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55Y1 -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55Y1
KR950006855Y1 KR92013696U KR920013696U KR950006855Y1 KR 950006855 Y1 KR950006855 Y1 KR 950006855Y1 KR 92013696 U KR92013696 U KR 92013696U KR 920013696 U KR920013696 U KR 920013696U KR 950006855 Y1 KR950006855 Y1 KR 950006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power supply
unit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630U (ko
Inventor
최현종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3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855Y1/ko
Publication of KR940004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제1도는 종래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콤 12 : 제1전원공급부
13 : 제2전원공급부 14 : 레벨 클램프부
15 : 주전원 스위칭부 16 : 주전원 정류부
17 : 주전원 출력부 18 : 주전원 공급부
PL11 : 플러그 Q13 :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리모콘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전원의 오프시에도 마이콤이 계속 동작하고, 주전원을 온할수 있도록 스탠드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전원의 온시 발생되는 리플에 의해 마이콤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고 주전원의 온을 제어하는 마이콤(1)과, 전원플러그(PL1)에 인가된 교류전원을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D1), 저항(R1, R2), 콘덴서(C1), 트랜지스터(Q1)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로 된 스탠드바이 전원 출력부(2)와, 상기 스탠드바이 전원 출력부(2)의 출력전압을 강압 및 정전압으로 하여 상기 마이콤(1)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정전압용 집적소자(3)와, 상기 마이콤(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플러그(PL1)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2), 릴레이(RY1) 및 릴레이 스위치(RYS1)로 된 주전원 스위칭부(4)와,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4)의 출력전원을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주전원으로 출력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D1), 콘덴서(C2) 및 정전압회로(5A)로 된 주전원 정류부(5)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3)의 온 및 오프에 따라 상기 주전원 정류부(5)의 출력전원을 유도 및 정류하여 출력하는 플라이백 트랜스(FBT1), 다이오드(D2, D3) 및 콘덴서(C3)로 된 주전원 출력부(6)와, 상기 주전원 출력부(6)의 출력전원을 상기 정전압용 집적소자(3) 및 주전원 스위칭부(4)에 공급하는 저항(R3) 및 다이오드(D4)로 된 주전원 공급부(7)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는 전원플러그(PL1)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교류전원은 스탠드바이 전원 출력부(2)의 다이오드(D1)를 통해 반파 정류되고, 저항(R1)을 통해 콘덴서(C1)에 평활된 후 저항(R2), 트랜지스터(Q1)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로 된 정전압 회로에 의해 정전압으로 변환되어 스탠드바이 전원으로 출력된다.
출력된 스탠드바이 전원은 주전원 스위칭부(4)의 릴레이(RY1)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정전압용 집적소자(3)에서 강압 및 정전압으로 되어 마이콤(1)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되므로 마이콤(1)은 정상 동작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원을 온할 경우에 마이콤(1)은 고전위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2)가 온되므로 릴레이(RY1)가 구동되고, 릴레이 스위치(RYS1)가 접속된다.
그러면 전원플러그(PL1)에 인가된 교류전원이 릴레이 스위치(RYS1)를 통하고, 주전원 정류부(5)의 브리지 다이오드(BD1)에서 브리지 정류되고,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되며, 정전압 회로(5A)에서 정전압으로 변환되어 주전원으로 출력된다.
출력된 주전원은 주전원 출력부(6)의 플라이백 트랜스(FBT1)에 인가되어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에 따라 이차코일로 유도되고, 다이오드(D2)(D3)및 콘덴서(C3)를 통해 텔레비젼 수상기의 각부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고압을 공급하고, 주전원 공급부(7)를 통해 정전압용 집적소자(3) 및 주전원 스위칭부(4)에 공급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에 있어서, 마이콤(1)의 동작전원은 통상적으로 +5V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정전압용 집적소자(3)가 마이콤(1)의 동작전원을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탠드바이 전원 출력부(2)가 약 +7V이상의 높은 전압을 출력해야 되고, 릴레이(RY)에 그의 정격전압 이상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정전압 다이오드(ZD1)가 릴레이(RY1)의 정격 전압보다 약 +1V 높은 제너전압을 가져야 된다.
