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009Y1 - 자동차용 메모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메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009Y1
KR950006009Y1 KR2019930024445U KR930024445U KR950006009Y1 KR 950006009 Y1 KR950006009 Y1 KR 950006009Y1 KR 2019930024445 U KR2019930024445 U KR 2019930024445U KR 930024445 U KR930024445 U KR 930024445U KR 950006009 Y1 KR950006009 Y1 KR 950006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board
panel
door pane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46U (ko
Inventor
양시경
Original Assignee
양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시경 filed Critical 양시경
Priority to KR2019930024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009Y1/ko
Publication of KR950013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메모구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메모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메모구를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메모구의 도어판넬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메모구의 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모보드 1, 5a, 7a : 메모보드
1a : 홈 3 : 지지부재
3a : 요부 3b : 레일
3c : 스토퍼 5, 7 : 도어판넬
9 : 연결부재 10 : 메모판넬
11a : 돌출부 11 : 보드클린너
13 : 보드펜 30 : 흡착부재
31 : 흡착판 51 : 요입홈
52 : 돌기 53 : 절개부
54 : 걸림 부재 71 : 걸림구
본 고안은 자동차용 매모구(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이트 판넬을 적용하여 기록 및 삭제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메모지가 필요하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메모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 꼭 필요한 것만을 설계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운행상 필요하지 않는 악세사리용품 등은 설계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서 차내에 메모지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차내에는 메모지를 보관할 수 있는 메모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모함을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또는 콘솔 박스위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메모함을 크러쉬 패드 또는 콘 솔 박스 위에 올려 놓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급제동, 급출발시 자동차의 바닥으로 떨어지기 쉽고, 상기와 같이 메모함이 떨어질 경우에는 그 내부에 보관된 메모지가 흩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 민국 실용실안 공개공보 제 93-8613 호에는 자동차용 메모함이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자동차용 메모함은 일측에 펜 꽂이가 형성되고 메모지가 수납되는 메모지함과 상기 메모지함에 절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일측으로 흡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절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고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메모함은 메모지를 수납 및 저장하는 메모지함을 마련하고, 이를 자동차의 전면유리나 크러쉬 패드에 부착시키는 흡착수단을 구비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어느정도 극복하고 있으나, 여전히 메모지를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즉 상기한 메모함은 흡착 불량에 따른 진동 및 급제동, 급출발에 의한 상기 메모함의 낙하시, 여전히 메모지가 흩어지는 등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함은 메모지를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에, 이를 갈아 끼워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메모함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이에 맞는 크기의메모지를 구입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상기한 메모함은 정차 혹은 주행시 메모를 할 경우에, 상기 메모지가 접히거나 구겨짐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유동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을 동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모지의 사용에 따른 제반 문제점 즉, 상기 메모지의 교환이나 메모시의 유동 등을 해소함과 아울러, 기록 및 삭제가 자유롭도록 한 자동차용 메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은 메모 및 기록의 삭제가 자유롭도록 메모 보드를 마련하고, 이를 지지부재를 개재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에서 돌출형성된 연결부재를 일측에 흡착판이 설치된 흡착부재의 타측에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므로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메모구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별도의 메모 보드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 판넬이, 여닫이 가능하도록 수납 및 슬라이딩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어 판넬에는 보도 펜과 보드 클리너를 장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메모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1 은 메모 보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메모 보드(1)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상부재로서, 통상의 보드 클리너에 의해 용이하게 지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메모 보드(1)는 대략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의 상측 개구 내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메모 판넬(1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메모 판넬(10)은 양측변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게 되는데, 상기 중공부에는 도어 판넬(5, 7)이 여닫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모 판넬(10)의 지지부재(3) 상단 중앙부에는 요부(3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요부(3a)는 도어 판넬(5, 7)의 개폐시, 사용자가 상기 도어 판넬(5, 7)을 잡아서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 판넬(5, 7)은 상기 메모 보드(1)와 마찬가지로 메모 및 기록의 삭제가 가능한 별도의 메모 보드(5a, 7a)를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메모 보드(5a, 7a)는 상기 지지부재(3)의 내측에 형성된 레일(제 2 도 참조)을 따라 슬라이딩 결함되어 있다.
