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132B1 - 고탁도 필터 - Google Patents

고탁도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132B1
KR100942132B1 KR1020070077799A KR20070077799A KR100942132B1 KR 100942132 B1 KR100942132 B1 KR 100942132B1 KR 1020070077799 A KR1020070077799 A KR 1020070077799A KR 20070077799 A KR20070077799 A KR 20070077799A KR 100942132 B1 KR100942132 B1 KR 10094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igh turbidity
inlet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557A (ko
Inventor
김대환
유준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1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4Seals or gask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을 위해 유로의 흐름이 변경된 고탁도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링 기능에 의해 생성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유입구와 반대방향에 형성시킨, 고탁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수기에 적용되는 고탁도 필터에 있어서, 여과된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와 필터소재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투입구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한편,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필터소재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출수구와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과 반대되는 또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고탁도, 필터, 스케일

Description

고탁도 필터{HIGH-TURBIDITY FILT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이용되는 고탁도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척을 위해 유로의 흐름이 변경된 고탁도 필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정수기는 수도수 또는 자연수 등의 원수(原水)를 필터링해서 온정수나 냉정수로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정수기에는 원수에 혼입된 부유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함과 더불어 냄새를 소취하며 수인성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정수기에는, 원수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침전필터(Sediment filter), 카본(활성탄)블럭의 미세기공에 의한 흡착작용에 의해 필터링기능을 수행하는 프리 카본필터(Pre carbon filter), 막 표면에 분포하는 다수의 미세기공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UV중공사막필터재에 의한 UV중공사막필터, 멤브레인 필터, 포스트 카본필터(Post-carbon filter) 및 자외선살균필터(UV- filter)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저수탱크가 마련된 저수식 정수기와, 저수탱크가 마련되지 않은 직수식 정수기로 구분된다.
상기 직수식 정수기는 원수의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되며 원수 중에 존재하는 입자 찌꺼기를 제거하는 침전필터(세디먼트 필터)와 염소성분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카본필터와 멤브레인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저수식 정수기는 직수식 정수기와 유사한 필터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냉수 및 온수기능이 부가되고, 필터를 통한 물의 여과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정수된 물을 10∼20ℓ정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수탱크가 추가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정수기에는 다수의 필터들이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얇은 철망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커다란 찌꺼기들을 여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탁도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탁도 필터의 일실시예 단면도이다.
고탁도 필터(10)는 커다란 찌꺼기 등을 여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얇은 철망과 같은 필터소재(11)를 사용하고 있으며, 외부 하우징(12)의 상단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와 여과된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소재(11)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고탁도 필터(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탁도 필터(10) 내부에서의 원수의 흐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즉, 고탁도 필터(10)의 하우징(12) 상단 중 외곽부에 형성된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고탁도 필터(10)의 하단으로 흘러가면서 상기 필터소재(11)와 하우징 사이에 저장되며, 이후 필터소재(11)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소재(11)의 내부면에 저장된다. 상기 필터소재(11)의 내부면에 충만된 원수는 결국 상기 하우징(12)의 상단 중 상기 내부면의 상단 즉, 중앙부에 형성된 출수구(14)를 통해 다음 단의 필터로 출수된다.
한편, 고탁도 필터의 이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필터소재(11)에는 여과된 이물질(스케일)이 쌓이게 되며, 종국에 가서는 필터소재(11)의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고탁도 필터(10)를 해체하여 필터소재(11)에 누적된 이물질(스케일)을 제거해 줌으로써, 고탁도 필터에 걸리는 압력이 떨어지도록 하는 한편, 후단 필터에 적정한 양의 유입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세척방법은 사용자의 세척의사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탁도 필터를 해체하여 세척을 하지 않는다면, 고탁도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어 결국 정수기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탁도 필터의 분리에 의해서만이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척 과정이 복잡하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링 기능에 의해 생성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유입구와 반대방향에 형성시킨, 고탁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기에 적용되는 고탁도 필터에 있어서, 여과된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와 필터소재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투입구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한편,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필터소재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출수구와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과 반대되는 또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탁도 필터의 하우징 중 유입구와 반대되는 일측면에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을 포함한 폐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고탁도 필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폐수를 다시 고탁도 필터로 재 유입시켜 사용함으로써, 필터소재에 고착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고탁도 필터를 분리하여 세척하는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수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역삼투압 정수기는 소위 역삼투압 필터(이하, 간단히 '멤브레인 필터'라 함)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직경이 매우 작은 다수의 기공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이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 밸브(100), 상기 원수 밸브를 통과한 원수 중의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고탁도 필터(110), 상기 고탁도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 필터(이하, 간단히 '세디먼트 필터'라 함)(120), 상기 세디먼트 필터로부터 전송된 원수 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필터(130), 상기 프리 카본필터를 통과한 원수 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 필터(140),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는 원수의 식수대 폐수 분리 비율을 조정하며 폐수를 방류하는 폐수 조절기(160),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필터(150) 및 상기 포스트 카본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수위조절장치(FLC : Float Level Controller)를 구비한 정수탱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탁도 필터(110)는 얇은 철망과 같은 것이 사용되며, 커다란 찌꺼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디먼트 필터(120)는 부직포로 구성되며, 모래나 진흙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리 카본 필터(130)와 포스트 카본 필터(150)는 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활성탄과 같은 것으로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멤브레인 필터(140)는 특히 고압에서 작동되며,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5∼40℃의 온도 범위를 이탈하면 필터가 손상된다.
한편, 세디먼트 필터(120)와 프리 카본필터(130) 사이에는 펌프(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펌프는 원수를 매우 큰 고압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펌프는 멤브레인 필터(140)의 작동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평균 60psi 이상의 압력으로 원수를 공급하여야만 멤브레인 필터(140)에서 정수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수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수기에서, 원수 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는 가압펌프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흐르게 되는데, 원수 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은 우선적으로 고탁도 필터(110)를 통과하면서 걸러진다.
