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102B1 -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102B1
KR950007102B1 KR1019930004393A KR930004393A KR950007102B1 KR 950007102 B1 KR950007102 B1 KR 950007102B1 KR 1019930004393 A KR1019930004393 A KR 1019930004393A KR 930004393 A KR930004393 A KR 930004393A KR 950007102 B1 KR950007102 B1 KR 95000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key
groove
lo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874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1993000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102B1/ko
Publication of KR94002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진위확인부의 확대사시도.
제3도와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킹바와 다이얼놉의 후면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록킹바와 록킹디스크판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조립단면도.
제6a도와 b도는 본 발명 열쇠실린더 조립체가 진정열쇠에 의해 해제될 때의 해제 1, 2단계 및 잠금상태를 함께 도시한 작동상태도.
제7도 a와 b는 본 발명인 열쇠실린더 조립체가 유사열쇠사용에 의한 오작동 및 이의 해제단계를 함께 도시한 작동상태도.
제8a도, b도, c도는 본 발명인 다이얼링장치의 해제시 다이얼놉의 톱니홈과 제4록킹디스크판의 해제 홈사이의 정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열쇠실린더 b : 진위확인부
c : 록킹바 d : 록킹디스크판유닛
e : 다이얼놉 f : 실린더하우징
1 : 열쇠홈 2 : 록킹판탄지용 코일스프링
3 : 록킹핀 3a : 해제홈
4 : 요홈부 5 : 후미부
5a : 스프링끼움공 5b,8a,8b : 핀끼움공
6a : 헤드부 6b : 디스크장착부
6c : 몸체부 7 : 개구부
9 : 키끼움홈 9a : 제1걸림턱
9b : 제2걸림턱 10a : 제1경사면
10b,10c : 제1, 2상향이동경사면 10d : 하향안내경사면
10e : 제2경사면 10f : 하단측면부
11a,11b : 제1, 2단계부 12 : 돌출단
13 : 해제홈 14 : 작동핀
15a : 스프링지지단 15b : 핀걸림단
15c : 열쇠끝지지단 16 : 고정핀
17 : 코일스프링 18 : 지렛핀
22,23,24,25 : 제1,2,3,4록킹디스크판 22a,23a,24a,25a : 요입홈
22b,23b,24b,25b : 해제홈 26 : 스페이셔 디스크판
26a : 고정키 26b : 해제홈
27 : 회동키 28 : 톱니홈
29a : 잠금용 개구홈 29b : 열림용 개구홈
30 : 이탈방지핀
본 발명은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쇠해제방식과 다이얼해제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열쇠해제방식에서는 해제동작이 연속 2단계로 구분 동작되어 유사열쇠로 해제 1단계로 이루어졌다 해도 곧바로 해제2단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해제오작동이 발생되어서 이때는 진정 열쇠로도 해제할 수가 없고 단지 다이얼해제방식으로만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물쇠에는 원통형 열쇠실린더내에 일련의 록킹핀이 다수 배치되어서 열쇠홈에다 열쇠를 꽂아 이 열쇠에 형성된 홈의 패턴에 따라 상기 록킹핀이 위치가 정렬되면 열쇠실린더가 실린더하우징과 분리되어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서 자물쇠가 해제시켜지도록 된 원통형 자물쇠와, 원주면의 소정위치에 해제홈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록킹디스크가 조합ㆍ배열되어서 다이얼눈금이 새겨진 다이얼홈을 다이얼고유번호에 맞춰 좌우로 돌려 상기 해제홈을 서로 일치시켜주고 잠금손잡이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해제홈내로 록킹바가 삽입되면서 자물쇠가 해제시켜지도록 된 다이얼형 자물쇠가 있다.
