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861B1 -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861B1
KR950007861B1 KR1019920006218A KR920006218A KR950007861B1 KR 950007861 B1 KR950007861 B1 KR 950007861B1 KR 1019920006218 A KR1019920006218 A KR 1019920006218A KR 920006218 A KR920006218 A KR 920006218A KR 950007861 B1 KR950007861 B1 KR 95000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mcorder
case
switch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846A (ko
Inventor
유충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861B1/ko
Publication of KR93002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캡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제1도 및 제2도는 캡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횡단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요부 상세도.
제7도 및 제8도는 종래 캠코더의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코더 케이스 2 : 렌즈
3 : 캡 4 : 플레이트
5 : 제1탄지수단 6 : 샤프트
7 : 제2탄지수단 8 : 레버
9 : 모드절환스위치 10 : 스위치홀더
본 발명은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코더의 케이스에 렌즈 보호용 캡을 힌지 결합하여 회전식으로 개폐하도록 하고, 캡을 개방하는 동작에 의하여 모드절환스위치가 자동으로 절환되게 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이 필요없도록 한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캠코더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코더케이스(21)의 전방부에 렌즈(22)가 결합되고, 그 렌즈(22)는 캡(23)을 씌워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캡(23)은 연결끈(24)으로 캠코더케이스(210와 연결되고, 촬영시 캡(23)을 벗기면 캡(23)이 늘어져 덜렁거리게 되어 불편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23)을 부착해 두기 위한 캡고정용 돌기(26)가 그립(25)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코더 케이스(21)의 상부 일측에는 모드절환스위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캠코더는 촬영하려는 경우 캡(23)을 벗겨내고 또한 별도로 설치된 모드절환스위치(27)를 조작하여 촬영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캠코더는 촬영시 캡(23)을 벗겨 캡고정용 돌기(26)에 결합하여 부착하고, 모드절환스위치(27)를 별도로 눌러 촬영대기 상태로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한 가지를 조작하지 않아 촬영하려다 다시 조작해 주는 사례가 흔히 발생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캡(23)을 캠코더 케이스(21)와 연결하는 연결끈(24)이 풀리거나 떨어져 캡(23)이 분실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캠코더의 렌즈 보호용 캡과 모드절환 스위치를 연동 구조로 결합하여 촬영시 캡을 열면 모드절환스위치가 자동으로 조작되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횡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고, 제4도 내지 제6도는 요부 상세도로서, 이에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캠코더 케이스(1)와, 그 캠코더 케이스(1)에 회전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3)과, 그 캡(3)을 닫히고 열려있는 상태에서 안정하게 지지하는 제1탄지수단(5)과, 캠코더 케이스(1)의 내측에 고정된 모드절환스위치(9)와, 상기 캡(3)이 개방되는때 캡(3)과 연동하여 모드절환스위치(9)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조작중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3)은 양측부에 돌기부(3´)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 돌기부(3´)에 형성된 홈(3˝)에는 플레이트(4)와 제1탄지수단(5)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캡(3)에 결합된 양측 플레이트(4)의 단부에는 축삽입공(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 플레이트(4)의 축삽입공(4´)을 통하여 샤프트(6)가 삽입되고, 그 양측 샤프트(6)는 캠코더 케이스(1)에 형성한 보스부(1´)에 압입됨으로써 캡(3)이 회전식으로 개폐된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상기 플레이트(4)와 제1탄지수단(5)의 결합 구조를 보인 요부 상세도로서, 이에도시한 바와 같이, 캡(3)의 양측 홈(3˝)의 내측에 플레이트(4)가 삽입되고 그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탄지수단(5)인 압축스프링(5)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플레이트(4)가 유동할 수 있는 행정거리는 L이고 스프링은 제5도의 상태에서 신장되고 제6도의 상태에서는 압축된다.
상기 캠코더 케이스(1)의 내측부에는 모드절환스위치(9)가 홀더(10)에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코더 케이스(1)의 내측부에는 스위치 조작 중계수단으로서 제2탄지수단(7)이 설치되어 상기 캡(3)이 개방될때 제2탄지수단(7)을 움직이면 제2탄지수단(7)이 상기 모드절환스위치(9)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탄지수단(7)에는 판스프링이 사용되며, 그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캠코더 케이스(1)의 내면에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11)로 고정되고 판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모드절환스위치(9)의 놉(9´)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모드절환스위치(9)의 놉(9´)과 판스프링의 끝단부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유지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에는 레버(8)가 고정되고 레버(8)의 돌기부(2´)는 캠코더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캡(3)이 개방되는 때에 캡(3)의 끝단부(3˝´)에 의해 눌리어 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상태와 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상태는 캡(3)이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제1탄지수단(5)인 압축스프링의 일측단이 캡(3)의 홈(3˝)에 접촉되고 타측단은 플레이트(4)에 접촉되어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 스프링에 의하여 캡(3)에는 항상 인장력이 작용하며, 샤프트(6)에 의해 고정된 플레이트(4)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나 직선운동은 불가능하므로 캡(3)은 샤프트(6)의 방향으로 압축력의 힘 만큼 움직이게 되는데 이 힘으로 렌즈(2)를 안정하게 덮게 된다.
