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359Y1 - 모터 전류검출회로 - Google Patents

모터 전류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359Y1
KR950007359Y1 KR92007974U KR920007974U KR950007359Y1 KR 950007359 Y1 KR950007359 Y1 KR 950007359Y1 KR 92007974 U KR92007974 U KR 92007974U KR 920007974 U KR920007974 U KR 920007974U KR 950007359 Y1 KR950007359 Y1 KR 950007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lectromotive force
counter electromotive
curre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650U (ko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일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92007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359Y1/ko
Publication of KR930026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6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3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 전류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의 모터 전류 검출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모터 전류 검출회로도.
제3a도 내지 b,c도는 모터 각상의 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터구동제어부 11 : 모터구동부
12 : 모터 13 : 역기전력 검출부
14 : 전류 검출부 L1~L3: 코일
OP1: 연산증폭기 Q1~Q6: 트랜지스터
R1~R5: 저항
본 고안은 양방향 브러쉬리스 모터의 전류 검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한 강하없이 모터제어 및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 모터 전류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모터 전류 검출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구동방향등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제어부(10)와, 그 모터구동제어부(1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트랜지스터(Q1~Q6)의 선택적인 온/오프로 모터(12)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1)와, 그 모터 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Q1~Q6)의 선택적인 온/오프에 의해 코일(L1~L3)의 기전력으로 구동되는 모터(12)와, 상기 모터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Q4~Q6)의 에미터 공통 접속점에 접속되어 상기 모터(12)의 전류를 검출하는 저항(R1)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모터 전류 검출회로의 동작과정 및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구동제어부(10)에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 (Q1~Q6)중 트랜지스터(Q1,Q6)(Q1,Q5)(Q2,Q4)(Q2,Q6)(Q3,Q5)(Q3,Q4)의 베이스에 120°의 위상차를 갖고 선택적으로 고전위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그 트랜지스터 (Q1~Q6)는 한쌍씩 선택적으로 도통된다. 즉 모터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Q1,Q6)가 도통되면 전원전압(Vs)이 트랜지스터(Q1)를 통한 후 코일(L3), (L1)을 통해 기전력을 발생시킨 후 트랜지스터(Q6)를 통하며, 한편 트랜지스터(Q1, Q5)가 도통될 경우는 코일(L3), (L2)을 구동시켜 모터를 양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모터구동부(11) 트랜지스터(Q2,Q6)(Q2,Q4)(Q3,Q5)(Q3,Q4)(Q1,Q6) (Q1,Q5)의 도통에 의해 모터(12)는 그의 코일(L1,L2,L3)에 선택적으로 전류가 흘러 양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 상기 모터(12)에 흐르는 전류는 각상의 코일(L1), (L2), (L3)에 흐르는 전류(I1,I2,I3)의 합과 같아 모터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Q4~Q6)에미터 전류와 같게 된다.
이 트랜지스터(Q4~Q6)의 에미터 전류는 저항(R1)에 의해 전압으로 검출되며, 이때의 전류(In)의 크기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In=Vo/R1-In : 모터의 전류, R1: 저항값, Vo : 저항(R1) 양단의 전압
상기의 식으로 모터(12)에 흐르는 전류(In)를 저(R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V0)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모터 전류 검출회로는 전류 검출 저항을 모터구동부 트랜지스터 하단에 장착하므로 모터구동시 전류 검출 저항으로 인해 모터를 구동하는 전압을 강하시키게 되어 모터구동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역기전력 검출부 장착으로 모터의 코일에 발생한 역기전력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각상의 역기전력을 합성하여 그로부터 모터의 전류를 검출하게 함으로써, 전류 검출 저항을 제거하여 모터 구동시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막아 모터 구동시 효율을 상승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모터 전류 검출회로도로서, 이에 도기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회전방향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제어부(10)와, 그 모터구동제어부(1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트랜지스터(Q1~Q6)의 선택적인 온/오프로 모터(12)를 양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1)와, 그 모터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Q1~Q6)의 선택적인 온/오프에 의해 코일(L1~L3)에 기전력을 발생하여 구동하는 모터(12)와, 그 모터(12)의 코일(L1~L3)에 발생된 기전력을 그 코일(L1~L3)의 양단 전압차로부터 각기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13)와, 그 역기전력 검출부(13)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합성한 후 버퍼링하여 전류 검출용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4)로 구성한다.
상기 전류 검출부(14)는 역기전력 검출부(13)의 각상 역기전력 검출전압이 저항(R2~R4)을 각기 통해 버퍼용의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공통 인가되게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5)을 통해 전원전압(1/2Vs)에 접속하고,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측으로부터 출력전압(V0)이 출력되게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 모터 전류 검출회로의 동작과정 및 작용 효과를 모터 각상의 전압 파형도인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구동제어부(10)에서 모터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Q1,Q6)(Q1,Q5) (Q2,Q4)(Q2,Q6)(Q3,Q5)(Q3,Q4)의 베이스에 120°의 위상차를 갖고 선택적으로 고전위선호를 인가하면, 그 모터구동부(11)의 트랜지스터(Q1,Q6)(Q1,Q5)(Q2,Q4) (Q2,Q6)(Q3,Q5)(Q3,Q4)는 선택적으로 도통되고, 이에 따라 코일(L3,L1)(L3,L2)(L2,L3) (L2,L1)(L1,L2)(L1,L3)에 선택적으로 전류가 흘러 기전력을 발생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하게 양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때 모터(12)의 각상 코일(L1)(L2)(L3)에는 제3a, b, c도와 같은 전압이 걸리게 된다.
또한, 이때 모터(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역기전력 검출부(13)는 모터(12)의 코일(L1)(L2)(L3) 양단 전압차로부터 각기 역기전력을 검출하고, 일예로 코일(L1)의 양단(a,d) 전압차로부터 코일(L1)의 역기전력을 검출하고, 코일(L2), (L3)의 양단(b,d)(c,d) 전압차로부터 코일(L2), (L3)의 역기전력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되는 역기전력 검출부(13)의 출력전압은 저항(R1)(R2)(R3)을 각기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공통인가되어 합성된다.
결국, 이때 역기전력 검출부(13)에서 검출되는 각상 코일(L1)(L2)(L3)의 역기전력은 120°의 위상차를 갖는 사인파형으로 나타나므로, 저항(R2)(R3)(R4)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V1)(V2)(V3)은 하기의 식 (1), (2),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식에서 저항(R2~R4)의 값을 같다고 가정하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은 하기의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의 식(4)에서 연산증폭기(OP1)는 버퍼기능으로 입출력이 동일하므로 그의 출력전압(Vo)은 다음 식(5)와 같이 유도할 수 있다.
(RM=R2, R3, R4) 이상의 식을 통해 모터(12)에 흐르는 최종전류(Im)는 다음 식과 같이 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방향 브러쉬리스 모터의 전류 검출에 사용하던 종래의 검출저항을 제거하고, 역기전력 검출부에 의해 모터의 코일에 발생한 역기전력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각상의 역기전력 전압을 합성하여 그로부터 모터의 전류를 검출하게 함으로써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최대한 할 수 있어 모터구동시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회전방향등을 제어하는 모터구동제어부(10)와, 상기 모터구동제어부(1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모터(12)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 (11)와, 상기 모터구동부(11)에 의해 코일(L1~L3)에 역기전력을 발생하여 구동되는 모터(12)와, 상기 모터(12)의 코일(L1~L3)에 발생된 역기전력을 그 코일(L1~L3)의 양단 전압차로부터 각기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13)와,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13)의 각 검출 출력전압을 합성한 후 전류 검출용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4)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전류 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전류 검출부(14)는 역기전력 검출부(13)의 각상 역기전력 검출 출력전압이 저항(R2~R4)을 각기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공통 인가되게 접속하고, 그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는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5)을 통해 전원전압(1/2Vs)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전류 검출회로.
KR92007974U 1992-05-11 1992-05-11 모터 전류검출회로 KR950007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974U KR950007359Y1 (ko) 1992-05-11 1992-05-11 모터 전류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974U KR950007359Y1 (ko) 1992-05-11 1992-05-11 모터 전류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650U KR930026650U (ko) 1993-12-28
KR950007359Y1 true KR950007359Y1 (ko) 1995-09-07

