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706A - 휴대형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706A
KR20110105706A KR1020110015667A KR20110015667A KR20110105706A KR 20110105706 A KR20110105706 A KR 20110105706A KR 1020110015667 A KR1020110015667 A KR 1020110015667A KR 20110015667 A KR20110015667 A KR 20110015667A KR 20110105706 A KR20110105706 A KR 2011010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ase
operation side
elastic member
displ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쿤-찬 우
워이-싼 후
Original Assignee
에프 아이 에이치 (홍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아이 에이치 (홍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프 아이 에이치 (홍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위편이 장착되어 있는 조작측 케이스와, 슬라이드수단과, 슬라이드수단을 통해 조작측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중첩설치되어 있는 표시측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슬라이드수단은, 연결편과,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연결편의 일단은 표시측 케이스의 하나의 장변에 결합되고, 연결편의 타단은 탄성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탄성부재의 타단은 조작측 케이스에 결합되고, 지지부재의 일단은 표시측 케이스의 다른 하나의 장변에 대응되는 조작측 케이스에 결합되며, 지지부재의 타단은 표시측 케이스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표시측 케이스가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되면, 연결편은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개방된다.

Description

휴대형 전자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식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市販)되고 있는 휴대형 전자장치는, 일반적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드될 수 있는 표시측 케이스 및 조작측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측 케이스를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휴대형 전자장치의 용도가 다양화되고 있어 휴대형 전자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검색, 동영상 재생, TV방송, 각종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는, 표시측 케이스와 조작측 케이스가 단지 직선적으로 슬라이드될뿐, 표시스크린의 각도를 키보드에 대해 조정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청각도를 제공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표시측 케이스가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되는 한편 경사지게 개방되는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위편(定位片)이 장착되어 있는 조작측 케이스와,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통해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중첩설치되어 있는 표시측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연결편(連結片)과,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편의 일단은 상기 표시측 케이스의 하나의 장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편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정위편과 상기 조작측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표시측 케이스의 다른 하나의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표시측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표시측 케이스가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되면, 상기 연결편은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를 만곡시켜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력을 축적하고, 상기 표시측 케이스는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는, 표시측 케이스가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일어서므로, 사용자는 상기 표시측 케이스의 표시스크린에 표시된 정보를 쉽게 열람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우수한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표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형 전자장치의 표시측 케이스를 절단한 표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형 전자장치의 개방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휴대폰, 개인휴대정보단말(PDA)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폰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조작측 케이스(10)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중첩설치되는 표시측 케이스(20)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와 상기 표시측 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수단은(30)은 연결편(32)과, 제1회전축(34)과, 지지부재(36)와, 2개의 제2회전축(38)과, 2개의 탄성부재(39)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와 상기 표시측 케이스(20)는 상기 슬라이드수단(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표시측 케이스(20)는, 상기 슬라이드수단(30)을 통해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대해 경사지게 일어설 수 있다.
상기 조작측 케이스(10)는, 베이스부재(12)와,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커버고정되는 커버부재(14)와, 상기 커버부재(14)에 고정되는 정위편(定位片, 16)과, 상기 정위편(16)을 상기 커버부재(14)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개의 나사(18)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2)의 상기 커버부재(14)에 대면하는 표면에 있어서의 하나의 장변(長邊) 측에는 회전허용홈(1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허용홈(122)은, 절단면(切斷面)이 반원모양인 가늘고 길쭉한 홈(1222) 및 이 길쭉한 홈(1222)의 양단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재(36)를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2개의 수용홈(1224)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14)는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에 대면하는 상부 표면(142)을 갖는다. 상기 상부 표면(142)에는, 상기 휴대폰(100)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버튼(1422)과, 상기 지지부재(36)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슬롯(1424)과, 상기 탄성부재(39)의 일단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홀(14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슬롯(1424)은, 상기 베이스부재(12)의 길쭉한 홈(1222)이 설치되어 있는 장변 측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재(14)의 장변 측에 대칭으로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재(15)의 측변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조작버튼(1422)은 상기 커버부재(14)의 다른 장변 측에 접근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홀(1426)은 상기 조작버튼(1422)과 상기 슬롯(142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위편(16)에는 상기 커버부재(14)의 복수개의 제1고정홀(1426)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홀(16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표시측 케이스(20)는 하부케이스(22) 및 이 하부케이스(22)에 커버고정되는 상부케이스(24)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상기 커버부재(14)에 대면하는 표면에는, 2개의 링(ring)모양부(222), 2개의 장착부(224) 및 2개의 관통부(2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모양부(222)는, 상기 조작버튼(1422)이 설치되어 있는 장변 측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장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34)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2개의 장착부(224)는 각각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단변 측에 근접하도록 돌설되되, 상기 지지부재(36)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장착부(224)는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의 돌기편(2242)을 구비한다. 각 돌기편(2242)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에는 상기 제2회전축(38)을 설치하기 위한 제1회전홀(2244)이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226)는 상기 장착부(224)의 2개의 돌기편(2242) 사이에 개설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4)의 상기 하부케이스(22)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에는 표시스크린(2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32)은 축통(軸筒, 322) 및 상기 축통(32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판모양부(324)를 포함한다. 