상기 고탁도 필터(110)를 통과한 원수는 세디먼트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걸러진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120)를 통과한 원수는 멤브레인 필터(140)를 통과하면서 이온성 중금속이 제거되며, 카본필터(130, 150)를 통과면서 원수에 잔류하는 염소성분과 냄새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필터를 통과한 원수는 음용 가능한 식수(정수)로서 저수탱크(170)에 저장되며, 저수탱크(170)에 저장된 정수는 저수탱크의 하부에 분리 설치된 냉수조와 온수조로 유입되어 냉정수와 온정수로 만들어 진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배수 코크를 개방시킴으로써 냉정수와 온정수 중 원하는 종류의 정수를 받아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고탁도 필터(11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는 고탁도의 원수를 이용하는 정수기의 필터들 중 가장 앞단에 배치되어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커다란 찌꺼기들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과된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114)와, 필터소재(111)가 삽입 또 는 배출되는 투입구(115)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2),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한편,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3)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커버(116), 상기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안착되어 원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117), 상기 하우징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얇은 철망 등으로 형성된 필터소재(111)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출수구(114)와 투입구(115)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과 반대되는 또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118)에는 정수기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라인(20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라인(200)에는 밸브(210))가 형성되어 있어서 폐수의 배출 양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고탁도 필터(110)의 하우징에 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8)를 구비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서, 특히, 상기 배출구(118)가 하우징 상에서 상기 유입구(113) 및 출수구(114)와 반대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는 상기 특징과 함께, 상기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 폐수가 정수기 외부로 배출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 내부에서의 원수 및 폐수의 흐름 방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탁도 필터(110)의 하우징(112)의 상단 중앙부분에서 원수의 투입구(115)를 커버하고 있는 커버(116)에 형성된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고탁도 필 터(110)의 하단으로 흘러가면서 상기 필터소재(111)의 내부면에 저장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필터소재(111)는 하우징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소재 내부는 상기 투입구(115) 및 유입구(113)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일단 상기 필터소재 내부에 저장된다.
원수는 상기 필터소재(111) 내부를 완전히 충만시킨 후 또는 충만시키는 과정과 함께 필터소재(111)를 통과하여 필터링 된 후, 상기 필터소재(111)와 하우징 사이에 저장된다.
상기 필터소재(111)와 하우징 사이에 충만된 원수는, 결국 상기 하우징(112)의 상단 중 외곽부에 형성된 출수구(114)를 통해 다음 단의 필터로 출수된다.
한편, 고탁도 필터(110)의 이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필터소재(111)에는 여과된 이물질(스케일)이 쌓이게 되며, 종국에 가서는 필터소재(111)의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한 주기가 경과되면 상기 배출구(118)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라인(200)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21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고탁도 필터(1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원수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배출 과정에 의해 상기 필터소재(111)에 쌓여 있던 이물질들이 원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고탁도 필터(110)를 정수기에서 분리하거나 또는 고탁도 필터(110) 자체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필터소재(111)에 쌓여 있는 이물질들을 배출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고탁도 필터(11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2), 하우징 커버(116), 오링(117), 필터소재(111) 및 배출구(1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출구(118)에는, 상기 유입구(113)와 연결되어 있는 유입라인(400)과 연결되어 있는 순환라인(30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라인(300)에는 밸브(310))가 형성되어 있어서 폐수의 순환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고탁도 필터(110)의 하우징에 원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출구(118)를 구비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서, 특히, 상기 배출구(118)가 하우징 상에서 상기 유입구(113) 및 출수구(114)와 반대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는 상기 특징과 함께, 상기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 폐수가, 순환라인(300)과 유입라인(400)을 통해 고탁도 필터(110)로 재 유입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 내부에서의 원수 및 폐수의 흐름 방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는 고탁도 필터(110)의 이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필터소재(111)에는 여과된 이물질(스케일)이 쌓이게 되며, 종국에 가서는 필터소재(111)의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한 주기가 경과되면 상기 배출구(118)에 연결되어 있는 순환라인(300)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31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고탁도 필터(1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원수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배출 과정에 의해 상기 필터소재(111)에 쌓여 있던 이물질들이 원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와 달리,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 폐수를 정수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유입라인(400)을 통해 상기 고탁도 필터(110)로 재 유입시킨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110)와 같이 필터소재(111)에 쌓여있는 이물질들을 완전히 정수기 외부로 배출시킬 수는 없으나, 필터소재(111)에 고착(固着)되어 있는 이물질들을 순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고탁도 필터(1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고탁도 필터를 분리하여 필터소재(111)를 세척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나, 상기한 바와 같은 순환과정을 통해 필터소재(111)에 고착되는 이물질들의 양이 적어질 수 있으므로, 고탁도 필터를 분리하여 세척하는 주기는 보다 길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 및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순환라인(300) 상에 밸브(310)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밸브(310)를 개폐하는 과정에 의해 폐수가 순환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밸브(310)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 폐수는 계속적으로 상기 유입구(113)를 통해 고탁도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로 인해 이물질이 상기 필터소재(111)에 고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31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118)의 내경을 상기 유입구(113)의 내경의 약 1/5 정도로 형성시킴으로써,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소재(111)는 SUS, PE, Nylon 망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필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필터소재(111)만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또 다른 필터들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이용될 수도 잇다.
즉, 세디먼트 필터(120)에 이용되는 필터소재를 PP로 구성한 제2 필터소재가 상기 필터소재(111)와 하우징(112) 사이에 추가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필터가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카본필터(130, 150)에 이용되는 카본블럭으로 구성된 제3 필터소재가 상기 필터소재(111)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필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필터소재와 제3 필터소재가 모두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필터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탁도 필터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수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탁도 필터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고탁도 필터 111 : 필터소재
112 : 하우징 113 : 유입구
114 : 출수구 115 : 투입구
116 : 하우징 커버 117 : 오링
118 : 배출구

