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171B1 -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171B1
KR950006171B1 KR1019930006662A KR930006662A KR950006171B1 KR 950006171 B1 KR950006171 B1 KR 950006171B1 KR 1019930006662 A KR1019930006662 A KR 1019930006662A KR 930006662 A KR930006662 A KR 930006662A KR 950006171 B1 KR950006171 B1 KR 95000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onitor
angle adjusting
cabinet bottom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인켈
조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인켈, 조동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인켈
Priority to KR101993000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71B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화면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와 스탠드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결합사시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제3도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각도를 변화한 상태도.
제8도는 제5도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제9도는 제6도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제10도는 제7도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결합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일부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 A부분의 확대 상세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제12도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의 각도를 변화한 상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의 결합상태의 요부 측면도.
제21도는 제19도의 결합상태의 요부 평면도.
제22도는 제19도의 결합상태에서 각도 조절될때의 요부 측면도.
제23도는 제19도의 결합상태에서 각도 조절될때의 요부 평면도.
제2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디스플레이용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빛이 반사되는 상태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화면 디스플레이용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빛이 반사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보텀부 11 : 돌기
12 : 고정용 보스 13 : 슬라이딩부
14 : 각도조정공 20 : 각도조절수단
21 : 조정대 22 : 반달형 슬라이딩면
23 : 걸림턱 24 : 회전 안내대
30 : 슬라이딩 와셔수단 31 : 고정공
32 : 평탄면 33 : 반달형 슬라이딩부
34 : 가이드 구멍 35 : 고정용 보스
36 : 돌출봉 38 : 스프링 삽입부
40 : 스프링 수단 50 : 프론트 케이스
60, 60a : 캐비넷 보텀부 61 : 돌기
62 : 받침각부 63 : 받침턱부
64, 64a : 슬라이딩면 65, 65a : 슬라이딩 부재
66, 66a : 곡면가이드홈 67, 67a : 곡면벽부
68 : 각도조절부 70, 70a : 리어 케이스
71, 71a : 슬라이딩 돌기 72 : 하부 걸림턱
73, 74, 74a : 슬라이딩면 75, 75a : 보스
76 : 상부 걸림턱 80, 80a : 슬라이딩 와셔수단
81, 81a : 나사체결공 82, 82a : 누름대
83 : 돌기 84 : 절결홈
90 : 백커버 91 : 상면
92 : 측면 93 : 배면
본 발명은 화면 디스플레이 전자기기, 즉 모니터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스탠드를 사용함이 없이 모니터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에 모니터(1)의 밑면에 형성한 슬라이딩부(3)를 얹어 놓고, 슬라이딩 와셔(4)를 개재한후 나사(5) 체결하므로서, 스탠드(2)와 슬라이딩 와셔(4) 사이를 모니터(1)가 슬라이딩하게 되어 모니터(1)의 각도를 조절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각도 조절장치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스탠드를 사용하므로서 제품가격이 높아지고, 한손으로 각도를 조절하기가 힘들며, 좁은 공간에서 퍼스날 컴퓨터위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 스탠드의 높이 만큼 모니터의 화면위치가 높아서 사용에 불편하며, 조명에 의한 빛의 반사로 사용자의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에따라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손으로 용이하게 각도 조절을 할 수 있고,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제품가격이 저렴한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퍼스날 컴퓨터위에서 사용하는 경우 모니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도록 할 수 있고, 조명에 의한 빛의 반사를 피할 수 있는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는 무게 중심점인 돌기를 밑면의 전단에 구비하고, 좌우에 돌출 고정된 한쌍의 고정용 보스와, 이 보스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부의 중앙에 형성된 각도조정공을 