그런데 상기 원통형 자물쇠는 열쇠홈에 진정열쇠와 유사한 열쇠라던가 갈고리를 갖춘 핀등을 삽입해서 적절히 조작하게되면 자물쇠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있게 되어 자물쇠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게되는 결점이 있는바,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구성부품을 제작할 때 허용공차를 극히 작게하는 등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어서 실제로 제작상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이얼장치에 있어서는 록킹디스크판등의 외주면상에 해제홈은 함입되고 걸림단은 돌출되게 각기 형성되어서, 다이얼고유번호를 맞추기 위해 다이얼놉을 좌우로 돌리게 되면 로킹후크가 록킹디스크판들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걸림단에 걸려서 해제디스크판들을 다이얼고유번호에 따라 위치시킴으로서 해제홈이 일직선 정열되어 자물쇠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는 바, 다이얼장치 부위에다 청진기등의 기구를 갖다 대고 다이얼놉을 적절히 돌리게 되면 록킹디스크판상의 해제홈 부위에서 록킹후크이 마찰이 단락됨을 감지함으로서 다이얼 고유번호의 탐지가 가능하게 되므로서 자물쇠기능의 신뢰도에 한계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자물쇠에 열쇠해제방식과 다이얼 해제방식이 모두 사용되고 열쇠로 해제할 경우에는 해제동작이 1, 2단계로 구분동작되면서 열쇠의 유사여부가 체크됨과 동시에 해제1, 2단계가 짧은 시간내에 연속으로 이루어져야만 자물쇠가 해제되도록 되어져서, 만일 유사열쇠에 의해 해제 1단계가 이루어지더라도 연속하여 해제 2단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해제 오작동상태가 발생되고 따라서 이때는 진정열쇠로도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며 단지 다이얼해제방식에 의해서만 자물쇠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되므로써, 유사열쇠에 의한 해제방지기능이 가일층 강화된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이얼장치에서는 다이얼고유번호의 탐지가 불가능하도록 해제디스크판들과 다이얼놉의 형상 및 해제 구조가 이루어져서, 다이얼장치자체만의 임의 해제 방지기능도 크게 보완된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중심부에 열쇠홈이 길게 형성되고, 이 열쇠홈의 측방외주면상에 다수개의 로킹핀이 끼워져 탄설배치되는 요홈부 및 후미부로 이루어진 열쇠실린더가, 선단에는 외경확대단차로 인해 헤드부와 디스크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길이방향으로는 로킹바설치용 개구부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이 개구부 앞쪽 헤드부의 벽면에는 소정의 진위확인부가 돌출되게 성형되는 한편, 상기 로킹삽입용 개구부에는 후미부에 내설되는 코일스프링과 렛핀에 의해 상향으로 탄지되도록 로킹바가 삽설되어 이 로킹바의 일측벽에 장착된 작동핀이 로킹바의 이동과 함께 상기 진위확인부를 타고 동작되도록 이루어진 열쇠실린더에, 이 열쇠실린더의 앞쪽 디스크판 장착부에 조립되는 로킹디스크판 유닛과, 이 로킹디스크판 유닛을 감싸면서 후방 내주면상에 다이얼고유번호 탐지방지용 톱니홈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갖춰진 다이얼놉 및, 상기 열쇠실린더의 몸체둘레에 끼워져 감싸도록 된 원통형 실린더하우징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로킹바는, 하부면이 2단으로 단층이 지고 선단상부로 역 ㄱ자형 상이면서 상부면이 2단으로 단층을 이루는 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끝부분이 상하로 분지되어 핀지지단과 코일 스프링지지부 후미부내로 끼워져 고정핀으로 지지된 코일스프링과 핀끼움공에 끼워진 지렛핀에 의해 상향으로 탄발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킹바의 일측면에는 함입되게 작동핀이 끼워져 이 작동핀 선단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진위확인부의 하향안내경사면, 제1지지턱, 제1경사면, 제2지지턱, 제2경사면, 제1상향이동경사면, 제2상향이동경사면들을 타고 동작되어지도록 된다.
그리고 디스크판장착부에는 스페이셔디스크판 고정용 키끼움홈이 가공되어 링형상으로서 내주면상에는 소정각도로 이격되게 2개의 해제홈이 각기 형성되고 외주면둘레로는 대략 360°, 180°, 90°, 45°크기의 요입홈들이 가공된 제1, 2, 3, 4로킹디스크판과, 이 제1, 2, 3, 4로킹디스크판 사이에 간격을 조정하는 스페이셔디스크판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끼워지되, 상기 제4로킹디스크판의 내주면상에는 등간격으로 해제홈이 다수 형성된다.
