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65B1 - 인쇄물에 부착되는 교정쇄를 접착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물에 부착되는 교정쇄를 접착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6865B1 KR950006865B1 KR1019920020512A KR920020512A KR950006865B1 KR 950006865 B1 KR950006865 B1 KR 950006865B1 KR 1019920020512 A KR1019920020512 A KR 1019920020512A KR 920020512 A KR920020512 A KR 920020512A KR 950006865 B1 KR950006865 B1 KR 950006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attachment
- rotation
- support
- convey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0—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interposing inse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9/00—Devices common to machine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e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3—Gathering; Associating; Assembling
- B65H2301/431—Features with regard to the collection, nature, sequence and/or the making thereof
- B65H2301/4317—Signatures, i.e. involving folded main product or jacket
- B65H2301/43172—Signatures, i.e. involving folded main product or jacket attaching subproducts on outer portion of a main product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장치의 실시를 단순화시킨 도면이며,
제2도는 제1도를 확대시킨 접착장치의 단면 및 부분적인 측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분할선 Ⅲ-Ⅲ의 도면이며 컨베이어장치의 부분을 나타내며,
제4도는 제2도의 분할선 Ⅳ-Ⅳ의 도면이며 접착장치의 부분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착장치 12 : 회전기구
14 : 이송체 아암 16 : 홀더
18 : 부착물 교정쇄 22 : 도포장치
24 : 인쇄물 32 : 컨베이어장치
38,40,60,94′,96,100,108′,118,116′ : 축
56,64 : 밸브장치 66,80,80′ : 베어링
86,86″,98′,98″,102,102″,112′,112″,142,142′ : 체인기어
86′,98,102′,112,142″ : 체인 88 : 구동장치
90 : 회전기어 108 : 구동휠
114 : 구동축 124 : 컨베이어
126,126′ : 컨베이어 벨트 130′,130,132,134 : 룰러
144 : 도포벨트 116,160 : 구조물
164 : 회전체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에서 사용되는 일반조건과 본 장치의 특징적인 사용에 따라 부착물 교정쇄를 인쇄물에 접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CH-A 538 366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인쇄용지는 부착물 교정쇄를 인쇄용지에 접착하기 위해 접착장치를 통과하여 일직선으로 삼각횡단면의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서 안내된다. 체인 컨베이어장치는 뒤쪽에 차례로 놓여있고 공급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인쇄용지와 접하는 컨베이어의 측부를 형성하는 지지부품을 갖는다. 접착장치는 공급장치의 한쪽에 접어넣는 드럼을 가지며 체인 컨베이어의 공급방향에 수직되고 지지부품에 평행인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며 그리고 인쇄종이와 접선형태로 접하게 된다. 접어넣는 드럼의 회전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절되는 집는 장치(gripper)는 부착물 교정쇄를 쌓아 놓는 곳으로부터 당겨온다. 드럼이 계속해서 회전하면 접착성 도포장치는 드럼위에 지지되어 있는 부착물 교정쇄에 접착성 물질을 도포한다. 교정쇄가 인쇄용지에 다다르면 접어넣는 드럼은 그것을 용지 위를 누른다. 측부 판넬(Panel)은 인쇄용지의 반대편 지지체를 형성한다.
DE-A 26 31 058은 부착물 교정쇄를 인쇄물에 접착하는 또 다른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이것은 인쇄용지를 쌓아놓은 곳으로부터 한번에 당겨오고 드럼에 대해 그들을 지지시키며 그들을 180℃ 선회시키는 별도로 조절되는 그립퍼가 있는 드럼을 가속시키는 구동회전체를 가지고 있다. 편향운동(deflection motion)의 종료부근에서 원심력은 접혀져 있는 용지를 풀고 공급방향에 수직인 봉을 가지는 컨베이어는 풀어진 용지를 올려서 계속 이동시킨다. 접착장치는 평행되고 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그러나 가속 드럼에 반대의 개념이 있는 접착롤러를 가지며, 부착물 교정쇄를 저장되어 쌓아놓은 곳으로부터 당겨오며 그리고 인쇄교정쇄를 드럼에 대해 지지되도록 한다. 부착물 교정쇄의 쌓여진 곳과 가속 드럼 사이의 점착성 도포장치는 접착성 물질을 각 부착물 교정쇄에 뿌린다.
이러한 종전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다르게 고조된 컨베이어장치에 의하여 높은 기계 속도에서 부착물 교정쇄를 인쇄물에 접착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에서 기술한 특징들을 갖는 일반적인 장치에 의해서 이러한 요구들을 만족시킨다.
