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787B1 -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787B1
KR950005787B1 KR1019880700198A KR880700198A KR950005787B1 KR 950005787 B1 KR950005787 B1 KR 950005787B1 KR 1019880700198 A KR1019880700198 A KR 1019880700198A KR 880700198 A KR880700198 A KR 880700198A KR 950005787 B1 KR950005787 B1 KR 95000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assage
lance
lance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293A (ko
Inventor
윌리엄 베이츠 케니쓰
Original Assignee
인젝탈 리미티드
데맄 클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젝탈 리미티드, 데맄 클라크 filed Critical 인젝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87/000431 external-priority patent/WO1988000246A1/en
Publication of KR88070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장치의 단면도로서, 제2도의 I-I선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저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화살표 IV선 방향으로 본 본 발명의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장치에 장착된 송출파이프에 부착된 랜스헤드의 단면도.
제6도는제5도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도시된 랜스헤드의 우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9도는 내지 제11도는 제8도의 장치내에 설치된 송출파이프에 부착된 랜스헤드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용탕안으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쇠물과 같은 용융된 금속인 위험잠재성 액체안으로 가스 내지는 분말을 내포한 가스 혹은 일반적으로 가스를 동반한 고체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었는 바, 그중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제특허출원 제WO84-02147호는 용해된 금속안으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내용으로서 이에 관련된 참조문헌이 이 공보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또한 이 국제특허출원 제WO84-02147호와 유사한 본 발명도 쇳물독(Ladle)과 같은 용융격납용기의 벽을 통하여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벽은 용기의 저부 내지는 주로 측면에 놓여지게 되며, 이 장치는 상기 용기대에 설치되는 내화블럭을 갖추고 있는데 이 내화블럭에는 액체접촉 선단쪽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는 송출파이프내의 주입통로가 관통되어져 있으므로 주입이 시작되기 전, 이 통로로 주입되어지는 용해물을 막기 위하여 이 선단내에 일시적으로 위치한 통로차단요소를 제거하여 주입이 시작되어진다.
상기 통로차단요소를 제거하거나 파괴하는 방출에 의하여, 파이프는 방출파이프를 경유하여 전달된 물질을 용해물안으로 주입시키는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로차단요소가 통로의 선단으로부터 너무 빨리 제거된다면, 용해물은 이 용해물의 정압으로 인하여 통로로 신속하게 주입되어진다. 또한 다른 상태에서는 상기 용해물이 통로로부터 방출파이프로 유입될 때, 이 통로를 경유하여 용기로부터 용해물이 누출되어지는 위험스러운 일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해물이 통로를 주입되어 응고되어지므로서 이 통로를 밀봉하게 되어 용해물안으로 물질의 연속적인 주입이방해되어진다.
본 발명은 이같이 부주의한 설치 내지는 파이프의 조기전진으로 인한 통로 차단요소의 제거를 피하면서 이러한 부주의한 점들을 간단화하면서도 효과적인 방식으로 방지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액체저장용기의 벽을 통하여 액체안으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랜스조립체의 일부인 방출파이프와, 주입전에 설정된 준비위치에서 랜스조립체를 지지시키기 위한 멈춤부를 갖춘 장치의 고정부와 랜스조립체사이에 작용하는 저지구를 갖춘 위치수단을 갖추어 이루어진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실시예에 상기 저지구장치로 한정된 멈춤부는 상기 통로차단요소로부터 송출파이프의 방출선단을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시키어 상기 통로 차단요소와 접촉하는 파이프의 부주의한 변위를 방지하고, 상기 저지구는 설정된 전진력이 랜스조립체에 부주의하게 작용하게 될 때 이를 저지하되, 이때 이 힘은 수동으로 적용된 힘보다도 더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지구장치는 전진된 주입위치로부터 랜스조립체의 불필요한 후퇴나 돌출을 방지하는 제2스톱퍼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 저지구장치는 다른 한쪽의 인접부에 접촉하는 스프링하중요소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스프링하중요소는 인접부에 랜스조립체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장치의 고정부안에 내장되고, 더욱이 2개의 저지구가 랜스조립체에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다른 목적은, 주입전에 설정된 위치로 랜즈조립체를 유지시키는 멈춤부가 전단핀과 인접부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 인접부는 설정된 전진력이 조립체상에서 우연히 발휘될 때 주입위치로 전진되어진 랜스조립체에 따라 전단핀을 전단변형시키되, 이 핀을 전단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수동으로 적용된 힘보다도 더 크게 되어져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비틀림핀은 