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97Y1 -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97Y1
KR920000697Y1 KR2019880020279U KR880020279U KR920000697Y1 KR 920000697 Y1 KR920000697 Y1 KR 920000697Y1 KR 2019880020279 U KR2019880020279 U KR 2019880020279U KR 880020279 U KR880020279 U KR 880020279U KR 920000697 Y1 KR920000697 Y1 KR 920000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diode
power
rectified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895U (ko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697Y1/ko
Publication of KR900012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류회로 Io : 입력단자
D2-D5 : 다이오드 20 : 메인전원 공급부
RY : 릴레이 R1-R3 : 저항
30 : 전압 안정화회로 40 : 마이콤
ST B+: 스텐바이 전원 50 : 수평 드라이브단
C1-C3 : 콘덴서 O1, O2 : 출력단자
ZD : 제너다이오드 SMPS : 스위칭 모드파워 서플라이
본 고안은 리모콘형 텔레비젼의 마이콤 전원 공급회로에 있어서, 스텐바이 (Stand by)모드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프리볼트(free Volt)용 초피트랜스에 의해 공급되는 마이콤의 동작 전원을 주전원 공급시에는 플라이백 트랜스에서 인출된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프트 터치 업/다운(UP/DOWN)방식의 리모콘 텔레비젼에 있어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프리볼트용 초퍼트랜스에 의해 유기된 전원을 정류시킨 스텐바이 전원을 계속 마이콤의 구동전원으로 인가시켜줌으로써 주전원 공급시에도 마이콤에는 스텐바이 전원이 계속 초퍼트랜스에 인가되어 초퍼트랜스의 사용범위를 증가시킬수 없고 또한 전원이 안정되게 공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플라이백 트랜스의 2차측에서 유기되는 전원을 사용할 경우보다 포퍼트랜스에서 유기된 스텐바이 전원을 마이콤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원을 좀더 안정화 시킬수 없는 것이다.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메인전원을 인가시키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프리볼트용 초퍼트랜스로부터 유기된 이차측 전원을 평활시킨 스텐바이 전원을 초기상태의 마이콤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고 플라이백 트랜스에 주전원이 수단을 구비하여 된것이다.
여기에서 스위칭 수단은 다이오드(D3)및 콘덴서(C3)에서 정류 평활된 스텐바이 전원의 다이오드(D4)의 애노드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스텐바이 전원보다 높은 전압으로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유기된 전원이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인가되게 연결하며 상기 다이오드(D2)(D4)의 캐소드 출력이 전압 안정화 회로(30)와 수평 드라이브단(50)에 인가되게 연결 구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메인 전원 공급부(20)는 마이콤(40)에서 키매트릭스에 의한 ‘파워 온’신호가 출력되면 입력단자(Io)를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킴으로써 릴레이(RY)가 구동되어 스위칭 모우드 파워 서플라이(SMPS)의 메인 전원을 후단의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일차측에 인가시키게 구성되고 노드점(A)에 전원이 인가되면 수평 드라이브단(50)에서 출력되는 15750 HZ의 구형파 펄스가 출력단자 (o2)후단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를 구동시킴으로써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이차측에 전원을 유가시켜주며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이차측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출력전원(B+)은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수평 드라이브단 (50)의 입력단과 전압 안정화 회로(30)와 다이오드(D4)의 접속점에 인가되게 구성된다.