Family

ID=1933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974U KR950007359Y1 (ko) 1992-05-11 1992-05-11 모터 전류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3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650U (ko) 199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91427A1 (en) Inverter device with improved current detector
JPH1080182A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US4949393A (en) Motor rotation speed controlling apparatus
KR950007359Y1 (ko) 모터 전류검출회로
JP3305173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US6998802B2 (en) Motor rotation rate detecting circuit and motor driving device
WO2008032727A1 (fr) Dispositif d'entraînement par moteur sans balais monophasé
KR930005383Y1 (ko) 저전압용 모터전류 검출회로
JPH0799796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装置
CN211374870U (zh) 电流检测器
JP3457151B2 (ja) コイル駆動回路
KR0173941B1 (ko) 1개의 자기감응소자를 갖는 3상 모터의 구동 시스템
JP4409663B2 (ja) モータの回転パルス出力回路
KR100290117B1 (ko) 3상 스텝 모터의 마이크로 스텝 구동회로
JPS6285689A (ja) モ−タのドライブ回路
JP2005201665A (ja) 電圧検出回路
KR19990081164A (ko) 센서가 없는 비엘디씨(bldc) 모터의 위치감지장치
JPH11332288A (ja) モータ駆動回路
JP273795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JP3289815B2 (ja) 断線検出装置
JPH03100469A (ja) 増幅器の電流検出回路
KR100228698B1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전류감지장치
JPH08242596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制御回路
KR0134789Y1 (ko) 브러시리스 모터
JPH0229949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