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037B1 -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037B1
KR101888037B1 KR1020160052092A KR20160052092A KR101888037B1 KR 101888037 B1 KR101888037 B1 KR 101888037B1 KR 1020160052092 A KR1020160052092 A KR 1020160052092A KR 20160052092 A KR20160052092 A KR 20160052092A KR 101888037 B1 KR101888037 B1 KR 10188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apparatus hous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011A (ko
Inventor
박대성
이동은
김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뉴
Priority to KR102016005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0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거치대가 지지되며, 단말기 거치대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거치대 보관부를 구비하는 장치 하우징; 및 단말기 거치대와 장치 하우징에 마련되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단말기 거치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거치대 위치 가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바라보는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인 통화기능 외에도 사진 촬영기능, 게임기능, 동영상 또는 TV 시청기능, 인터넷 검색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소위, 스마트폰이라 하여 통신이 주요 기능으로 탑재되는 단말기를 비롯하여 패드(pad) 혹은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가 주류를 이룬다.
이때, 후자의 패드 혹은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는 전자의 스마트폰에 비해 액정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즐기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업무를 보는 데에도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가정주부가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휴대 단말기를 옆에 거치해두고 동영상이나 인터넷, 혹은 TV를 시청하면서 음식을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액정은 그 대부분이 터치패널로 적용되기 때문에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조리법을 찾아 그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패드 혹은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다만, 휴대 단말기의 대부분은 액정의 사이즈가 다를 뿐 대부분이 얇은 노트와 같은 판상체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예컨대, 주방 싱크대 위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고자 할 때, 상당이 불편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를 세워서 벽에 기대어 두더라도 진동이나 부주위에 의해 쉽게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는 민감한 액정 터치(touch)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기 때문에 벽에 기대어 세워둔 휴대 단말기가 진동 등에 의해 넘어질 경우, 시청하고 있던 화면이 꺼질 수도 있고, 예컨대 음식 조리법을 관찰하던 인터네 화면이 꺼지거나 다른 화면으로 이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별도로 준비하고 이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휴대 단말기를 전용 거치대에 거치시킬 경우에는 안정감 있게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현재,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거치대에 대한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5467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8514호 등처럼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으며, 일부는 출시되어 사용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 마치 독서대와 같이 고정된 타입인 것이 대부분이라서 휴대 단말기 거치대 그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즉 사용자가 바라보는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키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즉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신개념의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5467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8514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바라보는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지지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거치대 보관부를 구비하는 장치 하우징;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상기 장치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거치대 위치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보관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일측에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수용되면서 보관되는 거치대 보관용 포켓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 위치 가변부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상기 장치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가변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연결되는 거치대 연결부재; 및 상기 거치대 연결부재와 상기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 연결부재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위치 가변부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거치대 회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거치대;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쌍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이동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고정 거치대와 상기 이동 거치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접근되도록 상기 이동 거치대를 구동시키는 거치대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구동부는, 상기 고정 거치대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거치대 내에서 상기 이동 거치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2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안쪽보다 바깥쪽의 두께가 두껍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을 소정의 설치벽에 클램핑시키는 탄성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탄성 클램프가 자리배치되는 자리배치부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 클램프와 결합되어 상기 탄성 클램프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보강판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탄성 클램프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다수의 나사 보스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부 케이싱; 부품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하우징의 일측에는 타이머(timer) 설정을 위한 타이머 모듈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 모듈은 상기 장치 하우징 내면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조립체(PCB, Printed Circuit Boar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조립체는 교체형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봉 타입으로 마련되되 단부에는 조작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하우징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바라보는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에 설치된 상태의 대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탄성 클램프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이동 거치대를 이동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단말기 거치대를 거치대 보관용 포켓에 보관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에 설치된 상태의 대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탄성 클램프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이동 거치대를 이동시킨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단말기 거치대를 거치대 보관용 포켓에 보관시킨 상태의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바라보는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110)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단말기 거치대(110)와, 거치대 보관부(154)를 구비하는 장치 하우징(150)과, 단말기 거치대(1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5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장치 하우징(150)은 단말기 거치대(110)를 비롯하여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 등의 구성들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여러 부품들이 내장된다.
