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383Y1 -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 Google Patents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383Y1
KR0134383Y1 KR2019940017967U KR19940017967U KR0134383Y1 KR 0134383 Y1 KR0134383 Y1 KR 0134383Y1 KR 2019940017967 U KR2019940017967 U KR 2019940017967U KR 19940017967 U KR19940017967 U KR 19940017967U KR 0134383 Y1 KR0134383 Y1 KR 0134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rame
seat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블유. 피. 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더블유. 피. 첸 로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 피. 첸 로버트 filed Critical 더블유. 피. 첸 로버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튜브, 상부튜브 및 하부튜브로 된 앞프레임과 좌석튜브, 바닥브래킷튜브, 좌석버팀대 및 체인버팀대로 된 뒷프레임으로 구성된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부튜브에는 그 후단에 좌석포스트를 받아들이는 연결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브래킷튜브에는 그 전단 중심에 앞바퀴와 마주보는 그 전단에는 하부튜브의 바닥엔드에 피봇되어 있는 연장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앞프레임과 뒷프레임은 연결튜브와 좌석튜브에 삽입되는 좌석포스트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앞프레임과 뒷프레임은 좌석포스트가 좌석튜브로부터 밀려나올 때 서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형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자전거 프레임을 절첩한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형태의 부분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형태의 부분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형태의 부분 개략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형태의 부분 개략도.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제6실시형태의 자전거 프레임을 절첩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헤드튜브 12,52 : 상부튜브
13,53 : 하부튜브 14,54 : 좌석튜브
15,55 : 바닥브래킷튜브 16 : 좌석버팀대
17,57 : 체인버팀대 18,58 : 연결튜브
19 : 좌석포스트 21,31 : 연장튜브
22,27,57,62 : 축튜브 23,26 : 축로드
24,25 : 부싱 32,142 : 볼트
33 : 너트 51 : 긴 축로드
56 : 보강튜브 121 : 내부튜브
141 : 러그
본 고안은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보다 상세하게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의 접고 조이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절첩식 자전거는 이 절첩식 자전거가 보관 및 수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길이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프레임음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 자전거와 다르다. 공지기술의 절첩식 자전거는 앞바퀴와 뒷바퀴가 나란히 놓이거나 서로 가까이에 놓이는 형태로 된 절첩프레임을 한 조인트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절첩식 자전거는 복잡한 구조의 접는 조인트를 가지고 있어 느슨해지기 쉽기 때문에 절첩식 자전거를 제조하는 가격이 비쌌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절첩식 자전거의 프레임은 비교적 충격에 견디는 힘이 약했다. 공지기술의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의 이러한 구조적인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미국 특허 제522 751호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개량된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량된 프레임은 구조적인 결함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첩식 자전거의 제조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하부회전포인트가 있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느슨해지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원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헤드튜브, 상부튜브 및 하부튜브로 된 앞프레임, 좌석튜브, 바닥브래킷튜브, 좌석버팀대 및 체인버팀대로 된 뒷프레임으로 된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뒷프레임에는 바닥브랫킷튜브의 정면에 위치하고 그 전단에서 하부 튜브의 후단에 피붓된 연장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은 헤드튜브(11), 상부튜브(12) 및 하부튜브(13)로 된 앞프레임A와 좌석튜브(14), 바닥브래킷튜브(15), 좌석버팀대(16) 및 체인버팀대(17)로 된 뒷프레임B로 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부튜브(12)에는 좌석튜브(14)의 끝에 위치한 연결튜브(18)이 그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좌석포스트(19)는 연결튜브(18)와 좌석튜브(14)로 끼워져 있다. 다시 말해 좌석포스트(19)는 연결튜브(18) 및 좌석튜브(14)는 좌석튜브(14)의 측면에 배치된 러그(141)를 체결하는 볼트(142)에 의해 동축상에 단단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닥브래킷튜브(15)에는 그 전단중심에 앞바퀴와 마주보고 앞바퀴중심 C1과 뒷바퀴중심 C2 사이에 있는 연결라인에 수직인 중심라인 X1-X2이 있는 축튜브(22)를 가지고 있는 연장튜브(21)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튜브(13)에는 그 후단에 중심라인 X1-X2과 일치하는 중심라인을 가지고 있는 축로드(23)가 설치되어 있다. 