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796Y1 -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796Y1
KR910004796Y1 KR2019860006974U KR860006974U KR910004796Y1 KR 910004796 Y1 KR910004796 Y1 KR 910004796Y1 KR 2019860006974 U KR2019860006974 U KR 2019860006974U KR 860006974 U KR860006974 U KR 860006974U KR 910004796 Y1 KR910004796 Y1 KR 910004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ransistor
remote control
memory integrated
integra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9300U (ko
Inventor
최석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6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796Y1/ko
Publication of KR870019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9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 R2 : 저항 D1, D2 : 다이오드
Q1, Q2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텔레비전에 있어서, 리모콘 송신기에 의한 전원 온, 오프시 발생되는 메모리 집적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에 대한 것이다.
리모콘 텔레비전에서는 전원 트랜스의 2차측 정류전원을 스탠드바이 전원으로 사용하며, 또한 주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기 선택된 채널등을 메모리시키기 위한 메모리 집적회로로 공급되는 프로그램 전원으로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2차측 출력 펄스를 정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메모리 집적회로의 프로그램 전원은 세트 전원 온시 주전원보다 시간적으로 늦거나 또는 동일하게 인가되어야 하고, 세트 전원 오프시는 전원보다 빨리 또는 동일하게 차단되어야만이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모콘 텔레비전에서는 리모콘 송신기나 수동 스위치에 의하여 주전원을 오프시킬 경우 이 메모리 집적회로의 프로그램 전원이 플라이백 트랜스의 2차측 펄스를 정류, 평활시켜 사용함에 따라 이 프로그램 전원보다 주전원이 먼저 차단되기 때문에 종종 메모리 집적회로에 오동작이 발생하여, 다시 주전원을 온시킬 경우 앞서 시청하던 채널을 기억하지 못하고 원상으로 복귀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폐단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리모콘 송신기 또는 수동스위치에 의한 주전원 오프시 강제로 메모리 집적회로에 공급되는 프로그램 전원도 동시에 오프시켜 줌으로서 이 메모리 집적회로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브릿지정류회로(B1)로부터 스탠드바이 전원을 공급받는 리모콘 수신회로(1), 이 리모콘 수신회로(1)의 출력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Q1), 이 트랜지스터(Q1)에 의해 구동제어되어 그 접점을 통해 브릿지 정류회로(B2)로 부터의 주전원을 플라이백 트랜스(T2)에 인가시키는 릴레이(RY), 그리고 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2차측 유기전압이 정류, 평활된 상태에서 그 프로그래밍 전압 입력단자(PV)로 공급되는 메모리 집적회로(1)로 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RY) 코일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된 분압저항(R1)(R2), 이들 분압저항(R1)(R2)의 접속점에 그 베이스가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1)의 프로그래밍전압 입력단자(PV)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D1)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중, T1은 전원트랜스, Vcc 및 Vpp는 주전원전압 및 메모리 집적회로(2)로 공급되는 프로그래밍 전원전압, D2는 다이오드, C는 평활콘덴서, ZD는 제너다이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로동작 상태는 다음과 같다.
주전원 온, 오프용 릴레이(RY) 코일의 일단과 리모콘 수신회로(1)로는 전원트랜스(T1)의 2차측 전압을 브릿지정류기(B1)를 통해 정류시킨 스탠바이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모콘 송신기나 수동 스위치에 의해 주전원을 온시키면 리모콘 수신회로(1)의 출력단자(out)가 "하이"레벨로 되어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고, 이에 의해 릴레이(RY)가 구동되므로 브릿지정류회로(B2)를 통해 정류된 주전원(Vcc)이 이 릴레이(RY)접점을 통해 플라이백 트랜스(T2)를 포함한 전원회로 각 부분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플라이백 트랜스(T2)가 동작되고, 이에 의해 그 2차측에 유기된 펄스전압이 정류용 다이오드(D2), 평활콘덴서(C) 및 정전압 제너다이오드(ZD)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직류전압으로 변환되는데, 이 직류전압이 프로그래밍 전압(Vpp)으로서 메모리 집적회로(2)의 프로그래밍 전압 입력단자(PV)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브릿지정류회로(B2)에서 정류된 주전원전압(Vcc)이 메모리집적회로(2)로 직접 공급되는 시간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2차측 유기전압을 다시 정류, 평활시킨 프로그래밍 전압이 단자(PV)로 공급되는 시간보다 빠르거나 최소한 시간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주전원 온시에는 메모리 집적회로(2)가 오동작할 위험은 없다.