밑면의 후단에 구비하는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와,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의 각도조정공에 삽입되는 조정대와, 이 조정대의 상면에 부착된 반달형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면의 양측에서 직립하여 선단에 걸림턱을 가지는 회전안내대를 구비하는 각도 조절수단과,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의 한쌍의 고정용 보스에 대응하는 고정공을 좌우에 구비하는 평탄면과, 이 평탄면사이에 형성된 중공의 반달형 슬라이딩부와, 각도 조절수단의 회전안내대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슬라이딩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과, 슬라이딩부의 중앙에 직립하여 상부에 고정용 보스를 가지는 돌출봉을 구비한 슬라이딩 와셔수단과, 상하양단이 각도 조절수단의 회전안내대의 걸림턱에 걸려서 각도 조절수단을 유지하도록 탄지하는 스프링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프링 수단으로서, 슬라이딩 와셔수단의 돌출봉에 스프링 삽입부를 형성하고, 원통형 스프링 삽입부에 코일스프링을 끼우거나, 슬릿형 스프링 삽입부에 판스프링을 끼워도 좋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는 CRT를 수납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전면 하부의 무게 중심점인 돌기와, 후면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받침각부와, 전면의 슬라이딩 받침턱부와, 선단에 슬라이딩면을 구비하여, 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면에서 내방 외측으로 돌출하여 곡면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곡면벽부를 가지는 캐비넷 보텀부와, 캐비넷 보텀부의 곡면가이드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돌기와, 슬라이딩 돌기의 상단에서 내향돌출한 하부 걸림턱과, 슬라이딩 돌기 외측하방의 슬라이딩면상에 부착된 보스와, 하부 걸림턱의 안쪽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면상에서 외향돌출한 상부 걸림턱을 가지는 리어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슬라이딩면상에 부착된 보스에 대응하는 나사체결공과, 캐비넷 보텀부의 슬라이딩면을 압압하는 누름대를 가지는 슬라이딩 와셔수단과, 상면, 측면 및 후면으로 구성되어 캐비넷 보텀부의 후면을 덮는 백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는 CRT를 수납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전면하부의 무게 중심점인 돌기와, 후면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받침각부와, 전면의 슬라이딩 받침턱부와, 선단을 따라 상하걸림턱과, 복수의 각도조절홈을 구비하여 형성된 각도 조절부와, 선단에 인접한 안쪽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슬라이딩면에서 내방 외측으로 돌출하여 곡면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곡면벽부를 가지는 캐비넷 보텀부와, 캐비넷 보텀부의 곡면 가이드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돌기와, 슬라이딩 돌기에서 외향돌출한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면에 부착된 보스를 가지는 리어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슬라이딩면상에 부착된 보스에 대응하는 나사체결공과, 캐비넷 보텀부의 각도 조절부를 밀착압압하도록 각도조절홈에 삽입되는 돌기 및 이 돌기가 각도 조절홈을 따라 이동시 신축성을 제공하는 절결홈을 구비한 누름대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와셔수단과, 상면, 측면 및 후면으로 구성되어 캐비넷 보텀부의 후면을 덮는 백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제4도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는 프론트케이스(7)와, 리어 케이스(8)와, 백커버(9) 및 캐비넷 보텀부(10)가 결합되어, 내부에 CRT를 수납한다. 이러한 모니터의 각도 조절장치는 캐비넷 보텀부(10)에 각도 조절수단(20)과, 슬라이딩 와셔수단(30)과, 스프링수단(40)을 장착한다.
캐비넷 보텀부(10)의 밑면의 전단에는 무게 중심점인 돌기(11) (제6도)가 제공되며, 또한 밑면의 후단에는 그 좌우에 돌출 고정된 한쌍의 고정용 보스(12)와, 이 보스(12)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딩부(13)와, 슬라이딩부(13)의 중앙에 형성된 각도조정공(14)이 제공된다.
각도 조절수단(20)에는 조정대(21)와, 이 조정대(21)의 상면에 부착된 반달형 슬라이딩면(22)과, 슬라이딩면(22)의 양측에서 직립하여 선단에 걸림턱(23)을 가지는 회전안내대(24)가 제공되고, 조정대(21)는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10)의 각도조정공(14)에 삽입된다.
슬라이딩 와셔수단(30)에는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10)의 한쌍의 고정용 보스(12)에 대응하는 고정공(31)을 좌우에 구비하는 평탄면(32)과, 이 평탄면(32) 사이에 형성된 중공의 반달형 슬라이딩부(33와, 슬라이딩부(33)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34)과, 슬라이딩부(33)의 중앙에 직립하여 상부에 고정용 보스(35)를 가지는 돌출봉(36)이 제공되고, 가이드 구멍(34)에 각도 조절수단(20)의 회전안내대(24)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6)로서 고정공(31)을 통하여 고정용 보스(12)에 체결하면 각도 조절수단(20) 및 슬라이딩 와셔수단(30)이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10)의 밑면에 결합된다.