상기 판모양부(324)에는 상기 탄성부재(39)의 타단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제2고정홀(3242)이 개설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6)는 원주모양의 연결대(362) 및 상기 연결대(362)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연결암(connecting arm, 36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362)를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의 길쭉한 홈(1222)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6)를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결합한다. 각 연결암(364)의 자유단에는 그들을 관통하는 제2회전홀(3642)이 개설되어 있다. 상기 연결암(364)의 자유단을,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의 관통부(226)에, 상기 제1회전홀(2244)과 상기 제2회전홀(3642)의 축심이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해서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암(364)의 제2회전홀(3642) 및 상기 돌기편(2242)의 제1회전홀(2244)에 상기 제2회전축(38)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연결암(364)의 자유단을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암(364)과 상기 연결대(362)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362)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암(364)의 타단(상기 연결대(362)에 고정된 단부)이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탄성부재(39)는 선모양의 탄성재로서, 대략 「V」자 모양의 하나의 제1변형부분(392)과, 상기 제1변형부분(392)의 양단에 각각 외측으로 연신되는 2개의 만곡부분(394)과, 각각 상기 2개의 만곡부분(394)의 단부에 연접되어 있는 대략 「U」자 모양의 2개의 제2변형부분(396)과, 2개의 코일모양부(398)와, 2개의 장착부(399)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제2변형부분(396)은 상기 제1변형부분(392)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모양부(398)는, 폐쇄되지 않은 링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2변형부분(396)의 말단으로부터 연신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339)는 상기 코일모양부(39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339)는 나사이다.
이하,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100)의 조립절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지지부재(36)의 연결대(362) 및 상기 연결암(364)과 상기 연결대(364)의 접속부위를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12)의 회전허용부(122)의 길쭉한 홈(1222) 및 상기 회전허용부(122)의 수용홈(1224)에 수납한다. 그 다음에, 상기 연결암(364)이 상기 커버부재(14)의 슬롯(1424)을 통과하도록 상기 커버부재(14)를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커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6)를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각 탄성부재(39)의 하나의 장착부(399)를 상기 연결편(32)의 제2고정홀(3242)에 결합시키고, 각 탄성부재(39)의 다른 하나의 장착부(399)를 상기 커버부재(14)의 제1고정홀(1426)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정위편(16)을 상기 탄성부재(39) 위에 커버시킨 다음, 상기 나사(18)를 상기 정위편(16)의 관통홀(162) 및 상기 커버부재(14)의 제2고정홀(1426)에 삽입시키고, 상기 정위편(16)을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39)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와 상기 표시측 케이스(20) 사이에서 수직방향(상기 휴대폰(100)의 두께방향)으로 편이(偏移)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편(32)의 축통(322)과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링모양부(222)를, 그들의 축심이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제1회전축(34)을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링모양부(222) 및 상기 연결편(32)의 축통(322)에 삽입시킨다. 이 때, 상기 제1회전축(34)의 양단은 각각 상기 링모양부(22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22)는 상기 제1회전축(34)을 축으로 하여 상기 연결편(3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2)를 상기 연결편(32)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탄성부재(39)를 압축한 다음, 상기 지지부재(36)의 2개의 연결암(364)을 상기 하부케이스(22)의 2개의 관통부(226)에 각각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38)을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제1회전홀(2244) 및 상기 연결암(364)의 제2회전홀(3642)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연결암(364)의 자유단을 상기 하부케이스(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부케이스(24)를 상기 하부케이스(22)에 커버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휴대폰(100)의 조립을 완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10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의 상기 조작버튼(1422)이 설치되어 있는 일단을 추진(推進)시켜 상기 표시측 케이스(20)를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표시측 케이스(20)는 상기 지지부재(36)의 연결암(364)을 연동시킨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36)는 상기 연결대(362)를 축으로 하여 상기 조작측 케이스(12)에 대해 회전된다.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판(32)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의 상부 표면(142)을 따라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39)를 압축시켜 상기 탄성부재(39)에 탄성력을 축적(蓄積)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9)의 2개의 제2변형부분(396)의 개구부(開口部)는, 서로 마주하여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제1변형부분(392)의 양변을 연동시켜 마주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킨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6)는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의 슬라이드에 따라 회전된다. 즉, 상기 연결대(362)는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의 길쭉한 홈(1222) 내에서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연결암(364)의 자유단은 상기 제2회전축(38)을 축으로 하여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의 상기 연결편(32)에 결합되지 않은 타단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대해 서서히 일어서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표시스크린(242)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대해 경사지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9)의 4개의 장착부(399)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할 때, 상기 탄성부재(39)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제일 커진다. 계속하여 상기 표시측 케이스(20)를 더 추진시키면, 상기 탄성부재(39)의 탄성력이 해방되어 상기 표시측 케이스(20)가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대해 자동적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경사지게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측 케이스(20)의 상기 연결편(32)에 결합된 일단은 자동적으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상기 연결편(32)이 상기 정위편(16)에 당접되면, 상기 표시측 케이스(20)는 상기 조작측 케이스(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정지되고, 상기 표시스크린(242)은 소망하는 경사각도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100)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재(39)의 수량이 2개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상기 탄성부재(39)의 수량은 2개로만 한정되지 않고 하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폰 10 --- 조작측 케이스
12 --- 베이스부재 122 --- 회전허용부
1222 --- 길쭉한 홈 1224 --- 수용홈
14 --- 커버부재 142 --- 상부 표면
1422 --- 조작버튼 1424 --- 슬롯
1426 --- 제1고정홀 16 --- 정위편
162 --- 관통홀 18 --- 나사
20 --- 표시측 케이스 22 --- 하부케이스
222 --- 링모양부 224 --- 장착부
2242 --- 돌기편 2244 --- 제1회전홀
226 --- 관통부 24 --- 상부케이스
242 --- 표시스크린 30 --- 슬라이드수단
32 --- 연결편 322 --- 축통
324 --- 판모양부 3242 --- 제2고정홀
34 --- 제1회전축 36 --- 지지부재
362 --- 연결대 364 --- 연결암
3642 --- 제2회전홀 38 --- 제2회전축
39 --- 탄성부재 392 --- 제1변형부분
394 --- 만곡단 396 --- 제2변형부분
398 --- 코일모양부 399 --- 장착부