이러한 여러가지의 조건을 고려하여 스탠드바이 전원 출력부(2)를 설계하면, 콘덴서(C1)의 양단전압이 높게 되므로 콘덴서(C1)는 내압이 높은 고가의 콘덴서를 사용해야 된다.
그리고 마이콤(1), 정전압용 집적소자(3) 및 주전원 스위칭부(4)에 모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스탠드바이 전원 출력부(2)의 출력전류가 많아야 되고, 출력전류를 높히기 위해서는 저항(R1)의 값을 낮게 설정해야 되나, 저항(R1)의 값을 낮게 설정하면 저항(R1)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여 열손실이 커지게 되고, 내전력이 높은 고가의 저항을 사용해야 되었다.
또한 릴레이(RY1)의 구동시 릴레이(RY1)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리플이 발생하게 되고, 그 발생된 리플에 의해 마이콤(1)의 입력전압이 그의 최소동작전압 이하로 되면, 마이콤(1)이 오동작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릴레이의 전원공급과 마이콤의 전원공급원을 분리하여 저항의 값을 높게 설정할 수 있고, 릴레이의 구동시 마이콤에 공급되는 전원에 리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콘덴서의 내압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생산원가를 낮게 하고, 열손실을 줄이며, 마이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2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고 주전원의 온을 제어하는 마이콤(11)과, 전원플러그(PL11)에 인가된 전원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11)와, 상기 다이오드(D11)의 출력전원을 평활 및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마이콤(11)에 인가하는 저항(R11, R12), 콘덴서(C11), 트랜지스터(Q11)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1)로 된 제1전원공급부(12)와, 상기 다이오드(D11)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저항(R13) 및 콘덴서(C12)로 된 제2전원공급부(13)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13)의 출력전원이 상기 제1전원공급부(12)의 출력전원 레벨에 클램프되게 하는 저항(R14) 및 다이오드(D12)로 된 레벨(14)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13)의 출력전원을 동작전원으로 하고 상기 마이콤(11)의 제어에 따라 플러그(PL11)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RY11), 릴레이 스위치(RYS11) 및 트랜지스터(Q12)로 된 주전원 스위칭부(15)와,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15)의 출력전원을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주전원으로 출력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D11), 콘덴서(C13) 및 정전압 회로(16A)로 된 주전원 정류부(16)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13)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주전원 정류부(16)의 출력전원을 유도 및 정류하여 출력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11), 다이오드(D13, D14) 및 콘덴서(C14)로 된 주전원 출력부(17)와, 상기 주전원 출력부(17)의 출력전원을 상기 제1전원공급부(12)와 주전원 스위칭부(15)에 각기 분할 공급되는 저항(R15, R16) 및 다이오드(D15, D16)로 된 주전원 공급부(18)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는 전원플러그(PL11)에 인가하는 교류 전원이 다이오드(D11)를 통해 반파 정류된 후, 제1전원공급부(12)의 저항(R11)을 통해 콘덴서(C11)에서 평활되고, 저항(R12), 트랜지스터(Q11)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1)로 된 정전압 회로에 의해 정전압으로 변환되어 마이콤(11)에 인가되므로 마이콤(11)이 정상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다이오드(D11)의 출력전원이 제2전원공급부(13)의 저항(R13)을 통해 콘덴서(C12)에서 평활되고, 레벨 클램프부(14)에 의해 제1전원공급부(12)의 출력전원에 레벨이 클램프되어 주전원 스위칭부(15)에 인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원을 온할 경우에 마이콤(11)은 고전위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12)가 온되므로 릴레이(RY11)가 구동되고, 릴레이 스위치(RYS11)가 접속된다.
그러면 전원플러그(PL11)에 인가된 교류전원이 릴레이 스위치(RYS11)를 통하고, 주전원 정류부(16)의 브리지 다이오드(BD11)에서 브리지 정류되고, 콘덴서(C13)에 의해 평활되며, 정전압회로(16A)에서 정전압으로 변환되어 주전원으로 출력된다.
