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865B1 -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865B1
KR950008865B1 KR1019910010903A KR910010903A KR950008865B1 KR 950008865 B1 KR950008865 B1 KR 950008865B1 KR 1019910010903 A KR1019910010903 A KR 1019910010903A KR 910010903 A KR910010903 A KR 910010903A KR 950008865 B1 KR950008865 B1 KR 950008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utton
station port
sta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897A (ko
Inventor
에프. 벨 죤
프레드릭 죤스 데이비드
카리리 패리드
지. 쿠츠아비치 윌터
브이.루 통
알.마히다 만하
Original Assignee
에이 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토마스 스태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토마스 스태포드 filed Critical 에이 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2000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n exchange line
    • H04M9/006Exchange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3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from or to the key telephone set; signalling equipment at key telephone set, e.g. keyboard or displ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쌍의 도선에 접속되어 작동하는 TR장치, 버튼 장치 또는 이들 모두를 동시에 작동시켜 제어하기 위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의 국 포트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조건에 관련된 본 발명의 TR 장치로의 적용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출 전송장소의 국 포트로의 직접 전송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출 발신측 국 포트에 대한 설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에 대해 각각의 내선마다 호출음을 발생할 수 있는 다수내선방식(MEWPRIC)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인터럽터방지를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출신호에 의한 경보송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보 메시지로 경보의 송신개시시간을 지연시키는 설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
제9도는 팩시밀리 장애표시의 실시예를 플로우챠트 형태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 103,103-1,103-N : 국 포트
105,109,119 : TR장치 107,111,125 : 버튼 장치
113,117 : 접속 어댑터(BA) 115 : 직접 국 선택장치(DSS)
127 : 프로그램가능 제어장치 200 : 국 포트 인터페이스
201 : TR 전용선 203 : 업무전용선
205 : 전송 데이타 입력 207 : 데이타 송수신기
209 : BORSCHT(보르슈트)회로 211 : 음성대역 송수신기
213 : 음성전지 전력공급장치 215 : 호출신호 생성장치
237 : 캐패시터 239 : 보호장치
241 : 전력공급장치 245 : 과부하보호장치
본 발명은 전화교환시스템(yelephone switching systems)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 포트(a station port)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관련국장치(associated station sets)에 대해서 전화교환 제어장치 유니트를 인터페이스하는 조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교환 제어장치, 예를들면 푸시버튼 전화 시스템 제어장치(key telephone system controllers)또는 구내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s : PBX)는 현재 이용가능하고 기능적으로 강화된 소위 팁-앤드-링(다이얼)식 단말장치(tip and ring devices)(이하, "TR 장치"라 칭함)와 푸시버튼식 단말장치(key type station sets)(이하, "버튼장치"라 칭함) 모두를 동시에 인터페이스 포트에 접속하는 구성에 대해서 완전하게 호환을 이루지 못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용어 [버튼 장치] 및 [TR 장치]는 이들 기술용어의 현대적 해석에 따라서 사용되고 있다. 즉 버튼 장치는 이들 장치에서 행해지는 작동 및/또는 이들 장치가 수행할 작동에 관해서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특수 디지탈 메시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다중기능 전화단말장치 또는 단말자치형 부속장치(multifunction telephone station sets or station equipment type adjuncts)를 의미한다. TR장치는 공지된 팁-앤드-링식 단말접속장치를 의미하고, 회전 다이얼링 및 다중주파수 신호형 모두를 포함하는 표준형 가정용 전화기, 무선전화응답장치, 팩시밀리(FAX)장치 및 모뎀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판중인 일련의 전화 시스템에서는, 이들의 비호환성에 관계없이, 단일 포트로의 접속구성에 있어서 버튼전화장치 및 TR장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버튼 장치만이 제어 장치(control unit)에 의해 완전하게 작동되고, TR장치에는 제어장치로부터 경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접속된 TR장치는 호출의 실행 및 필요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게다가, 구성된 버튼 장치 및 TR장치가 공유하는 음성 대역 통신매체(voiceband communication medium)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상황에서 현저한 결점이 존재한다. 예를들면, 기능이 향상된 전화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포트로 회송되는 호출에 대해 무선 전화응답장치로 대응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포트 또는 특수 어댑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버튼 장치에 모뎀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호출을 버튼 장치로부터 수동 다이얼링에 의해 실행할 필요가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모뎀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버튼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정보(voice information)에 의해서 손상될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다. 또한 이같은 종래 시스템에서는 어떠한 구성에 있어서도 펄스(회전)형식의 다이얼 작동을 TR장치의 것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국 포트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버튼 장치와 적어도 1개의 TR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장치 전화 시스템 제어장치의 적어도 1개의 국 포트에 본 발명의 독특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어떠한 특수외부회로나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종래기술에 의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 특수한 장치에 의해서, 동일한 국 포트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버튼 장치 및 적어도 1개의 TR장치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불필요한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작동시킬 수 있다.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특수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는 국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TR장치만을 호출하던가, 국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버튼 장치만을 호출하던가, 또는 국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TR장치와 버튼 장치 모두를 동시에 호출하던가를 결정하는 장치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전에는 얻을 수 없었던 기능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적인 기능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외부조건에 관련하여 특정한 단말을 호출할 수 있고, 호출을 전송장소에 직접 전송할 수 있고, 동일 국 포트에 접속된 다른 단말장치를 호출할 수 있으며, 착신에 대해 독립적인 내선마다 호출음을 발생할 수 있는 다수내선방식(MEWPRIC : Multiple Extension With Personal Ringing on Incomming Calls)을 채용할 수 있고, 즉 같은 단일 국 포트를 공유하는 TR장치와 버튼장치가 상이한 단말 어드레스의 할당을 받는 파티라인(Party line) 형식을 채용하고, 버튼 장치에 의한 TR장치전화로의 인터럽터를 방지하고, 호출음 발생의 시간적 위상조정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며, 또 픽시밀리의 장애 표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에 있어서는 국 포트에 제1의 한쌍의 도선, 즉 TR 전용성에 TR 루프전력을 공급하고 TR 호출전압(호출신호)을 제어하여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이들 제1의 한쌍의 도선을 통해 음성대역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장치(transceiver) 및 제1의 한쌍의 도선으로부터 적어도 사전설정된 양의 루프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가 제어장치 국 포트 인터페이스(control unit station interface)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국 포트 인터페이스에는 제2의 한쌍의 도선, 즉[업무전용선]을 통해 양방향으로 감시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장치를 더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버튼 장치에 이용되는 작동 전력(operating power)이 제2의 한쌍의 도선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국 포트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는 동일한 국 포트에 동시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버튼 장치, 적어도 1개의 TR 장치 또는 적어도 1개의 버튼 장치 및 적어도 1개의 TR장치 모두를 인터페이스하여 어떤 특수외부회로나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완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국 포트(103-1)부터 (103-N)까지 (대표적으로 부호(103)를 포함하는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닌 다른 국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는 버튼 전화 시스템 제어장치(101)에는 내장되어 있지 않다. 설명의 편의상 이들 국 포트(103)는 기능적으로 서로 동일한 것으로 한다. 종래 기술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국 포트(103)는 각각 동일 국 포트에 접속된 버튼 장치와 TR장치에 대해서, 적어도 1개의 상호적응성이 있는 버튼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는 적어도 1개의 TR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1개의 버튼 장치와 1개 이상의 TR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특수회로나 어댑터가 필요하지 않고 종래기술로 얻을 수 없었던 특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장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장치에 있어서는 이전에는 얻지 못했던 특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국 포트(103)와 호환성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버튼장치 인터페이스가 본 발명의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제546,323호에 설명되어 있다.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의 국 포트(103)중 몇몇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 장치에 접속된다. 국 포트(103-1)는 TR장치(105)에 접속된다. 버튼 전화 시스템 제어장치(101)의 국 포트(103-2)는 버튼 장치(107)에 접속된다. 동시에 국 포트(103-3)는 통상의 Y형 전화잭으로 된 접속(브리지)어댑터(BA)(113)를 통해 TR장치(109) 및 버튼 장치(111)에 접속된다. 접속 어댑터(113)는 버튼 전화 시스템 제어장치(101) 또는 버튼 장치에 직접 내장되어도 무방하고, 여기서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을 뿐이며, 대신에, 접속 어댑터를 생략하고, TR장치(109)와 버튼 장치(111) 사이를 직접적으로 병렬접속해도 무방하다.