또한 다이얼놉에는 내경면상에 제4로킹디스크판의 해제홈형상에 상응되게 반시계방향으로 돌출되게 톱니홈이 형성되고 회동키도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열쇠실린더조립체의 열쇠홈에다 열쇠를 끼우게 되면 먼저 로킹핀의 해제홈이 일렬로 정열되고, 다시 열쇠패턴이 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열쇠를 약간 밀게 되면 로킹바후방을 지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이 압착됨과 동시에, 로킹바의 작동핀이 제1걸림턱에서 이탈되어 제1,2경사면을 타고 내려 오는 해제1, 2단계를 거침과 더불어 돌출단 상부면이 개구부로 완전수납이 되어져 자물쇠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여기서 작동핀은 진위확인부의 제1경사면이 좌ㆍ우로 비스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미끄럼이동시에 탄성복원성을 갖게 되고,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쇠에 의한 해제동작 1, 2단계가 짧은 시간내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해제가 가능하게 되며, 만일 유사열쇠등을 사용하여 해제동작이 1단계에서 정지되는 경우에는 작동핀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경사면을 이탈하면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2걸림턱에 걸쳐지게 되므로써, 작동핀의 하향운동이 저지되어져 로킹바가 개구부내로 수납되지 못하고 해제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 바, 이때는 다이얼장치를 통해 다이얼록킹디스크판들의 해제홈들을 일직선으로 정열시키게 되면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핀이 제1상향이동경사면을 타고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단이 열쇠실린더 외주면상부로 완전돌출되어서, 원통형 실린더하우징의 선단이 돌출단하부쪽에 삽입된 상태로 자유롭게 회전되어 자물쇠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첩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로서, 원통형실린더의 중심부를 따라 열쇠홈(1)이 갖춰지고 이 열쇠홈(1) 측방 외주면에 작은 코일스프링(2)을 매개로 소정형상의 로킹핀(3)이 탄설되는 요홈부(4) 및 후미부(5)로 이루어진 열쇠실린더(a)에, 상기 후미부(5), 중앙에는 열쇠홈(1) 끝단과 연통된 스피링끼움공(5a)과 핀끼움공(5b)이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앞쪽에는 외경확대단차로 인해 헤드부(6a)와 디스크장착부(6b)로 구획 형성되며, 이 디스크장착부(6b)의 외주면상에는 약간 돌출되게 키끼움홈(6b')이 갖춰짐과 더불어 이 디스크장착부(6b)와 몸체부(6c)의 외주면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직선되게 개구부(7)가 가공되어서 상기 열쇠홈(1)상부에 위치되어지고, 이 개구부(7) 후방부근에는 횡방향으로 핀끼움공들(8a,8b)이 각각 갖추어지는 한편, 상기 개구홈(7) 내 헤드부(6a) 선단벽 중앙에는 제2도와 같이 돌출되게 제1지지턱(9a)이 형성되고 이 제1지지턱(9a)의 측벽과 앞쪽 및 상부쪽과 후방쪽에는 각기 연장되어 상호 엇갈리게 우ㆍ좌향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10a)과 제1상향이동경사면(10b) 및 제2상향이동경사면(10c)과 하향안내경사면(10d)이 각각 형성되며, 이 제1상향이동경사면(10c) 앞쪽에는 상기 제1경사면(10a)끝과 일정한 틈새를 두고 제2경사면(10e)이 형성되어지되, 이 제2경사면(10e)은 상부가 평면으로 되면서 제2걸림턱(9b)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소정형상의 진위확인부(b)로 이루어진다.
한편, 로킹바(c)는 사각부재로서 하부면(11)이 단차로 인해 1단계부(11a)와 2단계부(11b)로 구획됨과 더불어, 선단상부에는 역 ㄱ자 형상으로 갖춰진 돌출단(12)에 의해 해제홈(13)이 갖추어지되 돌출단(12) 상부면도 단층이 지고, 또한 일측면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중심횡축을 따라 형성된 홈상에 작동핀(14)이 끼워져 그 끝단이 고정된 상태로 선단이 로킹바(c)앞쪽으로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어져 있으며, 또 상기 로킹바(c)의 후미는 상ㆍ하로 분지되어 각기 스프링지지단(15a)과 핀걸림단(15b) 및 열쇠끝지지단(15c)을 이루도록 되어지고, 상기 개구부(7)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끼움공(5a)을 통해 스프링지지단(15a)과 고정핀(16)사이에 끼워진 코일스프링(17)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상기 핀끼움공(8a)에 끼워진 지렛핀(18)에 의해 상향력을 갖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작동핀(14)이 진위확인부(b)상의 제1지지턱(9a) 위에서 하향안내경사면(10d)쪽의 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면서 이 하향안내경사면(10d)에 접촉되면서 위치된다.