Claims (6)

  1. 정수기에 적용되는 고탁도 필터에 있어서,
    여과된 원수가 배출되는 출수구와 필터소재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투입구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한편,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필터소재;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출수구와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과 반대되는 또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113) 및 상기 배출구(118)는 상기 원통형의 필터소재(111)의 내측에서 각각 상,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탁도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탁도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라인에는 폐수의 배출양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탁도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있는 유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탁도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내경은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탁도 필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에는 폐수의 배출양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탁도 필터.
KR1020070077799A 2007-08-02 2007-08-02 고탁도 필터 KR10094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799A KR100942132B1 (ko) 2007-08-02 2007-08-02 고탁도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799A KR100942132B1 (ko) 2007-08-02 2007-08-02 고탁도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557A KR20090013557A (ko) 2009-02-05
KR100942132B1 true KR100942132B1 (ko) 2010-02-16

Family

ID=4068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799A KR100942132B1 (ko) 2007-08-02 2007-08-02 고탁도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053U (ko) * 1996-09-14 1998-06-25 신용길 정수필터
KR0156714B1 (ko) * 1994-11-14 1998-12-15 김광호 정수기용 여과장치
JPH11114554A (ja) 1997-10-20 1999-04-27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
KR20010111954A (ko) * 2000-06-14 2001-12-20 정휘동 제거수 재활용 구조를 갖는 역삼투압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714B1 (ko) * 1994-11-14 1998-12-15 김광호 정수기용 여과장치
KR19980016053U (ko) * 1996-09-14 1998-06-25 신용길 정수필터
JPH11114554A (ja) 1997-10-20 1999-04-27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
KR20010111954A (ko) * 2000-06-14 2001-12-20 정휘동 제거수 재활용 구조를 갖는 역삼투압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557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1244A (en) Performance water purification system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200458705Y1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
KR20130062010A (ko) 미네랄 농도 조절가능한 정수기
KR101856982B1 (ko)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KR102462650B1 (ko) 수처리장치, 수처리장치의 세척시스템 및 그 세척방법
WO2011045998A1 (ja) 浄水器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KR20090126858A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KR100942132B1 (ko) 고탁도 필터
KR20090013556A (ko) 고탁도 필터
KR100389724B1 (ko) 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20090035374A (ko) 사이드 필터클립
KR101564265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US20050263459A1 (en) Flow-through fluidized filter for water treatment
KR101412852B1 (ko) 세디먼트 필터
JP4647553B2 (ja) 浄化装置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CN212532590U (zh) 全自动杀菌过滤装置
JP5968592B2 (ja) 浄水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KR20110104665A (ko)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0706775B1 (ko) 냉수 항균 및 살균장치
JP3615775B2 (ja) 浄水器の洗浄装置及び同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24

Effective date: 200912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