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39B1 - 촬상장치의 자동노출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의 자동노출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39B1
KR950006239B1 KR1019910015111A KR910015111A KR950006239B1 KR 950006239 B1 KR950006239 B1 KR 950006239B1 KR 1019910015111 A KR1019910015111 A KR 1019910015111A KR 910015111 A KR910015111 A KR 910015111A KR 950006239 B1 KR950006239 B1 KR 95000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ling
level
setting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437A (ko
Inventor
도모유끼 구라시게
다꾸야 이마이데
히로유끼 다루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화상정보 시스템
요시네 히로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화상정보 시스템, 요시네 히로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0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촬상장치의 자동노출제어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촬상장치의 종래의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1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촬상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a ∼ c도는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조리개값과 기준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촬상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조리개값과 검파전압의 이득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촬상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촬상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8도는 촬상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에 사용해서 적합한 자동노출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비디오카메라에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6-19274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입사광량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조리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촬상대상으로서의 피사체 자체의 명도나 피사체가 놓여져 있는 환경의 명도가 변화해도 얻어지는 비디오신호의 진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한 자동노출 제어기구(오토 아이리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제1도에 따라 이와같은 종래의 자동노출 제어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일도면에서 (1)은 렌즈, (2)는 조리개, (3)은 촬상소자, (4)는 신호처리회로, (5)는 출력단자, (6)은 영상검파회로, (7)은 레벨비교회로, (8)은 기준전압원, (9)는 조리개 구동모터이다.
렌즈(1), 조리개(2)를 거쳐서 피사체에서 입사된 광은 촬상소자(3)에 조사되어 피사체상이 결상된다. 촬상소자(3)은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이 전기신호는 신호처리회로(4)에서 처리되어서 비디오신호가 생성되고, 카메라출력으로서 출력단자(5)에서 출력된다.
또, 신호처리회로(4)에서의 비디오신호 생성과정에서 얻어지는 휘도신호는 영상검파회로(6)에 공급된다. 영상검파회로(6)은 이 휘도신호에 화면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무게가중 등의 처리를 실행한후 휘도신호의 진폭을 검파해서 이 진폭에 따른 레벨의 검파전압 V1을 출력한다. 레벨비교회로(7)은 이 검파전압 V1과 기준 전압원(8)에서의 일정한 기준전압 Vref를 레벨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조리개 구동모터(9)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조리개(2)는 검파전압 V1과 기준전압 Vref가 일치하도록 개폐가 실행되고, 피사체나 환경의 명도에 관계없이 출력단자(5)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진폭이 일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자동노출 제어기구는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피사체이면 그 피사체의 촬영환경의 명도가 어떠한 것이라도 얻어지는 비디오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고, 이것이 본래의 역할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자동노출 제어기구를 사용해서 촬상하면 이역할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불합리한 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1)1면이 푸른하늘로 되는 장면을 촬상하는 경우와 1면이 잔디인 장면을 촬상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푸른하늘 쪽이 잔디보다 밝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비디오신호도 진폭이 같게 된다. 즉, 재생화면의 명도가 같게 되도록 노출제어가 실행되므로, 1면이 푸른하늘의 장면인 경우에는 재생화면에서의 푸른하늘은 실제의 장면보다 어둑어둑해지고, 1면이 잔디인 경우에는 재생화면에서의 잔디의 휘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컬러화면의 경우등에서는 연한 갈색의 색조로 된다. 이와같이 피사체 자체의 명도의 차이를 재생화면에 나타낼 수가 없다.