한편, 상기 열쇠실린더(a)의 디스크장착부(6b)상에는 록킹디스크판유닛(d)이 끼워지되, 이 록킹디스크판유닛(d)은 링형상으로 외주면둘레상에 대략 360°, 180°, 90°, 45°크기를 갖는 요입홈(22a,23a,24a,25a)이 갖춰지고 내주면상에는 소정각도의 간격을 두고 1상의 해제홈들(22b,23b,24b,25b)이 갖춰진 제1, 2, 3 로킹디스크판(22,23,24)과 해제홈(25b)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제4록킹디스크판(25)의 사이사이로, 상기 키끼움홈(20)에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키(26a)와 개구홈(26b)이 각기 내주면상에 형성된 간격조정용 스페이셔디스크판(2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스페이셔디스크판(26)의 외경은 각 디스크판들(22,23,24,25)의 요입홈(22a,23a,24a,25a)의 내경크기 정도로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디스크판유닛(d)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다이얼놉(e)의 내경은 각 디스크판들(22,23,24,25)의 요입홈(22a,23a,24a,25a)이 아닌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성형됨과 더불어 이 내경면상에 제4도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회동키(27)가 있고, 내경면 끝단에는 상기 제4록킹디스크판(25)의 요입홈(25a) 상응작동되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톱니형상의 톱니홈(28)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5도에서와 같이 제1, 2, 3록킹디스크판(22,23,24)은 상기 록킹바(c)의 돌출단(12)의 상부면의 단차를 경계로 앞쪽에 끼워져 일정한 틈새를 갖고 제4록킹디스크판(25)만 단차뒷쪽에 위치되어 접촉상태를 견지토록 되어진다.
또 상기 열쇠실린더(a)둘레의 몸체부(6c)에 끼워지는 원통형 실린더하우징(f)앞쪽에도 소정각도의 간격으로 잠금용 개구홈(29a)과 해제용 개구홈(29b)이 각각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 진위열쇠로 자물쇠를 해제시키는 경우 ;
제6a도와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홈(1)에다 소정의 진정열쇠를 진입시키면 열쇠의 패턴에 따라 록킹핀(3)들이 일직선상에 배열되고, 다시 열쇠패턴이 변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열쇠를 제7도 a와 b와 같이 (가)방향으로 약간 밀게되면 열쇠끝부분이 열쇠끝지지단(15c)을 밀어주게 되어 코일스프링(17)이 압착되면서 핀걸림단(15b)과 지렛핀(18)사이가 벌어지게 되어서, 열쇠끝지지단(15c)이 작용점이 되어 코일스프링(17)의 탄발력으로 하향력을 갖게 되면서 조금 후퇴되어진 로킹바(c)가 개구부(7)내로 침하됨과 동시에 작동핀(14)이 진위확인부(b)상의 제1걸림턱(9a)에서 이탈되어 순간적으로 제1경사면(10a)을 타고 미끄러지는 해제 1단계와, 이 해제 1단계에 이어져 연속으로 작동핀(14)이 제1경사면(10a)에 이어 제2경사면(10e)을 타고 침하되어 하단측면부(10f)에 위치되면서 실린더하우징(f)의 개구홈(29a)내에 걸려있던 돌출단(12)상부가 완전히 개구부(7)내로 수장되어지는 해제 2단계가 완료되면, 열쇠를 우측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자물쇠의 해제를 이루도록 되어진다.
여기서 열쇠를 빼게 되면 록킹바(c)는 열쇠끝지지단(15c)과 스프링지지단(15a)과의 지렛작용이 소실되어지고 압착된 스프링들(17)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후진하게 됨과 동시에 작동핀(14)이 하단측면부(10f)에서 제1상향이동경사면(10b)쪽으로 수평이동되어지고, 이어서 핀걸림단(15b)의 지렛핀(18)에 접촉하게 되며는 록킹바(c)가 코일스플링(17)과 지렛핀(18)의 지렛작동에 의해 제1상향이동경사면(9b)을 타고 상승되어 제1걸림턱(9a)의 최초위치에 놓이게 됨과 더불어, 돌출단(12)이 개구부(7) 상부로 돌출되어 원통형 실린더하우징(g)의 해제용 개구홈(29b)쪽에 끼워진 상태로 자물쇠 잠금장치의 해제가 완료되어진다.
