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665A -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665A
KR20110104665A KR1020100023683A KR20100023683A KR20110104665A KR 20110104665 A KR20110104665 A KR 20110104665A KR 1020100023683 A KR1020100023683 A KR 1020100023683A KR 20100023683 A KR20100023683 A KR 20100023683A KR 20110104665 A KR20110104665 A KR 2011010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aw water
reservoir tank
flu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4665A/ko
Publication of KR2011010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3Specific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8Mechanisms for switching between regular separation operations and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2Forward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08By influencing the flow statically
    • B01D2321/2016Static mixers; Turbulence gene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는 프리 카본 필터를 거친 원수의 불순물 입자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 된 원수를 포스트 카본 필터로 공급하는 UF 필터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제1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UF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UF 필터를 플러싱한 원수를 저장하며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는 리저버 탱크와, ⅱ)상기 리저버 탱크와 상기 UF 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리저버 탱크에서 불순물 입자와 분리된 원수를 상기 UF 필터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불순물 입자를 흡착하는 세디먼트 필터를 삭제할 수 있고, UF 필터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FLUSHING SYSTEM OF ULTRA FILTRATION FILTER AND WATER PURIFIER OF THE SAM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원수 중의 입자상 불순물을 UF 필터로서 여과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원수로서 플러싱 할 수 있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통해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에 사용되는 정수방식은 크게 여과식, 증류식, 이온교환수지식, 역삼투압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수기에는 원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필터들을 구비한다.
일 예로서, 상기한 필터들은 그 기능에 따라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UF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 상의 불순물을 흡착 제거하고, 프리 카본 필터는 활성탄의 흡착 방식을 통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UF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와 같은 섬유 형태의 여과막으로써, 한외여과막이라고도 불리며, 표면 기공이 0.01~0.04 ㎛로 원수 중의 0.01~0.1㎛ 수준의 미세 입자상 물질과 세균을 거르고 미네랄 성분을 유지시킨다. 포스트 카본 필터는 원수의 불쾌한 맛, 냄새, 색소 등을 흡착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터들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필터 시스템을 이루고, 원수가 필터 시스템을 통과하면서 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나 용존물 등이 제거되어 정수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시스템을 거쳐 정화된 정수는 정수 탱크에 저장되고, 취수 코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UF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를 구비하는 바, 전체 필터 시스템의 구성 및 필터들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정수기 전체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입자 상의 불순물을 흡착하는 세디먼트 필터를 삭제하고, UF 필터를 통해 불순물 입자를 필터링 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flushing) 할 수 있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F 필터 플러싱 장치는, 프리 카본 필터를 거친 원수의 불순물 입자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 된 원수를 포스트 카본 필터로 공급하는 UF 필터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제1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UF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UF 필터를 플러싱한 원수를 저장하며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는 리저버 탱크와, ⅱ)상기 리저버 탱크와 상기 UF 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리저버 탱크에서 불순물 입자와 분리된 원수를 상기 UF 필터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닛은 상기 프리 카본 필터와 상기 UF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과 상기 리저버 탱크를 연결하는 제2 배출라인과, 상기 연결라인과 상기 제2 배출라인을 연결하는 분기점으로서의 조인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각각 구획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는, 상기 리저버 탱크의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상기 격벽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공간에서 불순물 입자와 원수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그 원수가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격벽의 상단을 월류하여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리저버 탱크의 내부 바닥면과 양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리저버 탱크의 내측 상부면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부에 게이트 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게이트 밸브와 연결되는 플로우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배출라인의 연결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라인의 유로에서 원수의 유수 방향으로 절곡된 곡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라인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라인에는 상기 연결라인에서 역류되는 원수를 저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는, 상기 UF 필터의 내부에 장착되어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 