그러나, 주전원 오프시 메모리집적회로(2)에 공급되는 프로그래밍 전압(Vpp)이 전술한 바와 같이 주전원(Vcc) 전압이 인가되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2차측 유기전압을 다시 정류, 평활시킨 전압이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주전원전압(Vcc)이 오프되는 시간보다 프로그래밍전압(Vpp)이 오프되는 시간이 늦어지게 됨으로서 메모리집적회로(2)가 종종 오동작을 하여 앞서 시청하던 채널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회로에 있어서는, 리모콘 송신기나 수동 스위치에 의해 주전원이 오프될 때, 즉 리모콘 수신회로(1)의 출력단(out)이 "로우"레벨로 되어 릴레이(RY) 구동용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이에 의해 릴레이(RY)의 구동이 정지될 때, 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가 "하이"레벨로 됨에 따라 각 분압저항(R1)(R2)을 통한 베이스 전압공급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된다. 따라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2차측에서 유기되어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에 의해 정류, 평활된 상태에서 메모리 집적회로(2)의 단자(PV)로 인가되던 프로그래밍 전압(Vpp)이 도통상태의 트랜지스터(Q2)와 다이오드(D1)를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됨으로서 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된 메모리집적회로(2)의 프로그래밍전압 입력단자(PV)의 단자 전압이 접지레벨로 되어 프로그래밍전압(Vpp)이 "오프"된다.
즉, 주전원전압(Vcc)의 오프시점과 동일하게 프로그래밍 전압(Vpp)이 오프되게 되므로, 주전원 오프시 프로그래밍 전압이 주전원 전압보다 늦게 차단됨에 의해 야기되는 메모리 집적회로(2)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연결된 다이오드(D1)는 주전원 온시에 트랜지스터(Q2)의 도통을 확실하게 방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주전원 오프시 메모리 집적회로로 공급되는 프로그래밍 전압도 주전원과 동시에 오프시켜 줌으로서 메모리 집적회로의 오동작을 방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브릿지정류회로(B1)로부터 스탠드바이 전원을 공급받는 리모콘 수신회로(1), 이 리모콘 수신회로(1)의 출력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Q1), 이 트랜지스터(Q1)에 의해 구동제어되어 그 접점을 통해 브릿지 정류회로(B2)로 부터의 주전원을 플라이백 트랜스(T2)에 인가시키는 릴레이(RY), 그리고 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2차측 유기전압이 정류, 평활된 상태에서 그 프로그래밍 전압 입력단자(PV)로 공급되는 메모리 집적회로(1)로 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RY)코일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된 분압저항(R1)(R2), 이들 분압저항(R1)(R2)의 접속점에 그 베이스가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1)의 프로그래밍전압 입력단자(PV)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1)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D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텔레비전의 오동작 방지회로.
KR2019860006974U 1986-05-20 1986-05-20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10004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974U KR910004796Y1 (ko) 1986-05-20 1986-05-20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974U KR910004796Y1 (ko) 1986-05-20 1986-05-20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300U KR870019300U (ko) 1987-12-28
KR910004796Y1 true KR910004796Y1 (ko) 1991-07-04

Family

ID=1925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974U KR910004796Y1 (ko) 1986-05-20 1986-05-20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7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300U (ko) 198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3556B2 (ja) 電子機器の回路が保護可能な電源供給装置
US6023178A (en) Pulse width control IC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unit
NZ206434A (en) Shutdown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EP0151856B1 (en) Power on-off control circuit
JP2993210B2 (ja) 電源回路の保護装置
US4788618A (en) High voltage protecting circuit
KR910004796Y1 (ko)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US6462972B2 (en) Power source apparatus for providing a power source in a standby mode and a pulse generating apparatus
US6151224A (en) Power supply with reduced power comsumption in standby mode
KR910007428Y1 (ko) 다단 바이어스 공급회로
KR100198535B1 (ko) 전자기기의 자동전압 전환장치
JP2712369B2 (ja) 直流電源装置
KR950008747Y1 (ko)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KR910005426Y1 (ko) 페일-세이프 회로 동작시 주전원 차단회로
KR0114761Y1 (ko) 정전판단회로버
KR900010911Y1 (ko) 리모콘(remocon) 대기 전원회로
JPH0628855Y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源供給回路
KR950000817Y1 (ko) 페일세이프 동작시 파우어 키에 의한 페일 세이프 해제회로
KR920000697Y1 (ko)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KR960003737Y1 (ko) 전원제어회로
KR950006855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탠드바이 전원 공급회로
KR900002159Y1 (ko) 초기 전원인가시 전자레인지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70001897Y1 (ko) 220v 전원 공급회로
KR910008723Y1 (ko) 스탠바이 전원을 이용한 전원 제어회로
KR900005310Y1 (ko) 원격조정 텔레비젼의 주전원 단속용 스위칭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