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70B1 - 데이타 링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타 링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70B1
KR950009570B1 KR1019920014923A KR920014923A KR950009570B1 KR 950009570 B1 KR950009570 B1 KR 950009570B1 KR 1019920014923 A KR1019920014923 A KR 1019920014923A KR 920014923 A KR920014923 A KR 920014923A KR 950009570 B1 KR950009570 B1 KR 95000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ata
controller
communication
cont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439A (ko
Inventor
권태상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570B1/ko
Publication of KR94000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링크 시스템
제1도는 종래 데이타 링크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데이타 송수신시 제어기기간의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 데이타 링크 시스템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데이타 송수신시 제어기기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통신장치에서 실제 통신권을 넘겨주는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설정한 데이타 링크 파라미터 표시도.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 데이타 링크 파라미터에 의한 링크 상태도.
제8도는 제4도에 있어서, 제어장치측의 흐름도.
제9도는 제4도에 있어서, 통신장치측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장치 20 : 통신장치
21∼28 : 제어기기 30, 40 :인터페이스
200 : 호스트
본 발명은 데이타 링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동작하고 있는 제어기기와 관련있는 타 제어기기 사이에 데이타 링크가 수행되도록 데이타 링크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사용하므로써 데이타 영역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제어기기간의 통신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데이타 링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전반에 걸쳐 분산제어 및 집중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여 효율적으로 자동화를 실현하고 있는데, 분산 및 집중제어에는 대부분 데이타 링크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어서 데이타 링크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설정이다. 또한 데이타 링크는 실제 제어기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신뢰성 및 안정성이 요구된다.
종래 데이타 링크 시스템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1-β)가 서로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통신케이블(100)에 접속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각 제어기기간의 파라미터 구성은 Pmt(A)=[A, B, C], Pmt(B)=[B,A, C], Pmt(C)=[C, A, B]로 설정되어 A제어기기(11)는 자신의 데이타를 통신케이블(100)을 통해 타측 제어기기로 전송하면, B, C제어기기(12), (13)에서 송신된 데이타를 받는다. B제어기기(12)가 자신의 데이타를 통신 케이블(100)을 통해 타측 제어기기로 전송하면 A, C제어기기(11), (13) 전송된 데이타를 받는다.
또는 C제어기기(13)가 자신의 데이타를 통신케이블(100)을 통해 타측 제어기기로 전송하면 B, C제어기기(12), (13)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받는다.
이와 같이 제어기기간의 데이타 송수신 관계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타 중에서 송신하는 제어기기는 동작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각 제어기기의 다른 제어기기의 동작상태 및 통신상태를 비교, 판단,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갖고 있어 A제어기기는 B와 C제어기기의 상태를, B제어기기는 A의 C제어기기의 상태를, C제어기기는 A와 B제어기기의 상태를감시,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통신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제어기기와 데이타 링크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어기기내의 수신 데이타 영역이 불 필요하게 확보되어야 하는 점과 모든 제어기기들의 동작상태 및 통신상태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제어기기의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작성되도록 되어 있어서 제어의 효율성을 감소시킬 뿐만아니라 자국 제어기기와 관계없는 타 제어기기의 데이타도 받아 처리하므로써 처리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타 링크를 하고자하는 제어기기의 각각의 링크파라미터(Linkparameter)를 설정하여 통신장치에 넘겨주고, 그 링크 파라미터에 의한 링크를 수행하므로서 통신상태 정보를 제어장치에 통보하여 제어장치에서 링크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데이타링크 시스템을 창안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 데이타 링크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파라미터에 따라 자국 제어기기와 관련있는 타 제어기기만 데이타 링크를 행하는 제어기기(21-28)와, 상기 제어기기(21-28)들 간의 데이타 링크시 정상링크정보와 링크트러블정보에 의해 데이타링크를 감시하는 호스트(200)와, 상기 제어기기(21-28)들 간의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케이블(100)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기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된 사용자 프로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장치(10)와, 타 제어기기와의 데이타 링크를 통제하고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20)와,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장치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30), (40)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기기의 제어 장치(1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타 링크 파라미터를 갖고 있고, 이를 인터페이스(30), (40)를 통해 통신장치(20)로 넘겨준다.
이때, 상기의 데이타 링크 파라미터의 일반적인 구성은 Pmt(i)=(n0, n1, n2, n3,···)의 집합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Pmt(i)의 내용은 i제어기기의 링크 파라미터는 수학적 표시이며 우측 괄호의 집합 요소들은 i국하고 데이타 링크를 할 제어기기[n0, n1, n2,n3,·‥]를 표시한다. 또한, n0, n1, n2, n3,···중에서 자국인 i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자국 데이타를 전송하는 표시이다.
