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253Y1 -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253Y1
KR950010253Y1 KR2019930004267U KR930004267U KR950010253Y1 KR 950010253 Y1 KR950010253 Y1 KR 950010253Y1 KR 2019930004267 U KR2019930004267 U KR 2019930004267U KR 930004267 U KR930004267 U KR 930004267U KR 950010253 Y1 KR950010253 Y1 KR 950010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battery
light
att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박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00022230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11422A/ko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박재근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30004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전지 2 : 셀로판
2' : 사각공 3 : 스위치판
3' : 저지돌기 3" : 홈
3'" : 돌기 3"" : 하부 중심돌기
4 : 절연판 4' : 중앙공
4" : 저지돌기의 홈 5 : 외부 갑체
5' : 구멍 6 : 금속링
6' : 반구형 홈 7 : 금구
8 : 절연층 9 : 반사경
10 : 절연링 11 : 환판
12 : 반구형 홈 13 : IC
14 : 금속증착회로층 15 : 접속탄편
16 : LED 17 : 투명글라스의 밑받침
본 고안은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명글라스에 술이나 음료수를 담아서 글라스를 기울여 마실때에만 글라스에서 발광되게 하고 기울이는 방향마다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이 발광케 하여 축전지의 전원절약과 빛 색상의 변화를 주어서 파티등의 분위기를 한층 흥겹게 돋구어 줄 수 있게 하고 또 기존 투명글라스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 저면에 접착 사용할 수 있도록 납작한 환판체의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종래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52-129679호 및 소62-129969호에 기재된 발광장치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0-14183호에 기재된 발광장치는 글라스에서 발광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일 뿐, 글라스를 기울일때에만 발광되게 구성된 것이 아니어서 사용중에 조기 전원소모로 인하여 작용이 중지되는 결점이 있었고, 발광되는 색상이 단색상이어서 색상의 변화로 인한 흥미로운 감을 돋굴 수 없었으며 발광장치가 글라스의 저면내측에 형성된 요부(凹部)에 고정식으로 설치된 것이므로 사용후 글라스를 세척할때 주의를 요하고 또 글라스의 형태를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도 있었다.
한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5076호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면 대형컵 저면부에 광소자와 소구(小球)이동여하에 따라 전자음발생수단을 장비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전자음발생에 국한된 장치일뿐 발광장치는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단순한 발광장치와는 달리 다색상의 발광을 할 수 있게 하고 또 컵을 기울일때에만 발광토록 구성하므로서 전원을 절약하고 사용상 보다 이채로운 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의 컵에 붙여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에 음극(-)과 양극(+)으로 나뉜 축전지(1)의 하측에는 일측 사각공(2')이 뚫린 절연용 셀로판(2)을 붙이고 일측에 저지돌기(3')가 돌설되고 중심에 스크류 드라이버를 끼울 수 있는 홈(3")을 가진 소형 스위치판(3)상에는 앞에서 설명한 사각공(2')과 맞눈 돌기(3'")를 돌출시켜서 돌기(3'")가 셀로판(2)에 접촉되어 있다가 스위치판(3)을 회전시키면 사각공(2')을 통하여 양극(+)과 접속되어 전원의 스위치 작용을 한다.
이 스위치판(3)의 회전동작을 돕고 또 한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되게 하기 위하여 절연판(4)의 중앙에 스위치판(3)이 유동할 수 있는 중앙공(4')을 천공하되 스위치판(3)의 저지돌기(3')의 홈(4")을 약 15"-20" 범위내에서만 회전동작을 할 수 있고 스위치판(3)의 하부 중심돌기(3"")에 꼽힐 수 있는 구멍(5')을 가진 외부 갑체(5)를 가지고 축전지(1)의 상위까지 씌워서 축전지의 하부 구성을 마친다.
축전지(1)의 상측에는 갑체(5)의 내주벽에 밀접하게 끼워지는 금속링(6)은 스위치판(3)과 갑체(5)를 통하여 양극(+)이 통하는 것이고 이의 사방에 4개의 반구형 홈(6')을 형성하여 각각 4개의 금구(7)를 넣을 수 있게 하고 축전지(1)의 중심부에 절연층(8)을 가진 반사경(9)을 붙이고 반사경(9)의 환형턱에도 절연링(10)을 대고 절연재의 환판(11)을 얹어서 갑체(5)의 상판을 내측으로 오므려서 환판(11)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였다.