축로드(23)에는 각각 양단에 축튜브(22)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부싱(24, 25)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튜브(13)의 바닥엔드, 다시 말해 축로드(23)의 바닥엔드는 부싱(25)으로 고정되고 축튜브(22)와 풀리지 않고서 축튜브(2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포스트(19)는 연결튜브(18)와 좌석튜브(14)에 삽입되고, 차례로 좌석포스트(19)를 차례로 단단하게 유지하는 러그(141)를 잠그는 볼트(142)에 이해 고정된다. 그 결과 앞프레임A는 뒷프레임B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제2도에 앞프레임A와 뒷프레임B을 접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프레임들을 접기 전에 볼트(142)를 좌석포스트(19)를 좌석튜브(14)로부터 끌어낼 수 있도록 먼저 느슨하게 하므로써 앞프레임A와 연결튜브(18)를 축중심으로 작용하는 중심라인 X1-X2이나 축로드(23)에 대하여 180°회전하게 한다. 그 결과 앞바퀴중심 C1과 뒷바퀴중심 C2는 본 고안의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을 접는 과정을 마칠 수 있는 단계로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은 일반 자전거 프레임의 구조와 비슷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은 쉽게 펼칠 수 있고 또 쉽고 빠르게 접을 수 있다. 축로드(23)과 축튜브(22)가 피붓된 형태는 헤드튜브(11)와 포오크(도시하지 않음)의 헤드세트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는 전체적으로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제2실시형태 역시 상부튜브(12), 하부튜브(13), 좌석튜브(14), 바닥브래킷튜브(15), 좌석버팀대(16), 체인버팀대(17), 연결튜브(18), 좌석포스트(19), 연결튜브(21), 축튜브(22), 그리고 부싱(24, 25)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2실시형태는 중심라인 X1-X2에 배치되고 상부튜브(12)의 바닥엔드에 위치한 축로드(26)를 가지고 있다. 축로드(26)는 축로드(2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축튜브(27)에 회전할 수 있게 끼워져 있다. 좌석버팀대(16)의 전단(161)은 좌석튜브(14)의 전단 아래에 배치되고 축튜브의 후단에 고정된다. 그 결과 앞프레임A와 뒷프레임B는 울퉁불퉁한 도로에서 자전거를 타는데 적합한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하부튜브(22)와 상부튜브(27)에 의해 피봇된다.
제4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형태는 상부튜브(12), 하부튜브(13), 좌석튜브(14), 바닥브래킷튜브(15), 좌석버팀대(16), 체인버팀대(17), 연결튜브(18), 좌석포스트(19), 축로드(26), 그리고 축튜브(27)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3실시형태는 하부튜브(13)와 일직선상에 위치한 연장튜브(31)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1)와 하부튜브(13)의 연결면 S1은 중심라인 X1-X2에 수직이다. 중심라인 X1-X2에 위치한 볼트(32)는 하부튜브(13)와 연결튜브(31)의 연결엔드를 통하여 끼워져 있다. 너트(33)는 볼트(32)를 조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 결과 하부튜브(13)와 연결튜브(31)는 축중심으로 작용하는 볼트(32)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실시형태의 앞프레임A와 뒷프레임B는 절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4실시형태가 제5도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은 상부튜브(12), 좌석튜브(14), 좌석버팀대(16), 연결튜브(18), 좌석포스트(19), 축류브(27)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좌석버팀대(16)는 좌석튜브(14)의 후단과 용접된 전단을 가지고 있다. 좌석튜브(14)와 용접된 일단과 축튜브(27)와 용접된 타단을 갖는 보강튜브(33)가 있다. 상부튜브(12)와 연결튜브(18) 사이에는 내부튜브(121)가 있고, 이 내부튜브(121)는 본 고안의 절첩식 자전거가 접힐 때에 내부튜브(121)의 전단이 상부튜브(12)로 더 밀려들어가는 형태로 상부튜브(12)에 삽입되는 전단과 연결튜브(18)과 단단하게 고정되는 후단을 가지고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2인승 자전거는 앞프레임A와 뒷프레임B로 구성되어 있다. 양 프레임 A 및 B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형태의 것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구성부품으로 되어 있으나 2인승 자전거는 프레임 A 및 B 사이에 중간프레임 C를 가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중간프레임 C는 긴 축로드(51), 제2상부튜브(52), 제2하부튜브(53), 제2좌석튜브(54) 및 제2바닥브래킷튜브(55)를 포함하며, 이들은 사각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점 P1, P2, P3 및 P4에서 함게 용접되어 있다. 보강튜브(56)는 앞프레임 A의 축로드(26)에 차례로 피붓되는 축튜브(57)에 용접된 타단과 제2좌석튜브(54)에 용접된 일단을 가지고 있다. 제2상부튜브(52)에는 그 후단에 제1좌석튜브(14)의 상단에 고정된 제2연결튜브(58)에 단단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바닥브래킷튜브(55)는 그 앞가장자리에서 연장튜브(61)와 축튜브(62)와 고정된다. 바닥브래킷튜브(55)는 축튜브(62)에 의해 앞프레임 A의 하부튜브(13)의 바닥엔드에 피봇된다. 긴 축로드(51)는 축 X3-X4를 가지고 있고, 이 축은 앞프레임 A의 축 X1-X2와 평행하다. 프레임B의 좌석버팀대(16)의 전단에 고정된 축튜브(27)와 연장튜브(21)의 전단에 고정된 축튜브(22)는 각각 긴 축로드(51)의 상하단에 피봇된다. 본 고안의 2인승 자전거는 또 두 개의 바닥브래킷튜브(15, 55)와 두개의 좌석포스트(19, 59)를 포함하고 있어서 자전거에는 두 개의 좌석과 두개의 폐달이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2인승 자전거를 저는 과정에서 좌석포스트(19, 59)는 연결튜브(18, 58)로부터 꺼내져 앞프레임A는 중간프레임C에 대하여 축 X1-X2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뒷프레임B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C에 대하여 축 X3-X4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2인승 자전거의 중간프레임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법으로 조립된다. 그 결과 앞뒤프레임 A 및 B는 서로 결합되어 한 사람이 탈 수 있는 자전거로도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인승 자전거는 여러 방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결코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얼마든지 변형하여 실시가능하다.