이에 대해, 제6도에서 링크 파라미터 Pmt(A)=[A, D, F, G]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Pmt(A)는 A 제어기기(21)의 파라미터라는 것을 표시하고[A, D, F, G]는 A제어기기와 데이타 링크하는 제어기기들인데, 여기서 A는 자국 제어기기의 데이타를 전송하라는 것을 나타내며 D, F, G 제어기기(24), (26), (27)에서 송신된 데이타를 받아 처리하라는 표시이다.
마찬가지로 Pmt(B), Pmt(C), Pmt(D), Pmt(F), Pmt(H)도 같다.
상기 제어장치(10)의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링크 파라미터를 받은 A제어기기(21)가 D, F, G 제어기기(24), (26), (27)에서 통신 케이블(100)를 통해 송신된 데이타를 받아 처리한 다음 인터페이스(40), (30)를 통해 제어장치(l0)로 남겨주는데, A제어기기(21)는 D, F, G 제어기기(24), (26), (27)와 연관 작업을 수행하여 다른 제어기기인 B, C, E, H 제어기기(22), (23), (25), (28)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제어 장치(10)에 D, F, G 제어기기에 관한 데이타 영역만 확보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B, C, D, E, F, G, H 제어기기(22-28)도 자국과 관련있는 제어기기만 링크를 하게된다.
따라서, 이는 그룹링크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제7도의 (가)와 같은 그룹 1에서 A, D, F, G 제어기기(21), (24), (26), (27)는 (나)와 같은 그룹 2의 B, C, E, H 제어기기(22), (23), (25), (28)에 관계없이 동작하여 그룹2 제어기기들이 비정상 상태가 되더라도 그룹 A는 정상 동작시켜 신뢰성을 높인다.
또한, 그룹 1에서도 D제어기기(24)는 A, G 제어기기(21), (27)와 관계없이 설정되었으므로 A, G 제어기(21), (27)가 정상 상태가 아니더라도 D 제어기기(24)는 정상 동작되어 유연성 있게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제5도에서와 같이 통신장치(20)에 의해서 실제 통신권(자국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권리)를 넘겨주는 상태도에서 B제어기기(22)가 통신권을 갖을 때 자국 데이타를 전송하고(이때, E, C, A, F, G, D 제어기기는 자기 링크 파라미터에 따라 받거나 무시한다) 송신권을 E제어기기(25)로 넘겨주면 상기 E제어기기(25)는 자기 데이타를 전송하고 C제어기기(23)로 넘겨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통신권은 반복하여 돌게된다.
이때 제어기기에서의 그룹별 데이타 링크는 호스토(200)에 의해 감시 제어 받는다.
제어기기의 제어장치(10)는 통신상태 및 동작상태 처리를 간소화하기 위해서 통신장치(20)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상링크정보(LG)" 및 "링크트러블(LT)"의 통신상태를 제어장치(10)에게 넘겨준다.
각 제어기기가 전송하는 데이타의 구조는 [n, Gn, Sn, Mn, DATA]로 표시하는데, n은 데이타를 보내는 제어기기의 국번이고, Gn은 제어기기의 정상(Gn=1) 및 비정상(Gn=0) 상태를 표시하며, Sn은 파라미터의 적합(Sn=1) 및 부적합(Sn=0) 상태를, Mn은 제어기기의 실제 제어동작 수행(Mn=1) 및 제어동작정지(Mn=0)을 표시한다.
만약 n제어기기에서 데이타가 수신이 안된 경우는 Gn=0이 된다.
각국의 파라미터 적합(Sn=1), 부적합(Sn=0) 표시정보는 통신장치(20)가 자기 파라미터에서 설정된 모든 제어기기로부터 데이타를 받으면 Sn=1로 하고, 그중 한 제어기기에서 받지 못해도 Sn=0이 된다.
따라서, 정상링크정보 (LG)는
LG=(S0, S1, S2,···Sn)·(M0, M1, M2,···M0)·(G0, G1, G2,‥·G0)
여기서, M0··Mn은 각 제어기기의 실제 동작, 수행을 나타내어 제어 대상이 실제로 동작됨을 나타낸다. 또한 정상링크정보(LG)는 일단한번 LG=1이 되면 이 값을 계속 갖고 있는다.
또한 링크트러블(LT)은
LT=LG으로 표시된다.
정상링크정보(LG)와 링크트러블(LT)은 자기 통신장치가 통신권을 갖을 때 작성되어 제어장치로 넘겨준다.
즉, 통신권이 자기 제어기기를 떠나서 다시 통신권이 왔을때 그동안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상링크정보(LG)와 링크트러블(LT)을 작성한다.
예로서 A제어기기 및 E제어기기의 링크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표현하면,
A제어기기 : LGa=(Sx·Se·Sf)·(Mx·Me·Mf)·(Gx·Ge·Gf)
: LTa=
E제어기기 : LGe=(Sb·Sc·Sh)·(Mb·Mc·Mh)·(Gb·Gc·Gh)
: LT=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A제어기기 (21)는 D, F, F제어기기 (24), (25), (26)가 모두 정상(Gn=1)이고, 제어동작수행(Mn=1)이고, 파라미터 적합(Sn=1)인 경우 정상링크정보(LGa)는 1gA=1이 된다.