(2)환경의 명도는 대낮이나 이른아침, 저녁등의 시각에 의해, 또는 쾌청한 날씨나 흐림, 비등의 기후에 의해 다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노출제어에 의하면 환경의 명도에 관계없이 재생화면의 휘도는 같은 것으로 되어 재생화면에 환경의 명도차이를 가져오게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시켜, 피사체나 환경의 명도의 차이를 재생화면에서 나타낼 수가 있고, 자연적인 재생화면을 얻을 수 있게한 촬상장치의 자동노출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사체의 명도나 피사체가 놓여져 있는 환경의 명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이 수단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촬상장치의 출력비디오신호의 진폭이 변화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피사체나 환경이 밝은 장면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자동노출 제어방법에 의한 경우보다 얻어지는 출력비디오신호의 진폭이 크게 되도록 제어하고, 이것에 의해서 재생화면이 장면의 명도에 대응해서 밝게 되도록 한다. 또, 역으로 어두운 장면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자동노출 제어방법에 의한 경우보다 얻어지는 출력비디오신호의 진폭이 작게 되도록 제어하여 재생화면이 이것에 대응해서 어둡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사체나 촬상환경의 명도에 따른 자연의 재생화면이 얻어진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의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10)은 조리개값검출기, (11)은 가변기준전압원이고, 제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렌즈(1)에 입사하는 광량은 피사체의 명도에 비례해서 증감한다. 본 발명에서 피사체라 함은 촬상장면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서, 영상검파회로(6)에서 출력되는 검파전압 V1이 기준전압 Vref와 레벨 비교회로(7)에서 비교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조리개 구동모터(9)가 제어되어 조리개(2)와 개폐되지만, 이것은 함께 조리개값 검출기(10)이 조리개 구동모터(9)의 회전각등에 의해서 조리개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출력에 따라 가변기준전압원(11)이 제어된다. 기준전압 Vref는 이 가변기준전압원(11)에서 발생되고, 조리개값 검출기(10)의 검출출력에 따라 변화한다. 기준전압 Vref는 조리개값이 클수록, 즉 조리개(2)가 조여질수록 높아지게 설정된다.
제3a∼c도에 본 발명에 의한 조리값과 기준전압 Vref의 관계를 도시한다. 제3a도에는 참조로 종래 장치에서의 조리값과 기준전압의 관계를 점선 A로 나타낸다. 제3a, c도의 예는 조리개값과 기준전압의 관계와 선형이 아니도록 설정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3a∼c도의 어느 경우도 피사체가 밝고, 조리개가 조여져서 조리개값이 크게 되면 기준전압이 크게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부분적으로 기준전압이 일정한 곳이 있어도 문제는 없다.
지금, 제3a도의 B점에서 노출제어가 균형상태에서 또 밝은 물건을 촬영하면 V1Vref로 되므로, 조래기(2)는 조여져서 검파전압 V1은 저하해가고, 이것과 함께 기준전압 Vref는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검파전압 V1과 기준전압 Vref의 차가 작게 되어, 곧 V1=Vref에서 균형상태로 된다. 이 균형상태로 되어 있을때의 조리개값은 같은 피사체의 명도, 같은 환경의 명도일 때의 종래 기술에 의한 제어의 경우와 같이 기준전압이 일정한 경우보다 작다. 즉, 종래기술에서의 제어의 경우보다 조리개(2)가 열린상태에서 균형상태로 되어 밝은 재생화면이 얻어진다. 역으로 어두운 물건을 촬영해서 V1Vref로된 경우, V1이 상승하면 Vref가 저하되고, 종래기술에서의 제어의 경우보다 조리개(2)가 닫힌 상태에서 균형상태로 되어 어두운 재생화면이 얻어진다.
예를들면, 제3a도에서, (ⅰ)을 1면 잔디의 장면을 촬상하는데 적절한 조리개값, (ⅱ)를 1면 푸른하늘의 장면을 촬상하는데 적절한 조리개값으로 하면, 종래의 경우에 대하여 1면 푸른하늘의 재생화면의 밝고, 1면 잔디의 재생화면은 약간 어둡게 되어 녹색이 퇴색하지 않은 적당한 휘도로 되어 모두 자연적인 재생화면으로 된다. 제3b, c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의 자동노출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제1도,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설정을 생략한다.
