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00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00Y1
KR950008300Y1 KR2019910000126U KR910000126U KR950008300Y1 KR 950008300 Y1 KR950008300 Y1 KR 950008300Y1 KR 2019910000126 U KR2019910000126 U KR 2019910000126U KR 910000126 U KR910000126 U KR 910000126U KR 950008300 Y1 KR950008300 Y1 KR 950008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lorine
storage tank
reservoir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139U (ko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이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원 filed Critical 이광원
Priority to KR2019910000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300Y1/ko
Publication of KR920015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1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기
제1도는 종래 제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조 2 : 세라믹필터
3 : 여과기 4 : 저수조
5 : 수도꼭지 6 : 맥반석
7 : 이온수지 및 활성탄 8 : 패킹
9 : 거름방
본 고안은 대장균등 각종 세균의 번식을 방지토록 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식을 목적으로 하는 정수기는 도면의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조(1)와 저수조(4)로 분리 구성되어 공급조(1)로 공급된 물을 여과시켜 이를 저수조(4)에 보관토록 하여 필요시 정수된 물을 인출하여 마실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저수조(4)의 물이 장시간 경과될 경우 본래의 정수된 물을 공급코져하는 정수기의 목적과는 달리 대장균등의 세균이 번식하여 오히려 인체에 유해한 오염된 물을 제공케 되는 중대한 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즉, 현재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수도물에는 각종 유해물질이 미량 혼입되어 있을뿐 아니라 중금속 및 세균등이 혼합되어 있어 이에 염소(Cℓ)를 혼가함으로서 멸균토록 하고 또한 세균의 번식을 방지토록 하고 있으나, 염소 역시 인체에는 유해하여 이를 공급조(1)와 저수조(4)사이에 설치된 여과기(3)가 여과토록 하고 있는바, 저수조(4)로 낙하한 물을 중금속 및 염소가 모두 여과된 상태가 되므로 저수조(4)에 물이 낙하한 상태로 장시간이 경과되게 되면 세균등이 번식하게 되어 오염된 물을 제공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중대한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염소의 여과가 최후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깨끗이 정수된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조(1)와 저수조(4)사이에 세라믹필터(2)가 설치되고 저수조(4)의 일측에 수도꼭지(5)가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수도꼭지(5)의 유입구측에 거름망(9)을 포설하되 내부에 다량의 이온수지 및 활성탄(7)을 장입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맥반석, 8은 패킹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정수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급조(1)에 물을 공급하여주면, 세라믹필터(2)를 거쳐 부유물질등이 여과된 다음 저수조(4)로 낙하하게 되는데, 낙하된 물은 중금속 및 염소가 혼존된 상태로 저수되어 있다가 물을 마시고져 할 경우에 수도꼭지를 개방하게 되면 저수조(4)내의 물이 거름망(9)을 통과하면서 잔존된 부유물질이 여과되고 이온수지 및 활성탄(7)에 의해 중금속과 염소등의 성분이 여과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일단 저수조(4)로 낙하한 물은 염소가 혼존된 상태여서 저수상태가 오랜시간 지속 되더라도 세균등이 번식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어서, 항시 깨끗이 정수된 물을 마실수 있는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세균번식을 방지하는 염소를 정수기 내부에서는 존재토록하고 비로서 취식을 위하여 물을 인출시 이와 동시에 염소조차 여과되도록 하여 상시 최상의 상태로 정수된 물을 제공함으로서, 국민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케 되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공급조(1)와 저수조(4)사이에 세라믹 필터(2)가 설치되고, 저수조(4)의 일측에 수도꼭지(5)가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수도꼭지(5)의 유입구측에 거름망(9)을 포설하되 내부에 다량의 이온수지 및 활성탄(7)을 장입하여서 된 정수기.
KR2019910000126U 1991-01-08 1991-01-08 정수기 KR950008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126U KR950008300Y1 (ko) 1991-01-08 1991-01-08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126U KR950008300Y1 (ko) 1991-01-08 1991-01-0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39U KR920015139U (ko) 1992-08-14
KR950008300Y1 true KR950008300Y1 (ko) 1995-10-06

Family

ID=1930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126U KR950008300Y1 (ko) 1991-01-08 1991-01-0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3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39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437B1 (ko) 수도물을 다시 정수처리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GB2169276A (en) Water purifier
KR20140147623A (ko)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KR950008300Y1 (ko) 정수기
US4643831A (en)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389724B1 (ko) 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JP4647553B2 (ja) 浄化装置
KR20080095531A (ko)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
JPS61138587A (ja) 飲料用浄水器
KR200426293Y1 (ko) 맥반석 정수기
KR0137036Y1 (ko) 역삼투압 정수기
KR960011885B1 (ko) 정수장치
JPH07204665A (ja) 浄水機能を有するミネラルウォータ製造装置
KR910003249Y1 (ko) 다단계 정수방식 생수기
KR100942132B1 (ko) 고탁도 필터
JPH03296483A (ja) 造水装置
KR940002422Y1 (ko)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JP2709700B2 (ja) 飲料水用ミネラル水の生成装置及びその生成方法
KR100393907B1 (ko) 정수기의 정수저장탱크
JPS57122996A (en) Water cleaning treatment
JPS6313837Y2 (ko)
KR100484923B1 (ko) 데스크형 이온 정수기
KR100539055B1 (ko) 이온 정수기의 알칼리수 냄새 제거장치
KR101412852B1 (ko) 세디먼트 필터
JPH057393U (ja) 冷却用浄水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