그리고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열쇠를 열쇠홈(1)에 끼워 왼쪽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되면 록킹바(c)의 돌출단(12)이 원통형하우징(g)의 잠금용 개구홈(29a)에 끼워지면서 다시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바(c)의 하부면의 단층구조는 열쇠가 열쇠홈(1)에 끼워져 해제 1단계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록킹바(c)의 2단계부(11b)가 항상 록킹핀(3)상부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케 되어서, 상기 2단계부(11b)쪽 록킹핀(3)상 해제홈(3a)의 위치감지가 곤란하게 되는 안전기능을 갖게 된다.
(나) 유사열쇠로 자물쇠를 해제시키는 경우 ;
제7도 a와 b에서 열쇠패턴이 해제 1, 2단계부의 록킹핀(3)들의 패턴과 모두 틀리는 유사열쇠를 열쇠홈(1)에 삽입시키면 록킹핀(3)들은 열쇠패턴에 따라 정렬되고, 이어서 유사열쇠를 더욱 밀게 되면 작동핀(14)은 진위확인부(b)의 제1걸림턱(9b)의 끝단을 벗어나게 되지만 록킹바(c)는 하부면의 1단계부(11a)가 록킹핀(3)의 해제홈(3a)과 일치하지 않아서, 이 1단계부(11a)가 록킹핀(3)상의 해제홈(3a)이 아닌 윗부분과 항상 맞닿게 되므로 일체 하향이동을 할 수 없어 열쇠해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1단계부(11a)의 록킹핀(3) 패턴이 유사열쇠의 패턴과 같을 경우 록킹바(c)의 1단계부(11a)는, 1단계부쪽 록킹핀(3)의 해제홈(3a)으로 삽설되면서 하향되어지나, 2단계부(11b)쪽 록킹핀(3) 패턴은 유사열쇠패턴과 다르므로 록킹바(c)는 하향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핀(14)은 제1경사면(10a)을 타고 내려와 멈추게 되므로 작동핀(14)이 갖는 탄성력이 0이 되는 제2걸림턱(9b) 지점으로 복원위치된 다음 멈추게 되므로서, 열쇠해제가 불가능하고 유사 열쇠를 빼게되면 작동핀(14)은 제2상향이동경사면(10c) 하부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오작동이 일어난 다음에는 진정열쇠를 삽입시키더라도 항시 작동핀(14)이 상향이동경사면(10c)에서 바로 제2걸림턱(9b)에 걸리게 되어져, 열쇠해제는 전혀 불가능하고 다이얼장치로서만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진위확인부(b)와 작동핀(14)과의 상호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1걸림턱(9a)과 제2걸림턱(9b)의 수평높이차는 록킹바(c) 하부면의 단차높이 보다 약간 크게 되고 제1걸림턱(9a)의 수평면과 제2걸림턱(9b)의 수평면 사이의 수평거리차는 수평높이차보다 크게 하는 바, 이는 작동핀(14)이 제1걸림턱(9a)에서 단락하향하면 제2걸림턱(9b)쪽으로 탄력복원하려함과 동시에 록킹바(c)와 같이 하향하는 2개의 운동방향을 갖도록 되어서, 진정열쇠로 자물쇠를 해제하게 될 경우 작동핀(14)은 제1걸림턱(9a)에서 이탈되어 제1경사면(10a)을 타고 하향하여 제2걸림턱(9b)으로 가기 이전에 제2경사면(10e)을 타게 되고 이어서 하단측면부(10f)에 머물러 해제가 이루어지나, 만일 해제 1단계는 이루어졌으나 해제 2단계에서 열쇠패턴이 틀리는 유사열쇠의 경우에는 작동핀(14)이 제1걸림턱(9a)을 이탈하여 하향이동으로 해제 1단계는 이루어지나, 이어서 작동핀(14)이 제2경사면(10e)을 타지 못하게 되므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걸림턱(9b) 수평면위에서 멈추게 되어 해제 2단계의 하향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다) 다이얼로 자물쇠를 해제시키는 경우 ;