동일도면에서, 조리개값 검출기(10)의 검출출력은 영상검파회로(6)에 공급된다. 영상검파회로(6)에서는 이 조리개값이 검출기(10)의 검출출력에 따라 신호이득에 제어된다. 여기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사체가 밝고, 조리개값이 클수록 신호이득을 작게한다. 기준전압 Vref는 일정하다.
이것에 의하면, 예들들어 지금까지보다 밝은 피사체를 촬영에서 V1Vref로 되면 조리개(2)가 조여져서 영상검파회로(6)의 검파전압 V1은 저하한다. 한편, 조리개값 검출기(10)의 검출출력에 의해 조리개(2)가 조여져 조리개값이 크게 됨과 동시에 영상검파회로(6)의 신호이득이 작게 되므로 그 검파전압 V1은 이것에 의해서도 저하하고, V1=Vref에서 균형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영상검파회로(6)의 신호이득을 일정하게한 종래 기술보다 조리개(2)는 좀 열린상태로 되어 있다.
또, 지금까지보다 어두운 피사체를 촬영해서 V1Vref로 된 경우는 조리개(2)가 열려서 V1이 상승하지만 그것에 따라 영상검파회로(6)의 신호이득이 크게 되므로 종래의 경우보다 조리개(2)가 닫혀진 상태에서 균형상태로 된다. 따라서 출력단자(5)에서 얻어지는 휘도신호는 종래의 경우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의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12)는 가변이득앰프이고, 제1도,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분을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도면에서, 신호처리회로(4)에는 가변이득앰프(12)가 마련되고, 이 가변이득앰프(12)를 통한 휘도신호가 비디오신호의 재생에 사용된다. 또, 이 가변이득앰프(12)의 입력측의 휘도신호가 영상검파회로(6)에 공급된다.
가변이득앰프(12)의 이득은 조리개값 검출기(10)의 검출출력에 의해서 제어되고, 피사체가 밝아서 조리개(2)가 조여져 조리개값이 크게 될수록 이득이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일부에 이득이 일정한 부분이 있어도 좋다. 조리개(2)의 제어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지금 V1Vref로 하면 조리개(2)는 조여져서 조리개값이 크게 되고, 영상검파회로(6)의 검파전압 V1이 저하하여 V1=Vref에서 균형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가변이득앰프(12)의 입력휘도신호의 진폭은 일정하게 되지만, 가변이득앰프(12)의 이득이 조리개값 검출기(10)의 검출출력에 의해서 큰 값으로 설정되므로 가변이득앰프(12)의 출력휘도신호의 진폭은 그 입력휘도신호보다 크게된다. 따라서 밝은 장면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제1도의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밝은 재생화면이 얻어진다.
역으로 어두운 장면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가변이득앰프(12)의 이득이 작은 값으로 설정되므로, 가변이득앰프(12)의 출력휘도신호의 진폭은 그 입력휘도신호의 진폭보다 작게 되어 제1도의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어두운 재생화면이 얻어진다.
제7도에 본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의 자동노출제어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13)은 색온도판정회로이고,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로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도면에서, 색온도 판정회로(13)은 가정용 비디오카메라에 일반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자동화이트 밸런스 조정기구에 필수적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색온도 판정회로(13)에 의해서 얻어지는 색온도 정보에 의해 가변기준전압원(11)을 제어하여 기준전압 Vref를 변화시킨다.
색온도는 옥외와 옥내등의 장소, 대낮과 이른 아침, 저녁등의 시각, 또는 기후 또는 백열등과 형광등의 조명등에 의해서 다르고, 이들에 따라서 기준전압 Vref를 다르게 한다. 여기서는 색온도가 높을수록 기준전압 Vref가 높아지도록 한다.
