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139Y1 -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39Y1
KR930008139Y1 KR2019910022842U KR910022842U KR930008139Y1 KR 930008139 Y1 KR930008139 Y1 KR 930008139Y1 KR 2019910022842 U KR2019910022842 U KR 2019910022842U KR 910022842 U KR910022842 U KR 910022842U KR 930008139 Y1 KR930008139 Y1 KR 930008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erminal
microcomputer
switch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438U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2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139Y1/ko
Publication of KR930016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제 1 도는 종래 전원공급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공급부 2 : 마이콤
3 : 시계 4 : 스위칭부
5 : 백업회로 6 : 정류/스위칭부
U1, U2: 레귤레이터집소자 C1: 전해콘덴서
Batt1, Batt2: 배터리 T1: 전원트랜스
BD : 브릿지다이오드
본 고안은 가전제품에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전류 소모를 방지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제품에서 전원을 온시킬때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스위칭회로를 이용하여 처리하며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량을 최대로 감소시키면서 기능을 최대로 활용하도록 하는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전원공급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류 전압(AC)이 인가된 전원트랜스(T)에서 감압하고 브릿지다이오드(BD1)에서 정류하여 레귤레이터집적소자(U1)를 통해 정전압을 출력하고 스위칭(U1)를 통해 정전압(V1)으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와, 이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이 출력하지 않을때 배터리(Batt2)의 전압을 레귤레이터집적소자(U2)를 통해 정전압(V2)을 변환시키는 백업회로(5)와, 시계구동단자(A)에 청전압을 인가하면 시계(3)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이 스탠바이단자(B)에 인가 되면 스탠바이 상태가 되어 스위칭(S1)온시 스위칭신호출력단자(E)로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과 이마이콤(2)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구동전압(B+)을 제어하는 스위칭부(4)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스위칭부(4)는 마이콤(5)의 스위칭신호출력단자(E)를 저항(R1)을 통해 에미터가 집적된 트랜지스터(Q3)에 인가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에미터가 전원공급부(1)의 출력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를 접촉하고 그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가 출력으로 하여 구성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D1, D2는 역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이고, S3는 소켓을 콘센트에 연결할때 절환되어 정류된 전압을 공급하고 소켓을 분리하면 절환되어 스위치(S2)에 연결되는 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회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압(AC)이 전원트랜스(T)에서 강압되고 브릿지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되어 레귤레이터집적소자(U1)를 통해 출력된 정전압(V1)이 시계구동단자(A) 및 스탠바이단자(B)에 인가된 마이콤(2)은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이때, 마이콤(2)의 단자(C), (D)에 연결된 스위치(S1)를 누르면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 출력단자(E)에서 고전위의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어 저항(R1)을 통해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키고, 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도 턴온되어 전원공급부(1)의 브릿지 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된 구동전압(B+)이 트랜지스터(Q4)를 통해 메인회로(도면 미표시)에 인가되어 메인회로는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한편, 스위치(S3)를 직류측으로 절환되어 배터리(Batt1)를 전원으로 사용시 스위치(S2)를 누르면 레귤레이터 집적소자(U1)에 직류전원이 인가되어 출력한 정전압(V1)이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에 인가되어 마이콤(2)이 스탠바이 상태가 되며 스위치(S1)을 누르면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출력단자(E)에서 고전위의 스위칭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칭부(4)의 트랜지스터(Q3), (Q4)가 온되어 직류전원이 구동전압(B+)으로 메인회로(도면 미표시)에 인가된다.
이때, 스위치(S1)를 다시 누르면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 출력단자(E)가 저전위가 되고 스위칭부(4)의 트랜지스터(Q3), (Q4)는 턴오프되어 메인회로(도면 미표시)에 직류전원이 인가되지 않지만 배터리(Batt1)의 전압을 레귤레이터집적소자(U1)를 통해 출력된 정전압(V1)이 시계구동단자(A) 및 스탠바이단자(B)에 인가된 마이콤(2)은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터리(Batt1)는 계속 전류가 소모된다.