이번의 발표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은 부착물 교정쇄를 고속으로 회전하며 뒤쪽에 차례로 놓이는 지지체에 붙어 있으며 컨베이어의 공급방향에 수직인 인쇄물에 신뢰성있고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표에서 제안된 본 발명의 채택된 실시가 관련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표를 나타내는 실시가 순전히 개략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다음과 같이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보여지는 접착장치(10)은 여러 이송체 아암(14)를 차례로 포함하는 회전기구(12)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의 이송체 아암은 전부 열들이다. 자유단에서의 각 이송체 아암(14)는, 공급지점(20)(제1도)에서 부착물 교정쇄(18)을 수용하고, 접착제 도포장치(22)를 지나도록 교정쇄(18)을 움직이고, 인쇄물(24)로 이동시켜서 인쇄물 위에 그것을 압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홀더(holder)(16)을 이송한다. 이를 위해, 조절기구(26)이 회전기구(12)로부터 한쪽방향으로 나와있는 이송체 아암(14)의 선회각(pivot angle)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추가조절기구(28)은 홀더(16)이 이송체 아암(14)에 대하여 바람직한 한쪽방향으로 위치되게 한다.
잡혀져 있는 인쇄물(24)는 컨베이어장치(32)의 안장(saddle)형태의 지지부품(30)위에서 공급방향 A로 접착장치(10)을 통과하여 이동된다. 서로 정해진 간격으로 장착된 지지부품(30)은 공급방향 A와 직각되게 다소 길게 뻗어있으며, 지지부품(30)의 공급방향 A에서 보아서 뒤쪽 벽부품(30)은 접착장치(10)의 구역안에서 인쇄물(24)의 뒷부분(24′)이 밀착되는 지지체(34)를 형성한다.
이송체 아암(14)와 그것의 홀더(16)을 가지는 회전기구(12)는 공급방향 A에 대향해서 방향 B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이렇게하여 각 이송체 아암(14)와 그것의 홀더(16)은 지지체(34)에 기대어 놓여있는 인쇄물(24)의 부분(24′)에 교정쇄(18)을 접착시키기 위해 컨베이어장치(32)의 두 연속되는 지지부품(30) 사이에 꼭 맞게 설비된다.
접착장치(10)의 구조에 대한 다음의 상세 설명과 관련하여 도면, 특히 제2도와 제3도가 참고가 된다.
회전기구(12)는 축(38)에 대해 방향 B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베어링복스(36)을 가지고 있다. 축(38)주위에 원형으로 놓여있는 중공축(40)의 각각은 조절기구(26)을 향한 쪽에 두부(頭部)(42)를 가지면서 베어링복스(36)을 관통하며, 튜브형태의 이송체 아암(14)가 각 두부(42)에 붙어있다. 길이방향으로, 각 이송체 아암(14)는 베어링복스(36)에 지지되어 있는 중공축(40)에 수직이며 축(38)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각 중공축(40)은 두부(42)의 맞은편 쪽에서 밀폐된다.
홀더(16)의 각 이송체 아암(14)은 지지되며 축(38)에 평행한 피벗(16)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각 홀더(16)은 유지부품(44)가 선회할 수 있는 이송체 아암(14)로부터 돌출한 중공축 같은 형태로 축수부(14)와 결합하는 유지부품(44)를 가진다. 이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져 마주한 쪽에서 유지부품(44)는 평평한 면과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홈(44′)를 가지고 있으나, 각각의 홈 및 축수부(14)까지 그리고 이들로부터 튜브형태의 이송체 아암(14)까지의 공기의 자유로운 흐름을 위해서 유지부품(44)안의 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의 연속으로 이어진 립(lip)(46′)과 함께 흡입 두부(46)은 홈(44′)에 조립되며 유지부품(44)(제3도를 참조할 것)위로 돌출해 있다. 더구나 예를들면 얇은 금속판인 지지부품(48)은 유지부품(44)와 함께 부착물 교정쇄(18)의 면 전체를 지지하고 그리고 교정쇄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품(48)의 평평한 면과 같은 평면으로 유지부품(44)에 조립되어 있다. 홀더(16)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흡입 두부(46)은 교정쇄(18)이 공급지점(20)으로부터 지지체(34)와 밀착되어 있는 인쇄물(24)까지 이동되는 동안 부분적 진공에 의해 부착물 교정쇄(18)을 유지하고 있다. 인쇄물(24)위에 교정쇄(18)을 눌러주기 위해 조절기구(26)이 홀더(16)을 지지체(34)로 이동시키고, 지지체(34)위의 인쇄물(24)에 대해 홀더(16)의 전체면을 누른다. 이로써, 립(46′)의 탄성변형이 일어나며 부착물 교정쇄(18)은 인쇄물(24)위에서 확실히 눌려지게 된다.