발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부재는 상기 UF 필터 내부의 중공사 전체를 감싸는 링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Ⅰ)원수를 순차적으로 필터링 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 UF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로 구성된 정수유닛과, Ⅱ)상기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그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와, Ⅲ)상기 정수유닛을 통해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 모드와,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를 통해 상기 UF 필터를 플러싱 하는 플러싱 모드를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정수모드 시, 상기 UF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개방하고, 상기 UF 필터와 상기 중곡사막 필터 플러싱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플러싱 모드 시, 상기 UF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폐쇄하고, 상기 UF 필터와 상기 중곡사막 필터 플러싱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입자 상의 불순물을 흡착하는 종래 기술의 세디먼트 필터를 삭제하고, 불순물 입자를 UF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며,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flushing)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세디먼트 필터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정수기의 필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UF 필터의 플러싱으로 인해 그 UF 필터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UF 필터를 플러싱 한 플러싱 원수를 리저버 탱크에 저장하며 그 리저버 탱크에서 플러싱 원수 중의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고, 깨끗한 원수를 UF 필터로 재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UF 필터의 플러싱에 따른 원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UF 필터의 내부에 링 형태의 와류 발생부재를 장착하므로, 와류 발생부재를 통해 UF 필터의 내부에서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불순물 입자를 와류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적용되는 UF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적용되는 리저버 탱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적용되는 순환유닛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는 원수 공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 대상수로서의 원수를 각종 필터들을 통과시켜 정화하고, 그 정화된 물을 정수 탱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고 있다가 취수 코크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정수기(100)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수기(100)는 UF(Ultra Filtration) 정수기로서 구비되는 바, 수도수 또는 자연수 등의 원수를 뒤에서 더욱 설명될 UF 필터(30) 등의 필터 시스템을 통해 필터링하여 원수에 포함된 입자성 불순물,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정수기(100)는 원수 중에 포함된 입자상의 불순물(이하에서는 편의 상 "불순물 입자" 라고 한다)을 흡착하는 종래 기술의 세디먼트 필터를 삭제하고, 그 불순물 입자를 UF 필터(30)를 통해 필터링하며 UF 필터(30)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UF 필터(30)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flushing)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수기(100)는 UF 필터(30)가 세디먼트 필터를 대신하여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고, 그 UF 필터(30)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원수로서 씻어 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수기(100)는 기본적으로, 정수유닛(10)과,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와, 제어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유닛(10)은 원수를 순차적으로 필터링 하여 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프리 카본 필터(20)와, 언급한 바 있는 UF 필터(30)와, 포스트 카본 필터(4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필터(20, 30, 40)는 필터 엘리먼트를 내장한 필터 케이스와, 필터 케이스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그 외장 케이스 내부로 입수된 원수가 필터 케이스 내부의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필터링 되고 나서 외장 케이스의 외부로 출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 카본 필터(20)는 원수 공급부(W)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활성탄의 흡착 방식을 통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UF 필터(30)는 프리 카본 필터(20)로부터 원수를 제공받아 불순물 입자를 흡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프리 카본 필터(20)와 연결되며, 제2 연결라인(32)을 통해 포스트 카본 필터(4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UF 필터(30)는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34)의 내부에 실처럼 가늘고 속이 비어 있는 다수의 중공사들(35)이 채워져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UF 필터(30)는 제1 연결라인(31)과 연결되며 프리 카본 필터(2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케이스(34)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1 유입부(36)와, 제2 연결라인(32)과 연결되고 중공사들(35)을 통과하며 불순물 입자가 필터링 된 원수를 포스트 카본 필터(40)로 유출시키기 위한 제1 유출부(37)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라인(32)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1 개폐 밸브(39)가 설치되는 바, 제1 개폐 밸브(39)는 일 예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40)는 제2 연결라인(32)을 통해 UF 필터(30)와 연결되며, UF 필터(30)를 거치며 필터링 된 원수의 불쾌한 맛, 냄새, 색소 등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들(20, 30, 40)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구조의 필터로서 일반적인 정수기에 채용되는 바,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는 UF 필터(30)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UF 필터(30)에 흡착된 비교적 큰 입자 상의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수유닛(10)을 통해 원수를 순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큰 입자 상의 불순물 입자에 의해 중공사들(35)의 미세 기공이 막혀 UF 필터(30)의 고유 기능을 다 할 수 