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60Y1 -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60Y1
KR970001860Y1 KR2019900013485U KR900013485U KR970001860Y1 KR 970001860 Y1 KR970001860 Y1 KR 970001860Y1 KR 2019900013485 U KR2019900013485 U KR 2019900013485U KR 900013485 U KR900013485 U KR 900013485U KR 970001860 Y1 KR970001860 Y1 KR 970001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zener diode
diode
terminal
over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373U (ko
Inventor
홍보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3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860Y1/ko
Publication of KR920005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3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both voltage and current;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 and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과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스위칭 제어부 20 : 전압전달부
30 : 검출부 40 : 제 2스위칭 제어부
50 : 제어부 R1 : 저항
C1, C2, C3 : 콘덴서 SIC : 스위치집적소자
T1, T2 : 트랜스 ZD1, ZD2 : 제너다이오드
Q1 : 포토 트랜지스터 IDI : IR다이오드
M1 : 모스 트랜지스터 D1, D2 : 다이오드
이 고안은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에 인가되는 과전류, 과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과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장치는 과전압, 과전류가 인가되면, 오동작 또는 고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러한 과전압, 과전류를 검출하여,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과전압, 과전류 검출 및 제어회로는 과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과전압 검출회로와,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과전류 검출회로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과, 그 구성이 복잡하여 소형경량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과전압 및 과전류를 동시에 검출하여 출력전압을 제어하게 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경량화할 수 있는 과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후단에 일정전위의 스위칭신호를 공급하는 제1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입력전압의 레벨을 변환시켜 부하에 인가하는 한편 부하에 인가되는 일정 레벨 이상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전달부와, 상기 전압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전달부에 인가되는 일정레벨이상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전압전달부 및 검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전달부 및 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 제2스위칭 제어부 및 검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제2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압전달부 및 검출부에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로 구성되는 과전류 및 과전압 제어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과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도로서, 제1스위칭 제어부(10), 전압전달부(20), 검출부(30), 제2스위칭제어부(40) 및 제어부(50)로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전압(VIN)을 공급받아 후단에 일정전위의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는 제1스위칭 제어부(10)는 시정수에 따라 입력전압을 충방전하는 저항(R1)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입력전압(VIN)의 레벨을 변환시켜 부하에 인가하는 한편 부하에 인가되는 일정레벨 이상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전달부(20)는 제1트랜스(T1)의 일자측 코일(P1)에 인가되는 전압이, 2차측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일정전압이 상기 2차측 코일(S1)에 유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압전달부(20)는 상기 제1트랜스(T1)의 2차측 코일(1)에 정류용 다이오드(D1) 및 평활용 콘덴서(C1)를 연결하고, 상기 평활용 콘덴서(C1)에 제너다이오드(ZD1)를 연결하여, 상기 제너다이오드(ZD1)는 상기 제1트랜스(T1)의 출력전압이 일정레벨이상이 될 때 구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압전달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전달부(20)에 인가되는 일정레벨 이상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30)는, 상기 제1트랜스(T1)의 일차측 코일(P1)에 제2트랜스(T2)의 일차측 코일(P2)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제2트랜스(T2)의 1차측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일정전압을 유기하는 2차측 코일(S1)에 정류용 다이오드(D2) 및 평활용 콘덴서(C2)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콘덴서(C2)에 전압검출용 제너다이오드(ZD2)를 연결하여, 상기 제너다이오드(ZD2)는 상기 콘덴서(C2)에서 일정전압 이상이 출력될 때 구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압전달부(20) 및 검출부(30)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전달부(20) 및 검출부(30)의 출력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40)는, 상기 전압전달부(20)의 제너다이오드(ZD1)를 IR다이오드(ID1)에 연결하고. 상기 검출부(30)의 제너다이오드(ZD2)를 포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연결하여,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제너다이오드(ZD2)가 구동하거나, 상기 IR다이오드(ID1)가 구동시 구동하도록 하는 포토커플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상기 전압공급부(10)로 부터 단자(A)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레벨 이상이 될 때 상기 제너다이오드를 구동시켜, 단자(b)에 하이레벨을 출력하며, 단자(c)에 연결되는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Q1)가 구동시 셧다운되어 상기 단자(b)에 로우레벨을 출력하는 스위치 집적회로(SIC)의 단자를 스위치용 모스 트랜지스터(M1)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1)를 상기 검출부(30)의 제2트랜스(T2)에 연결하여,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1)가 구동시, 상기 제1, 제2 트랜스(T1),(T2)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 고안에 따른 과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는,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10)의 저항(R1) 및 콘덴서(C1)에 인가되면, 시정수에 의하여 상기 콘덴서(C1)의 전위(EC1)는
로 증가한다.