조절레버(50)은 유지부품(44)의 평평한 면에 대향하여 돌출해 있으며, 조절봉(52)가 그것과 조인트-연결되어 있다. 조절봉(52)는 이송체 아암(14)를 교차하며, 베어링복스(36)를 지나는 다른 끝단에서 베어링복스(36)에 부착된 고리형 디스크(54)에 다시 조인트-연결된다. 조절봉(52)는 더욱이 조절기구(28)로서 작용하며 이송체 아암(14)의 선회각에 따라 홀더(16)의 선회각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조절봉은 직접 베어링복스(3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밸브장치(56)은 흡입헤드(46)이 공급지점(20)부터 관련 지지체(34)까지의 구역에서만 부분적 진공상태에 있도록 한다. 압축공기 공급원(나타나 있지 않음)과 호스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중공축(60)은 때때로 축(38)과 같은 중심을 갖고 베어링복스(36)을 관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베어링복스(36)은 밸브기구(64)가 위치하는 중심구멍(62)를 가지며, 각각은 양쪽에 볼베어링(66)을 갖는다(제2도 및 제4도). 볼베어링(66)은 중공축(60)과 베어링복스(36)위에서 지지된다. 중공축(60)에 억지-끼워맞춤형식으로 고정된 밸브기구(64)는 둘레에 약 180°로 뻗쳐있는 밸브홈(68)을 가지며 밸브기구(64)와 중공축(60)을 지나는 방사형통로(68′)에 의하여 압축공기 공급원과 연결된다. 각 쌍의 중공축(40) 사이에는 통로(70)이 방사형으로 베어링복스(36)을 통과하며 배출밸브(74)로 호스(72)에 의해 연결된다. 배출밸브(74)는 베어링복스(36)의 둘레에 부착되며 흡입헤드(46)을 위한 부분적 진공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각 배출밸브(74)는 진공통로(76)에 의해서 대응되는 중공축(40)까지 자유로운 공기유동을 위해 연결된다. 베어링복스(36)은 고정된 중공축(60)에 대해 배출밸브(74)와 함께 회전하므로 배출밸브(74)에는 항상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이렇게하여 흡입헤드(46)은 통로(70)이 밸브홈(68)에 반대편에 있게 될 때마다 부분적 진공하에 놓이게 된다.
베어링복스(36)의 면은, 베어링판(82)에 고정된 베어링조합(80)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다른 끝단에는 체인기어(86)이 끼워져 있는 그러한 중공-베어링축(78)에 플렌지-연결된다. 이 체인기어(86)은 일점쇄선으로 표현된 체인(86′)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동장치(88)과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이송체 아암(14)의 선회각을 위한 조절기구(26)은 구조물로 지지되는 두번째베어링판(82′)위의 축(38)과 관련하여 편심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일탈되도록 놓인 회전기어(90)을 갖는다. 회전기어(90)의 중심인 썬휠(sunwheel)(92)와 웨브(94)는 축(94′)에 대해 회전한다. 중심휠(92)는 중심축(96)상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두 번째 체인구동(98)에 의해 구동장치(88)과 연결되어 있다. 체인구동(98)의 체인기어(98′)은 중심축과 독립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중심축(96)에 고정되어 있다. 중심축(96)은 구동부없이 회전하는 베어링 위의 웨브드(webbed) 중공축(100)을 통과한다. 중심축(96)과 접하는 끝단에서 축(100)은 그것과 플렌지-연결된 휠 형태의 웨브(web)(94)를 갖는다. 체인기어(98′)과 접하는 축(100)의 끝단에서 체인구동(102′)의 체인기어(102)는 웨브(94)를 구동장치(88)에 연결하기 위해 축(100)에 억지-끼워맞춤 되어있다. 두 번째 베어링판(82′)는 축(100)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는 두번째 베어링조합(80′)위의 축(100)을 지지한다. 유성휠(104)는 대응되는 각각의 이송체 아암(14)를 위하여 웨브(94)위의 베어링내에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유성휠(104)위에서, 이송체 아암이 관통하는 안내부품(106)은 편심되게 조립되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송체 아암(14)는 이렇게하여 안내부품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
웨브(94)와 베어링복스(36)은 방향 B로 같은 회전속도로 구동되지만 중심휠(92)는 체인구동(98)에 의해서 감속되어 같은 방향으로 그러나 단지 절반의 속도로 회전한다. 유성휠(104)의 직경에 대한 중심휠(92)의 직경의 비는 웨브(94)가 1회전할 때 유성휠(104)는 3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조절기구(26)과 더 나아가 조절기구(28)의 이러한 설계는 제1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홀더(16)의 운동순서를 제공한다. 공급지점(20)의 구역안에서, 홀더(16)은 그것의 평평한 면이 궤적에 거의 접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놓여진다. 홀더(16)은 공급지점(20) 다음에 위치한 접착제 도포장치(22)를 통과할 때 그의 위치를 유지한다. 홀더(16)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할 때, 그들의 평평한 면은 선회하여(방향 B에 대해) 앞쪽을 향하는 거의 방사형의 위치로 움직인다. 부착물 교정쇄(18)이 인쇄물(24)위에 눌려지고 접착되어지는 구역은 베어링복스(36)의 회전축(38)에 대하여 공급지점(20)과 다소 반대방향에 위치한다. 이 구역에서는 이송체 아암(14)의 앞쪽으로 선회하는 운동 때문에 조절기구(26)은 홀더(16)을 가속시키며, 이에따라 홀더는 이동하여 지지체(34)에 대해 누를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홀더(16)은 지체되어 지지체(34)와 인쇄물(24)에 접착된 부착물 교정쇄(18)로부터 이탈하며, 지지체(34)에 거의 수직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부품(30)의 구역으로부터 벗어난다. 추가조절기구(26)은 홀더(16)이 부착물 인쇄물(18)을 자리에 놓고 누르고 있는 동안 홀더(16)을 지지체(34)에 평행이 되도록 한다. 장치가 계속해서 회전하면 홀더(16)은 공급지점(20)에서의 그들의 접선위치로 점차 되돌아온다.