없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는, 정수유닛(10)의 정수 과정이 중단된 상태에서, 프리 카본 필터(20)를 거친 원수를 UF 필터(30)에 일정 주기로 공급하여 중공사들(35)을 원수로서 플러싱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는 UF 필터(30)에서 불순물 입자를 제거한 원수(이하에서는 편의 상 " 플러싱 원수" 라고 한다)를 배출하며, 플러싱 원수 중의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고 그 불순물 입자가 분리된 깨끗한 원수를 UF 필터(30)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는 UF 필터(30)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50)은 정수기(100)의 제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기(100)의 작동 모드를 정수유닛(10)을 통해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 모드, 및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를 통해 UF 필터(30)를 플러싱 하는 플러싱 모드로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유닛(50)은 정수 모드 시, 설정시간 동안 정수유닛(10)의 필터들(20, 30, 40)에 의한 원수의 정화를 제어하고, 플러싱 모드 시, 원수의 필터링 과정을 차단함과 동시에 설정시간 동안 UF 필터(30)로 원수를 공급하는 UF 필터(30)의 플러싱을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유닛(50)은 정수 모드 및 플러싱 모드 시의 작동에 필요한 설정시간과 각종 데이터 값의 로직을 저장하고 있는 통상적인 메모리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정수기(100)의 전반적인 작동 모드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의 구성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적용되는 리저버 탱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F 필터 플러싱 장치에 적용되는 순환유닛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는 UF 필터(30: 이하 도 2 참조)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리저버 탱크(210)와, 리저버 탱크(210) 및 UF 필터(30)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순환유닛(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저버 탱크(210)는 UF 필터(30)로부터 언급한 바 있는 플러싱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그 플러싱 원수 중의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저버 탱크(210)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지닌 탱크 본체(219)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상하 단부가 폐쇄된 원통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저버 탱크(210)는 제1 배출라인(221)을 통해 UF 필터(30)와 연결되는 바, 제1 배출라인(221)은 UF 필터(30)의 상단부 측에 형성된 제2 유출부(38: 도 2 참조)와, 리저버 탱크(210)의 상단부 측에 형성된 제2 유입부(211)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출라인(221)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2 개폐 밸브(225: 도 1 참조)가 설치되는 바, 제2 개폐 밸브(225)는 일 예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저버 탱크(210)는 내부 저장 공간에 제1 및 제2 공간(231, 232)을 각각 구획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공간(231, 232)은 격벽(230)에 의해 각각 구획 형성되고, 탱크 본체(219)의 내부에서 격벽(230)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격벽(23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격벽(230)은 판재 형태로서 탱크 본체(219)의 내부 바닥면과 양측벽에 고정되고, 그 탱크 본체(219)의 내측 상부면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공간(231)은 제2 유입부(211)와 연결되는 공간이며, 제2 공간(232)은 격벽(230)의 상단면과 탱크 본체(219)의 내측 상부면 사이를 통해 제1 공간(231)과 연결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리저버 탱크(210)는 제1 배출라인(221)을 통해 UF 필터(30)로부터 플러싱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바, 제1 공간(231)에서 플러싱 원수에 대한 불순물 입자와 원수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그 원수가 제1 공간(231)에서 격벽(230)의 상단을 월류하여 제2 공간(232)으로 유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저버 탱크(210)는 제2 공간(232)의 바닥면에 제1 공간(231)으로부터 월류된 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3 유출부(213)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리저버 탱크(210)의 제2 유입부(211)에는 제1 공간(231)으로 유입된 플러싱 원수가 제1 배출라인(221)을 통해 UF 필터(30)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는 게이트 밸브(241)가 설치된다.
이러한 게이트 밸브(241)는 제2 유입부(211)의 유로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그 게이트의 회동으로서 제2 유입부(211)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게이트 밸브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유입부(211)는 언급한 바 있듯이 리저버 탱크(210)의 상단부 측에 형성되는 바, 격벽(230)의 상단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저버 탱크(210)는 제1 공간(231)에 배치되면서 게이트 밸브(241)와 연결되는 플로우트(24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로우트(245)는 제1 공간(231)으로 수용되는 플러싱 원수에 의해서 부상하는 부유체(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부레" 라고도 한다)로 구비되며, 제1 공간(231)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상하거나 하강한다.
상기 플로우트(245)는 연결 바아(246)를 통해 게이트 밸브(241)와 연결되는 바, 제1 공간(231)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플러싱 원수에 의해 부상하면서 게이트 밸브(241)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2 유입부(211)의 유로를 폐쇄한다.
또한, 상기 플로우트(245)는 제1 공간(231)의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플러싱 원수에 의해 하강하면서 게이트 밸브(241)를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서 제2 유입부(211)의 유로를 개방한다.
즉, 상기 플로우트(245)는 제1 공간(231)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상 또는 하강하면서 제2 유입부(211)를 통해 제1 공간(231)으로 유입되는 플러싱 원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유닛(250)은 리저버 탱크(210)와 UF 필터(30)를 연결하며 그 리저버 탱크(210)에서 불순물 입자와 분리된 원수 즉, 리저버 탱크(210)의 제2 공간(232)에 수용된 원수를 UF 필터(30)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순환유닛(250)은 제2 배출라인(261)과, 조인트부재(271)를 포함하는 바, 제2 배출라인(261)은 언급한 바 있는 제1 연결라인(31)과 리저버 탱크(210)를 연결한다.