직접 국 선택장치(DSS)(115)는 버튼 장치용 강화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선택적 접속 어댑터(BA)(117)를 경유하여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의 국 포트(103-N)에서 접속되고 동일 제어장치에 의해서 제어된다. 선택적 접속 어댑터(117)를 사용한 경우, TR장치(예를들면 TR전화기)(119)도 직접국선택장치와 병렬로 접속가능하다. 제1도에는 선택적 직접국선택장치(121) 및 (123)이 직접국 선택장치(115)에 종속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속적으로 버튼 장치(125)가 직접국 선택장치(115)를 경우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장치의 조합이나 국 포트의 할당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이 가능하다.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의 전반적인 작동조정은 모든 필요한 제어기능이 내장된 프로그램가능 제어장치(programmable control unit)(127)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 제어기능은 국 포트장치가 취한 행동에 대한 응답, 버튼 전화 시스템 제어장치(101)를 경우하여 송신된 호출의 설정, 다양한 톤의 적용제어 및 어떤 국 포트에 경보를 출력해야 하는지 그리고 경보를 위해 어느 방법을 이용해야 하는가 등을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튼 전화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가능 제어장치는 공지된 것으로, 통상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본을 두고 있다.
중앙국선포트(129-1∼129-M)는 공중변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호출을 실행할때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의 중앙국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국선포트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고, 중앙 국선포트(129)는 그 일 예에 불과하다.
국 포트 인터페이스(2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의 국 포트(103)(제1도 참조)는 각각 접속되는 전력 및 통신전송에 적어도 4개의 도선을 이용한다. 간단히 말하면, 제1의 한쌍의 도선인 TR 전용선(201)은 호출신호, TR 루프전력 및 음성대역통신을 반송하는데에 적합하다. 또한 이들 신호의 모두를 반드시 동시에 반송할 필요는 없다. 제2의 한쌍의 도선인 업무전용선(203)은 양방향의 감시 및 제어신호의 반송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 TR 장치용 작동전력도 업무전용선(203)을 통해 공급된다. 이 경우에도 이들 신호의 모두를 반드시 동시에 반송할 필요는 없다. 또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는 음성 대역통신 목적으로 버튼 장치로 국 포트에 있어서의 TR 전용선(201)으로의 액세스를 특수감시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이들 메시지는 데이타 송수신 장치(207)의 전송데이타 입력단말에 공급되고, 최종적으로 업무전용선(203)을 경유하여 버튼 장치에 전송된다. 그 밖의 다른 예를들면 한쌍 또는 세 쌍의 적용예에 있어서도, 그들이 적어도 1개의 버튼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는 적어도 1개의 TR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1개의 버튼 장치와 1개 이상의 TR 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면, 명백하게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도에 전지전력공급, 과전압방지, 호출 신호송신, 감시, 코덱([(Codec)(부호복호화기), 하이브리드 및 시험회로(기술적으로 보르슈트(BORSCHT)회로로서 당업계에 알려져 있음)](209)가 제공되고, TR장치를 작동시키는데에 필요한 TR호출신호를 공급하고 검출한다. 코덱기능은 공간 분할교환에는 불필요하며, 과전압방지 및 시험기능은 선택적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르슈트(BORSCHT)회로(209)에는 음성대역 송수신기(211), 음성전기전력 공급장치(213) 및 호출신호 생성장치(215)가 내장되어 있고, 이들은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에 의해서 제어된다. 보르슈트(BORSCHT)회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르슈트(BORSCHT)회로가 필요로하는 작동용전력은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로부터 공급된다. 작동 전력은 즉, +5V(도선(217)), 접지(GND)(도선(219)), -5V(도선(221)), -48V(도선(223)) 및 -200V(도선(225))를 포함하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튼 장치에 송신되는 음성대역신호는 음성송신(TRANSMIT VOICE)입력(227)에 공급된다. 또한, 도선(229)의 [접속차단(DISCONNECTION)]신호에 따라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는 음성전지 전력공급장치(213)로 TR 전용선(210)에 대한 루프전류의 접속 및 차단을 제어한다. 그 결과,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는 TR장치에 원격차단신호를 생성 및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국 포트(103)에서 TR 전용선(201)으로 호출신호를 투입하는 것은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로부터 공급되는 호출 온 신호(231)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된 국단말장치로부터 송쇤되 다주파신호음(multi-frquenncy signalling tones)을 포함하는 음성대역통신은 [음성수신]출력 신호(233)를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에 보르슈트회로(209)에 의해서 공급된다. 국 포트(103)에서 호출상태에 따라서, 이 신호는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내에서 다른 국 포트(103)로 전환되어도 무방하고, 다주파수 톤 검출장치에 공급하여 톤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정보를 추출하여, 푸시버튼의 누르는 순서대로 복호화를 실행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TR 전용선(201)은 TR장치에서의 경보와 버튼 장치 또는 TR장치에 의한 음성대역통신 모두에 이용된다.
보르슈트 회로(209)는 국 포트(103)(제1도 참조)의 각각에 대해서 감시기능을 행하고, 그 출력신호 DP를 도선(235)을 경유하여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로 전송하며, 이것에 의해서, 적어도 사전설정된 최소 루프전류값이 보르슈트 회로(209)로부터 TR전용선(201)에 의해서 인출되어 있는 것이 표시된다.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된 각 버튼 장치는 사전설정된 최대 전류값을 TR 전용선(20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버튼 장치에 의해서 인출되는 사전설정된 최대전류값은 7mA이다.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된 TR장치는, 온 후크(on hook) 상태에서는 전류를 취하지 않고, 오프 후크(off hook) 상태에서는 TR 전용선(210)으로부터 사전설정된 최소 루프전류를 인출할 수도 있다. TR 장치는 인터페이스(200)와 완전히 호환가능한 버튼 장치보다도 많은 루프전류를 취한다. 만일 인터페이스(200)가 검출하는 사전 설정된 최소전류가 버튼 장치가 취하는 사전 설정된 최대값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면, 버튼 장치가 루프전류를 인출했을때 도선(235)상의 출력 DP가 틀린 것으로 판단된다. TR장치는 오프 후크상태시 TR 전용선(2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전류만을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버튼 장치가 TR전용선(201)으로부터 인출되는 전류량을 검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TR전용선(201)으로부터 인출되는 전류가 단 1개의 국 포트(103)에 접속된 버튼 장치가 인출하는 최대전류보다 클 때에만 도선(235)상에 출력신호 DP를 발생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적절한 전류값을 선택하여 실시한 경우에, 도선 노드점(235)상의 출력신호 DP의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에서 TR펄스신호(스위치 후크상태 및 회전식 다이얼)를 검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전류값은 10mA이다.