구동장치(88)은 원주를 따라 톱니모양의 맞물려 있는 홈(110)이 분포되어 있는 구동휠(108)을 구성한다. 홈들(110) 사이의 거리는 컨베이어장치(32)의 지지부품(30)의 자유단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다. 컨베이어장치(32)에 마주하는 위치의 접합장치(10)에서, 지지부품(30)은 이 홈들(110)과 맞물려지며, 이에 따라 구동휠(108)이 지지부품(30)과 맞물려서 컨베이어장치(32)와 동기적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구동휠(108)의 회전운동은 체인구동의 체인기어(98′)와 (102′)가 억지-끼워맞춤되어 있는 구동축(114)로 추가 체인구동(112)를 통해서 전달된다. 추가 체인기어(86′)는 축과 독립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구동축(114)에 고정되며, 그러나 구동축(114)에 대한 회전위치는 조절가능하다. 체인기어(86′)는 체인(86′)에 의해서 베어링복스(36)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을 홀더(16)의 연속운동을 조정할 수 있도록 회전기어(90)의 웨브(94)에 대하여 베어링복스(36)의 회전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베어링판(82′)는 지지구조물(116)(제1도 참조)위에 있으며 축(116′)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중공축(118)은 베어링판(82)이 고정되어 있는 체결고리(120)를 위한 자리가 있는 베어링판(82′)에 고정된다. 체결고리(120)이 풀어졌을 때 두 베어링판(82),(82′)의 상대적 위치는 홀더(16)의 연속운동을 조정하기 위해서 유사하게도 바뀔수 있다.
구동축(114)는 중공축(118) 내부를 관통하여 그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유사하게 베어링판과 같은 형태의 레버(122)가 구동축(114)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그것의 자유단 근처에는 마찬가지로 그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동휠축(108′)이 위치한다. 구동휠(108)은 체인구동(112)의 체인기어(112′)가 결합되어 있는 구동휠축(108′)에 플렌지-연결되어 있으며, 대응되는 체인기어(112′)는 구동축(114)에 위치한다. 구동축(114)에 대한 체인기어(112′)의 회전위치는 마찬가지로 컨베이어장치(32)와 접합장치(10)의 위상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정이 가능하다.
하나의 조절장치(나타나 있지 않음)가 제1도에서처럼 구동휠(108)의 컨베이어장치(32)의 지지부품(30)과 맞물리는 통상의 작동위치에 있을 때 홀더(16)이 컨베이어장치(32)속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두 번째 베어링판(82′)에 대한 레버(122)의 선회각을 조정한다. 이러한 수단으로써 그리고 접합장치(10)의 위치가 공급방향 A에 수직되게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물(24)위에서의 부착된 교정쇄(18)의 위치를 요구되는 대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컨베이어(124)(제1도)는 부착물 교정쇄(18)을 하나씩 공급지점(20)으로 이송한다. 컨베이어(124)는 두 개의 컨베이어 벨트(126),(126′)을 가지며 그들은 각각 폐쇄형이다. 두 벨트는 그들 사이에 부착물 교정쇄(18)을 위한 공급틈새(128)을 형성한다. 컨베이어 벨트(126)은 축(116′)에 대해 회전하는 하부롤러(130)과 상부롤러(130′)의 주위를 지난다. 컨베이어 벨트(126′)는 마찬가지로 하부롤러(130)의 주위를 지나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부롤러(130′)에 근접한 위치까지 공급작용을 하는 부분(이하 공급작용부분이라 함)과 밀착된다. 안내롤러(132)는 하부롤러(130)과 상부롤러(130′) 사이에서 컨베이어 벨트(126)의 공급작용부분에 대해 컨베이어 벨트(126′)_의 공급작용부분을 누르며, 이에따라 공급지점(20)에서의 공급틈새(128)의 끝단은 한편으로는 하부 및 상부롤러(130)(130′)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바깥쪽으로 비스듬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홀더(16)의 궤도를 따라 움직인다. 그들 사이에서, 홀더(16)의 평평한 면과 상부롤러(130′) 주위를 지나는 컨베이어 벨트(126)는 각 교정쇄(18)이 공급틈새(128)을 떠날 때 홀더(16)까지의 부착물 교정쇄(18)의 안전한 이동을 보정하는 공급지점(20)에서의 경사진 이동틈새를 형성한다. 홀더(16)의 지지부품(48)은 자동으로 스프링 하중조절되는 지지체로서 자신과 컨베이어 벨트(126) 사이에서 부착물 교정쇄를 붙잡으며 스프링작용으로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공급지점(20)에서, 컨베이어(124)의 공급방향은 따라서 홀더(16)의 궤도 및 홀더(16) 그 자체와 예각을 형성한다. 또한 이 구역에서는 컨베이어(124)의 공급방향을 궤도에 거의 평행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베이어 벨트(126′)의 공급작용을 하지 않은 회송부분에 대해 작용하는 상부롤러(130′)와 안내롤러(132) 그리고 또 다른 안내롤러(132′)는 축(116′)에 대해 선회하는 베어링판(나타나 있지 않음)상에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으로 베어링 속에 지지된다. 지지구조물(116)의 구역에서 컨베이어 벨트(126′)는 하부롤러(130)과 떨어져서 컨베이어 벨트의 회송부분을 안내하고 공급틈새(128)의 전면에 돌출된 거의 수평인 이동구역(136)을 형성하기 위하여 안내롤러(134)를 통과한다. 이동구역(136)에서, 부착물(18)을 위한 교정쇄는 예를들어 날장공급장치 또는 공급부착물에 의해서 하나씩 적절한 간격으로 컨베이어 벨트(126′)위에 투입된다.