여기서, 하측에 위치되는 도어 판넬(7)에는 걸림턱(7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메모 판넬(10)과의 결착 즉, 닫힌 상태에서의 견고한 결합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판넬(5)에 해당하는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모 판넬(10)과의 긴밀한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판넬(7)은 닫힘시 마찰력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진다.
상기 도어 판넬(5)의 측면부에는 보드 클리너(11)가 부착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도어 판넬(5)에 형성된 요입홈(51)과 상기 보드 클리너(11)에 형성된 돌출부(11a)의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드 클리너(11)는 통상 전면부에 직물 재질의 클리너 천(11b)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메모 보드(1, 5a, 7a)에 기록된 내용을 지우게 된다.
한편, 상기 보드 클리너(11)와 도어 판넬(5)의 결합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 파스너(도시 생략)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한 도어 판넬(7)의 측면부에는 보드 펜(13)이 장착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도어 판넬(7)에 적어도 2개의 펜 걸이구(71)를 형성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드 펜(13)와 도어 판넬(7)의 결합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펜 걸이구의 형상은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한 메모 판넬(10)의 전측변에는 연결부재(9)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연결부재(9)는 힌지부(91)를 개재하여 후술하는 흡착부재(30)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흡착부재(30)는 상기 연결부재(9)를 양측에서 감싸며 힌지부(91)가 결합되는 러그(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흡착부재(30)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흡착부재(30)는 상기 연결부재(9)를 양측에서 감싸며, 힌지부(91)가 결합되는 러그(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흡착부재(30)의 몸체 내부에는 중공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흡착판(31)을 구비한 고정수단(33)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수단(33)은 공지의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흡착판(31)을 원하는 부위에 접촉시킨 후, 흡착구(34)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흡착판(31)의 중심부가 상기 흡착구(34)쪽으로 끌려 올라 가면서, 상기 흡착판(31)과 그 대응하는 접촉부와의 사이에 진공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서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흡착구(3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흡착판(31)의 진공 상태가 해제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메모구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제 1 도와 마찬가지로 도면 부호 1은 메모 보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메모 보드(1)는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의 지지부재(3) 내측에 수납된 채로, 그 개구 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3)의 양측(도면의 좌, 우측) 내측면에는 레일(3b)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상기 도어 판넬(5, 7)의 슬라이딩 결합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한 도어 판넬(5, 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의 내측에 상기 레일(3b)을 경계로 하여, 적층구조로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도어 판넬(5)은 상기 메모 판넬(10)과의 결착 즉, 닫힘상태에서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선단의 대략 중심부 상측에 돌기(52; 제 3 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메모 보드(1)의 저면에 형성된 홈(1a)에 대응 결합되어, 상기 도어 판넬(5)의 닫힘시 이를 저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메모 판넬(10)의 저면에는 완충부재(15)가 부착되어 있는 바, 이는 통상 스폰지로 된 판상부재로서 차량의 주행시 그 진동에 의한 접촉부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 3 도는 상기한 메모구의 도어 판넬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5는 도어 판넬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어 판넬(5)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평판상의 메모 보드(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모 보드(5a)의 선단 중앙부 상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 보드(1)의 저면에 형성된 홈(1a)과 대응되는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돌기(52)의 양측에는 절개부(53)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돌기(52)와 홈(1a)의 착탈시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련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메모 보드(5a)의 선단 양측에는, 절개부(53a)에 의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부재(54)가 마련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메모 보드(5a)의 열림시 상기 지지부재(3)이 내측 측면에 형성된 스토퍼(3c)에 지지되어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반면, 상기한 걸림부재(54)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걸림부재(54)와 스토퍼(3c)는 상기 도어 판넬(5)에 대항하는 도어 판넬(7)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한 도어 판넬(5) 측면부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요입홈(5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요입홈(51)에는 상기 보드 클리너(11)의 돌출부(11a)가 삽입되어 진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메모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메모구는 흡착부재(30)에 형성된 흡착판(31)을 자동차의 전면유리(17) 혹은 크러쉬 패드(19)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흡착판(31)을 