데이타 송수신기(207)와 캐패시터(237)에 의해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로부터의 데이타가 업무전용선(203)과 양방향으로 결합된다. 사용되는 데이타 신호송신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통신을 행하는 원격 버튼장치에서 대응하는 데이타 송수신기를 이용하고 있는 것과 정합을 이루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타 패킷이 소위 핑퐁(ping-pong)방식으로 송신된다. 또한, 각각의 데이타 패킷은 24비트로 구성되고, 초기 16비트는 감시 및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실제 정보이고, 나머지 8비트는 초기 16비트의 정보에 따라서 사전설정된 방법으로 계산한 검사합계이다. 16비트의 메시지는 각각 1개만의 검사합계만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타 패킷은 그것에 포함되는 8비트의 검사합계가 패킷 정보의 16비트에 대응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16비트 각각의 패턴은 명령, 상태 표시부 또는 그 밖의 정보로 기능 강화를 위해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와 버튼 장치 사이에서 반송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구성되도록 사전에 정의된다. 일 예로서, 패킷 0000000000000010100010100은 버튼 장치가 사전설정된 경보음(alerting tone)을 발생해야 하는 것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메시지의 정보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예에 이용된 데이타 신호는 미합중국 특허 제4,454,383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일치한다. 물론, 그 밖의 신호방법도 메시지를 실은 것이면, 사용해도 무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설정된 감시 및 제어 메시지의 조합중의 하나는, 버튼 장치에 경보를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또한, TR 전용선(201)의 상태 또는 거기에 나타나는 신호와는 관계없이, 적어도 이 경보 메시지의 조합은 국 포트(103)의 1개를 경유하여 버튼 장치에 대한 송신용으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로부터 공급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쌍의 메시지가 TR전용선(201)을 통해 버튼 장치에 의한 음성 대역신호의 송수신 제어용으로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제1의 메시지는 버튼장치에 음성대역통신이 불가능하다는 지시표시를 나타낼 것이고, 제2의 메시지는 버튼 장치에 음성대역통신의 송신이 가능하다는 지시표시를 나타낼 것이다. 마찬가지로, 음성대역통신의 수신가능의 여부를 표시하는 메시지도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쌍의 메시지에서는 버튼 장치를 고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음성대역통신 신호에 관하여 TR전용선(201)으로부터 버튼 장치가 분리되는 상태가 되도록 나타낼 수도 있다.
업무전용선(203)에 인가되는 DC전력이 데이타 송수신기(207)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캐패시터(237)를 제공한다. 데이타 송수신기(207)로부터 외부방향의 감시 및 제어 메시지는 캐패시터(237)를 통과하여 전송되며, 이때 캐패시터는 단자 CT 및 CR에 존재하는 수신된 감시제어 메시지를 통과시켜 데이타 송수신기(207)에 전송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보호장치(239)를 제공하고, 단자 CT 및 CR에 존재할 수 있는 과도적 고전압으로부터 데이타 송수신기(207)를 보호한다. 본 예에서, 보호장치(239)는 어떠한 신호도 그의 정격 값으로 억제되도록 구성된 제너 다이오드(214-T 및 214-R)로 구성된다.
전력공급장치(power feed uit)(241)는 AC신호, 즉 감시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타 신호의 전송을 차단하지만, 직류신호, 즉, 작동전력이 업무전용선(203)을 통해 원격버튼장치로 흐르는 것은 차단하지 않는다. DC전력은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로부터 국 포트에 공급되며, 본 예에서는, 도선(223)상의 -48V 및 도선(219)상의 접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공급장치(241)에는 공지된 정전류 구동자치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00)의 다른 특징은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의 국포트(103)(제1도 참조)의 각각에서, 원격버튼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인가 및 제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이다. 본 예에서는 전력공급장치(241)의 제어입력[전력 온](도선 (243))을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가 이용되고, 전력공급장치(241)로부터 업무전용선(203)으로의 실제 전력공급을 제어한다. 이러한 전력제어는 시동시 국 포트(103)의 각각에 대한 전력의 인가 및 제거를 제어하여, 과대한 시동전력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인가 제어능력에 따라 버튼 장치가 최초로 전력공급을 받았을때와 같이 스스로를 초기화시키도록 하는 능력도 얻어진다. 이같은 능력은 유효 메시지에 예기된 방법으로 응답하지 않은 버튼 장치를 다시 시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사전설정된 기간동안 주기적인 전력공급의 온/오프 사이클은 일반적으로 버튼 장치에 설치된 전력 온 리세트장치에 의해서 검출되며, 이 리세트 장치는 리세트 표시신호를 생성하여 내부의 제어회로로 전송하고, 버튼 장치를 재시동시킨다.
전력공급장치(241)에는 선택적 과부하 보호장치(optional overload protection unit)(245)가 내장되어 있고, 이 과부하 보호장치는 내장되어 있는 장소의 국 포트로부터 과도한 전력이 인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과도한 전력의 인출이 검출되면, 선택적 과부하 보호장치(245)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전력공급장치(241)의 업무전용선(203)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시킨다. 그런 다음, 사전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후에 전력이 제공급된다. 선택적으로 (도선(247)상의) 출력 OL을 인터페이스(200)로부터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에 공급하여 과부하상태가 발생되었다는 신호를 표시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그 신호를 수신하여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가 (도선(243)상의 입력신호[전력 ON]를 사용하여 전력을 제공급할 수도 있다. 과잉전력량은, 예를들면, 단락회로조건(short circuit condition)하에서 인출해도 무방하다.
인터페이스(200)를 포함하는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내의 국 포트(103)의 기능으로서는, TR 전용선(201)에 공급된 호출신호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경보는 전송할 수 있고, 또는 버튼 장치용인 업무전용선(203)상에서 경보를 표시한 메시지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경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호출신호와 메시지 모두를 이용하여 동시에 경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국 포트(103)에서의 버튼 장치의 음성대역통신에 대한 액세스를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점으로부터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에 사용자를 위한 새로운 특징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추가기능은 TR전용선(201)에 공급된 호출신호에 의해서만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 또는 버튼 장치용인 업무전용선(203)상에서 경보를 표시하는 메시지에 의해서만 경보를 전송할 것인지, 또는 호출 신호와 메시지 모두를 이용하여 동시에 경보를 전송할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경보를 전혀 전송하지 않을 것인지 등의 판단이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중의 프로그램가능 제어장치(127)에서 구현된다. 프로그램가능 제어장치(127)에 의한 판단과, 장치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서 기능하는 작동 내용이 결정된다. 특정한 국 포트(103)에 있어서는 기능사용에 앞서 기능작동용인 파라미터 및 사양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추가 기능으로서는 외부조건에 관련하여 특정한 단말의 호출이 가능하고, 호출을 전송국 포트에 직접 전송할 수 있고, 동일 국 포트에 접속된 다른 단말장치를 호출할 수 있으며, 착신에 대해서 독립적인 내선마다 호출음을 발생할 수 있는 다수내선방식(MEWPRIC)을 채용할 수 있고, 즉 같은 단일 국 포트를 공유하는 TR장치 및 버튼 장치가 상이한 단말 어드레스의 할당을 받는 파티라인 형식을 채용하고, 버튼 장치로 TR장치 전화로의 인터럽터를 방지하고, 호출음발생의 시간적 위상조정에 의해 다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며, 또 팩시밀리의 장애 표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장치에서의 경보를 방지 또는 지연시키고 싶을때에는, 통상 송신되는 가청경보를 지시하는 메시지가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서는, 버튼 장치에 제공된 조명식 상태표식에 의해서, 국 포트(103)에서 최신의 경보상황이 반영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외부조건에 관련하여 특정한 단말을 호출할때에는,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의 외부인터페이스, 예를들면, 중앙 국선포트(129)의 사전결정된 조건, 예를들면, CNG(CalliNG)음(호출음) 또는 중앙국 특수호출 패턴 등이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리고, 그같은 조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그에 응답하여, 특정한 종류의 국, 예를들면, 버튼 장치만, TR장치만, 또는 버튼 장치 및 TR장치 모두가 또는 1개 몇개의 국 포트(103)에서 경보를 수신한다. 예를들면, CNG 음이 중앙국(CO)선 포트(129-1)에서 검출되면, 중앙국(CO)선 포트(129-1)에서 수신된 CNG 음의 검출에 응답하는 FAX 서비스용으로 특별히 프로그램된 국 포트(103)만이 경보를 수신한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된 국 포트(103)에 있어서의 경보는 TR 전용선(201)에 대한 호출신호에 의해서만 발해진다. CNG 음은 1100Hz 음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비언어 호출장치를 표시하는 음이며, 이 음은 0.5sec 동안 온, 3sec 동안 오프이고, 적절한 응답의 수신 또는 시간이 종료될때까지 계속된다. 대신에, 어느 중앙국(CO)선 포트(129)에서 2개의 짧은 호출음과 1개의 긴 호출음이 검출된 경우는, 상사와 비서로 이루어진 팀 내에서 상사측의 호출이라고 판단한다. 만일 상사와 비서가 동일한 1개의 국 포트(103)를 공유하고, 상사가 버튼 장치를 사용하고, 비서가 TR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업무전용선(203)에서만 경보가 송신된다. 다른 예로서, 중앙국(CO) 선 포트(129)중 1개에서 표준적인 호출음이 검출되면, 호출신호 및 경보 메시지 모두가 전송된다.
