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04Y1 -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 Google Patents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04Y1
KR950009004Y1 KR2019910009965U KR910009965U KR950009004Y1 KR 950009004 Y1 KR950009004 Y1 KR 950009004Y1 KR 2019910009965 U KR2019910009965 U KR 2019910009965U KR 910009965 U KR910009965 U KR 910009965U KR 950009004 Y1 KR950009004 Y1 KR 950009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ignal
telephone
zero cross
r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831U (ko
Inventor
백현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9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004Y1/ko
Publication of KR930003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제1도는 종래 링신호 절체 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링신호 절체 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링신호 송출시 가입자가 훅 스위치를 OFF했을때의 타이밍도.
제4도는 종래 링신호 절체회로의 인터럽트 루틴 흐름도.
제5도는 간이교환장치의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 2 : 전화기 루프 감지 회로
3 : CPU 4 : 릴레이 구동부
5 : 간이 교환 장치의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
6 : 전원공급부 7 : 링릴레이
8 : 변압기
9 : 링 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
본 고안은 간이교환장치의 링신호 절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에 링신호를 공급할때에 전화기 루프감지를 신속히 하여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었을때 즉시 링신호 공급을 중단하는 링 신호 절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1은 입력된 링 신호가 교류0[V]지점을 교차하는 순간에 제로크로스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로 크로스 감지 회로(Zero Cross Dedtect Circuit)이고, 도면부호2는 전화기의 훅 스위치(hook switch)상태를 감지하는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이다. 도면부호3은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1)와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로 부터의 신호를 받아 링신호 단속정보를 출력하는 CPU이고, 도면부호4는 CPU(3)로 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링 릴레이를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부이고, 도면부호5는 간이 교환장치의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간이 교환장치의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5)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5도에서 도면부호6은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이고, 도면부호7은 전화기 링신호를 공급해주는 링 릴레이이고, 도면부호 8은 전화기에 음성 신호를 전달해주는 변압기이다.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는 전원공급부(6)의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화기 훅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한다.
제3도는 링 신호 송출시 가입자가 전화기의 훅 스위치를 OFF했을 때(송수화기가 들려진 상태)의 타이밍도로서, a는 링 신호의 파형이고, b는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1)로 부터 출력되는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이고, c는 링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가입자가 전화기 훅 스위치를 OFF했을때의 루프 감지 신호 파형이다. 제로크로스 감지회로(1)에 링 신호가 공급되면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1)는 링신호가 교류 0[V]지점을 통과 하는 순간 제3도의 b와 같이 제로 크로스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CPU(3)의 인터럽트 포트(INT)에 출력한다.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의 펄스폭3[msec]는 링 릴레이(7)의 동작시간을 고려하여 조정된 것이다. 링 릴레이(7)를 교류0[V]지점에서 ON, OFF 하는 이유는 링 신호의 에너지(P=V×1)가 최소 되는 점에서 링신호를 공급하여 간이 교환 장치의 전원 공급부(6)를 안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링 릴레이(7)를 단속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제로 크로스 신호가 CPU(3)의 인터럽트포트(INT)에 입력되면 CPU(3)는 프로그램의 인터럽트 루틴으로 점프하여 인터럽트 루틴을 수행하게 된다. 제4도의 인터럽트 루틴 흐름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3)는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를 통해서 전화기의 훅 스위치 상태를 점검한다.
이때, 전화기 훅 스위치가 OFF된 상태(송수화기가 들려진 상태)이면 릴레이 구동부(4)에 제어 신호를 보내 링릴레이(7)를 OFF하고 인터럽트 루틴에서 벗어나 프로그램의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 본래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전화기 훅 스위치가 ON된 상태이면 링 릴레이(7) 단속정보에 의해 링 릴레이(7)를 ON 또는 OFF하고 인터럽트 루틴을 벗어나게 된다. 여기서, 링 릴레이(7)의 단속정보는 메인 루틴에서 링의 단속주기(예를 들어서, 2초 ON, 4초 OFF)마다 단속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모리를 바꾸어 준다. 따라서, 인터럽트 루틴에서는 메모리에 있는 내용대로 릴레이 구동부(4)에 정보를 전달해 주기만 하면 된다.