가동랜스조립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인접부는 장치의 고정부상에 있게 되며, 이 멈춤작용은 저지구장치와 마찬가지로 설정된 전진력이 적용되는 시간까지 통로차단요소로부터 이격된 방출파이프의 방출선단에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힌 바와 같이 상기 저지구장치는 전진된 주입위치로부터 랜즈조립체의 부주의한 변위를 방지하는 제2스톱퍼를 갖추고 있는 바, 일반적으로 주입이 시작되기전에 조립체의 갑작스러운 후퇴나 액체의 압력에 의한 돌출은 고온의 액체나 용해물이 용기로부터 방출되므로 매우 위험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틀링핀이 랜스조립체가 먼저 주입위치로 이동할 때 파괴되어지기 때문에 이 비틀림핀과 인접부는 주입이 시작된 후에 후퇴나 돌출을 방지하는 제2스톱퍼로서 작용하지 않게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제2스톱퍼는 장치의 고정부상에 있는 다른 인접부에 설치되고 이에 맞추어지는 인접부는 랜스조립체의 일부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랜스조립체는 상대적으로 다른쪽에 회전할 수 있는 몸체를 위하여 피봇보울트에 의해 서로 지지되는 1쌍의 구멍몸체로 구성된 랜스혜드부재를 갖추고 있는 바, 따라서 주입전과 주입하는 동안에 이 몸체는 이에 형성된 구멍들이 주입물의 통로로 방향을 잡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이 완료될 때 이 몸체는 피봇보울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른 몸체에 대하여 이 구멍이 이동하여 다른 몸체의 구멍과 맞추어지게 되어지므로써 주입이 신속히 끝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화된 기계작동을 갖추면서 적은 부품의 조립체로 되어있는 한편, 더욱이 본 발명은 랜스헤드가 양쪽에 구멍을 갖춘 2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는 바, 한쪽부품은 다른쪽 부품대에서 미끄러져 이다른 부품내에 형성된 구멍과 연결되는 구멍을 이동시켜서 주입을 끝내게 한다. 상기 미끄럼부가 이렇게 이동될 때 다른쪽 부품으로부터 돌출되어지게 되는데, 랜스조립체의 잠재위험의 돌출이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치의 고정부사이에 인접부와 협력하는 인접부를 설계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구조는 다음 설명에 의해서 간단하게 설치된다.
필연적으로 본 발명의 랜스헤드는 주입통로에 축방향으로 관통된 원통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원통부는 랜스파이프와 주입물공급관 사이에 한 장치로서 작용하게 되는데, 구멍플러그에 더 가깝게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는 급히 주입이 끝나도록 이동되어지며, 이동할 때에 상기 플러그는 랜스조립제의 후퇴와 돌출을 체크하도록 고정인접부와 상호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적합한 램은 랜스헤드의 일부가 축선회내지는 이동할 수 있도록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와 제8도에 도시된 주입장치(10)는 다양하게 사용되는 여러개의 주입통로(11)를갖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물리적으로 다른 물질이 용융금속과 같은 고온액체의 용탕에 동시 혹은 연속적으로 주입시켜지게 되는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4개의 주입통로(11)를 갖지만 필요에 따라 4개보다 적거나 많은 통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8개 내지 15개정도의 주입통로를 갖추도록 설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개의 주입통로를 갖는 것도 본 발명의 요지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 주입장치(10)는 상승된 온도로 인하여 잠재위험인 임의의 액체내에 반응물과 같은 물질을 안전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사용되어지지만, 특히 용융금속이나 합금액상의 야금공정 및 철야금공정에 이용되는 것으로 용융온도가 1600℃이상인 금속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장치의 기본원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입장치(10)는 쇠물독연 용기(13)의 측벅(12)이나 저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측벽(12)은 금속셀(14)과 절연내부라이닝(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주입장치(10)는 물질을 예컨대 용탕면의 1m 내지 그 아래수준으로 용기(13) 내에 담겨진 용탕속으로 깊게 주입시킬 수 있게 위치해 있게 된다.
상기 측벽(12)은 주입장치(10)가 장착되는 적당한 위치에 주입개구부(16)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주입개구부(16) 둘레에는 환상형의 아답터판(18)이 용접되어 부착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주입장치(10)가 이 아답터판(18)에 의하여 용기(13)에 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아답터판(18)에는 주입개구부(16)내부에 적당하게 내화노즐불럭(21)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환상형의 위치판(20)이 보울트로 체결되어 있으머, 이 내화노즐블럭(21)은 통상적으로 절연내부라이닝(15)의 개구부내에 부착되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내화노즐블럭(21)은 여러개의 분사노즐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여러개의 주입통로(11)가 관통되어 있는 바, 예컨대 4개의 주입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이 시작하기 전에, 상기 주입통로(11)는 그 내부가 차단요소(제8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용융면선단과 막혀져 있게 되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차단요소(22)는 주입통로(11) 대에 위치하게 되고, 이 통로차단요소(22)들은 상기 주입통로(11)를 가로질러 내화노즐블럭(21)의 선단면에 접합되어있다.