Claims (8)

  1. 헤드튜브, 상부튜브 및 하부튜브로 된 앞프레임과 좌석튜브, 바닥브래킷튜브, 좌석버팀대 및 체인버팀대로 된 뒷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튜브에는 그 전단에 좌석포스트가 삽입되는 상기 좌석튜브에 고정된 연결튜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브래킷튜브에는 그 전단에 절첩식 자전거의 앞바퀴와 마주보는 연장튜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튜브는 상기 앞프레임의 바닥엔드에 피봇된 전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앞프레임과 뒷프레임은 상기 연결튜브와 상기 좌석튜브에 삽입되는 상기 좌석포스트가 상기 연결튜브와 상기 좌석튜브로부터 이탈될 때에 반대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는 축튜브가 설치된 전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하부튜브는 상기 축튜브에 피봇으로 고정된 축로드가 설치된 후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튜브에는 축튜브에 피봇으로 고정된 축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좌석튜브는 상기 상부튜브의 축튜브와 고정되는 타단을 갖는 보강로드의 일단과 고정되고 상기 상부튜브는 상기 뒷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축로드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로드는 상기 좌석튜브를 상기 좌석버팀대로 부터 전달하므로써 상기 축튜브의 후단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와 상기 하부튜브는 일직선상에 놓여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프레임과 뒷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제2상부튜브, 제2좌석튜브, 제2하부튜브, 제2바닥브래킷튜브가 설치된 중간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좌석튜브는 상기 앞프레임이 상기 연결튜브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좌석튜브를 각각 상기 앞프레임의 상기 상부튜브와 상기 하부튜브에 피봇되도록 피봇부재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앞프레임이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중간프레임의 상기 제2상부튜브에는 그 후단에 상기 뒷프레임의 상기 좌석튜브에 대하여 위치한 연결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2상부튜브와 상기 제2하부튜브는 각각 그 후단에서 상기 뒷프레임에 피봇되어 있어서 상기 뒷프레임이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에는 상기 긴 축로드가 앞바퀴나 중심라인에 대하여 수직인 형태로 상기 제2상부튜브와 상기 제2하부튜브 사이에 단단하게 고정된 긴 축로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긴 축로드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뒷프레임에 피봇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8. 서로 피봇된 앞프레임과 뒷프레임, 그리고 상기 앞프레임과 뒷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좌석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튜브는 상부좌석튜브와 하부좌석튜브로 나뉘고, 상기 뒷프레임의 전단은 하부좌석튜브와 고정되며, 내부튜브는 상부좌석튜브와 고정되는 후단과 상부튜브로 삽입되는 전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앞프레임과 상기 뒷프레임은 좌석포스트가 상기 좌석튜브부터 끌어당겨질 때에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내부튜브는 프레임을 접을 때 상부튜브로 더 밀려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KR2019940017967U 1993-07-14 1994-07-20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KR01343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3305519A EP0634318B1 (en) 1993-07-14 1993-07-14 Foldable bicycle frame
US08/093,680 US5360225A (en) 1993-07-14 1993-07-20 Foldable bicycle frame
US8/093,680 1993-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4383Y1 true KR0134383Y1 (ko) 1999-03-30

Family

ID=2613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967U KR0134383Y1 (ko) 1993-07-14 1994-07-20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60225A (ko)
EP (1) EP0634318B1 (ko)
KR (1) KR0134383Y1 (ko)
AT (1) ATE158769T1 (ko)
DE (1) DE69314332T2 (ko)
ES (1) ES210882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4142U1 (de) * 1995-03-10 1995-05-18 Voss Spezial Rad Gmbh Fahrrad mit einem faltbaren Rahmen
NL1009314C2 (nl) * 1998-06-04 1999-12-07 Urban Solutions B V Rijwiel voorzien van trapaandrijving, alsmede trapaandrijving.