한편,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에만 전원이 공급되면 전류는 100㎂ 하이의 적은량만을 소모함으로 배터리(Batt1)사용시에도 오래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회로는 배터리(Batt1) 사용시 스위치(S2)를 온시켜야 레귤레이터 집적소자(U1)에서 정전압(V1)으로 변환되어 마이콤(U1)을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시키므로 배터리(Batt1)구동용인 스위치(S2)를 추가해야 하고, 사용자가 오디오를 청취하다가 파워 스위치(S1)만 오프시키면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 및 스탠바이단자(B)에 배터리(Batt1)에서 전원이 계속 공급되므로 전류 소모가 많아 배터리(Batt1)를 빨리 소모시키며, 스위치(S2)오프시 백업회로(5)에 배터리(Batt2)가 없으면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시계(3)가 동작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원을 인가하고 파워스위치 온시 마이콤을 순간적으로 스탠바이 상태로 하고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오디오 동작시 파워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칭부를 이용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 전류 소모를 방하는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진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류전압(AC)이 인가되면 전원트랜스(T)에서 감압하고 브릿지다이오드(BD1)에서 정류하고 레귤레이터 집적소자(U1)에 인가하고 스위치(S3)가 직류측으로 전환하면 배터리(Batt1)전압을 레귤레이터 집적소자(U1)에 인가하여 상기 레귤레이터 집적소자(U1)에서 정전압(V1)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와, 시계(3)를 구동하고 스위치(S11)를 누르면 연동된 스위치(S12)에 의해 스탠바이 상태가 됨과 동시에 고전위의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과,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차단시 상기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에 정전압(V2)을 공급하는 백업회로(5)와, 상기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 출력단자(E)에서 출력한 스위칭신호에 따라 구동전압(B+)을 제어하는 스위칭부(4)와, 스위치(S11)을 누르면 연동된 스위치(S12)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을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에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4)의 구동전압(B+)이 인가하면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을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에 출력하며 스위치(S11)오프시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이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에 출력하는 것을 차단하는 정류/스위칭부(6)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스위칭부(6)는 구동전압(B+)이 인가된 다이오드(D3)에 전해콘덴서(C1)와 저항(R2)을 연결하고 저항(R2)의 타측단자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1)콜렉터를 트랜지스터(Q2)베이스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는 전원공급부(1)의 출력단자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에 연결하여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전해 콘덴서(C1)의 단자(-)는 접지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S11)는 누르면 온되고 누르지 않으면 오프되며 스위치(S11)을 누르면 동시에 스위치(S12)도 동작하는 연동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1)의 레귤레이터 집적소자(U1)에 전원이 인가되면 정전압(V1)이 출력하여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에 인가되므로 시계(3)만 동작한다.
이때, 다이오드(D1)을 통해 인가된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이 백업회로(+)의 정전압(V2)보다 전위차가 높아 다이오드(D2)를 오프시켜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이 마이콤(2)의 시계구도단자(A)에 인가한다.
따라서, 파워스위치(S11)를 누르면 스위치(S12)도 동시에 동작하여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에 정전압(V1)이 인가하여 마이콤(2)을 스탠바이상태로 함과 동시에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 출력단자(E)로 고전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저항(R1)을 통해 고전위가 인가된 트랜지스터(Q3)는 턴온하여 저전위가 인가된 트랜지스터(Q4)도 턴온하므로 전원공급부(1)의 구동전압(B+)이 상기 트랜지스터(Q4)를 통해 메인회로(도면 미표시)와 정류/스위칭부(6)에 출력한다.
또한, 구동전압(B+)은 다이오드(D3)를 통해 저항(R2)과 전해콘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해 전해콘덴서(C1)에 충전하고 충전전위가 충만하면 다이오드(D3)를 오프시키고 저항(R2)을 통해 방전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저전위가 인가된 트랜지스터(Q2)는 턴온하여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을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에 인가한다.
이때, 파워스위치(S11)를 다시 누르면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 출력단자(E)에서 저전위가 스위칭부(4)에 인가하고 트랜지스터(Q3), (Q4)는 턴오프하여 구동전압(B+)을 차단하고 정류/스위칭부(6)의 전해콘덴서(C1)는 충전전압을 모두 방전하여 트랜지스터(Q1), (Q2)를 턴오프시키므로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은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에만 공급되므로 시계(3)만 동작한다.