이때, 상기 콘덴서(C1)의 전위(EC1)는 상기 제어부(50)에 구성되는 스위칭 집적회로(SIC)의 단자 (a)에 인가되므로, 상기 스위칭 집적회로(SIC)는 내부에 이루어지는 제너다이오드에 의하여 상기 콘덴서(C1)의 전위(EC1)가 일정레벨 이상이 될 때, 단자(b)를 통하여 하이레벨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b)에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1)는 구동되므로, 상기 제1, 제2 트랜지스터(T1),(T2)의 일차측 코일(P1),(P2)은 상기 입력전압(VIN)의 일정전류(ID1)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랜스(T1)의 일차측 코일(P1)은 전류(ID1)가 흐르게 됨에 따라서. 1/2LI2의 에너지가 축적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랜스(T1)의 2차측 코일(S1)에 권선비에 따른 일정전압이 유기되는 한편, 정류용 다이오드(D1) 및 평활용 콘덴서(C1)에 의하여 정류 및 평활되어, 부하에 인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트랜스(T2)의 일차측 코일(P2) 역시 전류(ID)가 흐르게 되므로 상기 제2트랜스(T2)의 2차측 코일(S2)에도 권선비에 따른 일정전압이 유기되어 정류용 다이오드(D2) 및 평활용 콘덴서(C2)에 의하여, 정류 및 평활되어 상기 제너다이오드(ZD2)에 인가되나, 상기 제너다이오드(ZD2)는 상기 제2트랜스(T2)의 2차측 코일(S2)에 상기 제너다이오드(ZD2)의 항복 전압이상이 유기되지 않는 한 불톤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제1트랜스(T1)의 출력전압(Vo)을 인가받는 부하가 증가할 경우, 상기 제1, 제2트랜스(T1),(T2)의 일차측 권선(P1),(P2)에 흐르는 전류(ID)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트랜스(T2)의 이차측 권선(S2)에 유기되는 전압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트랜스(T2)이 이차측 권선(S2)에 유기되는 전압이 상기 제너다이오드(ZD2)의 항복 전압이상이 되면, 상기 제너다이오드(ZD2)는 도통하게 되어,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하이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포트 트랜지스터(Q1)가 구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Q1)와 단자(C)가 연결된 상기 스위칭 집적소자(SIC)는 셧다운 되어, 상기 단자(B)에 로우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1)는 오프되어, 상기 제1, 제2 트랜스(T1)(T2)의 일차측 권선(P1)(P2)에는 전류(ID)가 흐르지 못하게 되어, 상기 일차측 권선에 과도하게 흐르는 전류(ID)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트랜스(T1)의 2차측 권선(S1)에 과도한 전압이 유기되어진 경우에는, 상기한 경우와 동일하다. 즉 상기 콘덴서(C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트랜스(T1)의 출력전압(Vo)을 인가받는 제너다이오드(ZD1)는, 상기 출력전압(Vo)이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항복 전압 이상이 될 때 도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IR다이오드(ID1) 역시 도통하여, 상기 IR다이오드(ID1)는 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Q1)는 상기 IR다이오드(ID1)의 적외선을 흡수하여 구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제어 소자(SIC)는 셧다운되어 단자(b)에 로우레벨을 출력하여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1)는 오프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트랜스(T1)(T2)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어, 출력전압(Vo)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 고안은 제1트랜스(T1)의 출력전압(Vo)에 의하여, 과전압을 검출하여, 제1트랜스(T1)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을 제어하는 한편, 제2트랜스(T2)의 출력전압으로 과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제1트랜스(T1)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고안은 제1, 제2 트랜스 및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과전류 및 과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제2 트랜스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전압 및 전류공급을 할 수 있어 신뢰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입력전압(VIN)을 공급받아 후단에 일정전위의 스위칭 공급하는 제1스위칭 제어부(10)와, 상기 입력전압(VIN)의 레벨을 변환시켜 부하에 인가하는 한편, 부하에 인가되는 일정레벨 이상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전달부(20)와, 상기 전압전달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 전달부(20)에 인가되는 일정레벨 이상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30)와, 상기 전압전달부(20) 및 검출부(30)에 연결되나, 상기 전압전달부(20) 및 검출부(30)의 출력에 따라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칭 제어부(40)와,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10), 제2스위칭 제어부(40) 및 검출부(30)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50)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10)는, 입력전압(VIN)을 시정수에 따라 충방전하는 저항(R1)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과전압 보호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달부(20)는 입력전압(VIN)을 