상기 제2 배출라인(261)은 리저버 탱크(210)의 제2 공간(232)에 수용된 원수를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재순환시키는 것으로서, 리저버 탱크(210)의 제3 유출부(213)와 제1 연결라인(31)을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제2 배출라인(261)에는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유입되는 원수의 역류를 저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263)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 밸브(263)는 유체를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통상적인 구조의 역류 방지 밸브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부재(271)는 도 4에서와 같이, 제2 배출라인(261)과 제1 연결라인(31)을 연결하는 분기점으로서 이루어지는 바, 제1 연결라인(31)에 대한 제2 배출라인(261)의 연결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조인트부재(271)는 제1 연결라인(31)의 유로에서 원수의 유수 방향으로 절곡된 곡관체(273)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곡관체(273)는 제2 배출라인(261)의 연결 단부에 결합되는 대략 엘(L)자 형태의 곡관으로서 구비되는 바, 제1 연결라인(31)의 유로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 부분(275)과, 제1 부분(275)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제1 연결라인(31)의 유로에서 유수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부분(277)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조인트부재(271)를 곡관체(273)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공급되는 원수가 제2 배출라인(261)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배출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배출됨에 있어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공급되는 원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UF 필터 플러싱 장치(200)는 도 2에서와 같이, UF 필터(30)에 대한 플러싱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류 발생부재(290)를 더 포함하는데, 그 와류 발생부재(290)는 UF 필터(30)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와류 발생부재(290)는 UF 필터(30)의 플러싱을 위해 프리 카본 필터(20)와 리저버 탱크(210)로부터 UF 필터(30)로 유입되는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와류 발생부재(290)는 UF 필터(30)의 내부에서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중공사들(35)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와류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와류 발생부재(290)는 UF 필터(30) 내부의 중공사들(35) 전체를 감싸는 링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의 실선과 같이 단일의 개수로서 구비될 수 있고, 일점쇄선과 같이 복수의 개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유닛(50)에 의한 정수기(100)의 정수 모드 시, 본 실시예에서는 원수 공급부(W)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공급라인을 통해 프리 카본 필터(20)로 공급한다.
여기서, UF 필터(30)와 포스트 카본 필터(4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32) 상의 제1 개폐 밸브(39)는 제어유닛(50)을 통해 개방된 상태에 있으며, UF 필터(30)와 리저버 탱크(210)를 연결하는 제1 배출라인(221) 상의 제2 개폐 밸브(225)는 제어유닛(50)을 통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그러면, 상기 프리 카본 필터(20)에서는 활성탄 흡착 방식을 통해 원수 중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 카본 필터(20)를 통과한 원수를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공급하는데, 원수는 제1 유입부(36)를 통해 UF 필터(30)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UF 필터(30)에서는 원수가 중공사들(35)의 막 표면에 분포하는 미세 기공을 통과함으로써 그 원수 중에 함유된 불순물 입자를 중공사들(35)의 막 표면에 흡착한다.
다음, 상기 UF 필터(30)를 통과한 원수는 제1 유출부(37)를 통해 배출되고, 제2 연결라인(32)을 통해 포스트 카본 필터(40)로 공급된다. 그러면, 포스트 카본 필터(40)에서는 원수 중에 함유된 각종 오염 물질, 불쾌한 맛, 냄새, 색소 등을 흡착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40)를 통과한 원수는 각종 불순물 입자와 용존물 등이 정화된 상태로 정수 탱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원수를 정화하게 되면, UF 필터(30)는 비교적 큰 입자 상의 불순물 입자에 의해 중공사들(35)의 미세 기공이 막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유닛(10)을 통해 원수의 정수 과정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진 후, 제어유닛(50)을 통해 정수기(100)의 작동 모드를 정수 모드에서 UF 필터(30)의 플러싱 모드로 변환한다.
상기 플러싱 모드 시, 제어유닛(50)은 언급한 바 있는 제1 개폐 밸브(39)를 작동시켜 제2 연결라인(32)을 폐쇄하고, 제2 개폐 밸브(225)를 작동시켜 제1 배출라인(221)을 개방한다.
상기 플러싱 모드 시의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원수를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공급한다.