컨베이어(124)는 마찬가지로 구동축(114)에 의해서 구동된다. 체인기어(142), (142′)는 구동축(114)와 축(140)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하부롤러(130)에 고정되어 있고, 체인(142)은 체인기어(142)와 (142)를 연결한다.
접착제 도포장치(22)는 컨베이어(124)의 상단에서 베어링판(나타나 있지 않음)에 부착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를 위한 순환벨트(144)는 그중의 하나가(화살표로 표시된)방향 C로(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체인구동(148)에 의해서 구동되는 두 개의 편향롤러(146)을 통과한다. 접착제 도포벨트(144)는 이 구역의 홀더(16)과 같은 간격으로 그리고 방향 C에 수직되게 차례로 간격을 유지하는 여러개의 접착제 도포비드(bead)(150)을 가지며 이 비드(150)은 각각의 홀더(16)에 의해서 지지되는 각 부착물 교정쇄(18)에 접착성의 스트립(strip)을 도포(塗布)한다. 접착제 도포벨트(144)의 회전속도는 홀더(10)이 접착제 도포장치(22)와 일치하도록 작동되는 구역에서의 홀더(16)의 속도와 같다. 스쿠프(scoop)롤러(152)는 기어장치(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편향롤러(146)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쿠프롤러(152)는 접착제 물질의 통(154)로부터 점착성 물질을 들어내서 각 접착제 도포비드(150)에 묻힌다. 접착성 물질로 채워져 있는 저장용기(156)은 사용된 접착성 물질을 보충하도록 접착성 물질의 통(154)의 내용물을 계속해서 공급하여 준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장치는 선행기술에 속하며, 가능한 변형으로는, 예를들어 일본특허 공개공보 평3-65399호에 기술되어 있다.
물론 필요시, 특히 부착물인 교정쇄(18)의 공급에 간격이 있을때는 접착성 도포벨트(144)와 그것의 접착성 도포비드(150)으로 접착성 물질을 공급하는 것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레버구동(158)은 접착장치(10)의 컨베이어(124) 및 접착제 도포장치(22)등을 포함한 모든 구성품과 함께 두번째 베어링판(82′)를 제1도의 실선으로 보이는 작동위치로부터 컨베이어장치(32)의 작동구역 바깥쪽인 접착장치(10)의 휴지위치로 선회하게 되어 있다. 제1도에서 일점쇄선은 휴지위치에서의 컨베이어(124′)와 접착성 도포장치(22′)를 나타내며, 이 위치에서는 교정쇄(18)이 부착될 수 없다.
접착장치(10)은 바닥을 가로질러 움직일 수 있고 지지부품(3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한 기계구조물(160)위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기계구조물(160)은 접착장치(10)을 위한 지지구조물(116)의 기초부분을 통과하는 두 개의 이송축(162)를 가지고 있다. 접착장치(10)은 이송축(16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레버구동(158)은 또한 기계구조물(116)위에 결합된다. 그 자신의 움직이는 구조물 위에 접착장치(10)을 설치하여 필요시에 그리고 필요한 곳에 컨베이어장치(32)에 대한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두 번째 베어링판(82′)는 더 이상 선회가능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장치(32)는 설명되는 설비는 다음의 종전기술자료:EP-A-0 354 343 또는 당해 미국 특허출원 07/387704와 EP-A-0 341 423 또는 당해 미국특허출원 07/349302 그리고 EP-A-0 341 425 또는 당해 US-PS 5,052,667에서 알려진 대로 인쇄물을 수집하고 맞추고 끼워넣는 장치이다. 장치의 구조와 작동의 상세한 내용은 상기 자료를 참조하라.