상술한 종래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는 링 릴레이(7)를 ON 하여 전화기에 링 신호를 공급하는 동안에 가입자가 전화기 훅 스위치를 OFF했을 경우 제3도의 타이밍도와 같이 루프감지신호와 제로 크로스 감지 신호의 타이밍이 일치할 경우는 링 릴레이(7)를 즉시 OFF 할 수 있지만, 전화기 훅스위치가 OFF될때 링신호 주파수에 대한 리액턴스 성분에 의해서 루프 감지 신호가 제3도의 경우와 달리 제로 크로스 감지 신호와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게 발생할 경우 CPU(3)는 링신호를 끊어주지 못하게 된다. 이때, 전화 가입자는 송수화기를 든채 링신호가 끝날때까지 링소리를 듣게 되므로, 링신호가 OFF되는 순간부터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REN(Ringer Equivalence Number)이 큰 전화기가 연결되었을 경우 전화기 훅 스위치가 ON된때 링 신화에 의한 전화기 루프감지를 억제하도록 전화기 루프감지 회로(2)가 설계된 경우에는 REN이 작은 전화기를 연결하면 링 신호 송출시 전화기 훅 스위치의 OFF에 의한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의 출력 펄스폭이 더욱 짧아져 상기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링 신호 송출시 가입자가 전화기 훅 스위치를 OFF했을때(송수화기를 들었을때) 제로 크로스 감지 신호와 전화기 루프 감지 신호의 타이밍에 관계 없이 즉시 링 신호를 끊어 줄 수 있는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 교환 장치의 링신호 절체회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면부호1은 입력된 링신호가 교류0[V] 지점을 교차하는 순간에 제로 크로스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이고, 도면부호2는 전화기 훅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화기 루프감지회로이고, 도면부호3은 링신호 단속정보를 출력하는 CPU이고, 도면부호4는 제5도의 링 릴레이(7)를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부이고, 도면부호5는 제5도에 나타낸 간이 교환 장치의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도면부호 9는 D플립플롭과 AND게이트로 이루어진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이다.
제로크로스 감지회로(1)의 출력은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클럭단과 릴레이 구동부(4)의 D플립플롭 클럭단에 연결된다.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의 출력은 CPU(3)의 루프 감지포트(P2-1)와 링 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리세트단에 연결된다. CPU(3)의 출력포트(P1-i)는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데이타 입력단과 AND게이트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출력단은 AND게이트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AND게이트 출력은 릴레이 구동부(4)의 D플립플롭 데이타 입력단에 연결된다.
링신호를 전화기로 공급할 경우, CPU(3)는 링단속 정보에 의해 출력포트(P1-i)로 링단속 정보를 출력한다. 이 링단속 정보는 링 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데이타 입력단과 AND게이트 입력단에 입력되고, 이 링단속정보는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1)로 부터의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가 D플립플롭의 클럭단에 입력됨으로서 릴레이 구동부(4)에 전달되고, 릴레이 구동부(4)는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로 부터의 링 단속 정보에 의하여 링릴레이(7)를 구동한다. 이때,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는 CPU(3)에서 출력된 링단속 정보와 동일한 신호를 릴레이 구동부(4)에 출력한다. 이때의 진리표는〈표ㆍ1〉과 같다.
[표 1]
〈표ㆍ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로 부터의 전화기 루프감지 신호가 H상태(high상태)에서 CPU(3)의 출력포트(P1-i)로 부터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감지부(9)의 D플립플롭 데이타 입력단에 보낸 링단속 정보가 H상태이고, 제로크로스 감지회로(1)로 부터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클럭단에 제로 크로스 감지 신호가 보내지면,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AND게이트로 부터 H상태의 신호가 출력되고, 릴레이 구동부(4)는 링 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L상태(Low상태)의 신호를 링 릴레이(7)에 출력하여 링 릴레이(7)를 ON 시켜 전화기에 링 신호를 보낸다. 또한,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로 부터의 전화기 루프감지 신호가 H상태(high상태)에서 CPU(3)의 출력 포트(P1-i)로 부터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감지부(9)의 D플립플롭 데이타 입력단(D)에 보낸 링단속정보가 L상태이고, 제로크로스 감지회로(1)로 부터 링 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클럭단에 제로크로스 감지신호가 보내지면,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AND게이트로부터 L상태의 신호가 출력되고 릴레이 구동부(4)는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H상태의 신호를 링 릴레이(7)에 출력하여 링 릴레이(7)를 OFF시켜 전화기에 보내는 링 신호를 단속한다.