먼저 다이얼의 고유번호를 맞추기 위해 다이얼놉(e)을 1회이상 우측으로 공회전한 다음 최초 우측방향으로 맞추고 좌ㆍ우순으로 좌ㆍ우회전시키게 되면 회동키(27)가 제1, 2, 3, 4록킹디스크판(22,23,24,25)의 요입홈들(22a,23a,24a,25a)의 좌우단을 밀어 회전시키게 되므로, 소정의 위치상에서 상기 제1, 2, 3, 4록킹디스크판(22,23,24,25)들의 해제홈들(22b,23b,24b,25b)이 개구부(7)와 일치되게 일직선으로 정열하게 되는 바, 이때 해제홈들(22b,23b,24b,25b)과 톱니홈(28)사이의 상호관계는 제8a도, b도에서와 같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되어진 상태를 이루므로, 다시 다이얼놉(e)을 약간 우회전시키게 되면 제8c도와 같이 해제홈(22b,23b,24b,25b)들과 톱니홈(28)이 일직선상을 이루게되는 순간, 록킹바(c)가 코일스프링(17)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단(12)하단과 열쇠실린더(a)의 외주면이 같아져 해제홈(13)내로 원통형 실린더하우징(f)의 선단이 회전통과될 수 있게 되며, 이때 다이얼놉(e)을 계속 우회전시키면 록킹바(c)의 선단이 다이얼놉(e)의 톱니홈(28)상 수직벽에 걸리게 되므로 열쇠실린더(a)와 함께 회동되면서 해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작동핀(14)은 제1상향이동경사면(10b)을 타고 상향이동되어, 이 제1상향이동경사면(10b) 상단을 벗어남과 동시에 상향력과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향안내경사면(10d)으로 옮겨 타면서 탄성력이 0이 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고, 만일 제7b도에서와 같이 유사열쇠에 의한 오작동인 경우에는 제2상향이동경사면(10c)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가, 다이얼번호가 맞추어져 록킹바(c)가 상승할 때 제2상향이동경사면(10c)를 타고 상승하여 이 제2상향이동경사면(10c) 맨위 끝단부를 지나면 작동핀(14)은 하향안내경사면(10d)을 타고 상승하면서 경사편차만큼 밀려져 탄성을 갖게 되어 있으므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향안내경사면(10d)상으로 복귀되며 복귀정도는 제2걸림턱(9b)상의 탄성력이 0이 되는 지점의 수직선상과 동일한 위치에 복귀된다.
또 다이얼해제후 다시 잠금상태로 하기위해 다이얼놉(e)을 좌회동시키면 톱니홈(28)의 곡선경사면이 록킹바(c)를 잠금용 개구홈(29a)에 슬립하강되면서 잠금작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핀(14)은 하향안내경사면(10d)를 타고 내려와 제1걸림턱(9a)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4록킹디스크판(25)의 해제홈들(25b)은 제9a도, b도와 같이 다이얼놉(e)상의 회동키(19)가 제4록킹디스크판(25)의 요입홈(25a)양끝단이 아닌 그 사이의 소정위치에 놓여져야만 해제홈(22b,23b,24b,25b)들이 톱니홈(28)과 일치할 수 있다.
