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747Y1 -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747Y1
KR950008747Y1 KR2019900017766U KR900017766U KR950008747Y1 KR 950008747 Y1 KR950008747 Y1 KR 950008747Y1 KR 2019900017766 U KR2019900017766 U KR 2019900017766U KR 900017766 U KR900017766 U KR 900017766U KR 950008747 Y1 KR950008747 Y1 KR 950008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load
transform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54U (ko
Inventor
이하정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7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747Y1/ko
Publication of KR920010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을 해결하기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연회로 2 : 인버터회로
3 : 부하 TS : 트랜스
D1~D3 : 다이오드 R1~R3 : 저항
C1, C2 : 콘덴서 ZD1~ZD3 : 제너다이오드
Q1~Q4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각종 전자제품에 있어서 110/220V전압 변동을 자동조정하는 회로에 관한것으로, 특히 트랜지스터와 인버터회로를 사용하여 부하에 항시 일정전압을 공급토록 하기위한 110/220V 자동전압 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10/220V전압 조정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제품의 외부에 부착된 절환스위치를 조작하여 트랜스일차 코일을 직, 병렬 접속되게 하므로서 부하에는 항시 일정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수나 착오로 인해 인입 전압이 220V일때 절환스위치를 110V로 조작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과전압으로 인한 트랜스의 파손은 물론 부하에 심한 손상을 입게 되고 인위적인 절환스위치 조작에 의한 번거로움과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 전압이 110V일때 전기 제품을 반드시 220V로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승압 트랜스가 필요하여 전압 조압 조절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트랜지스터와 인버터회로 그리고 지연회로된 자동전압 조절회로를 구성하여 인입 전압이 AC220V일 경우에는 1차와 2차의 권선비가 AC110V일때에 비해 1/2이 되는 탭의 출력을 부하에 전송토록 하므로서 인입 전압의 변동에 무관하게 무접점 스위칭 방식으로 부하에는 항시 일정전압이 공급되게 하여 사용자의 착오로 인한 부하 파손과 회재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변압트랜스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110/220V 자동전압 조절회로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랜스(TS)에 인가되는 110/220V의 전원을 절환하여 부하(3)에 공급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TS) 이차측 코일(L1)의 출력전압을 반파정류 하는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D1)에서 반파정류된 전압을 저항(R1)과 콘덴서(C2)의 시정수에의해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와, 상기 트랜스(TS) 이차측코일(L2) 출력전압을 반파 정류하는 다이오드(D3)와, 상기 지연회로(1)와 트랜스(TS) 이차측코일(L2)에서 인가된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3) (Q4)가 스위칭하는 인버터회로(2)와, 상기 인버터회로(2)의 트랜지스터(Q4)도통시 "턴온"되어 110V의 전원을 부하(3)에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인버터회로(2)의 트랜지스터(Q3) 도통시 "턴온"되어 220V의 전원을 부하(3)에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한다.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콘덴서(C1)는 다이오드(D3)에서 반파정류된 전압을 평활시키기 위한 콘덴서이며, 제너다이오드(ZD2) (ZD3)는 인버터회로(2)의 트랜지스터(Q3)(Q4)기준전압을 맞추기 위한 다이오드이고, 저항(R2~R5)는 각단의 보호용 저항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을 해결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먼저 트랜스(TS)의 일차측에 인입되는 전압이 110V일때를 설명한다.
트랜스(TS) 이차측코일(L1)의 출력전압이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반파정류된 후 지연회로(1)에 인가되면 저항(R1)과 콘덴서(C2) 시정수 만큼 지연시켜 인버터회로(2)의 트랜지스터(Q3) (Q4)콜렉터에 공급하므로서 부하(3)에 순간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트램스(RS) 이차측코일(L2)의 출력전압이 다이오드(D3)와 콘덴서(C1)에 의해 반파정류 및 평활된 후 인버터회로(2)의 저항(R3)을 경유함에 따라 일정 레벨로 감소되어 트랜지스터(Q3) 베이스에 인가되나 상기 트랜지스터(Q3)을 "턴온"시킬 만큼의 바이어스 전압이 되지 않는 관계로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 콜렉터 전위는 "하이" 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Q2)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4)를 "도통"상태로 만든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4) 콜렉터 전위는 "로우"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므로서 다이오드(D1)의 출력전압 "2Vo"V 즉, 110V를 부하(3)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트랜스(TS)에 인입되는 전압이 220V일 경우를 설명한다.
