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215Y1 - 휴대용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215Y1
KR950010215Y1 KR2019930024419U KR930024419U KR950010215Y1 KR 950010215 Y1 KR950010215 Y1 KR 950010215Y1 KR 2019930024419 U KR2019930024419 U KR 2019930024419U KR 930024419 U KR930024419 U KR 930024419U KR 950010215 Y1 KR950010215 Y1 KR 950010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main body
portable power
power too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549U (ko
Inventor
김승호
오치동
Original Assignee
광주전자 주식회사
이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전자 주식회사, 이준식 filed Critical 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4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215Y1/ko
Publication of KR950013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15Y1/ko

Links

Landscapes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전동공구
제1도는 종래의 휴대용 전동공구를 나타내는 일부절개상태의 일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3도는 일부절개상태의 일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요부사시도.
제6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b : 개구부
5 : 스핀들 7 : 강구
22 : 절환부재 22b : 안착구멍
26 : 슬라이드판 26b : 탄성돌기
28a : 제1안내부 28b : 제2안내부
본 고안은 드릴링, 탭핑(Tapping) 또는 나사못등을 체결하기 위한 휴대용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등의 공구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전동공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에는 스위치 버튼(1a)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작동되는 구동수단(2)이 장착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하측에 상기 구동수단(2)의 회전축(2a)을 관통설치한 브라켓(3)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축(2a)과 맞물리는 기어(4)를 일측에 고정설치한 스핀들(5)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5)의 선단에는 드릴등의 공구(T)를 착탈가능케 장착시킨 척(6)이 삽입설치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강구(7)를 개재하여 상기 스핀들(5)에 선택적으로 충격력을 가하는 절환부재(8)가 판스프링(9)에 의해 탄발되어 본체(1)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관통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5)은 탄성부재(10)에 의해 항상 앞쪽으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3) 및 기어(4)의 대향측면에는 접촉에 따라 스핀들(5) 및 공구(T)에 충격을 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이 대향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은 절환부재(8)의 조작에 따라 착탈되어 진동을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절환부재(8)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판스프링(9)에 형성된 돌기(9a)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요홈(8a)(8b)이 하측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5)의 후방에 안착된 강구(7)와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강구(7)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구멍(8c)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 12a, 12b는 회전축(2a) 및 스핀들(5)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스위치 버튼(1a)의 조작에 따라 구동수단(2)이 작동하면 회전축(2a)과 맞물려진 기어(4)가 회전함으로써 스핀들(5)이 회전작동하게 됨과 동시에 척(6)의 내측에 장착된 공구(T)가 회전함으로써 드릴링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체(1)에 관통설치된 절환부재(8)를 제2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면 판스프링(9)의 돌기(9a)가 요홈(8a)에서 요홈(8b)으로 이동하여 안착됨으로써 강구(7)가 안착구멍(8c)의 내측에 삽입되어 스핀들(5)의 후진작동에 의해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스핀들(5)을 통하여 공구(T)에 전달됨으로써 드릴링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공구(T)에 진동을 가하거나 해제할 경우에는 절환부재(8)를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게 되어 작업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불량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초보자의 경우에는 기능절환 조작이 매우 혼동스럽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코스트를 증대시키는 한 요인으로 된다는 하는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여 작업자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장착된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스핀들고, 상기 스핀들에 선택적으로 진동이 가해지도록 착탈가능케 대향설치된 고정 및 회전래칫을 갖춘 휴대용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내에 슬라이드 가능케 탄발설치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스핀들의 후방에 설치된 강구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안착구멍을 갖는 절환부재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략화되어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6도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상태의 일측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Ⅱ-Ⅱ선에 따른 종단면도로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부호(20)은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이 접촉함에 따라 스핀들(5) 및 척(6)으로 충격력을 가하여 상기 척(6)에 장착된 공구(T)가 진동되도록 하는 절환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절환수단(20)은 브라켓(3)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홈(3a)내에 하단이 안착되어 소정각도로 각운동하는 절환부재(22)와 상기 절환부재(22)의 상단에 스프링(24)을 기재하여 탄발설치되고 조작에 따라 상기 절환부재(22)를 각운동시키는 슬라이드판(2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절환부재(22)는 상기 힌지홈(3a)내에 안착되어 힌지중심으로 되는 힌지축(22a)이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조작에 따라 상기 강구(7)가 삽입되어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안착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환부재(22)의 상단에 스프링(24)을 개재하여 탄발되어 삽입설치된 슬라이드판(26)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에 조작손잡이(26a)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내부(28a)(28b)내에 슬라이드되어 안착되는 탄성돌기(26b)가 절개부(30)에 의해 탄성력을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손잡이(26a)는 본체(1)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b)내에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절환수단(20)이 제4도 및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 스위치 버튼(1a)을 조작함에 따라 구동수단(2)이 작동되면, 상기 구동수단(2)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회전축(2a)과 기어(4)가 맞물려 회전됨에 따라 스핀들(5)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척(6)에 장착된 공구(T)가 회전되면서 드릴링등의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5)은 탄성부재(10)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작업시에는 소정의 길이, 예컨대 스핀들(5)의 후방에 설치된 강구(7)가 절환부재(22)의 일측에 접촉되는 길이만큼 후진되면 더이상 후진하지 않게되며, 이때에는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이 분리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공구(T)는 회전운동만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중 공구(T)에 진동을 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환수단(20)을 조작시키게 된다.
즉, 조작손잡이(26a)를 제4도 및 제6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조작하면 슬라이드판(26)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그 일측에 돌출형성된 탄성돌기(26b)가 제1안내부(28a)에서 제2안내부(28b)내로 안착됨과 동시에 절환부재(22)가 힌지홈(3a)내에 안착된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안착구멍(22b)과 강구(7)가 스핀들(5)의 중심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5)은 탄성부재(10)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의 분리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진동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작업을 개시하면 공구(T)가 받는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0)가 압축되면서 스핀들(5)을 후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절환부재(22)의 안착구멍(22b)내에 강구(7)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은 스핀들(5) 및 척(6)을 통하여 공구(T)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공구(T)는 회전과 동시에 진도이 발생되어 드릴링등의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구(T)로 전달되는 진동력을 해제시킬 경우에는 조작손잡이(26a)를 조작하여 슬라이드판(26)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탄성돌기(26b)가 제2안내부(28b)에서 제1안내부(28a)로 이동되어 안착됨과 동시에 절환부재(22)가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안착구멍(22b)내에 안착되어 있던 강구(7)가 이탈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10)의 탄발력에 의해 스핀들(5)이 전진하며 고정 및 회전래칫(11a)(11b)이 분리되어 진다.
따라서, 척(6)에 장착된 공구(T)에는 구동수단(2)에서 전달되는 회전력만이 전달됨으로써 회전작동만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에 의하면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략화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욱 기능을 절환시키는 절환수단이 종래와 같이 양축에 형성되지 않고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기능절환조작 후에도 작업자세에 안정성을 부여하여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1.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장착된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선택적으로 진동이 가해지도록 착탈가능케 대향설치된 고정 및 회전래칫을 갖춘 휴대용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형성된 개구부(1b)내에 슬라이드 가능케 탄발설치된 슬라이드판(26)과, 상기 슬라이드판(26)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스핀들(5)의 후방에 설치된 강구(7)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안착구멍(22b)을 갖는 절환부재(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26)은 일측에 탄성을 갖는 탄성돌기(26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26b)는 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내부(28a)(28b)내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공구.
KR2019930024419U 1993-11-19 1993-11-19 휴대용 전동공구 KR950010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419U KR950010215Y1 (ko) 1993-11-19 1993-11-19 휴대용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419U KR950010215Y1 (ko) 1993-11-19 1993-11-19 휴대용 전동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49U KR950013549U (ko) 1995-06-15
KR950010215Y1 true KR950010215Y1 (ko) 1995-12-04

