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43Y1 -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 Google Patents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43Y1
KR950009543Y1 KR2019950022980U KR19950022980U KR950009543Y1 KR 950009543 Y1 KR950009543 Y1 KR 950009543Y1 KR 2019950022980 U KR2019950022980 U KR 2019950022980U KR 19950022980 U KR19950022980 U KR 19950022980U KR 950009543 Y1 KR950009543 Y1 KR 950009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toner box
toner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22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제1도는 화상기록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 현상기 유니트의 개략도.
제3도는 종래의 다른 현상기 유니트의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현상기 유니트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인쇄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본 고안은 복사기, 레이저프린터, PP팩스와 같은 전자사진 기술을 이용한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에 관한 것으로써, 현상기 유니트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하여 사용에 편리를 기할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상기록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의 주면에 감광드럼의 회전방향으로 대전기(11), 노광기(12), 현상기(13), 전사기(14), 청소기(15)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기기 일측에 용지를 수납하는 용지트레이(17)가 타측에는 전사를 완료한 용지에 토너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기(18)와 용지이송장치(16)및 배지트레이(19)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사사진 화상기록장치는 대전기(11)에 고압의 직류전류를 인가하면 코로나 와이어에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감광드럼(10)의 표면이 일정한 전하를 띠도록 대전시킨다. 이후 노광기(12)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광을 주사하면 노광된 부위가 도전성이 되어 감광드럼에 그라운드되어 노광된 부위와 비노광된 부위의 전위차가 생겨 비노광된 부위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감광드럼(10)이 회전하여 잠상부위가 현상기(13)에 도달하면 현상기(13)의 현상로울러(13a)에 붙어있던 토너가 비화하여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위에 묻어 가시상으로 바뀌게되며 이후 전사기(14)의 상면에서 급지트레이(17)로 부터 이송되어온 용지에 토너를 전사하게 된다.
이후 전사된 용지는 이송장치(16)에 의해 이송되어져 정착기(18)에서 히팅로울러(18a)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축로울러(18b)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에 의해 토너는 용지에 정착되어 배지트레이(19)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감광드럼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청소기(15)에 의해 제거되어 오우거(15a)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폐토너 수거통으로 이송된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해 1싸이클의 인쇄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며, 위와 같이 동작하는 화상기록장치에서 감광드럼과 현상기와 크리닝부를 일체화하여 카트리지 타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타입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미국 특허 제3,985,436호, 제5,051,778호등에 재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기는 레이져 프린터, 복사기등에 상용화 되고있다.
즉,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미국특허 제3,985,436호에 개시된 기술로써 감광드럼(10), 대전기(11), 크리닝부(15), 현상로울러(13a), 토너 담지공간이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토너 담지공간에 담지된 토너가 다 소모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 카트리지 전체를 교환할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토너오염도 및 인자품질은 비교적 양호하지만 통상적으로 토너의 수명이 3000∼6000매 정도이고 드럼의 수명은 15,000∼20,000매 정도이므로 토너를 전부 소모하였을때 카트리지 전체를 교환하여야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운전비가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한 미국특허 제5,051,778호에 개지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드럼(10), 대전기(11), 크리닝부(15)를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한 드럼유니트(100)와 현상로울러(13a), 토너박스(13b)를 또하나의 유니트(200)로 구성한 현상유니트로 이루어져있다.