그래서, 예를들면 대낮과 저녁에 옥외헤서 촬상하는 경우를 예로 하면, 대낮에는 색온도가 높고, 저녁에는 색온도가 약간 낮은 것으로 대낮에 촬상하는 경우에는 기준전압 Vref가 높게 되어서 조리개(2)는 약간 열려지게 되고, 저녁에 촬상하는 경우에는 대낮에 촬상하는 경우보다 기준전압 Vref가 낮게 되어서 조리개(2)는 닫혀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어느 경우도 자연적인 재생화면이 얻어진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의 자동노출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14)는 광센서, (15)는 절대 광량 판정회로이고,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도면에서, 광센서(14)는 촬상장면에서의 광을 수광하고, 그 수광량을 절대광량 판정회로(15)가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피사체가 촬상환경의 절대적인 명도가 판정된다. 이 절대광량판정회로(15)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가변기준전압원(11)이 제어되어 기준전압 Vref가 변화한다.
여기서 광센서(14)에서의 수광량이 많을수록, 즉 피사체나 환경의 명도가 밝을수록 기준전압 Vref는 높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앞서의 실시예가 마찬가지로 항상 자연적인 재생화면이 얻어지게 된다. 광센서(14)의 출력레벨은 수광량에 비례하지 않아도 좋고, 요점은 밝음, 어두움의 판별을 할수 있으면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제3a∼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사체나 환경의 명도에 따라서 기준전압 Vref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해도 좋지만, 이 명도를 여러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마다 기준전압 Vref를 다르게 하도록해도 좋다.
또, 제7도,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4도,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영상검파회로(6)이나 신호처리회로(4)에서의 가변이득앰프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40)

  1.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 촬상된 피사체의 명도를 나타내는 제1의 신호를 얻은 스텝, 상기 제1의 신호의 레벨과 기준신호의 레벨을 비교하는 스텝 및 상기 피사체가 밝아질수록 상기 촬상소자에 많은 광량이 입사하도록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1의 신호레벨의 이득을 낮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 얻어지는 비디오신호의 레벨의 이득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제1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서 얻어지는 비디오신호의 레벨의 이득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별도로 마련한 광검출기를 위해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광검출기의 출력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별도로 말련한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광검출기의 출력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제1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별도로 마련한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광검출기의 출력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 얻어지는 비디오신호의 레벨의 이득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11.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서 생성되는 비디오신호의 진폭을 검파하는 검파수단, 검파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기본으로 상기 검파전압이 높아질수록 상기 촬상장치에 더 많은 광량이 입사하도록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기준전압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사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검파전압의 이득을 낮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비디오신호의 레벨의 이득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비디오신호에 색온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기준전압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비디오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검파전압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비디오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비디오신호의 레벨의 이득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기준전압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검파전압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비디오신호의 레벨의 이득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21. 촬상된 피사체의 명도를 나타내는 제1의 신호를 얻은 스텝,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서 얻어진 제1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제2의 신호를 얻는 스텝,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과 기준신호의 레벨을 비교하는 스텝 및 상기 피사체가 밝아질수록 촬상장치에서 출력된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이 커지도록 상기 비교스텝을 거쳐서 상기 제1의 신호에 따라 노출을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2의 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얻는 상기 스텝은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출력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상기 색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얻은 상기 스텝은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출력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상기 색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얻는 상기 스텝은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출력신호에 색온도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상기 색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2의 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얻는 상기 스텝은 광검출기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상기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얻는 상기 스텝은 광검출기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상기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얻는 상기 스텝은 광검출기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스텝은 상기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제2의 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방법.
  31. 촬상소자가 도달하는 광량을 제어하는 조리개, 상기 조리개를 구동하는 수단, 촬상된 피사체의 명도를 나타내는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신호에서 얻어진 제1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제2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과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조리개를 구동하는 수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및 상기 피사체의 명도가 밝아질수록 상기 촬상장치에서 출력된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이 커지도록 상기 제1의 신호에 따라 노출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기준전압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조리개의 조리개값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조리개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2의 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비디오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색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기준전압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비디오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색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비디오신호에서 색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색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2의 신호가 검출된후 상기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검출기의 상기 출력이 상기 피사체의 명도의 증가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기준전압을 높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검출기의 상기 출력이 상기 피사체의 명도의 증가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제2의 신호의 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피사체의 명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검출기의 상기 출력이 상기 피사체의 명도의 증가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제2의 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2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촬상장치용 자동노출 제어장치.