부착 대상인 전면유리(17)에 고정시키게 되면, 메모판넬(10)의 저면은 크러쉬 패드(19)의 상면에 올려진 채로,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상기 메모구를 흡착시킨 후, 필요에 따라 일측 도어 판넬에 부착된 보드 펜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편리하게 메모가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타측 도어 판넬에 부착된 보드 클리너를 이용하여 기록의 삭제 및 변경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흡착판(31)은 크러쉬 패드(19)에 직접부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메모구의 고정위치는 상기와 같은 전면유리 혹은 크러쉬 패드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면 자동차 실내의 어느 곳이나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위한 자동차용 메모구는, 종래의 메모지를 대체하는 메모 보드를 개재하므로서, 메모 및 기록의 삭제, 변경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메모지를 사용함으로서 발생하였던 번거로움 즉, 메모지의 교환이나 메모시 종이가 구겨지거나 접히는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메모구는 합성수지 재질의 메모 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자주 이용하는 자동차 서비스 센타나, 보험회사, 자동차 검사일 등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인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서비스 센타나 보험회사 등의 광고용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메모구는 메모 판넬의 내측으로 여닫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도어 판넬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의 생일이나 제사 등 사생활에 관한 내용을 기록 및 보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메모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메모 및 기록의 삭제가 용이한 메모 보드(1)를 마련하고, 상기 메모보드(1)를 지지부재(3)의 개구 내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메모 판넬(10)을 구성하며; 상기 메모 판넬(10)이 양측변에 형성된 중공부에, 그 내측으로 수납되는 별도의 메모 보드(5a, 7a)를 갖는 도어 판넬(5, 7)을 여닫이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상기 메모 판넬(10)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9)를 일측에 흡착판(31)이 설치된 흡착부재(30)의 타측에 힌지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3)는, 상측에 개구가 형성된 대략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판넬(5, 7)과 접촉되는 상측 중앙부에 적정 깊이로 형성된 요부(3a)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측벽에는 상기 도어 판넬(5, 7)의 메모 보드(5a, 7a)를 가이드 하는 레일(3b)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 판넬(5)의 측면에는 요입홈(51)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11a)을 구비한 보드 클리너(11)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 판넬(7)의 측면에는 보드 펜(13)이 장착되는 걸림구(7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 판넬(5)의 메모 보드(5a)에는 절개부(53)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메모 보드(1)의 저면에 형성된 홈(1a)에 삽입되는 돌기(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모구.
  6.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 판넬(5, 7)의 메모 보드(5a, 7a)의 선단 양측에는, 메모 판넬(10)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3c)에 의해 저지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재(5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모구.
KR2019930024445U 1993-11-19 1993-11-19 자동차용 메모구 KR950006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445U KR950006009Y1 (ko) 1993-11-19 1993-11-19 자동차용 메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445U KR950006009Y1 (ko) 1993-11-19 1993-11-19 자동차용 메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46U KR950013946U (ko) 1995-06-16
KR950006009Y1 true KR950006009Y1 (ko) 1995-07-26

Family

ID=1936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445U KR950006009Y1 (ko) 1993-11-19 1993-11-19 자동차용 메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0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52Y1 (ko) * 2000-02-02 2000-07-15 고명진 뺏지를 이용한 메모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46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7593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ー
KR950006009Y1 (ko) 자동차용 메모구
KR200411701Y1 (ko) 자동차 도어의 서랍식 맵포켓
KR100350527B1 (ko) 차량의 키보드 설치 구조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S5842197Y2 (ja) 車両用格納式テ−ブル
JP2910827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4025857B2 (ja) 車両用テーブル
KR200151636Y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KR940007364Y1 (ko) 자동차용 표시판
KR200404898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380384B1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KR100377158B1 (ko) 자동차용 소품 보관겸 컵 홀더
KR100704103B1 (ko) 수납구가 형성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2573789Y2 (ja) 車両用容器ホルダ
KR0116322Y1 (ko) 콘솔박스에서의 컵홀더구조
JPH061480Y2 (ja) 車両用書類ホルダ取付構造
KR0128793Y1 (ko) 수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20060007539A (ko) 자동차용 트레이 구조
KR200266014Y1 (ko) 자동차용 컴퓨터 시스템
KR200377573Y1 (ko) 자동차용 팔걸이기능을 구비한 컴팩트디스크 보관함
JPH0443390Y2 (ko)
JPS6122039Y2 (ko)
JPH0524593Y2 (ko)
KR19990031782U (ko) 자동차용 컵홀더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