이처럼 내부에 여러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장치 하우징(150)은 상호간 분해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케이싱(151~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장치 하우징(150)은 상부 케이싱(151)과, 부품수용공간(A, 도 8 참조)을 사이에 두고 상부 케이싱(15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싱(152)과, 상부 케이싱(151)과 하부 케이싱(152)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케이싱(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싱(151)은 평평한 플레이트 타입으로 적용되는 반면 하부 케이싱(152)은 바구니 형태의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151)과 하부 케이싱(152)이 조립되기 위해 상부 케이싱(151)에는 다수의 볼트(B)가 체결된다. 볼트(B)는 상부 케이싱(151)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보스(157, 도 10 참조)로 삽입되어 하부 케이싱(152)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151)과 하부 케이싱(152)이 볼트(B)로 조립되는 것과 달리 전면 케이싱(153)은 상부 케이싱(151)과 하부 케이싱(152)의 전면에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전면 케이싱(153) 역시, 상부 케이싱(151)과 하부 케이싱(152)에 볼트로 조립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는 여러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만약 도 1처럼 주방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S)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S)에 결합되고, 이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가정주부가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휴대 단말기를 옆에 거치해두고 동영상이나 인터넷, 혹은 TV를 시청하면서 음식을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도 1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S)에 결합되기 위해 장치 하우징(150)에는 탄성 클램프(170)가 마련된다.
탄성 클램프(170)는 장치 하우징(150)의 외부, 즉 상부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장치 하우징(150)을 소정의 설치벽(W), 예컨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S)의 하부를 이루는 플레이트로 된 설치벽(W)에 클램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 클램프(170)은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150)에 결합되는 결합부(170a)와, 결합부(170a)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 연장부(170b)와, 절곡 연장부(170b)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되 설치벽(W)의 상부에 가압되는 상부 가압부(170c)와, 상부 가압부(170c)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부 벌림부(170d)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70a), 절곡 연장부(170b), 상부 가압부(170c) 및 단부 벌림부(170d)는 탄성력을 갖는 얇은 박판의 금속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가압부(170c)에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되는데, 통공(H)을 통해 별도의 나사를 삽입해서 설치벽(W)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에, 단부 벌림부(170d)를 벌려 결합부(170a)와 상부 가압부(170c) 사이를 벌린 후, 설치벽(W)에 끼우고 벌렸던 힘을 제거하면 도 1 및 도 2처럼 해당 위치에 안정적으로 또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탄성 클램프(170)가 장치 하우징(15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장치 하우징(150)의 외면에는 탄성 클램프(170)가 자리배치되는 자리배치부(155)가 함몰되게 형성된다. 탄성 클램프(170)의 결합부(170a)는 자리배치부(155)에 안정적으로 배치된 후에 나사(B1, 도 3 참조)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탄성 클램프(170)가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제작되는 장치 하우징(150), 특히 장치 하우징(150)의 상부 케이싱(151)에만 나사(B1) 결합될 경우, 그 결합 강도가 약해서 상부 케이싱(151)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예방하기 위해, 장치 하우징(150)의 내부에는 보강판(171)이 마련된다. 