이때 다이오드(D3)와 콘덴서(C3)에 의해 정류 평활되어 출력되는 스텐바이 전원은 다이오드(D2)를 통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보다 낮게 설정해 주며 수평 드라이 브단(50)의 입력단에는 상기 두 전압 보다 낮은 정전압 유지용 제너 다이오드를 설치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마이콤(40)은 스텐바이 상태에서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에서 정류 평활된 스텐바이 전원이 전압 안정화 회로(30)를 통하여 인가되고 메인 전원이 투입되어 정상적인 구동를 시작한후에는 다이오드(D3)와 콘덴서(C3)를 통하여 인가되는 스텐바이전원을 스위칭 다이오드(D4)로 차단시켜주고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인출된 전원(B+)이 수평 드라이브단(50)에 입력됨과 동시에 전압 안정화회로(30)를 통하여 마이콤(40)에 인가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러그(P)를 통하여 입력된 교류입력은 브릿지 다이오드(BD)와 콘덴서(C1)로 구성된 정류회로(10)에서 정류 평활된 후 스위칭 모드 파워서플라이(SMPS)의 프리볼트용 초퍼트랜스(T)에 입력되어 이차측에 전원을 유기 시킴으로써 다이오드(D3)와 콘덴서(C3)을 통하여 정류 평활된후 스텐바이 전원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전압 안정화 회로(30)는 스위칭 다이오드(D4)를 통하여 바이어스 저항 (R1)에 인가되는 노드점(B)의 스텐바이 전원을 제너 다이오드(ZD)의 정격 전압으로 유지 시켜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줌으로써 바이어스 저항(R1)에 인가된 전원을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서 에미터측을 통하여 마이콤(40)에 초기 스텐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즉 프리볼트용 초퍼 트랜스(T)의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을 다이오드(D3)와 콘덴서(C3)로 정류시켜 스위칭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전압 안정화 회로(30)에 인가되게 함으로써 마이콤(40)에 공급되는 초기 스텐바이 전원을 프리 볼트용 초퍼트랜스(T)의 2차측에서 인출되게 한 것이다.
또한 다이오드(D3)와 콘덴서(C3)에서 정류된 스텐바이 전원은 다이오드(D4)를 통한후 수평 드라이브단(50)에 인가되어 수평 드라이브단(50)에서 15750HZ의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출력시켜 도시되지 아니한 플라이백 트랜스 구동용 수평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다이오드(D3)와 콘덴서(C3)에 의해 출력되는 스텐바이전원을 12V라 설정하면 수평 드라이브단(50)의 입력단에는 8V일정전압 유지용 제너 다이오드를 내장시켜 다이오드(D4)를 통하여 12V의 스텐바이 전원이 인가됨녀 수평 드라이브단(50)의 8V제너 다이오드가 동작하게 되므로써 출력단자(O2)에 연결된 수평 트랜지스터로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에는 메인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스탠바이 상태이므로 플라이백 트랜스를 구동시키는 수평 트랜지스터가 구동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메인 전원 공급부(20)는 키매트릭스의 파워 키 눌림을 인식하여 마이콤 (40)에서 출력시키는 하이레벨의 ‘파워 온’신호가 입력단자(Io)를 통하여 인가되면 저항(R2)(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킴으로써 스텐바이 전원(ST B+)이 인가되는 릴레이(RY)가 구동되어 릴레이 접점이 접속되므로써 스위칭 모드파워 서플라이(SMPS)에서 출력된 메인 전원을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공급시키게 된다.
즉 마이콤(40)의 ‘파워 온’신호로 트랜지스터(Q2)가 릴레이(RY)를 구동시켜 메인전원을 공급시킴으로써 이러한 메인전원중 일부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일차측에 인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이백 트랜스(FBT)는 수평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어지게 되므로(즉 메인전원과 수평 드라이브 펄스가 인가되어야 만 플라이백 트랜스가 구동되어짐) 플라이백트랜스(FBT)의 2차측에서 유기되는 전원(B+: 16.5V)을 다이오드 (D2)를 통하여 입력시키게 된다.
즉 메인전원이 투입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가 구동되면 플라이백 트랜스 (FBT)의 2차측 유기 전압중 16.5V인 전원(B+)을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수평드라이브단(50)과 전압 안정화 회로(30)에 인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전원이 투입되어 노드점(A)에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유기된 16.5V의 전원(B+)이 공급되면 노드점(B)에 유기되는 12V의 스텐바이 전원 보다 크게 되므로 다이오드(D4)가 차단되어 노드점(B)의 12V 스텐바이 전원 공급은 차단되어 버린다.
그리고 노드점(A)에 인가되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유기된 16.5V인 전원(B+)은 8V의 정전압 유지용 제너다이오드가 내장된 수평 드라이브단(50)에 인가되어 수평드라이브단(50)을 정상적으로 구동되게 함과 동시에 전압 안정화 회로(30)의 제너다이오드(ZD)와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마이콤(40)에 동작 전원을 인가시켜 주는 것이다.