이러한 특징적인 기능의 일 예로서, 외부조건 검출에 응답하여, TR호출신호에 의해서만 호출 결정을 표시하는 과정이 제3도의 플로우챠트에서 설명된다. 특수기능의 실제작동에 앞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는 특정한 사전설정된 외부조건 E에 응답하는 수개의 국 포트(103)가 G그룹에 포함되도록 프로그램된다. 본 예에서는 외부조건이 검출되면,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는 G그룹에 포함되는 국 포트(103)의 TR장치만이 경보를 수신하는데, 이것은 이들 선택된 국 포트(103)의 TR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공급된 호출신호에 의해서 경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만 실행된다.
사전설정된 외부조건 E가 검출되면, 루틴은 우선 스텝(301)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검출은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또는 이들 모두를 기본으로 한 것도 무방하다. 다음에, 스텝(303)에서 변수 P에 국 포트(103)의 최하위 국 포트 어드레스[PMIN]의 값이 할당된다. 다음에, 판단스텝(305)에서, 국 포트 P가 G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이 판단스텝(305)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단계(307)로 진행되어 국 포트 P의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공급된 호출신호에 의해서 경보가 전송된다. 그후, 스텝(309)으로 진행한다. 스텝(305)에서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309)로 직접 진행한다. 스텝(309)에서 P를 국포트(103)내에서 다음 순서로 되는 포트에 값을 한개 증가한다. 그후, 판단스텝(311)에서, P값이 국 포트(103)의 최상위 국 포트 어드레스 PMAX보다 큰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스텝(311)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305)로 복귀하여 국 포트 P의 현황을 테스트한다. 스텝(311)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순서는 스텝(313)의 출력으로 끝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예를들면, 다른 그룹의 국 포트가 다른 외부조건에 응답하여 버튼 장치에 메시지만으로 경보를 전송하는 등의 다른 구체적인 예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전송 국 포트로 호출을 직접 전송하는 것은, 공지된 버튼 전화 시스템의 전송작동의 새로이 확장된 작동이라 할 수 있다. 통상의 전송에 부가하여, 호출을 1개의 국 포트(103)(제1도)의 TR장치로부터 동일 국 포트의 다른 또는 동일 TR장치, 동일 국 포트의 버튼 장치만, 또는 동일 국 포트이 버튼 장치와 TR장치 모두에 호출을 전송할 수 있다. 대신에, 동일 국 포트의 버튼 장치로부터 TR장치에 호출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음성통화중에 FAX의 송수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기능의 다른 용법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 국 포트(103)에 접속된 상사와 비서 사이의 호출전송이다. 또한, 이 기술에 따르면, 큰방에서 다른 장소, 또는 다른 방에서의 장치 또는 버튼 장치로의 전송에 이용하고, 게다가 필요한 국 포트(103)의 총 갯수를 억제할 수 있다.
국 포트(103)의 전송자 국 포트로의 전송은 스위치 후크 플래시 및/또는 버튼 누름을 사전설정된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들면 최초로 버튼 장치의 전송버튼을 눌러 전송기능을 작동시키고, 선택된 전송형식, 즉, 전송자국 포트로의 전송을 의미하는 사전설정된 코드를 다이얼하면 된다. 버튼 장치에 전송된 호출은 업무전용선(203)(제2도 참조)상에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전송이 끝나는 즉시 경보할 수 있다. TR장치에 전송되는 호출의 경우는 국 포트(103)가 그 국 포트에 접속된 모든 TR장치가 호출신호가올리기 전에 후크 상태로 되는 것이 필요한 데, 이것은 큰 팝핑 잡음(popping noise)으로부터 전송자의 귀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만일 온 후크 조건이 필요한 경우, 사전설정된 기간내에 온 후크 검출을 완료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된다. 또한, 버튼 장치로부터 TR장치로 호출이 전송되는 경우,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는 사용자의 선태에 따라 업무전용선(203)을 경유하여 그 버튼 장치에 TR장치를 위한 음성대역통신 목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지시해야 한다.
제4도에는 어느 국 포트의 버트 장치로부터 동일 국 포트의 TR장치에 호출을 직접 전송하는 예가 플로우챠트로 도시된다. 진입에 앞서서, 전송가능한 호출이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에 의해서 국 포트(103)의 전송 국 포트에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호출 전송 루틴은 스텝(401)에서 시작된다. 스텝(403)에서, 사용자는 국 포트(103)(제1도 참조)중 1개에 부착된 버튼 장치의 전송 버튼을 누른다. 다음에, 스텝(405)에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에 의해서 호출은 [보류]상태로 된다. 원격가입자로부터의 음성대역신호는 이미 보르슈트 회로(209)의 음성대역 송수신기(211)의 [음성송신]입력(227)(제2도)에는 더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시스템 다이얼음이라고도 말해지고, 중앙국으로부터의 다이얼음과는 구별될 필요가 있는)[내부]다이얼음이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에 의해서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으로의 송신을 위해 [음성송신]입력에 공급된다. 이 [내부]다이얼 음은 사용자에게 돌린다. 스텝(407)에서, 사용자는 버튼 장치로부터 내선 F를 다이얼한다. 본 예에서는 내선 E는 전송 국 포트(103)에 부착된 TR장치의 내선번호이어야 한다. 통상의 전화 다이얼 방법으로 내선 E의 최초의 자릿수가 다이얼되면, 내부 다이얼음은 제거된다(즉, 더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다음에, 판단스펩(409)에서 전송 국 포트에 부착된 TR장치가 오프 후크 조건에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스텝(409)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411)으로 진행하여, 통화음이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으로의 송신을 위해 [음성송신]입력(227)에 공급된다. 이 통화음은 내부 다이얼음에 대해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공급된다. 그 다음에 스텝(413)으로 진행하며, 루틴이 종료된다.