스프링 수단(40)은 코일스프링이 바람직하며, 이 코일스프링을 슬라이딩 와셔수단(30)의 돌출봉(36)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부(37)에 끼우고, 상하 양단을 각도 조절수단(20)의 회전안내대(24)의 걸림턱(23)에 건후, 평 화셔(18)를 개재해서 나사(6) 체결하면, 각도 조절수단(20)을 탄지하여 유지한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5도는 모니터 화면이 전방으로 5°기울어진 상태이고, 제6도는 0°의 상태이고, 제7도는 후방으로 5.16°젖혀진 상태로서, 모니터 각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작동상태를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는 제5도의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는 것으로, 코일스프링(40)은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위치에서 각도 조절수단(20)의 걸림턱(23)에 걸려서, 조정대(21)가 직립하고 있도록 탄성지지한다. 이때의 모니터 화면은 전방으로 5°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니터 화면을 젖히기 위하여 제5도의 화살표 Ⅰ방향으로 모니터를 누르면,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수단(20)의 조정대(21)는 반시계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36.5° 만큼 회전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40)은 제8b도의 A위치(제9b도에서 점선으로 도시)에서 제9b도의 B위치(실선으로 도시)로 회전하는 한편, 제9c도의 C위치(점선으로 도시)에서 D위치(실선으로 도시)로 내려간다. 이때 코일스프링(40)의 상부단은 16.79° 회전하고, 하부단은 20.86°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코일스프링(40)은 제8도의 상태보다 탄성을 더 받는다.
그후, 제6도의 화살표 Ⅱ방향으로 모니터를 좀 더 누르면,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수단(20)의 조정대(21)는 반시계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22.5°만큼 회전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40)은 제9b도의 B위치(제10b도에서 점선으로 도시)에서 제10b도의 E위치(실선으로 도시)로 회전하는 한편, 제10c도의 D위치(점선으로 도시)에서 제10c도의 F위치(실선으로 도시)로 다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코일스프링(40)의 상부단은 12.27°회전하고, 하부단은 13.85°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코일스프링(40)은 제9도의 상태도이다. 탄성을 더 받는다.
이상의 설명과 반대로, 젖혀져 있는 모니터 화면을 앞으로 기울이고 싶은 경우, 제7도의 화살표 Ⅲ방향으로 누르면, 코일스프링(40)의 탄성이 원위치되면서 각도 조절수단(20)의 조정대(21)는 제6도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6도의 화살표 Ⅲ방향으로 좀더 누르면 제5도의 상태가 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수단(4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코일 스프링 대신에 판스프링을 사용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스프링(40)을 슬라이딩 와셔수단(30)의 돌출봉(36)에 형성된 슬릿형 스프링 삽입부(38)에 끼우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각도 조절장치는 CRT를 수납하는 프론트 케이스(50)와, 캐비넷 보텀부(60)와, 리어 케이스(70)와, 슬라이딩 와셔수단(80)과, 백커버(90)로 이루어져서,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캐비넷 보텀부(60)에는 전면 하부의 무게 중심점인 돌기(61) (제13도)와, 후면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받침각부(62)와, 전면의 슬라이딩 받침 턱부(63)와, 선단에 슬라이딩면(64)에서 내방외측으로 돌출하여 곡면 가이드홈(66)을 형성하는 곡면 벽부(67)가 제공된다.
리어 케이스(70)에는 슬라이딩 돌기(71)와, 이 돌기(71)의 상단에서 내향 돌출한 하부 걸림턱(72)과, 이 돌기(71)의 외측 하방의 슬라이딩면(73)상에 부착된 보스(75)와, 하부 걸림턱(72)의 안쪽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면(74)상에서 외향돌출한 상부 걸림턱(76)가 제공되고 슬라이딩 돌기(71)는 캐비넷 보텀부(60)의 곡면가이드홈(66)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와셔수단(80)에는 나사 체결공(81)과 누름대(82)가 제공되고, 나사체결공(81)은 리어 케이스(70)의 슬라이딩면(73)상에 부착된 보스(75)에 대응하며, 누름대(82)는 캐비넷 보텀부(60)의 슬라이딩면(64)을 압압한다.
백커버(90)는 상면(91), 측면(920) 및 후면(93)으로 구성되어 모니터 후면을 덮는다.