즉, 다이얼고유번호를 맞추기 위해서는 디스크판(22,23,24,25)의 요입홈(22a,23a,24a,25a)범위가 가장 적은 제4록킹디스크판(25)의 요입홈(25a)의 끝단이 먼저 닿은 다음 소정의 디스크판들의 고유번호를 맞출 수 있으므로, 다시 말해서 제1, 2, 3,록킹디스크판(22,23,24)의 고유번호를 맞추는 회동단계에서는 록킹디스크판(22,23,24,25)내주면과 상승력있는 록킹바(c)의 돌출단(12) 상부면과의 접촉부분은 이 돌출단(12) 상부면의 단차만큼 틈새가 있게 되므로 마찰음단락이 발생되지 않아서, 제1, 2, 3록킹디스크판(22,23,24)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해제홈(22b,23b,24b)의 위치검출을 위한 마찰음 감지는 전혀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다이얼번호는 자물쇠가 잠긴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를 기준정렬하여 다이얼 고유번호를 부여케되나 자물쇠가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잠그기 위해 사용자의 착오로 유사열쇠를 삽입시켜 오작동이 일어났을 경우, 다이얼을 사용하여야 하나 자물쇠 해제회동각 만큼 기준점을 변경시켜 고유번호를 맞추어야 되므로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과 혼란을 초래케될 수 있어서, 상기 제1, 2, 3록킹디스크(22,23,24)의 열쇠해제회동각 위치에 별도의 해제홈을 1개씩 더 부여된 1쌍의 해제홈(22b,23b,24b)을 갖추게 되어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제4록킹디스크판(25)의 해제홈(25b)과 다이얼놉(e)의 톱니홈(28)을 자물쇠 해제각에 맞춰 조정하게 되면 자물쇠의 잠김 또는 해제위치에서도 소정의 기준점에 맞추어 다이얼랑만 하여도 자물쇠의 해제 및 잠김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때 자물쇠의 해제각은 실린더(f)의 잠금 및 해제용 개구홈들(29a,29b)의 사잇각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열쇠에 의한 해제동작이 2단계로 구분작동되면서 로킹핀(3)의 정열상태에 의해 1차로 유사열쇠 진위여부가 첵크되고, 이어서 유사열쇠에 의해 설상 해제 1단계가 이루어졌다해도 연이어 해제 2단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작동핀(14)이 제2걸림턱(10a)에 걸려지면서 오작동이 유발되어 재차 유사열쇠의 진위여부가 중복 체크될 뿐 아니라, 일단 유사열쇠에 의해 해제오작동이 발생된 경우에는 진정열쇠로도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므로서 사용자가 도난을 목적으로 유사열쇠가 사용된 바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돌출단(12) 상부면과 제1, 2, 3록킹디스크판(22,23,24) 사이에 항상 틈새가 형성되어져 마찰음단락성 감지를 통한 다이얼장치의 고유번호탐지가 매우 어렵게 되어져, 자물쇠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Claims (11)

  1. 원통형상으로 열쇠홈(1)과 이 열쇠홈(1) 측방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작은 코일스프링(2)을 매개로 소정형상의 로킹핀(3)이 탄설되는 요홈부(4) 및 후미부(5)로 이루어진 열쇠실린더 둘레에 소정형상의 실린더하우징이 끼워지는 열쇠실린더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열쇠실린더(a)는 후미부(5)에 스프링끼움공(5a)과 고정핀끼움공(5b)과 선단외경의 확대단차로 인해 헤드부(6a)와 디스크판장착부(6b)가 갖춰지고, 이 디스크 장착부(6a)와 몸체부(6c)의 외주면에는 상단길이방향으로는 로킹바삽설용 개구부(7)와, 이 개구부(7) 선단벽과 후방에 각각 진위확인부(b)와 핀끼움공들(8a,8b)이 갖추어져서 상기 개구부(7)상에 사각단면부재로서 선단상부에 역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면서 그 상부면이 단층진 돌출단(12)과 끝단의 분지형상인 코일스프링지지단(15a)과 핀걸림단(15b) 및 열쇠끝지지단(15c)을 갖춘 로킹바(c)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끼움공(5a)과 핀끼움공(8a)내로 코일스프링(17)과 지렛핀(18)이 삽입되어져 상향으로 탄설되는 한편, 상기 디스크장착부(6b)상에는 키끼움홈(6b')을 매개로 록킹디스크판유닛(d)이 장착됨과 더불어 다이얼놉(e)이 순차적으로 덧끼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사잇각을 두고 잠금용 개구홈(29a)과 열림용 개구홈(29b)이 각각 구비된 실린더하우징(f)이 상기 열쇠실린더(a)외주면둘레에 끼워져 이탈방지핀(30)으로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위확인부(b)는 제1지지턱(9a)과, 이 제1지지턱(9a)의 앞쪽과 측벽쪽 및 상부쪽에 제1경사면(10a)과 제1, 2 상향이동경사면(10b,10c) 및 하향이동안내경사면(10c)이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제1경사면(10a)과 소정간격으로 두고 제2경사면(10e)이 구비되고, 이 제2경사면(10e)상부에는 평면으로 된 제2지지턱(9b)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바(c)는 하부면이 단층으로 인해 제1단계부(11a)와 제2단계부(11b)로 구획되고, 일측면상에는 함입되게 작동핀(14)이 장착되어지되, 이 작동핀(14)선단은 로킹바(c)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유동성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9a)과 제2걸림턱(9b) 사이의 수직높이는 상기 록킹바(c)의 하부면의 제1단계부(11a)와 제2단계부(11b)사이의 단차높이보다 약간 크게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9a)과 제2걸림턱(9b)의 수평거리는 상기 