트랜스(TS) 이차측 코일(L1)의 "2Vo"V출력전압은 지연회로(1)를 통하여 인버터회로(2)로 공급되고, 상기 트랜스(TS) 이차코일(L2) 출력전압은 다이오드(D3)와 콘덴서(C1)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되어 인버터회로(2)의 트랜지스터(Q3) 베이스로 공급된다.
이때의 전압은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킬 만큼의 높은 전압이 되므로서 상기 트랜지스터(Q3)는 "턴온"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 콜렉터 전위는 "로위" 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Q4)를 차단상태로 만들어 다이오드(D1) 출력전압이 부하(3)에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켜 다이오드(D2) 출력전압 "Vo"V즉, 220V를 부하(3)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인버터회로(2)의 제너다이오드(ZD2) (ZD3)는 트랜지스터(Q3) (Q4) 온,오프 기준전압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지연회로(1)와 인버터회로(2) 및 트랜지스터(Q1) (Q3)가 상호 접속된 110/220V 자동절환 조절회로를 제공하므로서 인입 전압이 110V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 (Q4)가 동작하여 "2Vo" V를 부하(3)에 공급하고 인입 전압이 220V일때는 트랜지스터(Q3) (Q2)가 "턴온"되어 부하(3)에 "Vo"V을 공급하므로서 입력 전압 변동에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절환되어 부하(3)에 항시 일정전압을 공급하여 인위적인 절환스위치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과전압으로 부터 부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스(TS)에 인가되는 110/220V의 전원을 절환하려 부하(3)에 공급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TS) 이차측코일(L1)의 출력전압을 반파정류 하는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D1)에서 반파정류된 전압을 저항(R1)과 콘덴서(C2)의 시정수에의해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와, 상기 트랜스(TS) 이차측코일(L2) 출력전압을 반파 정류하는 다이오드(D3)와, 상기 지연회로(1)와 트랜스(TS) 이차측코일(LS)에서 인가된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3) (Q4)가 스위칭하는 인버터회로(2)와, 상기 인버터회로(2)의 트랜지스터(Q4)도통시 "턴온"되어 110V의 전원을 부하(3)에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인버터회로(2)의 트랜지스터(Q3) 도통시 "턴온"되어 220V의 전원을 부하(3)에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110/220V 자동전압 조절회로.
KR2019900017766U 1990-11-19 1990-11-19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KR950008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766U KR950008747Y1 (ko) 1990-11-19 1990-11-19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766U KR950008747Y1 (ko) 1990-11-19 1990-11-19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54U KR920010554U (ko) 1992-06-17
KR950008747Y1 true KR950008747Y1 (ko) 1995-10-13

Family

ID=1930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766U KR950008747Y1 (ko) 1990-11-19 1990-11-19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7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54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046A (en)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a high efficiency starting circuit
EP0500113B1 (en) Power-supply unit
US6111762A (en) Switching power supply
US5119013A (en) Switching regulator with multiple isolated outputs
US4293902A (en) Transformerless fast current limiter with symetry correction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US4678985A (en) Two-terminal line-powered control circuit
US4937722A (en) High efficiency direct coupled switched mode power supply
EP1552596B1 (en) Capacitively coupled power supply
KR19990077140A (ko) 예비 동작시 작은 전력 손실을 가지는 스위칭 모드 전력 공급기
US6002598A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n improved start-up circuit
JP437990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369552B2 (en) Regulated auxiliary power supply
EP0393280A2 (en) Power supplies
KR950008747Y1 (ko)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US6151224A (en) Power supply with reduced power comsumption in standby mode
KR940001193Y1 (ko) 정전압기의 발열 감쇄회로
KR0129031Y1 (ko) 과전류 보호회로
KR950010190Y1 (ko) 영상신호의 출력제어회로
KR890002556Y1 (ko)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KR970001860Y1 (ko)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950006855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KR910004796Y1 (ko)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EP0917281B1 (en) Power supply with ecological stand by mode
KR940003232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전압 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