Family

ID=1936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419U KR950010215Y1 (ko) 1993-11-19 1993-11-19 휴대용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2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41B1 (ko) * 2007-01-08 2008-01-31 모바일레트론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동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41B1 (ko) * 2007-01-08 2008-01-31 모바일레트론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동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49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972B2 (en) Hammer drill attachment
JP2558753Y2 (ja) 回転電動工具の動力伝達機構
JP4673118B2 (ja) ハンマドリル装置
KR100263590B1 (ko) 동력공구
KR20040068965A (ko) 드릴/드라이버 상의 측면 핸들
JP4920833B2 (ja) 手工具装置
US6056298A (en) Chuck lock bit changer
JPH03202283A (ja) 電動工具
US5447205A (en) Drill adjustment mechanism for a hammer drill
JP3955745B2 (ja) アングルドリル
JP2006043877A (ja) 手持ち式工具装置
EP0023233B1 (en) Three-speed gear mechanism in a power tool
KR950010215Y1 (ko) 휴대용 전동공구
JPH0620648B2 (ja) 衝撃ドリル装置
JP5088614B2 (ja) 電動工具
US20230118960A1 (en) Power tool
JP2002254340A (ja) 電動工具
JP2003260675A (ja) 電動工具のスイッチ
JP3168363B2 (ja) 回転工具における動力切換機構
JP4983168B2 (ja) 動力工具
IL112376A (en) Manually operated device with a tip for material processing
JP2009142942A (ja) 回転打撃工具
JPH06262414A (ja) 電動工具
JP3764118B2 (ja) トルク伝達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工具
JP2585072Y2 (ja) ハンマードリルの切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