프로파일(profile)형태의 지지부품(30)들은 공통회전축(164)에 대해 그 축에 평행한 길이를 가지고 드럼형태로 놓여있다. 각 지지부품(30)은 인쇄물(24)가 얹혀질 수 있는 안장형태의 지지체를 형성하며, 각 쌍의 인접한 지지부품(30)은 인쇄물(24)가 들어갈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용기를 형성한다. 각 지지부품(30)에 대하여 인쇄물(24)가 드럼형태의 공정창치의 아래부분을 지날 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동시에 인쇄물(24)가 회전축(164)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기구적으로 조절되는 클램핑장치(166)(제3도)이 제공된다. 제3도는 클램핑장치(166)은 단지 부착물 교정쇄(18)이 접착된 이후에만 인쇄물 위에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교정쇄(18)이 부착되는 동안 인쇄물은 지지부품(30)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다. 드럼형태의 장치는 기계구조물(160)위에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장치는 다음의 방식으로 작동된다.
공급지점(168)에서 접혀진 인쇄물(24)는 각 지지부품(30)위에 얹혀진다. 인쇄물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A로 회전축(164)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진행경로인 이 구역내에 있는 동안 지지체(34)와 밀착되어지는 인쇄물(24)는 접착장치(10)의 작업영역안에 오게된다. 이 영역내에서, 접착제 도포장치(22)는 주머니 형태의 용기로 들어가는 홀더(16)에 부착되고 인쇄물(24)의 부분(24′)위에 압착되는 그러한 부착물 교정쇄(18)에 접착성 물질을 도포한다. 부착물 교정쇄(18)이 도포된 인쇄물(24)가 접착장치(10)을 통과한 후에, 클램핑장치(166)이 작동을 시작하고 추가의 공정을 위해 회전축(164)을 향해 인쇄물(24)를 이동시킨다. 만일 필요하다면, 추가의 인쇄물이 이 인쇄물(24)위에 추가의 공급지점에서 놓여질 수 있으며, 추가의 접착장치(10)이 추가의 부착물 교정쇄에 접착성 물질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급지점(168)에서, 예를들어 두 개의 인접한 지지부품(30)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에 “먼저 접힌 상태”로 인쇄물을 넣으며, 그 다음에 거기에 부착물 교정쇄를 부착하기 위해서 접착장치(10)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접착장치는 예컨대 EP-A-0 346 578 또는 당해 미국 특허출원 07/365 616과 EP-A-0 354 343 또는 당해 미국 특허출원 07/387 70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드럼형태의 설계외의 다른 방법에 의해서 인쇄물을 처리하는 기계들과 함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기계 그리고 이미 언급된 다른 모든 설비에 공통된 것은 인쇄물을 위한 지지체를 가진 지지부품들이 공급방향 A를 가로질러서 향해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조절부품이 다르게 구조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는 이송체 아암내에서 미끄러지도록 결합되고 병진(竝進)운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절장치가 조절봉(52)위에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홀더(16)에 결합되는 흡입두부(40) 대신에 이송체 아암(14)는 부착물 교정쇄(18)을 집어서 이동시키기 위해 기구적으로 조절되는 그립퍼(gripper)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는 부착물 교정쇄(18)을 인쇄물(24)위에서 적당히 눌러주기 위하여, 접착성 물질이 부착물 교정쇄(18)에 도포되는 구역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대해 압력패드(pad) 또는 어떤 다른 장치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5)
- -공급방향(A)으로 인쇄물(24)을 운반하며 공급방향(A)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뻗어있으며 간격을 가지고 차례로 배열되어 있는 지지부품(30)을 가지며 그 위에서 인쇄물(24)이 밀접한 접촉으로 지지되기 위한 컨베이어장치(32)와 -접착제 도포장치(22)를 포함하는 접착장치(10)와 -공급지점(20)으로부터 지지부품(30)위의 인쇄물(24)로 부착물 교정쇄(18)를 운반하며 회전방향(B)으로 구동된 하나의 회전기구(12) 및 여러개의 홀더(16)로 구성되며, 상기의 홀더(16)는 회전방향(B)으로 차례로 회전기구(12)에 배열되어 있으며, 고정된 통로를 따라 회전하며 각기 공급지점(20)에서 부착물 교정쇄(18)를 집어올리며 상기의 부착물 교정쇄(18)를 각각의 인쇄물(24)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와, 그리고 -부착물 교정쇄(18)를 인쇄물(24)위로 누르기 위한 장치등으로 구성되는 부착물 교정쇄를 인쇄물에 접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접착장치(10)는 또한 부착물 교정쇄(18)를 운반하고 누르기 위한 상기의 장치를 포함하며 회전기구(12)로부터 한쪽방향으로 돌출해 있으며 상기 기구의 회전방향(B)로 간격을 가지고 차례로 배열된 그러한 여러개의 이송체 아암(14)을 포함하며, 이 이송체 아암(14)의 각각은 홀더(16)들 중의 하나를 운반하며, 회전기구(12)와 이송체 아암(14)들은 연속하는 지지부품(30)들 사이로 홀더(16)들을 들여보내도록 고안되었으며, 그리고 조절기구(26)는 상응하는 지지부품(30)들을 향해 홀더(16)들을 이동시키며 그리고 이 홀더(16)들은 상응하는 지지부품(30)들 위에서 지지된 인쇄물(24)위로 접착된 부착물 교정쇄(18)를 가지고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이송체 아암(14)는 접합(joint)에 의해서 회전기구(12)에 체결되고 조절기구(26)에 의해서 회전방향(B)으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홀더(16)은 피벗(pivot)에 의해 이송체 아암(14)에 체결되어 있으며, 인쇄물에 부착물 교정쇄(18)을 얹어서 누르기 위해 홀더(16)의 위치를 향하도록 하고 그리고 인쇄물(24)을 위한 지지부품(30)위에 있는 지지체(34)에 다소 평행되게 홀더(16)를 유지되도록 하는 추가 조절기구(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회전기구(12)는 이송체 아암(14)가 축방향으로 평행인 공급방향(A)에 수직인 축(38)을 회전시키는 베어링복스(3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추가조절기구(28)은 홀더(16)를 구속하는 조절봉(52)를 가지며 베어링복스(36)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조절기구(26)은 