권선비에 따라 유기하는 제1트랜스(T1)와, 상기 제1트랜스(T1)에 연결되는 정류용 다이오드(D1)와,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D1)에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C1)와, 상기 평활용 콘덴서(C1)에 연결되어 과전압을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용 제너다이오드(ZD1)와, 로 구성된 과전압 보호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전압전달부(20)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유기하는 제2트랜스(T2)와, 상기 제2트랜스(T2)에 연결되는 정류용 다이오드(D2)와,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D2)에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C2)와, 상기 평활용 콘덴서(C2)에 연결되어, 과전압을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용 제너다이오드(ZD2)와, 로 구성된 과전압 보호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제어부(40)는, 상기 전압 전달부(20)의 제너다이오드(ZD1)에 연결되어 구동시 적외선을 발광하는 IR다이오드(ID1)와, 상기 검출부(30)의 제너다이오드(ZD2)에 연결되어,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출력전압 및 상기 IR다이오드(ID1)의 적외선에 따라 구동하는 포토 트랜지스터(Q1)와, 로 구성된 과전압 보호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스위칭 제어부(10)(40)에 단자 (a,b)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a)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항복 전압보다 클 때 단자(c)를 통해, 하이레벨 을 출력하고, 단자(c)에 연결된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가 구동시 단자(b)에 로우레벨을 출력하는 스위치 집적 회로(SIC)와, 상기 스위치 접적회로(SIC)의 단자(c) 및 검출부(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집적회로(SIC)의 단자 (c) 출력에 따라 구동하는 MOS트랜지스터(M1)와, 로 구성된 과전압 보호회로.
KR2019900013485U 1990-08-31 1990-08-31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KR970001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485U KR970001860Y1 (ko) 1990-08-31 1990-08-31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485U KR970001860Y1 (ko) 1990-08-31 1990-08-31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373U KR920005373U (ko) 1992-03-26
KR970001860Y1 true KR970001860Y1 (ko) 1997-03-17

Family

ID=1930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485U KR970001860Y1 (ko) 1990-08-31 1990-08-31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373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7574B2 (en) Power source controll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nsulated direct-current power source device
US7339359B2 (en) Terminal for multiple functions in a power supply
US6111762A (en) Switching power supply
US7355368B2 (en) Efficient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with dual gated bidirectional hemts
US6385060B1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reduced energy transfer during a fault condition
US7375990B2 (en) Switching power device
KR19990074214A (ko) 저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EP2164160B1 (en) Voltage reduction detection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system
US7898824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feedback circuit
JP3397189B2 (ja) Dc−dcコンバータ装置
KR970001860Y1 (ko) 관전류 및 과전압 검출회로
US20040174721A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TWI767535B (zh) 用於在次級同步整流器中產生控制訊號和充電直流電源的方法與裝置
US10819239B2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 load increase circuit
US10903751B2 (en) Method and system of driving an electrically controlled switch with a snubber capacitor
JP354892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6284714A (ja) 絶縁型dc−dcコンバータ
JPH06261541A (ja) 直流−直流変換装置
JPH09266667A (ja) 過電流・過負荷保護回路、電源装置、電気機器および複写機
KR200148186Y1 (ko) 전원 공급장치
KR20000015607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JPH0716314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200159250Y1 (ko) 과전류 보호회로
KR900009471Y1 (ko) 절연형 다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보호회로
KR950008747Y1 (ko) 110/220v 자동 전압 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