링신호를 전화기에 송출하는 도중에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어 전화기 훅 스위치가 OFF되면,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는 링 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의 D플립플롭 리세트단에 제3도c의 루프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는 CPU(3)의 링단속 정보에 관계없이 L상태의 신호를 릴레이 구동부(4)에 전달하고, 릴레이 구동부(4)는 H상태의 신호를 링릴레이(7)에 출력하여 링릴레이(7)를 OFF시킨다. 따라서,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어 전화기 훅 스위치가 OFF됐을때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와 전화기 루프 감지 신호의 타이밍에 관계없이 즉시 링 신호 송출을 끊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간이교환기의 링신호 절체회로는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었을때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와 전화기 루프 감지신호의 타이밍에 관계없이 즉시 링신호 송출을 끊을 수 있고, 펄스폭이 작은 루프 감지 신호에 의해서도 링 신호를 끊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전화기 루프감지 회로를 REN이 큰 전화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링 릴레이를 단속하는 프로그램이 간단해지고, 인터럽트단 및 릴레이 구동부 제어포트등이 불필요하므로 CPU포트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링신호가 교류 OV지점을 교차하는 순간에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1)와,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5)를 통해 가입자 전화기의 루프상태를 감지하여 루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를 구비하는 간이 교환장치의 링신호 절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1)로 부터의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전화기 루프 감지회로(2)로 부터의 루프 감지신호에 의해 리세트되며 상기 루프 감지신호 입력시 CPU(3)로 부터 공급되는 링단속 정보를 지연시킨후 이 지연된 링단속 정보와 상기 CPU(3)로 부터 직접 공급된 링단속 정보를 논리변환하여 출력하는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와, 상기 제로 크로스 감지회로(1)로 부터의 제로 크로스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링신호 송출시 전화기 루프 감지부(9)로 부터의 링 단속 정보를 지연시킨후 반전하여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5)의 링 릴레이(7)를 구동시켜 가입자 전화기에 공급되는 링신호를 절체하는 릴레이 구동부(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교환장치의 링신호 절체회로.
KR2019910009965U 1991-07-01 1991-07-01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KR950009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965U KR950009004Y1 (ko) 1991-07-01 1991-07-01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965U KR950009004Y1 (ko) 1991-07-01 1991-07-01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31U KR930003831U (ko) 1993-02-26
KR950009004Y1 true KR950009004Y1 (ko) 1995-10-18

Family

ID=1931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965U KR950009004Y1 (ko) 1991-07-01 1991-07-01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0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31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1530B2 (ja) モデム
KR950009004Y1 (ko) 간이 교환 장치의 링 신호 절체 회로
JPS58124358A (ja) 拡声受話状態切替方式
JP3979693B2 (ja) モデム装置
KR970008972A (ko)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통화로 자동절단 회로 및 자동대기 방법
JPH03286668A (ja) ファントム給電の受電回路
JPH0432580B2 (ko)
KR0173320B1 (ko) 무선전화기에서 통화전환시 라인 제어 방법
KR940003300A (ko) 팩시밀리와 도어 폰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 및 방법
KR950010383Y1 (ko)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JP2682213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内線着信応答監視回路及びその監視方法
JP2502506B2 (ja) 網制御回路
KR940013050A (ko) 전화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및 장치
Natarajan et al. Design of a CCITT V. 22 modem
JPH07327065A (ja) オフフック検出装置
JPH0563838A (ja) 住宅情報通報システム
JPH0315873B2 (ko)
JPH02266788A (ja) 構内交換機加入者回路
JPH11234418A (ja) 端末網制御装置
KR970056534A (ko) 전화단말장치의 스피커폰 통화 자동오프방법
JPH0575700A (ja) 加入者回路のリンガ送出回路
JPS6231242A (ja) 秘書電話システム用自動転送回路
KR920015805A (ko) 예약전화기의 회로 및 동작방식
KR970078297A (ko) 접촉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후크오프 상태의 방치를 방지할 수 있는 전화기
JPS63193760A (ja) 網接続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