베어링복스(36)의 축(38)에 편심으로 놓여있는 회전기어(90)을 가지며, 그것의 유성휠(104)이 이송체 아암(14)와 조절봉(52)를 위한 안내부품(106)에 편심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유성휠(104)를 움직이는 유성기어(90)의 웨브(94)는 베어링복스(36)과 같은 회전(B)방향으로 동기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이송체 아암(14)는 안내부품(106) 내부를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접착장치(10)은 그것의 둘레에 지지부품(34)와 거의 같은 간격으로 톱니모양의 홈(110)을 가지며 필요시 구조물(84)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그러한 구동휠(108)을 갖고, 그로써 지지부품(30)이 접착장치(10)을 통과하여 움직일 때 접착장치(10)을 구동하기 위해 홈(110)과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구동휠(108)에 대한 회전기구(12)와 조절기구(26)의 위치가 지지부품들(34) 사이의 홀더(16)의 침투의 깊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홀더(16)은, 부착물 교정쇄(18)을 공급지점(20)으로부터 제위치에서 눌려질 때까지 지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배출밸브(74)로써 제공되는 조절밸브장치(56)을 통해 부분 진공원까지 연결되는 탄성의 흡입두부(4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접착장치(10)은 부착물 교정쇄(18)을 공급지점(20)까지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124), 컨베이어 벨트(126), (12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공급지점(20)에서의 컨베이어(124)의 이송방향은 궤적에 거의 접선이거나 예각이고 각 부착물 교정쇄(18)을 공급지점(20)에서 집어낼 때 회전방향(B)에 거의 평행되는 위치로 선회할 수 있는 홀더(16)의 회전(B)과 같은 방향이며, 그리고 컨베이어는 홀더(16)와 같은 간격으로 부착물 교정쇄(18)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사용.
- 제1항에 있어서, 접혀진 인쇄물(24)가 얹혀지거나 또는 인쇄물(24)가 들어가는 주머니형태의 용기를 형성하는 여러개의 회전하는 지지부품들(30)이 차례로 간격을 가지고 놓여있으며 회전방향(A)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사용.
- 제14항에 있어서, 지지부품(30)은 공통회전축(164)에 대해 드럼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사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H3250/91A CH685045A5 (de) | 1991-11-07 | 1991-11-07 | Vorrichtung zum Ankleben von Beilagen an Druckereiprodukte. |
CH03250/91-8 | 1991-11-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9796A KR930009796A (ko) | 1993-06-21 |
KR950006865B1 true KR950006865B1 (ko) | 1995-06-23 |
Family
ID=425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0512A KR950006865B1 (ko) | 1991-11-07 | 1992-11-03 | 인쇄물에 부착되는 교정쇄를 접착하기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EP (1) | EP0540865B1 (ko) |
JP (1) | JPH0796345B2 (ko) |
KR (1) | KR950006865B1 (ko) |
AT (1) | ATE123711T1 (ko) |
AU (1) | AU652672B2 (ko) |
CA (1) | CA2078627A1 (ko) |
CH (1) | CH685045A5 (ko) |
DE (1) | DE59202531D1 (ko) |
ES (1) | ES2073834T3 (ko) |
FI (1) | FI924994A (ko) |
NZ (1) | NZ24502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70339A1 (de) * | 1992-05-13 | 1993-11-18 | Grapha-Holding Ag | Einrichtung zum klebeartigen Beiheften von Beilagen |
DK0606555T3 (da) * | 1993-01-11 | 1997-10-13 | Ferag Ag | Samlehæftemaskine til trykprodukter,der består af foldede trykarkkark |
EP0657375B1 (de) * | 1993-12-10 | 1997-07-09 | Grapha-Holding Ag | Einrichtung zur Beschickung einer Druckbogen verarbeitenden Maschine |
DE59501115D1 (de) * | 1994-03-24 | 1998-01-29 | Ferag Ag | Vorrichtung zum Zubringen von flächigen Erzeugnissen zu einer Verarbeitungseinrichtung für Druckereiprodukte |
DE59606999D1 (de) * | 1995-11-24 | 2001-07-05 | Grapha Holding Ag | Einrichtung zum klebeweisen Befestigen von Beilagen |
EP1780035B1 (de) * | 2005-10-31 | 2014-02-26 | Ferag AG | Einstecken von Beilagen in Druckereiprodukten |
CH705738A1 (de) * | 2011-11-11 | 2013-05-15 | Ferag Ag | Verfahren zum Applizieren von flächigen Ergänzungsprodukten an Basisprodukt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CN112571862B (zh) * | 2020-12-29 | 2022-07-15 | 安庆市康明纳包装有限公司 | 医疗用品推管安装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50400A (en) * | 1965-10-20 | 1969-06-17 | Graphicart Int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uffing printed matter with inserts,particularly for stuffing newspapers and the like |
DE2135303A1 (de) * | 1971-07-15 | 1973-08-09 | Girardet Graphische Betriebe U | Vorrichtung zum einkleben von proben in zeitschriften, zeitungen od. dgl. |