일단 정상링크정보(LGa)가 1이 되었으므로 LGa가 1인 상태에서 D, E, F제어기기중 한 제어기기라도 정상이 아니면 LTa=1로 되어 제어장치로 통보된다.
이와 같이 통신장치기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정상링크정보, 링크트러블, 제어기기수신상태를 제어장치에 통보하므로 제어장치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타 링크를 효율적이고 신뢰성있게 처리할 뿐만 아니라 링크처리시간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0)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세트 후 초기화를 수행하고 데이타 링크를 링크 파라미터를 설정한 다음 이 설정된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30), (40)를 통해 통신장치(20)로 넘겨준다.
이때부터 제어장치(10)는 사용자 프로그램에서 실제 제어를 처리하고 통신장치(20)에서 전달된 데이타 및 링크정상정보(LG)와 링크트러블(LT) 및 통신정보를 사용하여 타 제어기기와 연관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그런다음 통신장치(20)와 송신데이타 및 수신데이타, 링크정상정보, 링크트러블 및 통신상태를 인터페이스(30), (40)를 통하여 읽거나 쓰고 이를 반복하면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통신장치(20)에서는 리세트 후 초기화를 거치고 제어장치(10)에서 설정된 파라미터를 인터페이스(30), (40)를 통하여 읽고 링크파라미터가 설정되었으면 타국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제어를 수행하면서 통신권을 보유하면 자국의 데이타 및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권을 보유하기까지 타국에서 수신데이타 및 정보를 바탕으로 링크정상정보 및 링크트러블을 작성하여 제어장치로 넘겨준다.
또한, 타국에서 데이타 및 정보를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데이타를 넘겨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국 제어기기와 관련 있는 타 제어기기만 데이타링크를 수행하도록 데이타 링크 파라미터를 설정하므로써 데이타 영역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데이타 링크 파라미터를 통신장치로 넘겨주어 데이타 링크의 신뢰성 및 통신상태를 체크하여 제어기기에 통보하므로써 통신처리효율을 높이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장된 사용자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장치(10)와 타 제어기기와의 데이타링크를 통제하고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20)로 구성되어 통신케이블(100)에 의해서 링크파라미터에 따라 자국 제어기기와 관련 있는 타 제어기기만 데이타 링크를 행하는 제어기기(21-28)와, 상기 제어기기(21-28)간의 데이타 링크시 정상링크정보(LG)와 링크트러블정보(LT)에 의해 데이타 링크를 감시하는 호스트(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링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10)는 리세트 후 초기화를 수행하고 데이다 링크할 링크 파라미터를 설정한 다음 사용자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를 처리하고 통신장치(2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링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신장치(20)는 리세트 후 초기화를 거치고 제어장치(10)에서 설정된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다국과의 통신을 제어하면서 통신권을 보유하면 자국의 데이타를 전송하고, 통신권을 보유하기까지 링크정상정보(LG)와 링크트러블(LT)을 작성하여 제어장치로 넘겨줌과 아울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데이타 링크시스템.
KR1019920014923A 1992-08-19 1992-08-19 데이타 링크 시스템 KR95000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923A KR950009570B1 (ko) 1992-08-19 1992-08-19 데이타 링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923A KR950009570B1 (ko) 1992-08-19 1992-08-19 데이타 링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39A KR940004439A (ko) 1994-03-15
KR950009570B1 true KR950009570B1 (ko) 1995-08-24

Family

ID=1933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923A KR950009570B1 (ko) 1992-08-19 1992-08-19 데이타 링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5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39A (ko) 199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7502B1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P0291966A1 (en) Control method of a robot system and apparatus for realizing the same
US5153884A (en) 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circuit
US5162986A (en) Remote downloading and uploading of motion control program information to and from a motion control I/O module in a programmable controller
EP0308408B1 (en) Information transfer method and arrangement
US5148433A (en) Transfer network interface
JPH0654911B2 (ja) マスターシップを転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950009570B1 (ko) 데이타 링크 시스템
JPS596545B2 (ja) 構内伝送システムの制御方式
US5463544A (en) Programmable controller and method of monitoring a sequence program thereof
JPH0934531A (ja) ソフトウェア処理機能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による数値制御装置の制御方式
JPH0865331A (ja) 監視制御装置
JPH0316446A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保守装置
JPH03104348A (ja) フロー制御方式
JPS63108407A (ja) 集中制御システム
CN113949454A (zh) 光纤/e1转换设备、安全稳定控制系统站间通信方法
JPH03289234A (ja) 監視方式
JPH0677975A (ja) 通信領域の割付方式
JPH0275242A (ja) 伝送路監視制御方式
JPH0372742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H01232852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KR19980066194A (ko) 배전자동화용 전단처리기
JPH0576821B2 (ko)
JPH06217378A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
JPH01248720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