수직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록킹디스크판유닛(d)은 외주면상에 대략 360°, 180°, 90°크기의 요입홈들(22a,23a,24a)과 내주면상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쌍의 해제홈들(22b,23b,24b)이 갖춰진 제1, 2, 3록킹디스크판(22,23,24)과, 대략 45°크기의 요입홈(25a) 해제홈(25b)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갖춰진 제4록킹디스크판(25) 및, 이 록킹디스크판들(22,23,24,25)사이사이에 위치되면서 내주면상에 고정키(26a)와 해제홈(26b)이 구비된 스페이셔 디스크판(26)이 순차적으로 배치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셔 디스크판(26)의 외경은 상기 제1, 2, 3, 4록킹디스크판들(22,23,24,25)의 요입홈들(22a,23a,24a,25a)의 내경크기 정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디스크판들(22,23,24)에 갖춰진 1쌍의 해제홈(22b,23b,24b) 사잇각도는 실린더하우징(f)의 잠금용 개구홈(29a)과 열림용 개구홈(29b) 사이의 각도와 일치되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디스크판들(22,23,24,25)의 최대외경 보다 다이얼놉(e)의 내경이 크게 형성됨과 더불어 이 다이얼놉(e)의 내주면상에는 길이방향으로 회동키(27)가 형성되어져 록킹디스크판들(22,23,24,25)의 요입홈들(22a,23a,24a,25a)내에 위치되어지고, 내주면 끝단둘레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형상의 톱니홈(28)들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10. 제1항 또는 제6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록킹디스크판들(22,23,24)은 단층진 돌출단(12)상부면의 앞쪽에 장착되어 이 돌출단(12) 상부면과 항상 일정틈새를 유지케 되고 제4록킹디스크판(25)은 단층진 뒷쪽에 접촉되게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11. 상기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놉(e)의 톱니홈(28)과 제4록킹디스크판(25)의 해제홈(25a)은 회동키(27)가 요홈부(25b)의 양끝단이 아닌 그 사이의 소정위치에 놓일때만 톱니홈(28)내로 해제홈들(25b)이 막힘없이 정위치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KR1019930004393A 1993-03-22 1993-03-22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KR95000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393A KR950007102B1 (ko) 1993-03-22 1993-03-22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393A KR950007102B1 (ko) 1993-03-22 1993-03-22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874A KR940021874A (ko) 1994-10-19
KR950007102B1 true KR950007102B1 (ko) 1995-06-30

Family

ID=1935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393A KR950007102B1 (ko) 1993-03-22 1993-03-22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823B1 (ko) * 1998-03-11 2001-06-15 이홍균 디스크식 잠금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90B1 (ko) * 2000-05-02 2003-07-28 남정호 키시스템의 실린더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823B1 (ko) * 1998-03-11 2001-06-15 이홍균 디스크식 잠금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874A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301B2 (en) Combination lock
EP1411192B1 (en) Side bar type cylinder lock with variable key code
US7185518B1 (en) Safety lock for computer
US6837081B2 (en) Clutch mechanism for locks
US4312198A (en) Magnetic key operated hotel door lock
JPH01290884A (ja) 電子ドア錠
US11261621B2 (en) Integrated zipper lock
US4472952A (en) System for managing the issuance and return of selected articles such as tools, keys and the like
JP5014914B2 (ja) シリンダ錠装置
GB2403258A (en) Combination lock
KR950007102B1 (ko) 자물쇠용 열쇠실린더 조립체
US5046342A (en) Cylinder lock
JP5562108B2 (ja) ロック検知コネクタ
US20090199607A1 (en) Tubular lock structure
CA2783204C (en) Combination lock
JPH07293063A (ja) シリンダ錠
KR200280683Y1 (ko) 시건장치
US2491779A (en) Combination lock
US473857A (en) Eugene c
JPH0242996B2 (ko)
JP2020157913A (ja) 固定具
JP3992672B2 (ja) 押しボタン錠装置
KR200191537Y1 (ko) 자물쇠의 해정 방지구조
KR20030068914A (ko) 시건장치
JP2509287B2 (ja) ダイヤル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