CH538366A (de) * | 1971-08-13 | 1973-06-30 | Mueller Hans Grapha Masch | Vorrichtung zum Ankleben von Beilagen an Druckbogen |
BE791462A (fr) * | 1971-12-04 | 1973-03-16 | Jagenberg Werke Ag | Machine a etiqueter pour bouteilles ou objets similaires, avec un dispositif pour en enrober d'une feuille metallique les goulots oules tetes |
US3877692A (en) * | 1971-12-08 | 1975-04-15 | Willi Kluge | Device for inserting printed products, for example newspaper inserts, into other printed products, for example newspapers |
US4533132A (en) * | 1976-07-09 | 1985-08-06 | Gruner & Jahr Ag & Co. | Collating machine |
DE2631058C2 (de) * | 1976-07-09 | 1982-02-25 | Gruner + Jahr Ag & Co, 2210 Itzehoe |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in einem Sammler ineinandergesteckter Falzbogen an eine Hefteinrichtung |
-
1991
- 1991-11-07 CH CH3250/91A patent/CH685045A5/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
- 1992-09-17 AT AT92115927T patent/ATE123711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09-17 DE DE59202531T patent/DE59202531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9-17 ES ES92115927T patent/ES2073834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9-17 EP EP92115927A patent/EP0540865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9-18 CA CA002078627A patent/CA2078627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2-10-06 AU AU26209/92A patent/AU652672B2/en not_active Ceased
- 1992-10-28 JP JP4289935A patent/JPH0796345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11-03 KR KR1019920020512A patent/KR95000686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11-05 FI FI924994A patent/FI924994A/fi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2-11-05 NZ NZ245026A patent/NZ245026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H685045A5 (de) | 1995-03-15 |
AU652672B2 (en) | 1994-09-01 |
NZ245026A (en) | 1995-02-24 |
FI924994A0 (fi) | 1992-11-05 |
ES2073834T3 (es) | 1995-08-16 |
DE59202531D1 (de) | 1995-07-20 |
EP0540865A1 (de) | 1993-05-12 |
AU2620992A (en) | 1993-05-13 |
FI924994A (fi) | 1993-05-08 |
KR930009796A (ko) | 1993-06-21 |
EP0540865B1 (de) | 1995-06-14 |
JPH05238177A (ja) | 1993-09-17 |
JPH0796345B2 (ja) | 1995-10-18 |
ATE123711T1 (de) | 1995-06-15 |
CA2078627A1 (en) | 199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5872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labels onto small cylindrical articles using improved film feed and cutting system | |
JPH02187327A (ja) | 封筒及び類似のものを製造する機械においてクリップを固定する方法及び装置 | |
US4612079A (en) | Label applicator with pivotable labeling head | |
US4334672A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pplying sheet units to endless web | |
JPS60236971A (ja) | 回転移送装置 | |
JPH0242729B2 (ko) | ||
JPH06211224A (ja) | ラベルの不整合を防止する圧力適用器を使用した小型円筒物品にラベルを適用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JP4060419B2 (ja) | (印刷した)帯封ラベルとこれを(煙草)パケットに付与する方法と装置 | |
JPS5843305B2 (ja) | ラベル貼り機 | |
MXPA01011345A (es) | Sistema de placa giratoria para transferencia de latas. | |
KR950006865B1 (ko) | 인쇄물에 부착되는 교정쇄를 접착하기 위한 장치 | |
JPH058303A (ja) | 貼付車用ガイド装置及び貼付機 | |
US5041073A (en) | Apparatus for cutting off and applying tear-off strips to a web of packaging material | |
US20040051236A1 (en) | Devices for aligning sheets | |
US3826706A (en) | Arrangement for affixing objects to travelling sheets | |
US5176611A (en) | Sealing assembly attachment and method | |
US540135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labels onto small cylindrical articles using static wipers | |
US5112430A (en) | Apparatus for applying a sheet to a substrate | |
JPH0259800B2 (ko) | ||
AU775822B2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supplementary products | |
US4126948A (en) | Envelope drying machine | |
CN109605832B (zh) | 纸袋阀口插入装置 | |
US3550509A (en) | Method and apparatus of high-speed manufacture of flap glued lined envelope | |
JPH0115627Y2 (ko) | ||
JPH0573660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