또한, 배터리(Batt1)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동작중에 스위치(S11)를 누르면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 출력단자(E)에서 출력된 저전위인 스위칭 신호에 의해 스위칭부(4)의 트랜지스터(Q3), (Q4)가 턴오프되므로 전원공급부(1)의 구동전압(B1 +)이 차단된 정류/스위칭부(6)는 전해콘덴서(C1)의 충전전압을 저항(R2)을 통해 방전하여 저전위가 인가된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하므로 트랜지스터(Q2)도 턴오프하고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을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에만 공급하여 시계(3)만이 동작하므로 배터리(Batt1)는 10㎛이하의 전류를 소모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고안은 배터리를 사용하여 회로가 동작중에 파워 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칭부에서 구동전압이 출력하지 않아 정류/스위칭부가 동작하지 않고 정전압이 마이콤의 시계구동 단자에만 공급되어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방지하고 배터리 사용시 별도의 직류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파워스위치만 누르면 마이콤은 스탠바이상태로 됨과 동시에 고전위를 출력하여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교류전압(AC) 혹은 직류전압(Batt1)을 인가받아 정전압(V1)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와, 이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이 시계구동단자(A)에 인가하면 시계(3)를 구동하고 스탠바이단자(B)에 인가하면 스탠바이 상태가 되어 단자(C), (D)에 연결된 스위치(S11)을 누르면 스위칭신호 출력단자(E)로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과,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이 공급되지 않을때 마이콤(2)의 시계구동단자(A)에 정전압(V2)을 공급하는 백업회로(5)와, 상기 마이콤(2)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구동전압(B+)을 제어하는 스위칭부(4)와, 상기 마이콤(2)에 연결된 스위칭(S11)이 눌리면 연동된 스위치(S11)로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4)의 구동전압(B+)이 인가하면 스위칭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정전압(V1)을 상기 마이콤(2)의 스탠바이단자(B)로 출력하는 정류/스위칭부(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정류/스위치부(6)는 스위칭부(4)의 구동전압(B+)을 다이오드(D3)를 통해 저항(R2) 및 콘덴서(C1)에 인가하고 상기 저항(R2)의 타측단자가 인가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Q2)에 인가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콜렉터에 병렬연결된 스위치(S12)를 마이콤(2)과 전원공급부(1)사이에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장치.
KR2019910022842U 1991-12-19 1991-12-19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KR930008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842U KR930008139Y1 (ko) 1991-12-19 1991-12-19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842U KR930008139Y1 (ko) 1991-12-19 1991-12-19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438U KR930016438U (ko) 1993-07-29
KR930008139Y1 true KR930008139Y1 (ko) 1993-12-08

Family

ID=1932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842U KR930008139Y1 (ko) 1991-12-19 1991-12-19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1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438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7100480A (ru) Схема подач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видеодисплея
US7875998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of display device
KR930008139Y1 (ko) 배터리 사용시 전류 소모 방지회로
KR20010045014A (ko) 월드 와이드 전원장치
CN1192607C (zh) 具有备用电源的电子产品
JP2004274897A (ja) 省待機電力電源装置
KR910006692Y1 (ko) 메인 전원을 이용한 대기 전원 공급회로
JPH0717237Y2 (ja) 電源回路
KR920000697Y1 (ko) 마이콤의 전원 공급회로
JPH051962Y2 (ko)
KR880000410Y1 (ko) 리모콘 텔레비젼의 전원회로
KR900005310Y1 (ko) 원격조정 텔레비젼의 주전원 단속용 스위칭 회로
KR910008234Y1 (ko) 밧데리의 분할 충전회로
KR910003266Y1 (ko) Vtr의 정전시 테이프 추출 회로
KR930006136Y1 (ko) 원격 조정기를 이용한 메인 스위치 단속회로
KR900007127Y1 (ko) 순간 정전시 전원 자동 온 회로
KR910005425Y1 (ko) 저전력 소비형 초기 스타트 회로
JP2533115Y2 (ja) 電源装置
KR200307548Y1 (ko) 이동성 기기용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157748Y1 (ko) 정전 보상회로
KR870002208Y1 (ko) 원격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회로
KR0116535Y1 (ko) Ac/dc 전원의 자동절환 공급회로
KR0120084Y1 (ko) 스텐바이시 소비전력 감소회로
JPS644288Y2 (ko)
JP2000013998A (ja) リモコン待機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