출력된 주전원은 주전원 출력부(17)의 플라이백 트랜스(FBT11)에 인가되어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13)의 온/오프에 따라 이차코일로 유도되고, 다이오드(D13)(D14) 및 콘덴서(C14)를 통해 텔레비젼 수상기의 각부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고압을 공급하고, 주전원 공급부(18)의 저항(R15)(R16) 및 다이오드(D15)(D16)를 통해 분할되어 제1전원공급부(12) 및 주전원 스위칭부(15)에 공급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는 제1전원공급부(12) 및 제2전원공급부(13)로 분리하여 마이콤(11) 및 주전원 스위칭부(15)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제1전원공급부(12) 및 제2전원공급부(13)의 출력전류 레벨이 낮아도 되고, 이로 인하여 저항(R11, R13)의 값을 높게 설정할 수 있어 저항(R11, R13)에서 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낮은 내전력을 가지는 저렴한 저항을 사용할 수 있으며, 릴레이(RY11)의 구동시 발생되는 리플이 마이콤(11)의 전원공급에 영향을 주지 않아 리플에 의한 마이콤(11)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콘덴서(C11)의 양단전압은 저항(R12)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1)의 제너전압에 클램프되고, 콘덴서(C12)의 양단전압도 저항(R14) 및 다이오드(D12)를 통해 정전압 다이오드(ZD11)의 제너전압에 클램프되므로 콘덴서(C11, C12)를 내압이 낮은 저렴한 콘덴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전원공급부(12)의 출력전원으로 마이콤(11)에 동작전원만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또다른 정전압 회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제1전원공급부(12)의 출력전압을 마이콤(11)의 정격전압으로 조절하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릴레이의 전원공급과 마이콤의 전원공급원을 분리하여 저항의 값을 높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릴레이의 구동시 마이콤에 공급되는 전원에 리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콘덴서의 내압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생산원가를 낮게 하고, 열손실을 줄이며, 마이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고 주전원의 온을 제어하는 마이콤(11)과, 전원플러그(PL11)에 인가된 전원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11)와, 상기 다이오드(D11)의 출력전원을 평활 및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마이콤(11)에 인가하여 제1전원공급부(12)와, 상기 다이오드(D11)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제2전원공급부(13)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13)의 출력전원이 상기 제1전원공급부(12)의 출력전원 레벨에 클램프되게 하는 레벨 클램프부(14)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13)의 출력전원을 동작전원으로 하고 상기 마이콤(11)의 제어에 따라 플러그(PL11)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주전원 스위칭부(15)와,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15)의 출력전원을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주전원으로 출력하는 주전원 정류부(16)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13)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주전원 정류부(16)의 출력전원을 유도 및 정류하여 출력하는 주전원 출력부(17)와, 상기 주전원 출력부(17)의 출력전원을 상기 제1전원공급부(12)와 주전원 스위칭부(15)에 각기 분할 공급하는 주전원 공급부(1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KR92013696U 1992-07-24 1992-07-24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KR950006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696U KR950006855Y1 (ko) 1992-07-24 1992-07-24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696U KR950006855Y1 (ko) 1992-07-24 1992-07-24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630U KR940004630U (ko) 1994-02-24
KR950006855Y1 true KR950006855Y1 (ko) 1995-08-21

Family

ID=1933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696U KR950006855Y1 (ko) 1992-07-24 1992-07-24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8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630U (ko) 199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075B2 (en) Start-up circuit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667119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KR100199831B1 (ko) 영상기기의 절전 제어회로
JP3043862U (ja) スイッチング電源
US4751580A (en) Television receiver standby power supply
US7248485B2 (en) Circuit arrangemen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s well as a corresponding appliance
JP468353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0819220B2 (en) Display device and over-voltage protection method
KR950006855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KR100229043B1 (ko) Ac/dc겸용 전원공급회로
JP4278208B2 (ja) 電気機器のスイッチモード電源
KR100340780B1 (ko) 전원공급장치의피드백손실방지장치
JP200125186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待機装置
KR0127031B1 (ko) 절전형 전원회로 및 제어방법
JPH05176541A (ja) 補助電源回路
KR950008747Y1 (ko)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JPH1175368A (ja) 多出力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970002995B1 (ko) 텔레비젼의 전원장치
KR0120084Y1 (ko) 스텐바이시 소비전력 감소회로
KR910004796Y1 (ko)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JPH1015072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40745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20000015102U (ko) 대기전원시 소비전력 절감장치
KR19990003704U (ko) 모니터의 절전모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