제16도 내지 제18도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6도는 모니터 화면이 전방으로 5° 기울어진 상태이고, 이때 리어케이스(70)의 하부 걸림턱(72)은 캐비넷 보텀부(60)의 슬라이딩 부재(65) 상단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모니터의 상단을 밀면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의 상태로 모니터가 세워지고, 좀더 밀면,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13.00° 젖혀지며, 이때 리어케이스(70)의 하부 걸림턱(72)은 캐비넷 보텀부(60)의 슬라이딩부재(65) 상단에 걸린다. 이와 반대로, 모니터를 앞으로 기울이고 싶은 경우 모니터의 하단을 밀면 반대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는 모니터의 상하단을 한손으로 밀거나 당겨서 각도를 조절한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를 돕기위해 제12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부품에는 동일 부호에 영문첨자를 붙여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는, 제12도 실시예의 캐비넷 보텀부(60)의 슬라이딩부재(65), 리어케이스(70) 및 슬라이딩 와셔수단(80) 대신에, 캐비넷 보텀부(60a), 리어케이스(70a) 및 슬라이딩 와셔수단(80a)으로 이루어진다. 캐비넷 보텀부(60a)의 슬라이딩 부재(65a)에는 선단을 따라 상하 걸림턱(68a) (68a)과 복수의 각도 조절홈(68a)을 구비하여 형성된 각도 조절부(68)와, 선단에 인접한 안쪽에 형성된 슬라이딩면(64a)과, 슬라이딩면(64a)에서 내방 외측으로 돌출하여 곡면 가이드홈(66a)을 형성하는 곡면벽부(67a)가 제공된다.
리어 케이스(70a)에는 슬라이딩 돌기(71a)와, 슬라이딩 돌기(71a)에서 외향 돌출한 슬라이딩면(74a)과, 슬라이딩면(74a)상에 부착된 보스(75a)가 제공되고, 슬라이딩 돌기(71a)는 케비넷 보텀부(60)의 곡면 가이드홈(66a)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와셔수단(80a)에는 나사체결공(81a)과, 돌기(83) 및 조절홈(84)을 구비한 누름대(82a)가 제공되고, 나사 체결공(81a)은 리어케이스(70a)의 슬라이딩면(74a)상에 부착된 보스(75a)에 대응하며, 누름대(82a)의 돌기(83)는 캐비넷 보텀부(60a)의 각도 조절홈(68c)에 삽입되는 동시에, 누름대(82a)가 캐비넷 보텀부(60a)의 각도 조절부(68)를 밀착압압하고 절결홈(84)은 돌기(83)가 각도 조절홈(68c)을 따라 이동할때 신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대(82a)가 휘어져서 결합된 상태에서 모니터의 상부를 밀면,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홈(68c)들 사이에 돌기(83)가 오게되어 누름대(82a)가 펴지면서 탄성을 받고 있다가 다시 하부의 각도 조절홈(68c)으로 돌기(83)가 이동하여 모니터 화면이 젖혀지게 된다. 반대로 모니터 하부를 밀면, 돌기(83)가 상부의 각도 조절홈(68c)으로 이동하여 모니터 화면이 기울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스탠드가 필요없고, 한손으로 용이하게 모니터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명에 의한 빛의 반사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무게중심점인 돌기(11)를 밑면의 전단에 구비하고, 좌우에 돌출 고정된 한쌍의 고정용 보스(12)와, 이 보스(12)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딩부(13)와, 슬라이딩부(13)의 중앙에 형성된 각도조정공(14)을 밑면의 후단에 구비하는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10)와, 상기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10)의 각도조정공(14)에 삽입되는 조정대(21)와, 이 조정대(21)의 상면에 부착된 반달형 슬라이딩면(22)과, 상기 슬라이딩면(22)의 양측에서 직립하여 선단에 걸림턱(23)을 가지는 회전안내대(24)를 구비하는 각도 조절수단(20)과, 상기 모니터의 캐비넷 보텀부(10)의 한쌍의 고정용 보스(12)에 대응하는 고정공(31)을 좌우에 구비하는 평탄면(32)과, 이 평탄면(32) 사이에 형성된 중공의 반달형 슬라이딩부(33)와, 상기 각도 조절수단(20)의 회전안내대(24)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33)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34)과, 상기 슬라이딩부(33)의 중앙에 직립하여 상부에 고정용 보스(35)를 가지는 돌출봉(36)을 구비한 슬라이딩 와셔수단(30)과, 상하양단이 상기 각도 조절수단(20)의 회전안내대(24)의 걸림턱(23)에 걸려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20)을 유지하도록 탄지하는 스프링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40)은 코일스프링으로, 상기 슬라이딩 와셔수단(30)의 돌출봉(36)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부(3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40)은 판스프링으로, 상기 슬라이딩 와셔수단(30)의 돌출봉(36)에 형성된 슬릿형 스프링 삽입부(38)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4.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CRT를 수납하는 프론트 케이스(50)와, 전면 하부의 무게 중심점인 돌기(61)와, 후면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받침각부(62)와, 전면의 슬라이딩 받침턱부(63)와, 선단에 슬라이딩면(64)를 구비하여, 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슬라이딩부재(65)와, 상기 슬라이딩면(64)에서 내방 외측으로 돌출하여 곡면 가이드홈(66)을 형성하는 곡면벽부(67)를 가지는 캐비넷 보텀부(60)와, 상기 캐비넷 보텀부(60)의 곡면가이드홈(66)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돌기(71)와, 상기 슬라이딩 돌기(71)의 상단에서 내향돌출한 하부 걸림턱(72)과, 상기 슬라이딩 돌기(71) 외측하방의 슬라이딩면(73)상에 부착된 보스(75)와, 상기 하부 걸림턱(72)의 안쪽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면(74)상에서 외향 돌출한 상부 걸림턱(76)을 가지는 리어 케이스(70)와, 상기 리어 케이스(70)의 슬라이딩면(73)상에 부착된 보스(75)에 대응하는 나사체결공(81)과, 상기 캐비넷 보텀부(60)의 슬라이딩면(64)을 압압하는 누름대(82)를 가지는 슬라이딩 와셔수단(80)과, 상면(91), 측면(92) 및 배면(93)으로 구성되어 캐비넷 보텀부(60)의 후면을 덮는 백커버(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5.