US6688627B1 (en) * 2001-04-16 2004-02-10 Ruowei Z. T. Strange Bicycle which converts to a chair
US7722070B2 (en) * 2001-09-28 2010-05-25 Ritchey Desig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parts
ATE290979T1 (de) * 2001-09-28 2005-04-15 Ritchey Designs Inc Ein system und eine methode zur verbindung von teilen
DE10220241C1 (de) * 2002-05-07 2003-10-30 Lothar Jander Klappfahrrad
DE102007022292A1 (de) 2007-05-12 2008-11-13 Jander, Lothar B., Dr. Fahrradrahmen
US7942434B2 (en) * 2008-05-07 2011-05-17 Brian T Myers Disengageably coupled take-apart bicycle frame
EP2409906A3 (de) 2010-07-21 2013-09-25 Georg Mies Faltrad
DE102013022017A1 (de) 2013-06-12 2014-12-18 Lothar B. Jander Schwenkrahmen für Fahrräder
EP3699073B1 (en) * 2019-02-20 2021-07-14 Olech Grzegorz Foldable bicycle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5016C (ko) *
GB189725563A (en) * 1897-11-04 1898-09-24 Wilson Henry Sturge A New or Improved Adjustable Cord Reel for Electric Pendent Cords and other similar purposes.
US693521A (en) * 1901-02-13 1902-02-18 Frederik Ishoey Separable and reversible cycle.
US1584568A (en) * 1922-02-17 1926-05-11 Clark Charles Haskell Bicycle and the like
FR37035E (fr) * 1929-06-01 1930-09-22 Système de bicyclette d'enfant à cadre extensible dit télescope
FR1415802A (fr) * 1964-09-19 1965-10-29 Cycle démontable
US3876231A (en) * 1973-01-18 1975-04-08 Anthony Geisel Sectional velocipede
US4417745A (en) * 1981-03-16 1983-11-29 Shomo Robert D Folding bicycle
US4579360A (en) * 1983-06-11 1986-04-01 Bridgestone Cycle Co., Ltd. Foldable bicycle frame
JPH0283586A (ja) * 1988-09-20 1990-03-23 Nippon Signal Co Ltd:The データ出力形式変換方法
US4900047A (en) * 1988-10-28 1990-02-13 Harry Montague Foldable bicycle
US5135246A (en) * 1989-01-13 1992-08-04 Harry Montague Foldable tandem bicycle
US4995626A (en) * 1989-01-13 1991-02-26 Montague Harry D Foldable tandem bicycle
US5222751A (en) * 1991-01-22 1993-06-29 Chen Robert W P Foldable bicycle frame
US5269550A (en) * 1991-02-01 1993-12-14 Dahon California, Inc. Mountain bike
US5205573A (en) * 1992-04-17 1993-04-27 Sghaier Mhedhbi Bicycle that can be disassembled in a very compact arrangement
US5282639A (en) * 1992-10-26 1994-02-01 Chen Shou Mao Folding tandem bicycle
DE9214561U1 (ko) * 1992-10-27 1992-12-24 Chen, Shou-Mao, Ta Chia Chen, Taichung, T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4318B1 (en) 1997-10-01
DE69314332T2 (de) 1998-02-19
DE69314332D1 (de) 1997-11-06
EP0634318A1 (en) 1995-01-18
ATE158769T1 (de) 1997-10-15
US5360225A (en) 1994-11-01
ES2108823T3 (es) 199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8523B1 (en)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with compact steering bearing
US6116629A (en) Collapsible bicycle
KR0134383Y1 (ko) 절첩식 자전거 프레임
US5125678A (en) Folding bicycle
US6032971A (en) Folding bicycle frame
US5975551A (en) Folding frame bicycle
US7510202B1 (en) Foldable bicycle
US6152473A (en) Folding collapsible baby tricycle
US4824131A (en) Collapsible folding bicycle assembly
US7490842B1 (en) Folding bicycle
JP3056759B2 (ja) 折畳み式タンデム自転車
KR101749716B1 (ko) 차량 프레임 보강 및 잠금 장치
WO2002042148B1 (en) Collapsible bicycle
US5620196A (en) Recumbent bicycle frame
DE4313832A1 (de) Klappbarer Fahrradrahmen
US5135246A (en) Foldable tandem bicycle
CN209956151U (zh) 用于联结双机构的并联装置
CN107933790B (zh) 自行车
JPH10119861A (ja) 折り畳み自転車
JP2003506253A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用フレーム
CN2283606Y (zh) 箱式折叠便携自行车
JP7106179B1 (ja) 固定具及び自転車
JP2533537Y2 (ja) 折りたたみ可能な自転車フレーム
JP4297411B2 (ja) 折り畳み組合わせ式ハンドル
CN2176959Y (zh) 快速折叠组合式多功能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