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56Y1 -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56Y1
KR890002556Y1 KR2019860010807U KR860010807U KR890002556Y1 KR 890002556 Y1 KR890002556 Y1 KR 890002556Y1 KR 2019860010807 U KR2019860010807 U KR 2019860010807U KR 860010807 U KR860010807 U KR 860010807U KR 890002556 Y1 KR890002556 Y1 KR 890002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circuit
resis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508U (ko
Inventor
김철진
Original Assignee
동양정밀공업 주식회사
권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정밀공업 주식회사, 권혁조 filed Critical 동양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0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556Y1/ko
Publication of KR880003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wherein the output is created by adding a regulated voltage to or subtracting it from an unregulated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5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control circuit
    • H02M7/155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control circuit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을 포함한 회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세부회로도.
본 고안은 AC전원으로부터 컴퓨터 및 정밀전자기기 등에 안정된 DC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원 공급장치는 DC출력단에 연결된 부하가 변동되면 출력 전압도 변화하게 되므로 컴퓨터와 같은 정밀전압을 요구하는 제품에는 정격의 DC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써,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을 출력단 부하의 변동에 관계없이 정격전압을 출력하도록 하기 위하여 DC 출력단에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를 연결하여 이와 연결된 구동 제어부의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점 변동으로 포토커플러의 도통상태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주사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DC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출력단자(Q1)(Q2)와 접지단자(RTN) 사이에 다이리스터(SCR1), 제너다이오드(D8), 저항(R19) 콘덴서(C16)로 구성된 과전압 보호회로부(1)를 연결하고, 출력단자(Q1)(Q2) 사이에 저항(R14-R18, R20), 가변저항(R21), 콘덴서(C17)(C18)와 포토커플러(RC1) 및 기준전압설정용 IC(IC2)로 구성된 출력전압 감지회로부(2)를 연결하며, 이 회로(2)에 저항(R6-R11), 콘덴서(C5-C8), 다이오드(D2)(D3)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 구동 제어회로부(3)를 연결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을 포함한 회로 구성도로서 AC전원 입력단자로 입력된 상용 교류전압(115V/230V)이 정류회로부(5)와 트랜스포머(T1) 및 평활회로부(6)를 거쳐 안정된 정격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단자(0)에 연결된 부하로 공급된다.
이때 출력단자(0)에 연결된 부하의 변동원인으로 출력단자(0)에 정격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걸리면 과전압 보호회로부(1)에서 과전압을 흡수하여 안정된 출력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출력단자(0)의 출력전압은 출력전압 감지회로부(2)에 인가되어 출력전압의 레벨에 따라 구동 제어회로부(3)를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Q3)를 온/오프시켜 트랜스포머(T1)의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제어하므로써 출력단자(0)에 연결된 부하로 정격전압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세부회로도로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입력단자(I)에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브릿지 정류회로(C1BD)와 콘덴서(C1)(C2)로 구성된 배전압 정류회로부(5)에서 정류된 후 저항(R3)과 트랜스포머(T1)의 1차측 코일단자(a)(b)를 통해 흐르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Q1)가 턴-온(Turn ON)되어 전류가 에미터측을 통해 저항(R6)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랜스포머(T1)와 1차측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2차측에도 전압이 유기되어 이 유기된 전압이 트랜스포머(T1)의 단자(e-1)를 통해 콘덴서(C9)(C10)(C11)(C12) 및 코일(L1)(L2)로 구성된 각각의 평활회로(6a)(6b)를 거쳐 평활된 후 출력단자(Q1)(Q2)로 각기 다른 정격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출력단자(Q1)(Q2)로 흐르는 출력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게 될 경우 제너다이오드(D8)가 도통되어 다이리스터(SCR1)가 온 되므로 접지단자(RTN)를 통해 과전압이 흡수된다. 또한 출력단자(O1)(O2)에 연결된 저항(R20)(R15)은 피이드 백(Feed Back)용 저항으로서 저항(R20)(R15)을 통해 입력된 출력전압이 가변저항(R21)에 의해 조정되어 기준전압 설정용 IC(IC2)에서 일정 레벨의 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또한 출력단자(O1)(O2)에서 출력된 전압은 저항(R14)을 거쳐 포토커플러(PC1)를 통해 기준전압 설정용 IC(IC2)의 기준전압보다 높게 인가된다.
따라서 포토커플러(PC1)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에 따라 도통상태가 비례적으로 변화하여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가해져서 트랜지스터(Q2)가 선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C교류전원 입력시 스위칭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축을 통해 저항(R6), 트랜스포머(T1)의 단자(c)(d), 콘덴서(C8) 및 저항(R9), 콘덴서(C5) 및 다이오드(D2)를 차례로 흐르는 전류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Q2)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흐르는 전류를 증감하도록 한다. 출력단자(O1)(O2)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정격전압보다 높을 경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 전류가 증가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류를 약하게 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Q1)가 턴 오프시키므로써 트랜스포머(T1)의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된다. 따라서 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코일에 연결된 다이오드(D4-D7)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져서 1차측의 전기에너지가 2차측으로 전달되며 이때 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전압은 권선비에 따라 결정된다.

Claims (1)

  1. 본문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단자(01)(O2)와 접지단자(RTN)사이에 다이리스터(SCR1), 제너다이오드(D8), 저항(R19) 콘덴서(C16)로 구성된 과전압 보호회로부(1)를 연결하고, 출력단자(O1)(O2) 사이에 저항(R14-R18), 가변저항(R21), 콘덴서(C17)(C18)와 포토커플러(PC1) 및 기준전압 설정용 IC(IC2)로 구성된 출력전압 감지회로부(2)를 연결하며, 이 회로(2)에 저항(R6-R11), 콘덴서(C5-C8), 다이오드(D3)(D3) 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 구동 제어부(3)를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KR2019860010807U 1986-07-24 1986-07-24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KR890002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807U KR890002556Y1 (ko) 1986-07-24 1986-07-24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807U KR890002556Y1 (ko) 1986-07-24 1986-07-24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08U KR880003508U (ko) 1988-04-13
KR890002556Y1 true KR890002556Y1 (ko) 1989-04-29

Family

ID=1925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807U KR890002556Y1 (ko) 1986-07-24 1986-07-24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5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090B1 (ko) * 1998-01-23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08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9173A (en) Switching regulator power supply
US4246634A (en) Start-up circuit for switch mode power supply
KR930009844B1 (ko)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장치
KR920008633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대기 전원장치
KR19990074214A (ko) 저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960006229A (ko) 출력전압제어 및 과전류 보호 기능을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 회로
US4258309A (en) Switching type power supply circuit
US5612860A (en) Start-up and running circuit for resonant transition power converters
US4277824A (en) Start-up circuit
KR890002556Y1 (ko) 스위칭 모우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전압안정화회로
JPH01227658A (ja) 電源供給回路
EP0115896A1 (en) Optical indicator device
JP3244424B2 (ja) 電源回路
EP0247407A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KR100520090B1 (ko)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JP3499057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回路
JPH0911713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970005103Y1 (ko) 스위칭 전원의 과전류 보상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930001843Y1 (ko) 비데오폰의 정전압 안정회로
KR940001193Y1 (ko) 정전압기의 발열 감쇄회로
JP2736059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343646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S6349107Y2 (ko)
JPH0921533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