만일 스텝(409)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는 스텝(415)으로 진행하며, 업무전용선(201)(제2도 참조)을 통해 버튼 장치에 메시지가 전송되고, 버튼 장치가 TR전용선(201)로부터의 음성대역통신용 접속을 제거하도록 지시된다. 이것은 계속되는 스텝에서 TR전용선(201)(제2도 참조)을 통해 공급되는 호출신호가 버튼 장치에서 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후 버튼 장치로부터의 음성대역통신도 전송수신측 TR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음성대역통신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계속하여, 스텝(417)에서,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공급된 호출신호에 의해서 TR장치로 경보가 전송된다. 다음에, 스텝(419)로 진행하여,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상에서 오프 후크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상에서 오프 후크가 검출되면, 판단스텝(421)으로 진행하여 이 국 포트에 부착되어 전송을 시작한 버튼 장치가 오프 후크인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만일 스텝(421)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전송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는 신호가 표시되는 스텝(423)으로 진행한 후 스텝(421)으로 복귀한다. 만일 스텝(421)의 테스트가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425)으로 진행하여, 전송호출의 보류가 해제되고, 호출의 음성대역신호가[음성송신]입력에 재접속됨으로써, 보르슈트 회로(209)의 음성대역 송수신기(211)을 경유하여 TR 전용선(201)에 접속되어, 전송수신측 TR장치에 공급된다. 루틴은 스텝(413)에서 종료되고, 제어장치는 메인 버튼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다른 전송 메카니즘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또한, TR장치로부터 버튼 장치로, 또는 TR장치로의 전송, 또는 이들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루틴의 개시에 앞서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제1도 참조)가 전송호출을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국 포트에 접속된 다른 단말장치를 호출하는 것은 전송자 국 포트로의 직접적인 전송과 유사하다. 이같은 방법으로 호출하는 일 예를 플로우챠트로 제5도에 도시한다. 본 예는 TR장치로부터 버튼 장치로의 호출이다. 진입에 앞서, 버튼 장치와 공용인 국 포트에 있어서 TR장치가 오프 후크이어야 한다.
루틴은 스텝(501)에서 시작된다. 스텝(503)에서, 내부 다이얼음이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공급된다. 오프 후크된 TR장치 사용자에게는 이 내부 다이얼음이 들린다. 스텝(505)에서, 사용자는 TR장치로부터 내선 E를 다이얼한다. 본 예에서 내선 E는 이 국 포트에 부착된 버튼 장치의 내선번호이어야 한다. 통상의 전화 다이얼 방법으로 내선 E의 최초 자릿수가 다이얼되면, 내부 다이얼음은 제거된다(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다음에, 판단스텝(507)에서, 이 국 포트에 부착된 버튼 장치가 오프 후크인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스텝(507)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509)으로 진행하며, 루틴이 종료된다. 만일 이 버튼 장치가 오프 후크로 되었을 때에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의 음성대역통신으로 액세스된 경우는 TR장치와 버튼 장치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만일 스텝(507)의 테스트의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는 스텝(511)으로 진행하여, 업무전용선(203)(제2도 참조)을 통해 적절한 경보 메시지를 공급함으로써 버튼 장치가 경보를 수신한다. 다음에, 스텝(513)으로 진행하여, 버튼 장치가 오프 후크로 될 때까지 대기한다. 버튼 장치가 오프 후크로 되면, 스텝(515)으로 진행하여 업무전용선(203)(제2도 참조)을 통해 버튼 장치에 CONNECTVP 메시지를 전송하고, TR 전용선(201)을 통해 음성대역통신을 위한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지시된다. 따라서, TR장치와 버튼 장치 사이에 음성대역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루틴은 스텝(509)에서 종료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기능작동코드(feature activation code)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코드를 입력하면, (TR장치가 모드 온 후크인지, 사전설정된 기간내에 온 후크로 된다면)동일 국 포트(103)에 부착된 다른 모든 장치에 자동적으로 경보가 전송된다.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TR장치와 버튼 장치에 경보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TR장치, 버튼 장치가 독립적으로 또는 그들의 조합을 위해 각 국 포트(103)에 개별적인 단말점 어드레스를 할당할 수 있다. 이 다중할당 배열(multiple assignment arrangement)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MEWPRIC 조작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것에 따르면, 국 포트(103)의 각각에 대한 특정한 분류장치(TR장치, 버튼 장치 또는 모두)에 대해서 호출이 가능하다. 국 포트(103)의 다른 장치로부터의 발신자는 다이얼중에 목적하는 장소의 국 포트의 TR장치의 단말점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국 포트(103)의 목적 국 포트의 TR장치만 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가령 버튼 장치가 국 포트에 접속되어 있어도, 예를 들면 시스템내의 국 포트(103)중 어느 국 포트로부터도 직접 호출할 수 있고, 팩시밀리 장치, 동일 국 포트(103)의 단독 TR장치를 호출할 수 있다. 대신에, 국 포트(103)의 장치로부터의 발신자는 다이얼 중에 목적하는 장소의 국 포트의 버튼 장치의 단말점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국 포트(103)의 목적 국 포트의 버튼 장치만 호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국 포트(103)의 다른 국 포트로부터의 발신자가 TR장치와 버튼 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단말점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목적 국 포트중 어느 장치도 호출할 수 있다. 즉,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과 업무전용선(203) 모두에 경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제안으로서(당업계에 공지된)직접 내부 시스템 액세스(DISA)와 상기한 MEWPRIC 조작을 조합함으로써, 상대의 정확한 단말점 어드레스를 알고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호출 발신자가 특정한 목적 국 포트에서의 교신희망장치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MEWPRIC 조작의 예가 제6도의 플로우차트로 도시된다. 국 포트(103)(제1도 참조)의 각 국 포트에는 E(X,Z)의 함수 형태로 표시되는 3개의 사전설정된 내선전화번호가 할당된다. X는 국 포트(103)중 1개의 국 포트의 번호에 대응하는 값을 취하는 함수, 즉, 1부터 N까지의 값을 취하는 변수이다. 따라서, 국 포트(103-X)는 특정한 순간에 X의 값에 대응하는 국 포트이다. Z는 송신하는 경보의 형식을 나타내는 함수로서, Z의 수 1은 TR장치에만 대응하고, Z의 수 2는 버튼 장치에만 대응한다. 또, Z의 수 3은 TR장치와 버튼 장치 어디에도 대응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결정되는 맵핑기능은 내선 E(X,Z)가 제공된 경우에 X 및 Z의 값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부터 얻어지고, X 및 Z의 값이 제공된 경우에 내선 E(X,Z)의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맵핑의 일 예는 탐색표로부터 구현할 수 있다. 맵핑기능 및 그 구현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다. 제6도를 참조하면, 루틴은 국 포트(103)중 하나의 국 포트, 본 예에서는 국 포트(103-A)(제1도 참조)에서 오프 후크가 검출되었을 때에, 스텝(601)에서 시작된다. 스텝(603)에서, 국 포트(103-A)의 사용자는 E의 값을 갖는 내선을 다이얼한다. (A)는 상수이고, 사용자가 거기서부터 호출하고 있는 국 포트(103)중 한 국 포트의 번호에 대응한다. 다음에, 판단스텝(605)에서, E=E(A, *)인지 여부를 테스트하며, 여기서, *는 상기 등호가 참이되도록 그 같은 테스트를 충족시키기 위해 변수의 어떠한 값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스텝(605)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609)으로 진행하여, 국 포트(103-A)의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통화음을 공급한다. 그후, 루틴은 스텝(611)에서 종료된다.