위의 환판(11) 저면에는 상기 반구형 홈(6')과 일치하는 장소에 4개의 반구형홈(12)을 형성함과 동시에 금구(7)가 반구형 홈(6')(12)에 접촉되었을 때에 양극(+)의 전원을 IC(13)에 공급할 수 있도록 금속증착회로층(14)이 반구형 홈(12)의 내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었으며, 4개의 LED 구동용 IC(13)와 음극(-)과 접속되는 접속탄편(15)을 고정하였다. 반사경(9)내에는 각기 색상일 다른 LED(16)를 4개 설치하여 각각의 해당 IC(13)와 연결된 금구(7)의 스위치 동작으로 발광되게 하였다. 환판(11)의 상면에는 박리지를 가진 양면 점착테이프등을 접착하여 투명글라스의 밑받침(17)에 붙일 수 있게 하거나 접착제로 붙일 수 있는 것이다.
미 설명부호 18은 투명판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투명글라스의 밑받침(17)에 환판(11)의 상면을 양면접착테이프나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임의 선택된 글라스에 붙여서 사용하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붙인 다음 스크류드라이버를 홈(3")에 끼워서 돌기(3'")가 사각공(2')을 통하여 양극(+)과 접속시키면 이때부터 글라스의 기울림에 의하여 발광작용을 하게된 것이므로 축전지의 수명을 장구케 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글라스의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발광되는 색상이 변하여서 분위기를 한층 흥겹게 돋구어 줄 수 있게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시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글라스를 기울일 때 금구(7)가 중력에 의하여 반구형 홈(6')과 증착회로층(14)이 접속됨에 따라 이와 연결되어 있는 IC(13)에 의하여 LED(16)가 발광하게 된다.
이는 색상이 각각 다른 4개의 LED가 장치되어 있어서 글라스가 기울어지는 방향 마다 각각 다른 색상의 불빛이 글라스 전체로 퍼지면서 발광하게 되고 글라스를 바로 세우면 금구(7)가 홈(6')내로 내려오면서 전원은 OFF시켜 LED(16)는 소동되는 작용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글라스에 붙여 사용할 수 있고 글라스의 기우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불빛이 발광되고 기울릴 때에만 전원이 소모되어 충전된 전원을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축전지(1)의 하측에 사각공(2')이 뚫린 절연용 셀로판(2)을 붙이고 돌기(3'")가 돌출된 스위치판(3)과 절연판(4) 및 외부 갑체(5)를 결합하고 축전지 상부에 4개의 반구형 홈(6')이 형성된 금속링(6)과 반사경(9)을 각각 붙이고 절연재의 환판(11)을 얹고 갑체의 상단으로 고정하되, 이 환판(11)의 저면에 반구형 홈(12)과 증착회로층(14)을 형성하여 금구(7)를 내장하고 그 내측으로 4개의 LED 구동용 IC(13)와 접속탄편(15)을 고정하며 반사경(9)내에 발광색상이 다른 4개의 LED(16)를 설치하여서된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KR2019930004267U 1990-12-28 1993-03-22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KR950010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267U KR950010253Y1 (ko) 1990-12-28 1993-03-22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230A KR920011422A (ko) 1990-12-28 1990-12-28 투명 글라스의 발광장치
KR2019930004267U KR950010253Y1 (ko) 1990-12-28 1993-03-22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230A Division KR920011422A (ko) 1990-12-28 1990-12-28 투명 글라스의 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253Y1 true KR950010253Y1 (ko) 1995-12-08

Family

ID=2662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267U KR950010253Y1 (ko) 1990-12-28 1993-03-22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2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806B1 (ko) * 2000-12-28 2003-07-02 주식회사 진광컨설턴트 건축사사무소 콘센트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806B1 (ko) * 2000-12-28 2003-07-02 주식회사 진광컨설턴트 건축사사무소 콘센트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9279A (en) Lighted drinking vessel
EP0755204B1 (en) Shoe with an electroluminescent light strip
US11692695B2 (en) Rotating light
US20230341118A1 (en) Rotating Light
TWM340301U (en) Lighting triangular cone
KR950010253Y1 (ko)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JP2014110208A (ja) 装飾用の発光装置
US20040141311A1 (en) Electroluminescent Frisbee
CN201606787U (zh) 一种led室内装饰灯
JP2013004509A (ja) Led灯具
JP2001275818A (ja) 容器収容保持具
US8672527B2 (en) Luminous light apparatus
CN217426362U (zh) 发光口哨及发光球
CN212746240U (zh) 装饰鞋用鞋带闪灯
CN211649881U (zh) 应急灯
CN216556587U (zh) 多功能手电灯
CN211961668U (zh) 一种加热杯垫
CA2642026A1 (en) Self levelling illumination device
GB2558225A (en) A cycle safety bottle device
JP2003219948A (ja) コースター
KR200352420Y1 (ko) 발광액체용기
KR200288408Y1 (ko) 발광음료용기
JP4675592B2 (ja) 敷き板
JPH11162209A (ja) ランプ及び自動車用照明装置並びに前記ランプや自動車用照明装置に使用される光散乱部材
JPH0636712Y2 (ja) 光源付きの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