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238Y1 -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 Google Patents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238Y1
KR950009238Y1 KR2019890013193U KR890013193U KR950009238Y1 KR 950009238 Y1 KR950009238 Y1 KR 950009238Y1 KR 2019890013193 U KR2019890013193 U KR 2019890013193U KR 890013193 U KR890013193 U KR 890013193U KR 950009238 Y1 KR950009238 Y1 KR 950009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cylinder
semi
pipe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887U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이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2019890013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238Y1/ko
Publication of KR910005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통체 16 : 배출관부
20 : 격벽 22 : 반원형 개방부
24 : 구형개방부 25 : 반원통형부분
26 : 하부원형관부 34 : 이물질걸름판
본 고안은 도로배수구용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내에 상이한 깊이와 방향으로 매설된 주배수관과의 분기관연결이 용이하고 분기관 또는 주배수관을 폐색시킬 수도 있는 비교적 큰 크기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한 도로배수구용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로배수구용 집수정은 도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설되고 하나 이상의 분리관을 이용하여 도로내에 매설된 주배수관에 연결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도로배수구용 집수정은 시멘트몰타르로 현장에서 성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주배수관과의 분기관연결작업이 어렵다. 특히 도로내에 매설된 주배수관은그 깊이와 방향이 다양하여 분기관의 규격화나 정형적인 시설방식을 채택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할때 현장성형되는 종래 도로배수구용 집수정은 작업상의 많은 어려움을 준다. 또한 선택된 장소에 기성의 집수정을 설치하도록 함에 있어서는 기존매설된 분기관에 보조연결관을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하는바. 기존매설된 분기관 역시 그 깊이와 방향이 다양하여 집수정의 설치가 불편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언급된 종래기술의 집수정에있어서는 보조연결관, 분기관 또는 주분기관을 폐색시킬 수도 있는 다량의 토사, 비닐조각, 나뭇조각등을 걸러주는 수단의 구성되지 않아 집중 호우시 배수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집수정을 구성하는 통체의 하부일측에 저면의 반원형 개방부와 측벽의 구형개방부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이들 개방부와 연결되는 배출관부를 착설하므로서 배출영역을 넓히고 이 배출관부를 우수의 흐름방향에서 하류측으로 향하도록 집수정 통제를 매설하여 우수의 유동저항을 줄이고 배수속도를 빠르게 하였으며, 통체내에는 우수의 흐름방향에서 상류측의 위치에서 저면에 낮은 격벽을 입설하고 배출관부를 향하는 개방부측에 이물질 걸름판을 경사지게 배설하여 우수에 섞이어 배출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10)가 덮히는 통체(12)로 구성되고 하부에 벨로우즈형태의 보조연결관(14)이 연결되는 배출관부(16)가착설되며 보조연결관(14)은 배출관부(16)의 환상턱(18)에 안정되게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통체(12)의 저면에 우수의 흐름방향에서 상류측의 위치에 낮은 격벽(20)을 입설하고, 하류측의 저면모서리에는 저면에 반원형 개방부(22)를 형성하고 이에 인접한 측벽에는 구형개방부(24)를 형성하며, 배출관부(16)의 하부원형관부(26)상에 반원통형부분(24)을 일체로 연장 하고 이 반원통형부분(25)의 양측에 고정공(28)을 갖는 한쌍의 돌편(30)을 형성하여 통체(12)의 구형개방부(24)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공(32)에 볼트-너트조립체(도시하지않았음)로 배출관부(16)의 반원통형부분(24)을 고정하고, 반원형개방부(22)와 구형개방부(24)에 근접한 통체(12)의 내부에 이물질걸름판(34)을 경사지게 배열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집수정을 구성하는 통체(12)를 배출관부(16)가 우수흐름방향의 하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도로에 매설한다. 우수의 배출시에 이에 섞이어 유입되는 토사는 격벽(4)에 의하여 배출이 억제되며 비닐조각이나 나무조각등은 배출관부(16)에 앞서 이물질걸름판(34)에 의하여 이들의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배출관부(16)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우수흐름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우수의 유동저상을 가능한 한 낮출수 있도록한다. 즉 배출관부(16)는 통체(12)의 저면모서리에 형성된 반원형개방부(22)이에 인접한 측벽의 구형개방부(24)에 그 하부원형관부(26)와 이로부터 연장된 반원통형부분(25)으로 넓게 연통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우수의 유동저항이 낮으며 이로써 배수속도는 빠르게 된다. 특히 배출관부(16)는 또한 통체(12)와는 별도로 제작되므로 통체(12)의 제작과 운반이 용이한 잇점이 있으며 현장에서 통체(12)에 배출관부(16)를 결합하여 매설하면 된다.

Claims (1)

  1. 통체(12)의 하부에 하부원형관부(26)를 갖는 배출관부(16)가 착설되는 것에 있어서, 통제(12)의 저면에서 우수흐름방향의 상류측 위치에 낮은 격벽(20)을 입설하고, 하류측위치에서 저면모서리에 반원형개방부(22)를 형성하고 이에 인접한 측벽에 구형개방부(24)를 형성하여 배출관부(16)의 하부원형관부(26)로부터 연장한 반원통부분(25)을 결합고정하며, 통체(12)의 내부에서 반원형개방부(22)와 구형개방부(24)에 인접하여 이물질걸름판(34)을 경사지게 배열하여서된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KR2019890013193U 1989-09-07 1989-09-07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KR950009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193U KR950009238Y1 (ko) 1989-09-07 1989-09-07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193U KR950009238Y1 (ko) 1989-09-07 1989-09-07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887U KR910005887U (ko) 1991-04-24
KR950009238Y1 true KR950009238Y1 (ko) 1995-10-23

Family

ID=1928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193U KR950009238Y1 (ko) 1989-09-07 1989-09-07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2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616B1 (ko) * 2019-11-22 2021-02-15 (주)우리타올컴퍼니 자동 스크린 날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887U (ko)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721B2 (en)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KR950009238Y1 (ko) 도로배수구용 집수정
US8182174B2 (en) Drainage system for directing surface water to underground strata
AU7863598A (en) Drainage channel and pipe assembly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JP3871397B2 (ja) 雨水マスシステム
KR100954800B1 (ko) 배수로가 형성된 경계부재
KR101791170B1 (ko)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NL8304436A (nl) Afvoerstelsel met een of meer toevoerleidingen voor afval- en/of hemelwater naar een verzamelruimte in de vorm van een put en tenminste een afvoerleiding.
EP0267182A1 (en) Safety device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920005603Y1 (ko) 배수로용 집수조(集水槽)
KR930001860Y1 (ko) 도로용 집수통과 배수관 연결구
JPH0240148Y2 (ko)
KR101987910B1 (ko) 투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H0637762B2 (ja) 床版遊水の導水方法及び床版遊水の導水用鋼製排水溝ユニット
KR200224158Y1 (ko) 공동구조물
JPH0340952Y2 (ko)
JPH0336628Y2 (ko)
JPH0410314Y2 (ko)
KR20090028930A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20230166470A (ko) 수생태계 저영향개발(lid)을 위한 경사배수공 빗물받이 덮개 수로관 시스템
KR20030094685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오 ·우수받이
JPH09264001A (ja) 路面舗装における排水構造
JPH04503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