만일 스텝(605)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607)으로 진행하여, 변수 X가 시스템내의 제1의 국 포트의 번호에 대응하는 값으로 할당된다. 다음에, 판단스텝(613)으로 진행하여, E의 값이 E(X,1)과 같은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스텝(613)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615)이로 진행하여, 그 국 포트의 TR 전용선(201)(제2도)에 호출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국 포트(103)의 X에 대응하는 국 포트 즉, 국 포트(103-X)에 경보를 전송한다. 루틴은 스텝(611)에서 종료된다. 스텝(613)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판단스텝(617)으로 진행하여, E의 값이 E(X,2)와 같은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스텝(617)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619)으로 진행하여, 국 포트(103-X)의 업무전용선(203)(제2도 참조)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므로써, 국 포트(X)에 경보를 전송한다. 루틴은 스텝(611)에서 종료된다. 스텝(617)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판단스텝(621)으로 진행하여, E의 값이 E(X,3)와 같은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만일 스텝(617)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623)으로 진행하여, TR장치와 버튼장치 모두에 경보를 전송한다. 국 포트(103-X)의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호출신호를 공급하고, 국 포트(103-X)의 업무전용선(203)(제2도 참조)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실생한다. 루틴은 스텝(611)에서 종료된다. 만일, 스텝(621)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판단스텝(625)으로 진행하여, 또 다른 테스트할 국 포트가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만일 스텝(625)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627)으로 진행하며, TR 전용선(201)(제2도)에 에러 음(error tone)을 공급하여, 이 에러 음을 국 포트(103-A)의 사용자가 들을 수 있다. 루틴은 스텝(611)에서 종료된다. 만일 스텝(625)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629)으로 진행하여, X에 국 포트(103)중 다음 국 포트의 값을 할당한다. 다음에, 판단스텝(613)으로 복귀한다.
버튼 장치에 의한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을 통한 음성대역통신으로의 액섹스를 버튼 전화시스템제어장치(101)가 제어할 때 버튼 전화시스템 제어장치(101)로부터의 세시지는 TR장치와 이미 진행중인 회화에 버튼 장치가 인터럽터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는 하나의 방법은 호출에 앞서, 또는 호출중에, 호출 마다 작동시키는 방법이다. 대신에, 그 같은 기능이 하나의 국 포트에 있어서 항상 작동중이 되도록 프로그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기능의 한 사용방법은 팩시밀리 장치가 접속된 버튼 장치에서 오프 후크로 됨으로써 팩시밀리 통신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버튼 장치에 의한 송신을 방지하는 것 외에, 프라이버시 및 도청방지를 위해, 버튼 장치에 의한 수신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에 대한 인터럽터 방지의 실시예가 제7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다. 이러한 구성의 실제 작동에 앞서, 인터럽터 방지 대상이 되는 국 포트(103)를 사전에 지정해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전지정은 사용자의 고객 프로그래밍으로 실행해도 무방하고, 사전설정된 디폴트 방식으로 공급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기능은 국 포트(103)중 1개의 포트의 버튼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프 후크 메시지의 검출시 작동되며, 루틴이 스텝(701)에서 시작된다. 그후, 판단스텝(703)에서, 인터럽트 방지기능이 이 국 포트에서 작동되는지 여부를 테스트 한다. 만일 스텝(703)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705)으로 진행하여, CONNECTVP메시지를 버튼 장치에 전송한다. 이 CONNECTVP 메시지는 TR 전용선 (201)(제2도 참조)을 통해 음성대역통신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버튼 장치에 지시한다. 다음 루틴은 스텝(707)에서 종료된다. 만일 스텝(703)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판단스텝(709)으로 진행하여, 국 포트에서 TR장치가 오프후크인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만일 스텝(709)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705)으로 진행하여, CONNECTVP 메시지를 버튼 장치에 전송하며, 루틴은 수텝(707)에서 종료된다. 만일 스텝(709)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루틴은 스텝(707)에서 종료되고, CONNECTVP 메시지는 버튼 장치에 전송되지 않는다. 그 결과, 버튼 장치는 TR 전용선(202)(제2도 참조)으로부터 분리되어 버튼 장치와의 음성대역통신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가능 제어장치(127)가 갖는 다른 기능은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을 통해, 또는 업무전용선(203)(제2도 참조)을 통해 또는 모두를 통해 경보 지연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두를 동일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경우는, 결과적으로 종래의 호출지연기능과 동일하다.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을 통해 호출을 지연시키고, 버튼 장치의 호출을 받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 설정된 횟수의 호출 후에 어느 누구도 호출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는,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은 호출신호로서 경보를 전송하기 시작하고, 무선전화응답장치가 응답하게 된다. 대신에, 국 포트(103)에 접속된 상사와 비서와의 조합의 경우에는, 호출 스크린 시스템(a call sereening system)이 제공되는 것도 있다. 이 경우, TR장치로 비서의 전화기가 바로 스크린되도록 프로그램된다. 늦게 울리는 것이 상사 쪽의 전화이다. 걸려오는 전화는 우선 비서의 전화기가 울리어 비서가 받고, 상사는 일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호출을 스크린에 나타낸다. 비서가 자리에 없을 때에 걸려오는 호출은 사전설정된 지연시간 후, 상사의 전화기를 울리어 상사가 응답하도록 한다.
제8도에는 버튼 장치만으로 호출을 지연시키는 실시예가 플로우챠트로 설명된다. 국 포트(103)중 하나의 포트에서 본 기능을 작동시키기 전에, 이러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장치에 대해 사전에 지정해 둘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이러한 지정 역시 사용자의 고객 프로그램에 의하던지, 디폴트 방식으로 사전설정 및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지연시간 D를 호출 사이클의 횟수로 계산하여 사전에 프로그램해둘 필요가 있다. 이 기능은, 이 기능이 프로그램에 두는 특정한 국 포트, 본 예에서는 (103-P)에 호출이 걸려 왔을 때에 작동된다. 루틴은 우선 스텝(801)에서 시작된다. 스텝(803)에서, 이미 지연된 호출 사이클 시간 T가 영(zero)으로 초기화된다. 다음에, 스텝(805)에서, 국 포트(103-P)의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1사이클의 호출 신호를 공급하여 국 포트(103-P)의 TR장치에 경보를 전송한다. 그 후 판단스텝(807)에서, T가 D 이상인지를 테스트한다. 만일 판단스텝(807)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809)으로 진행하여, 1사이클의 경보메시지로서 버튼 장치에 경보를 전송한다. 다음에, 판단스텝(811)으로 진행한다. 만일 판단스텝(807)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직접 판단스텝(811)으로 진행하여 TR장치 또는 버튼 장치에 의해서 국 포트(103-P)가 오프 후크상태로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만일 스텝(811)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813)으로 진행하여, T를 증가시키고, 스텝(805)으로 복귀하여 경보를 재전송한다. 만일 스텝(811)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815)으로 진행하여, 국 포트(103-P)에서 모든 경보를 중지시킨다. 루틴은 스텝(817)에서 종료된다.
팩시밀의 장애 표시는, 프로그램가능 제어장치(127)의 다른 하나의 새로운 기능이다. 국 포트(103)중 하나의 포트는 팩시밀리 국 포트로서 프로그램된다. 팩시밀리 국 포트로의 호출은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상의 오프 후크 신호 표시로 응답할 필요가 있다. 만일 호출이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의 오프 후크 신호 표시로 응답하지 않는 경우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국 포트에 조명 표시 또는 가청 표시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팩시밀리 장치와 동일한 LED 표시가 버튼 장치에 출력된다. 또한, 사전설정된 조건에 응답하여 국 포트(103)중 프로그램된 포트로 지정된 시간내에 온 후크가 기대되면, 국 포트(103)에 가청 음이 제공된다.