위와 같은 장치는 드럼유니트의 수명은 감광드럼의 수명까지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현상유니트는 토너박스의 토너가 다소모되면 토너박스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장치는 매우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나 토너오염도가 심하고 특히 감광드럼과 현상로울러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현상유니트를 본체에서 분리시 현상로울러를 노출시키게 되어 토너오염 및 사용상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너박스를 측면에서 슬라이드시켜 고정할수 있도록하여 토너박스를 분리시 많은 공간을 필요하게 되며 토너 박스의 개구부가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토너박스로 슬라이드 시켜야 하므로 주변을 토너가루로 오염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토너박스 일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토너의 오염을 방지한 장치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 3-80462호 및 평 2-64964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위에 소개된 고안은 토너박스를 길이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 또한 많은 공간을 필요하게 됨은 물론 힌지축을 현상기유니트에 형성하고 힌지 받침을 토너박스에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킬수 있도록 구성하여 토너박스를 개방하였을시 힌지 받침이 현상기 측벽에 접촉하여 토너박스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힌지축에 무리를 주어 파손될 위험이 크다. 또한 일측에 형성된 걸림고리가 토너박스로부터 돌출신장되므로 인하여 현상기 유니트로 내측벽과 토너박스의 외면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므로 인하여 외부충격시 토너박스가 유동할 우려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내부에 토너를 수납하는 공간을 가지는 토너박스의 개구부를 분리 가능한 필름으로 점착하여 시일링하고 상기 토너 박스의 폭방향으로 일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힌지축을 형성하고 타측외벽에는 걸림턱을 갖는 탄성걸림편을 적어도 두개이상 형성하되 상기 탄성걸림편의 후측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을 적어도 두개이상 형성하되 상기 탄성걸림편의 후측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형상기 유니트의 상부개구부의 내측벽에는 토너박스가 안치되어 걸릴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걸림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벽 외측에는 토너박스의 힌지축을 걸수 있는 힌지가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토너박스를 설치하였을시 폭방향으로 회동시킬수 있도록 하며, 상기 힌지의 하부에는 토너박스의 개방시 토너박스의 벽을 받쳐지지하여 토너박스가 자세를 유지할수 있도록 받침턱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6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부에 개구부(51)를 가지는 직사각통 형상의 토너박스(50)는 직사각형 모양의 상면(50c)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신장되는 4면의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중 길이가 긴장변의 후측벽(50a)의 외측에 현상기 유니트에 결합하기 위한 힌지축(52)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벽과 대항되는 전면벽(50b)의 외측에는 걸림턱(53a)을 갖는 탄성걸림편(53)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걸림편(53)의 후측에는 탄성걸림편이 변형할 수 있는 공간(58)을 가지도록 전면벽(50b)의 일부에 단턱(50g)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구부(51)는 필름(70)으로 시일링되어 있다.
또한, 현상기 유니트(60)의 상부개구부(61)의 현상로울러(80)측의 벽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2)이 형성되어 토너박스(50)가 안치되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측벽(60b)의 소정위치에는 걸림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측벽(60a)외측에는 하부가 개방된 힌지받침(67)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받침(67)하부에는 소정간격이격되어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된 받침턱(68)이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우선 토너박스(50)를 현상기 유니트(60)에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토너박스(50)의 개구부(51)를 위로한 상태에서 후측벽에 돌출 설치된 힌지축(52)을 현상기 유니트(60)의 받침턱(68)과 힌지받침(67)사이로 밀어 넣은 후 약간 위로 당겨 토너박스(50)의 힌지축(52)이 힌지받침(67)의 하부로부터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힌지축(52)을 중심으로 토너박스(50)를 회전시키면 현상기 유니트(60)의 측벽(60b)에 형성된 걸림구멍(65)에 토너박스(50)의 탄성걸림편(53)의 걸림턱(53a)이 걸림과 동시에 토너박스의 단부가 걸림턱(62)에 접촉하여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탄성걸림편(53)은 현상기유니트(60)의 측벽에 접촉하는 순간 경사면(53c)에 의해 밀려나 탄성걸림편(53)은 토너박스(50)외측벽에 형성된 공간(58)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후퇴하였다가 걸림턱(53a)이 걸림구멍(65)을 통과하는순간 탄성걸림편(53)은 자체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걸림턱(53a)이 걸림구멍(65)의 상측내주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토너박스는 고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에 시일링된 필름(70)을 제거하면 내부의 토너가 현상기 유니트의 에지에이터측으로 쏟아져 현상기를 구동하여 감광드럼을 현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현상기 유니트사용중 토너의 사용을 완료하면 새로운 토너박스로 교환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토너박스(50)의 전면벽에 형성된 탄성걸림편(53)의 상측손잡이부(53b)를 토너박스측으로 눌러주면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53a)이 걸림구멍(65)을 벗어나게 되어 자유상태가 된다. 