그러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라인(32)이 폐쇄된 상태에서 원수가 UF 필터(30)로 공급됨에 따라, 중공사들(35)의 미세 기공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원수로서 플러싱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UF 필터(30)에는 중공사들(35) 전체를 감싸는 링 형태의 와류 발생부재(29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와류 발생부재(290)를 통해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와류 발생부재(290)를 통해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 중공사들(35)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렇게 UF 필터(30)를 플러싱 한 플러싱 원수는 제1 배출라인(221)을 통해 배출되며, 리저버 탱크(210)의 제2 유입부(211)를 통하여 제1 공간(231)으로 수용된다.
이 때, 상기 제1 공간(231) 내부의 플로우트(245)는, 제1 공간(231)에서의 플러싱 원수가 도면에서 임의로 설정한 하한 레벨(LL)을 유지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 있다.
이로써, 상기 플로우트(245)가 제1 공간(231)에서 하강된 상태에 있으며, 연결 바아(246)를 통해 게이트 밸브(24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 밸브(241)는 플로우트(245)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서 제2 유입부(211)의 유로를 개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플러싱 원수가 리저버 탱크(210)의 제1 공간(231)으로 수용됨에따라, 플러싱 원수의 수위는 점차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플로우트(245)는 플러싱 원수에 의해 점차 부상하게 된다.
이러는 과정에, 플러싱 원수 중에 포함된 불순물 입자는 자중에 의해서 제1 공간(231)의 바닥면으로 침전되고, 불순물 입자가 분리된 깨끗한 원수는 격벽(230)의 상단을 월류하여 제2 공간(232)으로 수용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제1 공간(231)으로 수용되는 플러싱 원수가 도면에서의 상한 레벨(HL) 즉, 리저버 탱크(210)의 제2 유입부(211)와 동일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플로우트(245)는 플러싱 원수에 의해 상한 레벨(HL)까지 부상하게 된다(도면에 일점 쇄선으로 표시).
따라서, 이 경우는 게이트 밸브(241)가 플로우트(245)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2 유입부(211)를 폐쇄하는 바, 이로 인해 제1 배출라인(221)을 통해 UF 필터(30)로부터 리저버 탱크(210)의 제1 공간(231)으로 배출되는 플러싱 원수는 게이트 밸브(241)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저버 탱크(210)에 플러싱 원수가 만수되더라도 그 플러싱 원수가 제2 유입부(211)를 통해 UF 필터(30)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리저버 탱크(210)의 제2 공간(232)으로 수용되는 깨꿋한 원수는 제3 유출부(213)를 통해 배출되고, 제2 배출라인(261)을 통해 언급한 바 있는 제1 연결라인(31)에 합류되면서 UF 필터(30)로 재순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배출라인(261)에 체크 밸브(26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공급되는 원수는 그 체크 밸브(263)로 인해 리저버 탱크(210)의 제2 공간(232)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배출라인(261)과 제1 연결라인(31)을 연결하는 조인트부재(271)가 제1 연결라인(31)의 유로에서 원수의 유수 방향으로 절곡된 곡관체(273)로서 이루어지므로,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UF 필터(30)로 공급되는 원수가 제2 배출라인(261)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2 공간(232) 내부의 깨끗한 원수는 역류하지 않고 제2 배출라인(261)을 통해 제1 연결라인(31)으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2 공간(232)에 수용된 깨끗한 원수는 제1 연결라인(31)을 따라 흐르는 원수와 함께 UF 필터(30)로 공급되면서 중공사들(35)을 플러싱 하고, 그 플러싱 원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재순환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UF 필터(30)를 원수로서 플러싱하게 되는데, 제어유닛(50)은 기설정된 플러싱 시간이 지나게 되면, 정수기(100)의 작동 모드를 플러싱 모드에서 정수 모드로 변환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에 의하면, 입자 상의 불순물을 흡착하는 종래 기술의 세디먼트 필터를 삭제하고, 불순물 입자를 UF 필터(30)를 통해 필터링 하며, UF 필터(30)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UF 필터(30)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flushing)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세디먼트 필터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정수기(100)의 필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UF 필터(30)의 플러싱으로 인해 UF 필터(30)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UF 필터(30)를 플러싱 한 플러싱 원수를 리저버 탱크(210)에 저장하며 그 리저버 탱크(210)에서 플러싱 원수 중의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고, 깨끗한 원수를 UF 필터(30)로 재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UF 필터(30)의 플러싱에 따른 원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UF 필터(30)의 내부에 링 형태의 와류 발생부재(290)를 장착하므로, 와류 발생부재(290)를 통해 UF 필터(30)의 내부에서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중공사들(35)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와류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정수유닛 20… 프리 카본 필터
30… UF 필터 31… 제1 연결라인
32… 제2 연결라인 34… 케이스
35… 중공사 36… 제1 유입부
37… 제1 유출부 38… 제2 유출부
39… 제1 개폐 밸브 40… 포스트 카본 필터
50… 제어유닛 210… 리저버 탱크
211… 제2 유입부 213… 제3 유출부
221… 제1 배출라인 225… 제2 개폐 밸브
230… 격벽 231… 제1 공간
232… 제2 공간 241… 게이트 밸브
245… 플로우트 246… 연결 바아
250… 순환유닛 261… 제2 배출라인
263… 체크 밸브 271… 조인트부재
273… 곡관체 290… 와류 발생부재

Claims (14)

  1. 프리 카본 필터를 거친 원수의 불순물 입자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 된 원수를 포스트 카본 필터로 공급하는 UF 필터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UF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UF 필터를 플러싱한 원수를 저장하며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는 리저버 탱크; 및
    상기 리저버 탱크와 상기 UF 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리저버 탱크에서 불순물 입자와 분리된 원수를 상기 UF 필터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닛
    을 포함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닛은,
    상기 프리 카본 필터와 상기 UF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과 상기 리저버 탱크를 연결하는 제2 배출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과 상기 제2 배출라인을 연결하는 분기점으로서의 조인트부재