제9도에는 팩시밀리 장애 표시의 실시예가 플로우챠트로 도시된다. 본 기능의 작동 대상이 되는 국 포트를 사전에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애 표시를 받는 국 포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루틴은 팩시밀리 장애 표시를 지정하고 있는 구 포트에 호출이 출력되었을 때에, 스탭(901)에서 시작된다. 스텝(901)에서, 경과한 호출횟수 시간 R이 영으로 설정된다. 스텝(905)에서, TR 전용선(201)(제2도 참조)에 공급된 호출 신호를 통해 경보가 1사이클 전송된다. 다음에, 판단스텝(909)으로 진행하여, 국 포트에서 TR장치가 오프후크로 되었는지를 테스트한다. 만일 스텝(909)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911)으로 진행하여, 모든 경보를 중지한다. 만일 스텝(909)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판단스텝(915)으로 진행하며, 경과한 호출 사이클 수 R이 장애 표시전의 최대허용 호출횟수인 RMAX 보다 큰지를 테스트한다. 스텝(915)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917)으로 진행하여, N을 증가시키고, 스텝(905)으로 복귀하여 다시 경보를 출력한다. 만일 스텝(915)의 테스트 결과가 "예"이면, 스텝(919)으로 진행하여, 사전설정된 조명 또는 음에 의한 표시를 사전에 지정한 국 포트(103)에 인가함으로써, 국 포트(103)중 사전지정된 포트에 팩시밀리 장애 표시를 제공한다. 루틴은 스텝(913)에서 종료된다.

Claims (29)

  1. 버튼 시스템 제어 장치(a switching system control unit)(101)의 국 포트(a station port)(103) 인터페이스에서 한 쌍의 도선(a conductor pair)(201)을 통해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a plurality remote station units)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버튼 장치(a key set)(107,111,125)가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되는 것에 관계없이 TR장치(105,109,119)를 작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모든 신호를 공급하는 제1공급 수단(209); 상기 TR장치(105,109,119)가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되는 것에 관계없이 상기 버튼 장치(107,111,125)를 작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모든 신호를 직접 공급하는 제2공급 수단(207,237,239,241)을 포함하고, 상기 TR장치(105,109,119)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든 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제 1 공급수단 (209)과 상기버튼 장치 (107,111,125) 를 자4동시키기 위한 모든 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국 포트(103)가 상기 TR장치(105,109,119) 및 상기 버튼 장치(107,111,125)에 적어도 경보를 개별적 또는 동시에 송신하던지, 전혀 송신되지 않도록 상기 신호들을 개별적이고 동시에 제어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한 쌍의 도선(201)을 통해 음성 대역 통신(voice band communication)을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2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R장치(105,107,119)를 작동시키기 위해 모든 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수단(209)은 팁-앤드-링 호출 신호를 상기 제1의 한 쌍의 도선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R장치(105,109,119)를 작동시키기 위해 모든 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수단(209)은 팁-앤드-링 루프용 전력을 상기 제1의 한 쌍의 도선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107,111,125)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해 모든 신호를 직접 공급하는 상기 제2공급 수단은 제2의 한 쌍의 도선(203)에 대하여 감시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2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한 쌍의 도선(203)에 대해 버튼 장치(107,111,125)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여 실행하기 위한 수단(2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스템 제어장치는, 상기 국 포트(103)에 경보를, 호출 신호를 공급하는 것만에 의해 송신하는가, 경보 메시지를 공급하는 것만에 의해 송신하는가, 호출 신호 및 경보 메시지 모두를 동시에 공급하여 송신하는가, 또는 전혀 송신하지 않는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1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241)은 상기 제2의 한 쌍의 도선(203)으로부터 공급되는 유효한 감시 및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241)은 공급된 상기 전력량에 따라서 상기 전력량이 사전설정된 임계량을 초과하면 상기 전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수단(245)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은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재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127)은 사전설정된 검출가능한 외부조건(predetermined detectable external events)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127)은 상기 버튼 시스템 제어장치(101)의 호출 전송 메카니즘에 따라서 상기 국 포트(103)에서 기설정된 호출을 직접 상기 국 포트(103)로 전송하여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127)은 상기 버튼 시스템 제어장치의 호출 배치 메카니즘에 따라서 상기 호출 국 포트(103)로부터의 새로운 호출을 상기 호출 국 포트(103)에 직접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127)은, 상기 국 포트(103)를 위해 특정된, 상기 국 포트(103)를 식별하는 단말점 어드레스 세트의 한 구성요소인 특정 단말점 어드레스에 따라서, 상기 세트의 특정 단말점 어드레스 각각이 상기 국 포트(103)에 발생 및 공급될 특정 형식의 경보를 부호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127)은, 상기 국 포트(103)에 대한 사전설정된 선택에 따라서, 경보 메시지에 의한 경보의 송신 개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호출 신호에 의한 경보의 송신 개시를 지연시키는 설정을 실행하거나, 또는 호출 신호에 의한 경보의 송신 개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보 메시지에 의한 경보의 송신 개시를 지연시키는 설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127)은 또, 상기 지연에 대해 사전선택된 지연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지연 설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127)은 또, 사전설정된 단일 경보 형식에 의해 상기 국 포트(103)에서 경보를 발신하는 호출에만 응답해서 상기 국 포트(103)가 경보를 발신하도록한 사전설정에 응답하며, 상기 버튼 시스템 제어장치(101)는 상기 국 포트(103)에 송신된 호출이 상기 사선설정된 단일 경보 형식에 응답할 수 있는 형식의 국 장치(105,107,109,111,119,125)에 의해 사전설정된 기간내에 응답되지 않음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227,211,205,20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R장치(105,109,119)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제1공급 수단(209)과 상기 버튼 장치(107,111,125)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제2공급수단(207)이 상기 결정 수단(127)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의 한 쌍의 도선(201)으로부터의 상기 버튼 장치(105,10,119)내의 모든 음성 대역 전송능력이 상기 버튼 장치(105,109,119)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도록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국 포트(103)에 접속된 상기 버튼 자이(5,109,119)에 공급하는 수단(20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의 한 쌍의 도선(201)으로부터의 상기 버튼 장치(105,109,119)내의 모든 음성 대역 수신능력이 상기 버튼 장치(105,109,119)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도록한 메시를 생성하여 상기 국 포트(103)에 접속된 상기 버튼 장치(105,109,119)에 공급하는 수단(20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1. 버튼 시스템 제어장치(101)의 국 포트(103) 인터페이스에서 한 쌍의 도선(201)을 통해 여러개의 원격국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버튼 장치(107,111,125)가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되는 것에 관계없이 TR장치(105,109,119)를 작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모든 신호를 공급하는 제1공급수단(209); 상기 TR 장치(105,109,119)가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되는 것에 관계없이 상기 버튼 장치(107,111,125)를 작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모든 신호를 직접 공급하는 제2공급 수단(207,237,239,241)을 포함하고, 상기 TR장치 (105,109,119) 및 상기 버튼 장치(107,111,125)에 의해 상기 버튼 시스템 제어장치(101)로 송신되는 모든 신호를 동시에 수신(211,213,221,233,205,207)하고 개별적으로 응답(127)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수단을 상기 제1의 한 쌍의 도선(201)에 적어도 사전설정된 양의 루우프 전류(22)가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3. 버튼 시스템 제어장의 국 포트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한 쌍의 도선을 통해 여려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버튼 장치가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되는 것에 관계없이 TR장치를 작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1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제1신호공급수단과, 상기 TR장치가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되는 것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장치를 작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2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제2신호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 (i)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이 제1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경보 신호 및 상기 제2경보 신호의 각각의 1개의 신호를 공급하며, (ii)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중 사전설정된 1개의 수단만이 제2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경보 신호 및 상기 제2경보 신호의 각각의 1개의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중 어느 수단도 제3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경보 신호 및 상기 제2경보 신호의 각각의 1개를 공급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은 사용자 초기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작동 모드 또는 상기 제2작동 모드로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은 상기 TR장치나 상기 버튼 장치중 사전설정된 하나의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초기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은 사용자 초기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작동 모드, 상기 제2작동 모드 또는 상기 제3작동 모드로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은 상기 TR장치 또는 상기 버튼 장치중 사전설정된 하나의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초기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작동 모드, 상기 제2작동 모드 또는 상기 제3작동 모드로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29. 버튼 시스템 제어장치 국 포트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한 쌍의 도선을 통해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버튼 장치가 또한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될 때 TR장치를 작동 및 제어하는 필요한 제1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TR장치가 또한 상기 국 포트에 접속될때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장치를 작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2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 (i)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이 제1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경보 신호 및 상기 제2경보 신호의 각각의 1개의 신호를 공급하며, (ii) 상기 제1신호공급수단 및 상기 제2신호공급수단중 사전설정된 1개의 수단만이 제2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경보 신호 및 상기 제2경보 신호의 각각의 1개의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910010903A 1990-06-29 1991-06-28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950008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546,322 US5048080A (en) 1990-06-29 1990-06-29 Control and interface apparatus for telephone systems
