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422Y1 -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 Google Patents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422Y1
KR940002422Y1 KR2019910003352U KR910003352U KR940002422Y1 KR 940002422 Y1 KR940002422 Y1 KR 940002422Y1 KR 2019910003352 U KR2019910003352 U KR 2019910003352U KR 910003352 U KR910003352 U KR 910003352U KR 940002422 Y1 KR940002422 Y1 KR 940002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filter
network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757U (ko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이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원 filed Critical 이광원
Priority to KR2019910003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422Y1/ko
Publication of KR920017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종단면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나관
3 : 여과망체 4 : 간격유지구
5 : 차단망 6 : 공간부
7 : 이손수지 및 활성탄 8 : 수도꼭지
9 : 저수조 10 : 맥반석
본 고안은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식 정수기는 물속에 혼재된 각종 이물질이나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등을 걸러서 깨끗한 물을 취음토록함에 목적을 두고 있고, 특히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에 혼합된 염소(HC)를 여과시킴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염소는 수돗물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살균토록 하는 성분으로서 필요한 것이나, 이 또한 인체내에 들어갈 경우 유해작용을 하여 이온수지 및 활성탄등으로 이를 여과 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저수식 정수기는 이러한 여과과정을 상하로 분리 구성되는 물공급조와 저수조 사이에는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여과 정수된 물이 저수조에 장시간 보존되는 과정에서 대기중의 각종 세균이 침투하게 되는데 이때 저수조내의 물은 이미 염소가 제거된 상태이어서 살균력을 상실한 상태이므로 오히려 세균의 번식이 왕성하게 됨에 따라 본래 목적에 반하여 세균에 오염된 물을 취음케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돗물에 인위적으로 혼합한 염소의 제거를 최종적으로 즉, 사람이 취음을 위하여 정수기 내에서 물을 인출할 경우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물이 정수기내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는 항시 염소가 존재토록 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팔관 형으로 되는 본체(1)의 선단에 나관(2)을 형성하고, 타단에 여과망체(3)를 결합하되, 본체(1)의 내부에는 차단망(5)을 갖는 간격유지구(4)를 삽입하여 차단망(5)과 나관(2) 사이에 공간부(6)가 형성되도록 하고, 여과망체(3)와 차단망(5)의 사이에는 통상의 이온수지 및 활성탄(7)을 충전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수도꼭지, 9는 정수기의 정수조, 10은 맥반석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도면의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수기의 정수조(9) 하단에 통공으로 삽입되는 수도꼭지(8)에 나관(2)을 결합하여 사용케되는 것으로, 수도꼭지(8)를 개방하면, 저수조(9)내의 물이 여과망체(3)를 통과하여 이온수지 및 활성탄(7)을 경유한 후 수도꼭지(8)를 통해 외부로 물이 인출되게 되는 것인에, 이때 저수조(9)내의 물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급조에서 필터에 의해 이물질등이 여과된 상태로 낙하한 것이지만, 살균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혼합한 염소는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저수조(9)내의 물이 장시간 보관되더라도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게 되고, 사람이 물을 취음하고져 할 경우에 비로소 이온수지 및 활성탄(7)을 경유함으로서 염소가 제거되므로 항시 최상의 상태로 여과, 정수된 물을 취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1)내에 삽입되는 차단망(5)과 간격유지구(4)를 생략할 수도 있으나 이때에는 관경이 작은 나관(2)에 이온수지 및 활성탄(7)이 밀접되는 관계로 수도꼭지(8)를 개방하더라도 인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할 것이므로 바람직하게는 차단망(5)을 갖는 간격유지구(4)를 설치함으로서 차단망(5)과 나관(2) 사이에 공간부(6)가 형성되도록 하여 물이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돗물내에 인위적으로 혼합한 염소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지함으로서 최상의 상태로 여과, 정수된 물을 취음할 수 있어 국민 보건위생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지대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나팔관형으로 되는 본체(1)의 선단에 나관(2)을 형성하고, 타단에 여과망체(3)를 결합하되, 본체(1)의 내부에는 차단망(5)을 갖는 간격 유지구(4)를 삽입하여 차단망(5)과 나관(2) 사이에 공간부(6)가 형성되도록 하고, 여과망체(3)와 차단망(5)의 사이에는 통상의 이온수지 및 활성탄(7)을 충전시켜서 된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KR2019910003352U 1991-03-13 1991-03-13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KR940002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352U KR940002422Y1 (ko) 1991-03-13 1991-03-13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352U KR940002422Y1 (ko) 1991-03-13 1991-03-13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57U KR920017757U (ko) 1992-10-17
KR940002422Y1 true KR940002422Y1 (ko) 1994-04-15

Family

ID=1931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352U KR940002422Y1 (ko) 1991-03-13 1991-03-13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4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57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8475A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5277805A (en) Rechargeable water filter
US5895573A (en) Ultrafiltration device for domestic/drinking water purification
US5078876A (en) Apparatus for multistage purification of water
US8425771B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US4711723A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8394268B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090104004A (ko) 항균 주둥이 또는 하우징을 갖는 액체 디스펜서 또는 정수 유니트
KR940002422Y1 (ko)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KR100356437B1 (ko) 역삼투막 정수기의 제균 및 항균 시스템
WO2010011984A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0168473Y1 (ko) 휴대용 정수장치
JP3370351B2 (ja) 浄水器
KR950008300Y1 (ko) 정수기
JPH07328660A (ja) 浄水装置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JPH06226262A (ja) 浄水器
KR960011885B1 (ko) 정수장치
KR20020020427A (ko) 한외 여과막과 소형펌프를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KR19980059685U (ko)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
JPS6031762Y2 (ja) 浄水用管状体
JP3034470U (ja) 浄水器
JPS6313837Y2 (ko)
CN2427265Y (zh) 一种净化水管状构件
JPH06210288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