보강판(171)은 탄성 클램프(170)와 결합되어 탄성 클램프(170)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강판(171)에는 탄성 클램프(170)와의 나사(B1) 결합을 위한 다수의 나사 보스(172)가 마련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50)을 이루는 전면 케이싱(153)의 전면에는 타이머(timer) 설정을 위한 타이머 모듈(18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타이머 모듈(181)이 마련될 경우, 음식 조리시간을 설정할 수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 모듈(181)을 다수의 타이머 버튼(181)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타이머 모듈(181)이 다수의 타이머 버튼(181)으로 적용될 경우, 타이머 기능의 온/오프(on/off)를 비롯하여 음식마다 상이한 음식 조리시간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머 버튼(181)들의 상부 표면 즉 전면 케이싱(153)의 전면에는 타이머 버튼(181)을 눌를 때의 설정시간이나 현재시간 등이 디지털로 표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머 모듈(181)은 1개의 버튼일 수도 있고, 혹은 회전식 노브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버튼이나 노브의 형태 대신에 전면 케이싱(153)의 전면 일부를 터치패널로 적용하여 터치(touch) 방식으로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조작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타이머 모듈(181)의 동작을 위해 전면 케이싱(153)의 내면에는 타이머 모듈(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조립체(182, PCB, Printed Circuit Board)가 마련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조립체(182)는 교체형 배터리(183)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교체형 배터리(183) 대신에 AC 전원을 사용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처럼 전면 케이싱(153) 내에 인쇄회로기판조립체(182)가 마련되고, 인쇄회로기판조립체(182)가 타이머 모듈(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적용될 경우, 타이머 모듈(181) 외에도 예컨대, 라디오 모듈(radio modul)이 장치 하우징(150)의 일측에 더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타이머 모듈(181) 외에 만약, 라디오 모듈(radio modul)이 장치 하우징(150)의 일측에 더 마련될 경우, 음식 조리 시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150)의 밑면, 즉 하부 케이싱(152)에는 단말기 거치대(110)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거치대 보관부(154)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 보관부(154)는 하부 케이싱(152)의 일측에 홈 형태로 마련되는 거치대 보관용 포켓(154)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 보관부(154)는 도 7처럼 하부 케이싱(152)의 일측에 홈 형태로 마련되어 단말기 거치대(110)가 수용되면서 보관되는 거치대 보관용 포켓(154)일 수 있다. 물론, 거치대 보관부(154)가 반드시 포켓 타입일 필요는 없으므로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때는 도 1 내지 도 6처럼 단말기 거치대(110)를 장치 하우징(150)의 외측으로 노출시켜 사용하면 되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7처럼 단말기 거치대(110)를 접어 거치대 보관용 포켓(154)에 수용시키면 된다. 이럴 경우,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실수로 단말기 거치대(110)가 가압되어 부러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의 각도 가변부(161)로 인해 단말기 거치대(110)는 쉽게 접힐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 거치대(110)는 도 1 및 도 2처럼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거치대(110)는 봉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도 7처럼 거치대 보관용 포켓(154)에 수용되어 보관되기도 좋다. 도 7과 같은 보관 상태에서 단말기 거치대(110)를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 거치대(110)의 단부에는 조작홈(133)이 형성된다. 조작홈(133)은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홈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거치대(110)는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121)를 구비하는 고정 거치대(120)와, 제1 지지부재(121)와 쌍으로 작용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122)를 구비하는 이동 거치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쌍으로 작용하는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파지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만 휴대 단말기에 스크래치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된다. 이때,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는 대칭적으로 배치되는데, 안쪽보다 바깥쪽의 두께가 두껍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좀 더 견고하게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에 거치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소위, 스마트폰이라 하여 통신이 주요 기능으로 탑재되는 단말기를 비롯하여 패드(pad) 혹은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 모두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 단말기가 모두가 적용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10)에는 거치대 구동부(140)가 더 마련된다.