US546,322 1990-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897A KR920001897A (ko) 1992-01-30
KR950008865B1 true KR950008865B1 (ko) 1995-08-08

Family

ID=2417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903A KR950008865B1 (ko) 1990-06-29 1991-06-28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048080A (ko)
EP (1) EP0463832B1 (ko)
JP (1) JP3238723B2 (ko)
KR (1) KR950008865B1 (ko)
AU (1) AU629481B2 (ko)
CA (1) CA2045027C (ko)
DE (1) DE69125973T2 (ko)
MX (1) MX9100028A (ko)
SG (1) SG42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339A (en) * 1990-10-18 1995-02-21 Fuji Xerox Co., Ltd. Telephone transfer apparatus using a special signal for transfer in facsimile communication
US5369700A (en) * 1991-07-16 1994-11-29 Japan Business Systems, Inc. Multi-function telephon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3232640B2 (ja) * 1992-04-14 2001-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話交換機
US5649004A (en) * 1992-04-28 1997-07-15 Canon Kabushiki Kaisha Private branch exchange
DE69323661T2 (de) * 1992-07-17 1999-07-22 Rolm System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indung von Zusatzvorrichtungen mit einem digitalen Telefon
US5309509A (en) * 1992-07-27 1994-05-03 At&T Bell Laboratories Graphical user interface workstation
US5493611A (en) * 1994-05-20 1996-02-20 At&T Corp. User configurable telephone with alarm feature
US6477248B1 (en) * 1995-06-02 2002-11-05 Teleport Communications Group Inc. Multi-line station interface
KR0143313B1 (ko) * 1995-07-08 1998-08-01 김광호 키폰시스템에서의 밸런스 네트워크
US5765130A (en) * 1996-05-21 1998-06-09 Applied Languag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peech barge-in in connection with voice recognition systems
US5875242A (en) * 1996-07-26 1999-02-23 Glaser; Lawrence F.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40052343A1 (en) * 1999-02-16 2004-03-18 Glaser Lawrence F.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3689669B2 (ja) * 1999-06-07 2005-08-31 インフィネオン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話の接地キー動作を耐干渉性をもって検出するための接地キー検出回路およびその方法。
US7043012B1 (en) * 1999-10-07 2006-05-09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ing again feature for a telephone system
EP2107553B1 (en) * 2008-03-31 2011-05-1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for determining barge-in
EP2148325B1 (en) * 2008-07-22 2014-10-01 Nuance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wanted signal component
US9502050B2 (en) 2012-06-10 2016-11-22 Nuance Communications, Inc. Noise dependent signal processing for in-car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acoustic zones
US9805738B2 (en) 2012-09-04 2017-10-31 Nuance Communications, Inc. Formant dependent speech signal enhancement
US9613633B2 (en) 2012-10-30 2017-04-04 Nuance Communications, Inc. Speech enhance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844A (en) * 1976-12-21 1978-05-0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lephone station set interface circuit
US4088846A (en) * 1977-03-30 1978-05-0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Hold-plus-intercom for single-line stations
US4216356A (en) * 1979-02-21 1980-08-05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lephone having separate voice and signaling pairs
US4220827A (en) * 1979-02-21 1980-09-0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lephone signaling circuit
US4292474A (en) * 1979-08-13 1981-09-29 Oki Electronics Of America, Inc. Electronic key telephone system with bi-directional serial data stream station control
US4363936A (en) * 1980-02-11 1982-12-14 Stromberg-Carlson Corporation Telephone network including common equipment with message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circuits for connecting to stations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s
CA1166777A (en) * 1981-03-23 1984-05-01 Gordon D. Benning Home telephone exchange
CA1169597A (en) * 1981-09-11 1984-06-19 Gordon D. Benning Home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US4572928A (en) * 1982-11-09 1986-02-25 Tamura Electric Works, Ltd. Key telephone system
US4477697A (en) * 1982-11-22 1984-10-16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circuitry for encoding telephone ringing signals
US4454383A (en) * 1982-11-22 1984-06-1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A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ircuitry
JPS6096992A (ja) * 1983-10-31 1985-05-30 Toshiba Corp ボタン電話装置の主装置と標準電話機とのインタフエ−ス方式
JPS62140543A (ja) * 1985-12-16 1987-06-24 Tamura Electric Works Ltd 電話交換装置
US4905274A (en) * 1989-06-22 1990-02-27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Key telephone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933091A (en) 1992-01-02
JP3238723B2 (ja) 2001-12-17
EP0463832A2 (en) 1992-01-02
SG42904A1 (en) 1997-10-17
US5048080A (en) 1991-09-10
CA2045027A1 (en) 1991-12-30
JPH04233890A (ja) 1992-08-21
DE69125973D1 (de) 1997-06-12
DE69125973T2 (de) 1997-09-04
AU629481B2 (en) 1992-10-01
EP0463832A3 (en) 1993-06-30
MX9100028A (es) 1992-02-03
CA2045027C (en) 1995-09-12
KR920001897A (ko) 1992-01-30
EP0463832B1 (en) 199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865B1 (ko) 여러개의 원격 국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AU755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cellular fixed wireless terminal to the extension side of a PBX/PABX
US7359702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gateway between a wired telephone and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CA2584098A1 (en)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ing wireline adapters
US5546451A (en) Call waiting cancellation device
US5113432A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telefax device or a telephone set to a telecommunication line
JPH11513854A (ja) 遠隔通信スイッチ
WO19990251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nalog telephone apparatus to a digital, analog or hybrid telephone switching system
WO2000067452A1 (en) Computer network telephony adapter device
JPH04233891A (ja) ボタン電話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H0338799B2 (ko)
US6396918B1 (en) Method for forwarding a call to a telephone behind a key telephone system
EP10445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nalog telephone apparatus to a digital, analog or hybrid telephone switching system
EP0825760A2 (en) Facsimile device with user-friendly automatic receive mode
WO2001050618A1 (en) Cellular telephone docking station
JP3529283B2 (ja) 回線選択装置
US20040008835A1 (en) Carrier selection system
JP2982686B2 (ja) 構内交換機
JPH0260396A (ja) 電話装置の内線呼び出し方式
KR960015873B1 (ko) 전화응답 소형교환기
JPH03114337A (ja) 電話機
WO1996021306A1 (en) An improved telephone extension unit and system for use therewith
JP3133703B2 (ja) モデムシステム
JPS62140543A (ja) 電話交換装置
JPH02195794A (ja) ボタン電話装置における接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