ko) 증폭회로
JPH0618300B2 (ja) ダ−リントントランジスタ装置
KR900011132A (ko) 전류미러(current mirror)
KR920005459A (ko) 증폭 회로
KR970077970A (ko) 차동 증폭기
JPH0612856B2 (ja) 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