이와 같이 캡(3)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촬영을 하기 위해 캡(3)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캡(3)을 양측 2개소의 돌기부(3´)를 잡고 렌즈(2)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긴후 제2탄지수단(7)이 설치된 측벽을 향하여 캡(3)의 끝단부(3˝´)가 캠코더 케이스(1)의 요홈부(1˝)에 끼워질때까지 회전시킨다.
이때 캡(3)의 행정거리(L)은 캡(3)을 최대한 당길 수 있는 거리이며, 캠코더 케이스(1)의 요홈부(1˝) 좌측에는 스토퍼(1˝´)가 형성되어 있어 끝단부(3˝´)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3)이 닫히게 되면 캡(3)의 끝단부(3˝´)기 제1탄지수단(5)의 인장력으로 레버(8)의 돌기부(8´)를 누르게 되고 이에따라 제2탄지수단(7)인 판스프링은 고정부재(1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모드절환스위치(9)의 놉(9´)을 누르게 되어 모드절환스위치(9)가 카메라 모드로 절환되면서 촬영대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탄지수단(7)의 누름에 필요한 힘을 제외한 제1탄지수단(5)의 잔여인장력은 캡(3)을 캠코더 케이스(1) 측벽에 단단히 고정시켜 캡(3)이 닫힌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스위치는 푸쉬버튼 스위치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가 달린 마이크로 스위치와 그외 다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스위치조작 중계수단을 사용하는 대신 캡을 개방하였을때에 캡의 끝단부가 모드절환스위치를 직접 작동시키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캡이 캠코더 케이스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캠코더 처럼 캡이 덜겅거리거나 분실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캡을 개방하는 때에 모드절환 스위치가 캡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촬영대기 상태로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모드절환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캠코더를 보다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캠코더 케이스(1)와, 그 캠코더 케이스(1)에 회전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캡(3)과, 그 캡(3)을 닫히고 열려 있는 상태에서 안정하게 지지하는 제1탄지수단(5)과, 캠코더 케이스(1)의 내측에 고정된 모드절환스위치(9)와, 상기 캡(3)이 개방되는때 캡(3)과 연동하여 모드절환스위치(9)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조작중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3)은 양측부에 돌기부(3´)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 돌기부(3´)에 형성된 홈(3˝)에는 플레이트(4)와 제1탄지수단(5)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캡(3)에 결합된 양측 플레이트(4)의 단부에 형성된 축삽입공(4´)을 통하여 샤프트(6)가 삽입되고, 그 양측 샤프트(6)는 캠코더 케이스(1)에 형성한 보스부(1´)에 압입되어 캡(3)이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 중계수단은 제2탄지수단(7)인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캠코더 케이스(1)의 내면에 고정부재(11)로 고정되고 판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모드절환스위치(9)의 놉(9´)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모드절환스위치(9)의 놉(9´)과 판스프링의 끝단부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3)의 양측 홈(3˝)의 내측에 플레이트(4)가 삽입되고 그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탄지수단(5)인 압축스프링(5)이 각각 삽입되며, 플레이트(4)가 행정거리(L) 범위에서 유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에는 레버(8)가 고정되고 레버(8)의 돌기부(8´)는 캠코더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캡(3)이 끝단부(3˝´)에 의해 눌리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KR1019920006218A 1992-04-14 1992-04-14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KR95000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218A KR950007861B1 (ko) 1992-04-14 1992-04-14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218A KR950007861B1 (ko) 1992-04-14 1992-04-14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846A KR930022846A (ko) 1993-11-24
KR950007861B1 true KR950007861B1 (ko) 1995-07-20

Family

ID=1933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218A KR950007861B1 (ko) 1992-04-14 1992-04-14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8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846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3386B2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device
KR2004009391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950007861B1 (ko) 캠코더의 렌즈캡 장치
JP4311351B2 (ja) アダプタ装置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JP4492353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100801018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US4699486A (en) Camera with openable and closable grip
KR20070024292A (ko) 카메라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TA6194A (de) Karabinerhaken
KR200259772Y1 (ko) 캠코더의 렌즈 덮개 개폐장치
KR200176225Y1 (ko) 배터리 커버 개폐장치
JPH03235930A (ja) クリーナ付レンズキャップ
JP2001033863A (ja) カメラ
KR920004230Y1 (ko) 렌즈 캡 개폐장치
JPH08116479A (ja) ビデオカメラ
JPH0915682A (ja) レンズカバー開閉表示装置
KR100504801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구조
JPH08168026A (ja) ビデオカメラのユニット取付機構
KR20000003224U (ko) 배터리 이탈 구조를 갖는 배터리 수납 장치
KR20000005989U (ko) 이동전화 단말기용 덮개 개폐장치
KR940005096A (ko) 캠코더
JP3433813B2 (ja) バックル
JP2006189655A (ja) アダプタ装置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KR200297206Y1 (ko) 카메라의백커버개폐장치
KR200156498Y1 (ko) 스위칭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보호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