상기 롱로차단요소(22)는 적당한 대화물질로 만들어져서 주입이 시작할 때 상기 주입통로(11)로부터 방출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대화노즐블럭(21)에 끼워져 있게되는네, 이 통로차단요소(22)가 통로의 방출선단을 가로질러 접합되어질 때 이 접합은 상기 통로차단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약하게 접합되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통로차단요소도 약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한편 랜스조립체는 각각의 주입통로(11)와 연관되어 있는 바, 이 랜스조립체는 송출파이프(24)와 입구헤드(25)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자인 상기 송출파이프(24)는 주입통로(11)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 후자인 입구헤드(25)는 내화노즐블럭(21)의 바깥방항으로 배치되어져 있게 된다.
제8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랜스전진수단(26, 제1도에 도시되어 있음)은 주입을 시작하도록 통로차단요소(22)를 송출파이프(24)로 제거나 파손시키기 위하여 용기내부의 방향으로 힘을 가해 랜즈조립체를 전진시키게 설치되는 바, 이 랜즈전진수단(26)은 공압이나 유압적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송출파이프(24)는 합성금속/내화구조를 갖는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철이나 알루미늄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어져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원형덮개판(28)은 주입통로(11)의 구멍들과 연통된 구멍을 갖추어 위치판(20)에 분리할수 있게 체결되어져 있는데, 이 원형덮개판(28)은 상기 주입개구부(16)대에 위치한 내화노즐블럭(21)을 조인다.
그리고 이 원형덮개판(28)에는 위치핀(29)과 중앙너트(30)가 끼워 장착되어지는데, 상기 위치핀(29)은 너트(30)가 체결된 보울트(33)에 의해 원형덮개판(28)에 조리된 위치블럭(32)내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수납되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주입통로(11)가 설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블럭(32)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에 상대적으로 정열된 4개를 돌출부와 4개의 구멍(34)을 갖으며, 상기 위치블럭(32)의 구멍(34)은 연관판의 개구부와 주입통로(11)에 적합하게 연통되되 개구부보다는 더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형덮개판(28)의 조립에 있어서, 위치블럭(32)의 구멍(34)에는 입구헤드(25)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포킷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형상은 주입전후 및 진행중에 랜스조립체 위에서 적당하게 조절되어질 수 있는 부품의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각각의 돌출부의 선단이 부착된 위치블럭(32)에는 피봇핀(38)이 끼워지는 구멍을 갖춘 장착부재(40)가 설치되되, 상기 피봇된(38)에 의하여 랜스전진수단(26)이나 랜스클램프(40)는 위치블럭(32)에 교대로 축선회할 수 있게 체결되어지는 바, 이 랜스클램프(40)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 아니라 통상적인 공지의 기술이다.
이와 같은 랜스클램프(40)의 목적은 주입전후에 랜스조립체를 안전한 위치로 조이기 위함이다.
주입진행중에 상기 랜스클램프(40)는 장착부재(36)로부터 내려오고 랜스전진수단(26)이 이 클램프대신 이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주입장치(10)는 2개의 랜스클램프(40)와 2개의 랜스전진수단(26)를 가짐으로써 2개의 주입통로(11)를 통하여 동시나 혹은 순간 연속으로 주입이 완료되어 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3개의 랜스클램프와 1개의 랜스전진수단(26)을 갖추게 할 수도 있고, 이 랜스클램프(40)를 생략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유압램에 결합된 4개의 랜스전진수단(26)이 적당한 전후 주입위치내에서 모든 랜스조립체를 안전하게 죄도록 이동되어진다.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랜스클램프(40)은 랜스입구헤드를 지지하면서 이 위치에서 이를 지탱하는 2개의 아암(42)을 갖춘 강체의 클램프몸체(41)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동소절스크류(43)가 이랜스클램프(40)에 나사결합되어 장착부재(36)를 밀어부친다.