거치대 구동부(140)는 고정 거치대(120)와 이동 거치대(130)에 마련되며, 제1 지지부재(121)와 상기 제2 지지부재(122)가 접근되도록 이동 거치대(13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치대 구동부(140)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거치대(120)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고정 브래킷(141)과, 고정 거치대(120) 내에서 이동 거치대(130)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2 고정 브래킷(142)과, 제1 고정 브래킷(141)과 제2 고정 브래킷(142)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가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3)는 비틀림 코일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이동 거치대(130)를 잡고 위치 고정된 제1 지지부재(121)에 대하여 제2 지지부재(122)를 이격시키면 탄성부재(143)가 늘어나면서 이동 거치대(130)가 이동되는데,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 사이에 배치하고 이동 거치대(13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탄성부재(143)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지지부재(122)가 제1 지지부재(121) 족으로 접근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 사이에서 휴대 단말기가 탄성적으로 잘 파지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종전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의 경우, 마치 독서대와 같이 고정된 타입인 것이 대부분이라서 휴대 단말기 거치대 그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즉 사용자가 바라보는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키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에는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가 마련되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는 단말기 거치대(110)와 장치 하우징(150)에 마련되며, 단말기 거치대(110)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단말기 거치대(1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단말기 거치대(110)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를 이용하여 단말기 거치대(110)의 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키게 되면 여러 위치에서 휴대 단말기의 액정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장치 하우징(150)은 제위치에 그대로 배치된 상태에서 단말기 거치대(110)의 위치만을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는 각도 가변부(161)와, 거치대 회전모듈(163)을 포함할 수 있다.
각도 가변부(161)는 단말기 거치대(110)와 장치 하우징(150)에 마련되며, 장치 하우징(150)에 대하여 단말기 거치대(11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도 가변부(161)에 의해 단말기 거치대(110)의 각도를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액정을 주시하는 각도를 잘 맞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명한 화면을 즐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도 가변부(161)로 인해 단말기 거치대(110)가 접힐 수 있기 때문에 도 7처럼 단말기 거치대(110)를 완전히 접어 거치대 보관용 포켓(154)에 보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도 가변부(161)는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150)에 결합되는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161a)와, 단말기 거치대(110)에 연결되는 거치대 연결부재(161b)와, 거치대 연결부재(161b)와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161a)에 연결되어 거치대 연결부재(161b)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161c)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161a)는 한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사이에 거치대 연결부재(161b)가 배치된 후, 회전축부(161c)가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161a) 및 거치대 연결부재(161b)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단말기 거치대(110)의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다.
거치대 회전모듈(163)은 단말기 거치대(110)와 연결되고 단말기 거치대(1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거치대 회전모듈(163)은 예컨대, 베어링 구조로 적용될 수 있는데, 각도 가변부(161)의 거치대 연결부재(161b)와 직결될 수 있다. 거치대 회전모듈(163)이 적용됨으로써 자신의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의 액정을 회전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처럼 탄성 클램프(170)를 이용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를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S)에 마련되는 설치벽(W)에 클램핑시킨다.
그리고는 도 8처럼 단말기 거치대(110)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킨다. 즉 이동 거치대(130)를 잡고 위치 고정된 제1 지지부재(121)에 대하여 제2 지지부재(122)를 이격시킨다. 그러면 탄성부재(143)가 늘어나면서 이동 거치대(130)가 이동되는데,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 사이에 배치하고 이동 거치대(13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탄성부재(143)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지지부재(122)가 제1 지지부재(121) 족으로 접근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 사이에서 휴대 단말기가 탄성적으로 잘 파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110)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인터넷을 검색할 수 있는데, 만약 각도가 맞지 않는 경우라면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의 각도 가변부(161)나 거치대 회전모듈(163)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액정을 원하는 위치로 맞춰두고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인터넷을 검색하면 된다.