KR1019910015111A 1990-09-04 1991-08-30 촬상장치의 자동노출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50006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2348A JP2839202B2 (ja) 1990-09-04 1990-09-04 撮像装置の自動露光制御装置及び方法
JP2-232348 1990-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37A KR920007437A (ko) 1992-04-28
KR950006239B1 true KR950006239B1 (ko) 1995-06-12

Family

ID=1693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111A KR950006239B1 (ko) 1990-09-04 1991-08-30 촬상장치의 자동노출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15394A (ko)
JP (1) JP2839202B2 (ko)
KR (1) KR950006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3143B1 (en) * 1992-08-10 2001-04-18 Sony Corporation Improved control of the electronic shutter time in a video camera
US5745808A (en) * 1995-08-21 1998-04-28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exposure control system using variable-length exposure tables
US7960676B2 (en) * 2007-09-28 2011-06-14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e device to obtain an image with a bright subject, even when the background is dark, and recording medium
US10321068B2 (en) 2017-09-13 2019-06-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Image-based auto-iris
KR20200100941A (ko) 2019-02-19 2020-08-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노출 제어 장치 및 노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579A (en) * 1980-01-23 1981-08-20 Nec Corp Television camera device
JPS5850867A (ja) * 1981-09-22 1983-03-25 Asahi Seimitsu Kk Cctvカメラ用自動絞り制御装置
JPS6064580A (ja) * 1983-09-19 1985-04-13 Asahi Seimitsu Kk Cctvカメラ用レンズの自動絞り制御装置
US4584610A (en) * 1984-02-16 1986-04-22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photographing apparatus
AU607033B2 (en) * 1988-01-12 1991-02-21 Sanyo Electric Co., Ltd. Auto iris/gamma correction apparatus for making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and/or automatic gamma correction in response to video signal and imag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auto iris/gamma correction apparatus
NL8802082A (nl) * 1988-08-23 1990-03-16 Copyguard Enterprises Videocamera met automatische sterkteregeling.
US5049997A (en) * 1989-04-10 1991-09-17 Fuji Photo Film Co., Ltd. Video camera expos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mproper exposure due to changing object size or displacement and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 and background
US5111301A (en) * 1989-06-28 1992-05-05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exposure adjus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exposure by fuzzy infer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13781A (ja) 1992-04-15
KR920007437A (ko) 1992-04-28
US5315394A (en) 1994-05-24
JP2839202B2 (ja) 199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407B1 (ko) 화질제어기능을 갖는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의 화질제어방법
US5808681A (en) Electronic still camera
US51287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posure of video camera
US799511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white balance control
US4584598A (en) Electronic camera
US7403231B2 (en) Camera with exposure correction dependent upon brightness detected in a frame with the lowest brightness compared to average brightness
JP3412174B2 (ja) 自動露光制御装置
JPS5857885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JP3216022B2 (ja) 撮像装置
JPH0723774Y2 (ja) カメラ
JP3666881B2 (ja) 撮像装置
KR950006239B1 (ko) 촬상장치의 자동노출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01269389A (ja) カメラの白バランス調整装置
JP3554069B2 (ja) 撮像装置
JP2817820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2939013B2 (ja) ビデオカメラ
JP2785526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3143112B2 (ja) カメラ
JPH07298285A (ja) 撮像装置
JPH09172563A (ja) ビデオカメラ
JPH0686154A (ja) 撮像装置
JPH08124082A (ja) 車両ナンバープレート撮影装置
JP200702002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342974A (ja) ビデオカメラの自動絞り装置
JPH01177788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