Claims (5)

  1. 정위편이 장착되어 있는 조작측 케이스와,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통해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중첩설치되어 있는 표시측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연결편과,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편의 일단은 상기 표시측 케이스의 하나의 장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편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정위편과 상기 조작측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표시측 케이스의 다른 하나의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표시측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표시측 케이스가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되면, 상기 연결편은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를 만곡시켜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력을 축적하고, 상기 표시측 케이스는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제1회전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편은 상기 제1회전축을 통해 상기 표시측 케이스의 하나의 장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연결암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측 케이스에는 회전허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회전허용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암의 자유단은 상기 표시측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2개의 제2회전축을 더 구비하고,
    각 연결암의 자유단은 상기 제2회전축을 통해 상기 표시측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1변형부분과, 상기 제1변형부분의 양단에 외측으로 연신되는 2개의 제2변형부분과, 각 제2변형부분의 말단에 설치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각각 상기 연결편 및 조작측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1020110015667A 2010-03-19 2011-02-22 휴대형 전자장치 KR201101057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127314.X 2010-03-19
CN201010127314.XA CN102196699B (zh) 2010-03-19 2010-03-19 便携式电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06A true KR20110105706A (ko) 2011-09-27

Family

ID=4460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667A KR20110105706A (ko) 2010-03-19 2011-02-22 휴대형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89706B2 (ko)
JP (1) JP2011199835A (ko)
KR (1) KR20110105706A (ko)
CN (1) CN1021966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6696B (zh) * 2010-03-05 2015-01-14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翘起结构及应用该翘起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TWM398741U (en) * 2010-07-28 2011-02-21 Hon Hai Prec Ind Co Ltd Slidable electronic device
CN102548298A (zh) * 2010-12-31 2012-07-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模组及具有该滑动模组的电子装置
KR102532574B1 (ko) * 2016-10-04 202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절부가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7900B2 (ja) * 2003-08-18 2009-11-04 加藤電機株式会社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KR100675734B1 (ko) * 2006-04-04 2007-01-30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TWI327264B (en) * 2007-01-19 2010-07-11 Asustek Comp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077854B2 (en) * 2007-03-22 2011-12-13 Htc Corporation Protectio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969192B1 (ko) * 2009-12-08 2010-07-09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실리콘 일체형 휴대용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96699B (zh) 2015-02-11
JP2011199835A (ja) 2011-10-06
US8289706B2 (en) 2012-10-16
US20110228452A1 (en) 2011-09-22
CN102196699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1456B2 (ja) クレードル装置
US825410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70160B2 (en) Rot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353083B2 (en) Tilt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WO2009054686A2 (en) Stand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20110079536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US20120170188A1 (en) Enclosure of electronic device
KR20100094148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20110105706A (ko) 휴대형 전자장치
US8422213B2 (en) Slider electronic device
US8423099B2 (en) Rot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11139420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JP2011147099A (ja) 携帯式電子装置
US8164890B2 (en)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63310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US8255021B2 (en) Rot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10079535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KR10102349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110079559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KR20110079534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US8332001B2 (en) Slid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1146025A (ja) 携帯式電子装置
KR20110079533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KR20110083553A (ko) 휴대형 전자장치
KR20110101052A (ko) 틸팅기구 및 이것을 사용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