이후 토너박스를 회전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힌지축(52)을 중심으로 토너박스를 회전시켜 토너박스가 약 120℃정도 회전하면 후측벽이 받침턱(68)에 걸려 더 이상 회전이 방지되며 토너박스의 재구부(51)가 상측 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통내측에 묻어있던 토너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토너박스를 잡고 약간 하향으로 이동하면 힌지축(52)이 힌지받침(67)으로부터 이탈되므로 토너박스(50)를 분리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새로운 토너박스를 전술한 방법에 의해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토너박스를 길이가 짧은 폭방향으로 회전시켜 착탈할 수 있도록하여 착탈공간이 적어도 되므로 현상기 유니트를 기기본체에서 일부만 분리한 상태에서도 토너박스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결합부의 탄성걸림편이 토너박스의 벽면에 밀착시킬수 있도록 구성되어 기기를 소형화 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토너를 수납하는 공간을 가지는 통형상의 박스(50)와 ; 상기 박스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원형힌지(52)와 ; 상기 힌지가 설치되는 벽면과 대향되는 벽면에 탄성걸림편(53)을 구비하되 ; 상기 박스(50)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50c)과 4면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50c)과 대향하는 하면은 개구부(51)로 구성되고 상기 4면의 측벽은 길이가 긴 2개의 장변(50a)(50b)과 길이가 짧은 2개의 단변(50e)(50f)을 가지며 ; 상기 원형힌지(52)는 상기 장변중 일측벽(50a)에 부착되어 있고 ; 상기 탄성걸림편(53)은 상기 일측벽(50a)에 대항하는 장변(50e)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 사용자가 상기 탄성걸림편(53)을 눌렀을때 상기 걸림탄성편(53)은 눌러졌다가 복원하여, 상기 탄성걸림편(53)에 설치된 상기 걸림턱(53a)의 걸림에 의해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 상기 원형힌지(52) 및 상기 걸림탄성편(53)이 상기 박스(50)의 상기 두 장변(50a)(50b)에 각각 설치되므로써, 상기박스(50)를 상기 원형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개폐시 회전반경이 상기 박스(50)의 단변(50e)(50f)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의 모든 구성이 동일재질의 일체성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박스.
  2. 제1항에서, 상기 걸림탄성편(53)이 부착되는 장변(50b)에는 단턱(50g)가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탄성편(53)을 사용자가 누를때 걸림탄성편(53)이 변형을 할수있는 공간을 많이 확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박스.
KR2019950022980U 1992-12-11 1995-08-23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KR950009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980U KR950009543Y1 (ko) 1992-12-11 1995-08-23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941A KR950013417B1 (ko) 1992-12-11 1992-12-11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2019950022980U KR950009543Y1 (ko) 1992-12-11 1995-08-23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941A Division KR950013417B1 (ko) 1992-12-11 1992-12-11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43Y1 true KR950009543Y1 (ko) 1995-11-08

Family

ID=19345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941A KR950013417B1 (ko) 1992-12-11 1992-12-11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2019950022980U KR950009543Y1 (ko) 1992-12-11 1995-08-23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941A KR950013417B1 (ko) 1992-12-11 1992-12-11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500134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417B1 (ko) 1995-11-08
KR940017672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339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first and second frames and separating member moving the second frame to a separated posi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tachably mounting the cartridge
US6308028B1 (en) Process cartridge having a particular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a process cartridge
JPH0310942B2 (ko)
EP067779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309211A (en) Process unit having two chambers for storing waste developer
JPS63151983A (ja) クリ−ニング装置
EP0604191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950009543Y1 (ko) 화상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토너박스
JP4729317B2 (ja) 画像形成装置に着脱される交換用トナー容器の梱包材とトナー容器
JP262258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131943A (ja)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634082B2 (ja) ホッパー
JP3700621B2 (ja) 画像形成ユニット
JP314058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940006377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 착탈식 현상카세트
JP3537307B2 (ja) 電子写真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H0712998Y2 (ja) 画像形成装置
JPH08202228A (ja) 画像形成装置
KR200217774Y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JP3784503B2 (ja) 画像形成装置
JP2525254Y2 (ja) トナー回収装置
JPH0334767Y2 (ko)
JPH0611966A (ja) 現像剤補給装置
JPH07210048A (ja) トナー再利用装置
JP2704155B2 (ja) 電子写真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