만약,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거치대 위치 가변부(160)의 각도 가변부(161)를 이용해서 도 7처럼 단말기 거치대(110)를 접어 거치대 보관용 포켓(154)에 수용시키면 된다. 이럴 경우,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실수로 단말기 거치대(110)가 가압되어 부러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바라보는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110)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10 : 단말기 거치대
120 : 고정 거치대 121 : 제1 지지부재
130 : 이동 거치대 131 : 제2 지지부재
133 : 조작홈 140 : 거치대 구동부
141 : 제1 고정 브래킷 142 : 제2 고정 브래킷
143 : 탄성부재 150 : 장치 하우징
151 : 상부 케이싱 152 : 하부 케이싱
153 : 전면 케이싱 154 : 거치대 보관용 포켓
155 : 자리배치부 160 : 거치대 위치 가변부
161 : 각도 가변부 161a :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
161b : 거치대 연결부재 161c : 거치대 연결부재
163 : 거치대 회전모듈 170 : 탄성 클램프
171 : 보강판 172 : 나사 보스
181 : 타이머 모듈 182 : 인쇄회로기판조립체
183 : 교체형 배터리

Claims (14)

  1.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지지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거치대 보관부를 구비하는 장치 하우징;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상기 장치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액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거치대 위치 가변부; 및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을 설치벽에 클램핑시키는 탄성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거치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쌍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이동 거치대; 및
    상기 고정 거치대와 상기 이동 거치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접근되도록 상기 이동 거치대를 구동시키는 거치대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 위치 가변부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상기 장치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가변부;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거치대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 가변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연결되는 거치대 연결부재; 및
    상기 거치대 연결부재와 상기 각도 가변용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 연결부재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 보관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일측에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수용되면서 보관되는 거치대 보관용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구동부는,
    상기 고정 거치대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거치대 내에서 상기 이동 거치대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2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안쪽보다 바깥쪽의 두께가 두껍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탄성 클램프가 자리배치되는 자리배치부가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 클램프와 결합되어 상기 탄성 클램프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보강판이 마련되며,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탄성 클램프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다수의 나사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부 케이싱;
    부품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일측에는 타이머(timer) 설정을 위한 타이머 모듈이 마련되며,
    상기 타이머 모듈은 상기 장치 하우징 내면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조립체(PCB, Printed Circuit Boar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조립체는 교체형 배터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봉 타입으로 마련되되 단부에는 조작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은 주방 싱크대의 상부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1020160052092A 2016-04-28 2016-04-28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10188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92A KR101888037B1 (ko) 2016-04-28 2016-04-28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92A KR101888037B1 (ko) 2016-04-28 2016-04-28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11A KR20170123011A (ko) 2017-11-07
KR101888037B1 true KR101888037B1 (ko) 2018-08-13

Family

ID=6038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092A KR101888037B1 (ko) 2016-04-28 2016-04-28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81B1 (ko) * 2018-05-02 2020-03-30 이종곤 다용도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56822U (zh) * 2012-11-13 2013-04-03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手机支撑支架
KR101565833B1 (ko) * 2015-04-03 2015-11-05 톤 레이아웃 엘엘씨 휴대기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678A (ko) 2003-12-05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KR20120005428U (ko) * 2011-01-18 2012-07-26 신우균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KR20120008514U (ko) 2011-06-02 2012-12-12 박경진 자동차용 방충망
KR101563058B1 (ko) * 2013-11-08 2015-10-23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56822U (zh) * 2012-11-13 2013-04-03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手机支撑支架
KR101565833B1 (ko) * 2015-04-03 2015-11-05 톤 레이아웃 엘엘씨 휴대기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11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2088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варианты)
US7551220B2 (en) Imag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with dual-operated switch depending upon orientation of the device
JP5841456B2 (ja) クレードル装置
US992161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er
US7267312B2 (en) Display apparatus
US8899537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100259876A1 (en) Stand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8979040B2 (en) Supporting device
GB2430872A (en) Magnetic support stand
KR101236390B1 (ko) 정보처리장치
US20200003360A1 (en) Foldable supporting device
US8605431B2 (en) Support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CN101750710B (zh)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KR101888037B1 (ko)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US5113360A (en) Portable apparatus with a structure to secure a printed circuit board to a base unit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20110105706A (ko) 휴대형 전자장치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140082546A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구비한 책상
CN108735925A (zh) 电子装置
JP2007123347A (ja) 電子機器の支持具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573037B1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CN219367358U (zh) 一种学习机
CN219473262U (zh) 自带支架的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