즉 마이콤(40)이 ‘파워 온’인 경우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유기된 전원 (B+)이 수평드라이브단(50)의 입력단에 인가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4)에 인가되어 스위칭 다이오드(D4)를 차단시키므로 프리볼트용 초퍼트랜스(T)에서 유기된 스텐바이 전원을 차단시키는 동시에 전압 안정화 회로(30)에 인가시켜 마이콤(40)에는 안정화된 동작전원을 계속적으로 인가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마이콤이 ‘파워 온’되여 정상적인 구동을 한 후에는 스위칭 모드 서플라이(SMPS)의 프리볼트용 초퍼트랜스(T)에서 공급되는 마이콤의 초기 스텐바이 전원을 차단하고 플라이백 트랜스에서 인출된 전원을 이용하여 마이콤에 전원을 공급하게 함으로써 프리볼트용 초퍼트랜스 사용범위를 확대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플라이백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므로 마이콤 및 수평 드라이브단의 동작을 안정화 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정류회로(10)에서 정류시킨 전원이 인가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SM PS)의 출력이 메인전원 공급부(20)를 통하여 메인전원으로 공급되고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의 초퍼 트랜스(T)에서 유기된 전원을 다이오드 (D3)및 콘덴서(C3)로 정류 평활시켜 수평 드라이브단(50)과 마이콤(40)에 인가되게 구성된 리모콘형 텔레비젼의 마이콤 전원 공급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D3) 및 콘덴서 (C3)에서 정류 평활된 스텐바이 전원을 제너다이오드(ZD)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에서 안정화시켜 마이콤(40)에 인가시키는 전압 안정화 회로(30)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에서 정류 평활된 스텐바이 전원과 플라이백 트랜스 (FBT)에서 유기된 전원을 선택적으로 전압안정화 회로(30)와 수평드라이브단 (50)에 인가시키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에서 정류 평활된 스텐바이 전원의 다이오드(D4)의 애노드에 연결하고 상기 스텐바이 전원보다 높은 전압으로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유기된 전원이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인가되게 연결하며 상기 다이오드(D2)(D4)의 캐소드 출력이 전압 안정화 회로(30)와 수평 드라이브단(50)에 인가되게 연결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KR2019880020279U 1988-12-06 1988-12-06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KR920000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279U KR920000697Y1 (ko) 1988-12-06 1988-12-06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279U KR920000697Y1 (ko) 1988-12-06 1988-12-06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895U KR900012895U (ko) 1990-07-04
KR920000697Y1 true KR920000697Y1 (ko) 1992-01-20

Family

ID=1928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279U KR920000697Y1 (ko) 1988-12-06 1988-12-06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6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895U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453A (en) Power supply with switched starting circuit
US20040135569A1 (en) Power controlling system
KR920000697Y1 (ko)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KR960010482B1 (ko) 비디오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US6236577B1 (en) Power circuit with stable main and auxiliary power outputs
KR0177940B1 (ko) 모니터의 전원 절전회로
KR870006790A (ko) 비디오 표시 장치용 전원장치
KR910006692Y1 (ko) 메인 전원을 이용한 대기 전원 공급회로
KR100466329B1 (ko) 디스플레이의 절전제어회로
KR0114761Y1 (ko) 정전판단회로버
KR970001361B1 (ko) 대기전원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절전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30008139Y1 (ko)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KR930001700Y1 (ko) 텔레비젼 수평 발진기의 초기 전원 공급 회로
KR900001905Y1 (ko) 리모콘 사용기기의 전원릴레이 구동회로
KR910008723Y1 (ko) 스탠바이 전원을 이용한 전원 제어회로
KR100845839B1 (ko) 모니터의 히터전압 공급회로
KR910005428Y1 (ko) 자동차용 tv의 밧데리 절전 회로
KR910007428Y1 (ko) 다단 바이어스 공급회로
JPH0260466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910004796Y1 (ko) 리모콘 테레비젼의 오동작 방지회로
KR200146243Y1 (ko) 복합제품의 대기 소비전력 절감 회로
KR200164489Y1 (ko) 모니터의 초기 전원 전압 안정화 회로
KR200148433Y1 (ko) 티브이 표시모드 변경에 따른 전원 제어회로
KR910008722Y1 (ko) 쵸퍼트랜스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원 공급회로
KR960008190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