    를 포함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각각 구획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상기 격벽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공간에서 불순물 입자와 원수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그 원수가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격벽의 상단을 월류하여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리저버 탱크의 내부 바닥면과 양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리저버 탱크의 내측 상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부에 게이트 밸브가 장착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밸브와 연결되는 플로우트를 더 포함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제1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배출라인의 연결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라인의 유로에서 원수의 유수 방향으로 절곡된 곡관체로 이루어지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라인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배출라인에는 상기 연결라인에서 역류되는 원수를 저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설치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F 필터의 내부에 장착되어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 발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 발생부재는 상기 UF 필터 내부의 중공사 전체를 감싸는 링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11. 원수를 순차적으로 필터링 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 UF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로 구성된 정수유닛;
    상기 UF 필터에 일정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그 UF 필터에 흡착된 불순물 입자를 플러싱하는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상기 정수유닛을 통해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 모드와,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를 통해 상기 UF 필터를 플러싱 하는 플러싱 모드를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UF 필터 플러싱 장치는,
    상기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정수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정수모드 시, 상기 UF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개방하고, 상기 UF 필터와 상기 중곡사막 필터 플러싱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폐쇄하는 정수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플러싱 모드 시, 상기 UF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폐쇄하고, 상기 UF 필터와 상기 중곡사막 필터 플러싱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개방하는 정수기.
KR1020100023683A 2010-03-17 2010-03-17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10104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683A KR20110104665A (ko) 2010-03-17 2010-03-17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683A KR20110104665A (ko) 2010-03-17 2010-03-17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665A true KR20110104665A (ko) 2011-09-23

Family

ID=4495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683A KR20110104665A (ko) 2010-03-17 2010-03-17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46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370A (ko) 2021-11-30 2023-06-07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30081349A (ko) 2021-11-30 2023-06-07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370A (ko) 2021-11-30 2023-06-07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30081349A (ko) 2021-11-30 2023-06-07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US9440864B2 (en) Dissolved 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RU2515317C1 (ru) Способ минерализации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954760B1 (ko) 역플러싱 전처리 필터를 구비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정수방법
KR100847909B1 (ko) 유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하는 원심분리식 담수화장치
KR20120011562A (ko) 침지형 중공사막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10104665A (ko) Uf 필터 플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03052597A (zh) 包括重力给料过滤器的水净化装置
DE202011105186U1 (de) Konstruktion zur biologischen Reinigung, Filtrierung und Belebung von Fahrzeugwaschwasser nach AbwV Anhang 49
KR100191863B1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48772B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정화 개선장치
KR20160090599A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222106B1 (ko) 역세척 장치를 포함한 오염원처리장치
KR100697649B1 (ko) 여과기가 내장된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JP6652958B2 (ja) バラスト水の製造方法及び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200420335Y1 (ko) 정수기용 전처리 장치
JP4647553B2 (ja) 浄化装置
KR200425783Y1 (ko) 여과기가 내장된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KR20100109157A (ko) 생활용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기
KR20100137638A (ko) 정수필터장치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KR20110106080A (ko) 침지형 uf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2003265907A (ja) 長繊維ろ過装置
JP5968592B2 (ja) 浄水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1131175B1 (ko) 연속 흐름, 순차 세정식 복합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