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022Y1 -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022Y1
KR950007022Y1 KR2019930013821U KR930013821U KR950007022Y1 KR 950007022 Y1 KR950007022 Y1 KR 950007022Y1 KR 2019930013821 U KR2019930013821 U KR 2019930013821U KR 930013821 U KR930013821 U KR 930013821U KR 950007022 Y1 KR950007022 Y1 KR 950007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saddle
hand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614U (ko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식 filed Critical 신영식
Priority to KR2019930013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022Y1/ko
Publication of KR9500036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절첩 및 신축장치를 구비한 자전거의 측면도.
제2a, 2b도는 핸들프레임의 신축작동 및 절첩착동을 보인 단면도이며, 2c도는 2a도 A-A선 횡단면도.
제3도는 핸들의 절첩상태 예시도.
제4a, 4b도는 안장의 절첩 및 신축상태 예시도.
제5a, 5b도는 패달의 절첩구조 사시도 및 절첩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핸들부 b : 안장부
c : 패달부 1, 1' : 상부연결프레임
2, 2' : 하부연결프레임 3, 3' : 지지관
4 : 핸들바 5 : 앞차륜호크프레임
6 : 핀 7 : 안장프레임
8 : 뒷차륜호크프레임 9, 9' : 핀
10, 10' : 지지관 테이퍼면 11, 11' : 할개구
12, 12' : 나사산 13, 13' : 커플링
14, 14' : 커플링 테이퍼면 15 : 핀
16 : 핸들바 커플링 17 : 패달롯드
18, 18' : 치합편 19 : 경첩
20 : 커버 21 : 판스프링
d, e, e', f, g : 절첩부 h, h' : 할개공
본 고안은 자전거의 각 부분을 절첩 및 신축이 용이하도록 하므로서 자전거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자전거의 돌출된 부분 즉, 핸들부분과 안장부분, 패달부분의 구조를 개량하여 핸들과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핸들바와 패달롯드가 절첩되게 하여 자전거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축소되게 하며 각 부분의 절첩구조 및 신축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조작이 손쉽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도 자전거의 각 부분을 절첩되게 한 장치들이 많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들 구조는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적정한 부분에 응용되지 않고 있어서 실용화가 이루워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절첩장치를 갖는 자전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부(a)와 안장부(b) 및 패달부(c)로 구성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a)와 안장부(b)는 상부연결프레임(1)(1')와 하부연결프레임(2)(2')로 분리되게 구성하여 지지관(3)(3')의 상하부로 관삽시키고 핸들부(a)의 상부연결프레임(1)은 핸들바(4)와 연결되며 하부연결프레임(2)는 앞차륜호크프레임(5)와 핀(6)으로 연결한 절첩부(d)로 구성하고 안장부(b)의 상부연결프레임(1')는 안장프레임(7)과 연결되고, 하부연결프레임(2')는 뒷차륜호크프레임(8)과 핀(9)로 연결한 절첩부(e)로 구성하며, 절첩부(d)와 절첩부(e)의 지지관(3)(3') 일측에는 할개공(h)(h')를 천공하여 이 할개공(h)(h')를 통해 볼트(y)(y')를 연결프레임(1')(2')에 나삽하고, 상기 지지관 (3)(3')의 상하부 주벽을 테이퍼면(10)(10')와 할개구(11)(11') 및 나사산(12)(12')로 형성하여 내면이 테이퍼면(14)(14')를 갖는 커플링(13)(13')이 지지관(3)(3')의 상하부에 나삽되며, 핸들바(4)의 양쪽에도 핀(15)로 연결한 절첩부(f)를 형성하여 절첩부(f)에 커플링(16)을 나삽하고, 패달부(c)의 패달롯드(17)은 요철상태의 치합편 (18)(18')를 교합시켜 경첩(19)로 연결하므로서 절첩부(g)를 구성하며, 절첩부(g)에는 내면에 판스프링(21)이 착설된 슬라이드식 커버(20)를 쓰워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과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코자 할 때 지지관(3)(3')의 상하부에 나삽된 핸들프레임의 커플링(13)과 안장프레임의 커플링(13')를 나해시켜 상부연결프레임 (1)과 하부연결프레임(2')를 지지관(3)(3')에서 적당한 높이로 신축조절한 다음 커플링(13)(!4')를 조여주면, 커플링(13)(13')의 내면에 형성된 테이퍼면(14)(14')가 지지관(3)(3')의 상하주벽에 형성된 테이퍼면(10)(10')와 밀착되면서 할개구(11)(11')가 수축되면서 연결프레임(1)(1')가 강하게 압지시켜 고정한다.