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CRT를 수납하는 프론트 케이스(50)와, 전면 하부의 무게 중심점인 돌기(61)와, 후면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받침각부(62)와, 전면의 슬라이딩 받침턱부(63)와, 선단을 따라 상하 걸림턱(68a) (68b)과 복수의 각도 조절홈(68c)을 구비한 각도 조절부(68)가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65a)와, 선단의 안쪽에 형성된 슬라이딩면(64a)에서 내방 외측으로 돌출하여 곡면 가이드홈(66a)을 형성하는 곡면벽부(67a)을 가지는 캐비넷 보텀부(60a)와, 상기 캐비넷 보텀부(60a)의 곡면 가이드홈(67a)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돌기(71a)와, 상기 슬라이딩 돌기(71a)에서 외향 돌출한 슬라이딩면(74a)과, 상기 슬라이딩면(74a)에 부착된 보스(75a)을 가지는 리어 케이스(67a)와, 상기 리어 케이스(70a)의 슬라이딩면(74a)상에 부착된 보스(75)에 대응하는 나사체결공(81a)과, 상기 캐비넷 보텀부(60a)의 각도 조절부(68)를 밀착 압압하도록 각도 조절홈(68c)에 삽입되는 돌기(83) 및 이 돌기(83)가 각도 조절홈(68c)을 따라 이동시 신축성을 제공하는 절결홈(84)으로 이루어진 누름대(82a)를 가지는 슬라이딩 와셔수단(80a)과, 상면(91), 측면(92) 및 후면(93)으로 구성되어 상기 캐비넷 보텀부(60a)의 후면을 덮는 백커버(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19930006662A 1993-04-20 1993-04-20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95000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662A KR950006171B1 (ko) 1993-04-20 1993-04-20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662A KR950006171B1 (ko) 1993-04-20 1993-04-20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71B1 true KR950006171B1 (ko) 1995-06-09

Family

ID=1935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662A KR950006171B1 (ko) 1993-04-20 1993-04-20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1785A (zh) * 2020-10-12 2021-01-05 苏州建豪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撕手保护膜及其模切进料口压料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1785A (zh) * 2020-10-12 2021-01-05 苏州建豪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撕手保护膜及其模切进料口压料装置
CN112171785B (zh) * 2020-10-12 2023-12-26 苏州建豪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撕手保护膜及其模切进料口压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57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67279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er assembly and foldable support frame therefor
JP2923472B2 (ja) 機器の設置角度調整機構
US6323406B1 (en) Guitar stand
JP2525699Y2 (ja) ハンディ型ゲーム機等の使用補助具
JPH08262993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携帯型情報処理装置用スタンド
KR950006171B1 (ko)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US4938587A (en) Foldable optical apparatus
KR100386180B1 (ko)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US5113360A (en) Portable apparatus with a structure to secure a printed circuit board to a base unit
JP3748642B2 (ja) 卓上機器用筐体の角度調節装置
JP2000124621A (ja) 小型電子機器
US4852281A (en) Frame
KR960000472Y1 (ko)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US5132804A (en) Video printer
JPH06318289A (ja) 表示装置
KR101888037B1 (ko)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JP3500819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3204893B2 (ja) 情報処理装置
JP3255209B2 (ja) 原稿読取り装置
KR970000857Y1 (ko) 독서대
KR910006462Y1 (ko) 소형액정 tv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200156507Y1 (ko) Tv의 리모콘 수납 구조
KR200169637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핸들위치조절장치
KR200281686Y1 (ko) 완구용 사진 투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