또한 핸들프레임을 후방으로 절첩시키거나 안장프레임을 전방으로 절첩시킬때는 핸들부(a)의 하부연결프레임(2)에 형성된 절첩부(d)가 노출되도록 커플링(13)을 나해시키고 안장부(b)의 하부연결프레임(2')에 형성된 절첩부(e)가 노출되게 커플링(13)(13')를 나해시켜 절첩하며, 이때 연결프레임(2)(2')는 지지관(3)(3')의 할개공(h)(h')를 통해 나삽된 볼트(y)(y')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핸들바(4)의 절첩은 핀(15)로 연결된 절첩부(f)가 노출되게 커플링(16)을 나해하여 절첩시키며 패달부(c)의 절첩은 핸들바(4)에 형성된 절첩부(g)가 노출되게 커버(20)을 그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절첩하면 되는 것으로, 패달부(c)의 절첩부 (g)는 치합편(18)(18')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교합되어 있어서 패달 회전시에 롯드가 꺽이거나 유동되는 폐단이 없게 되고, 절첩부(g)위 외부에는 커버(20)이 쓰워지고 커버(20)내의 판스프링(21)에 의해 커버(20)이 지지됨으로 절첩부(g)의 유동이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통상적인 자전거에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각 부분의 구조를 절첩될 수 있게 개량함으로서 보관이나 운반, 휴대 등이 매우 편리한 잇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들부(a)와 안장부(b) 및 패달부(c)로 구성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a)와 안장부(b)는 상부연결프레임(1)(1')와 하부연결프레임(2)(2')로 분리되게 구성하여 지지관(3)(3')의 상하부로 관삽시키고 핸들부(a)의 상부연결프레임(1)은 핸들바(4)와 연결되며 하부연결프레임(2)는 앞차륜호크프레임(5)와 핀(6)으로 연결한 절첩부(d)로 구성하고 안장부(b)의 상부연결프레임(1')는 안장프레임(7)과 연결되고, 하부연결프레임(2')는 뒷차륜호크프레임(8)과 핀(9)로 연결한 절첩부(e)로 구성하며, 절첩부(d)와 절첩부(e)의 지지관(3)(3') 일측에는 할개공(h)(h')를 천공하여 이 할개공(h)(h')를 통해 볼트(y)(y')를 연결프레임(1')(2')에 나삽하고, 상기 지지관(3)(3')의 상하부 주벽을 테이퍼면(10)(10')와 할개구(11)(11') 및 나사산(12)(12')로 형성하여 내면이 테이퍼면(14)(14')를 갖는 커플링(13)(13')이 지지관(3)(3')의 상하부에 나삽되며, 핸들바(4)의 양쪽에도 핀(15)로 연결한 절첩부(f)를 형성하여 절첩부(f)에 커플링(16)을 나삽하고, 패달부(c)의 패달롯드(17)는 요철상태의 치합편(18)(18')를 교합시켜 경첩(19)로 연결하므로서 절첩부(g)를 구성하며, 절첩부(g)에는 내면에 판스프링(21)이 착설된 슬라이드식 커버(20)를 씌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KR2019930013821U 1993-07-23 1993-07-23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KR950007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821U KR950007022Y1 (ko) 1993-07-23 1993-07-23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821U KR950007022Y1 (ko) 1993-07-23 1993-07-23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614U KR950003614U (ko) 1995-02-17
KR950007022Y1 true KR950007022Y1 (ko) 1995-08-24

Family

ID=1935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821U KR950007022Y1 (ko) 1993-07-23 1993-07-23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0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614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550A (en) Mountain bike
US6196566B1 (en) Lightweight folding bicycle
US4422663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US6032971A (en) Folding bicycle frame
GB2214880A (en) Folding bicycle
US4284288A (en) Folding bicycle structure
US20020167151A1 (en) Foldable bicycle
US5282639A (en) Folding tandem bicycle
US4438942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ITMI20020275U1 (it) Bicicletta
KR950007022Y1 (ko) 자전거의 부분절첩 및 신축장치
KR0134383Y1 (ko)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KR20110035279A (ko) 접이식 자전거
US20090096187A1 (en) Foldable jointed bicycle
CA2358350A1 (en) Pedal cycle handle folding mechanism
JP7305235B2 (ja) 折り畳み可能な自転車
US579982A (en) Max jakobson
KR880000378Y1 (ko) 접는 미니 자전거
KR950007021Y1 (ko) 자전거의 절첩장치
SE9402692D0 (sv) Styrlås
KR860000152Y1 (ko) 절첩식 자전거의 체대
US4756542A (en) Separable multiple-wheel cycle
RU36812U1 (ru) Узел разъема рамы велосипеда
JPH0225751Y2 (ko)
US599152A (en) schlu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