더욱이 상기 수동조절 수크류(43)의 조절이 피봇핀(38)을 기준으로 클램프 몸체(41)를 축선회시키어 입구헤드(25)를 누르는 아암(42)의 위치를 변경시키므로서, 상기 랜스클램프(40)는 랜스조립체를 선택된 위치로지탱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는데, 주입전에 이 선택된 위치는 후술하는 멈춤수단에 의하여 결정 되어진다. 상기 멈춤수단은 제3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후에 입구헤드(25)가 위치블럭(32) 내에 있는 구멍(34)에 형성된 포켓 저부내에 있을 때 이 멈춤수단의 위치는 랜스위치에 일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랜스전진수단(26)은 랜스가 입구헤드(25)를 지지하기 위하여 연장된 1쌍의 공간아암(46)을 갖춘 강체의 작동몸체(45)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유압램(48)의 몸체는 작동몸체(45)에 체결되어 장착부재(36)에 있는 인접부(50)에 접촉할 수 있도륵 전진되는 피스톤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압램(48)이 작동될 때 피스톤이 상기 인접부(50)를 밀게 되어 이 램몸체가 힘을 받게 되므로서, 상기 작동몸체(45)는 피봇핀(38)에 대하여 축선회하도록 힘을 받아 용기벽방향으로 공간아암(46)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유압램(48)이 적당하게 작용함에 따라 랜스전진수단(26)의 아암(46)이 주입선 위치에서 랜스조립체를 지탱할 수가 있게 되어 주입을 시작하도록 통로차단요소(22)를 파손하기 위하여 조립체를 전진시키고, 주입후 위치에서는 상기 랜스조립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와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입구헤드(25)는 영국특허 제1,171,186호와 국제특허로서 영국에 출원된 제87-001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바, 2개의 부분중 바깥부분은 주입을 빨리 끝내기 위하여 다른쪽 부분에 비하여 변위될 수 있으며, 이 변위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랜스전진수단(26)의 동일한 작동몸체(45)가 제2유압램(52)에 설치되므로써 피스톤은 랜스헤드의 바깥쪽부분에 대하여 견고하게 인접부(50)에 지지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몸체(45)와 2개의 유압랩(48, 52)을 단일구조체로 형성시키고 위치블럭(32)에 피봇핀(38)과 같은 단일부착물을 설치함으로써 여러가지 잇점을 얻는 바, 즉 주입후에 송출파이프와 내화노즐블럭(21)을 차례로 변위시키어야 하는데 단일구조체의 준비된 조립 및 분해는 최소화로 분리되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더욱이 본 발명장치는 하나의 주입위치로부터 단일구조체를 쉽게 제거하여 다른 주입위치로 신속히 위치변경할 뿐만 아니라 주입장치(10)의 간단한 랜스클램프를 교대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각각의 위치가 영구작동 위치를 갖는 것을 피하여 전체설비를 간단화하면서 제조경비를 절감하게 된다.
상기 랜스조립체의 입구헤드(25)는 특히, 제5도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바, 이의 안쪽 및 바깥쪽 부분(54, 56)이 서로 접하여서 압출보울트와 스프링(58)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부분(54, 56)에는 통로(54', 56')가 관통되어지고 이 통로(54', 56')들은 주입전이나 주입하는 동안에 점렬되게 되며, 이 정렬된 통로(54', 56')를 통하여 공급관(59)으로부터 송출파이프(24)까지 예컨대 가스, 가스 및 분말혹은 와이어로 된 주입물질을 운반되어진다. 여기서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분리할 수 있도록 바깥쪽 부분(56)에 견고하게 부착된 접합부(53)는 주입을 마치고자 할 때 제2유압램(52)의 피스톤에 의하여 연동되어지는데, 상기 제2유압램(52)을 작동함에 있어서 접합부(53)가 바깥쪽부분(56)과 함께 변위되어지며, 이 바깥쪽부분(T)은 압출보울트로 연결된 안쪽부분(54)에 대하여 회전되어 축선회되어지는 반면, 상기 안쪽부분(54)은 위치블럭(32)에 설치된 상기 포킷내에 안착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깥쪽부분(56)의 상대회전은 연결된 통로(54')은 바깥쪽으로 통로(56')를 이동시켜 상기 주입물밀즈이 공급관(59)으로부터 송출파이프(24)까지의 통로를 막아버린다.
또한, 상기 랜스조립체가 연선으로 형성된 주입물질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된다면, 상기 안쪽 및 바깥쪽부분(54, 56)은 이들의 접촉면에서 비틀림작용이 이루어져서 이 제2유압램(52)의 작동에 의해 연선을 절단하게 도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멈춤수단을 갖는바, 이 멈춤수단은 제3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것으로서 각각의 랜스조립체와 주입장치(10)의 고정부 일부사이에 작용하는 저지구로 이러어지되 상기 각각의 랜스조립체에는 접합면과 수프링하중플랜저(60)로 간단하게 형성된 저지구의 한쪽 일부가 부착되고 이 저지구의 다른쪽은 주입장치(10)의 고정부에 부착되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하중플랜저(60)는 위치블럭(32)과 장착부재(36, 장치의 고정부)에 의해 결합형성된 하우징(61)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하우징(61)은 상기 위치블럭(32)에 있는 각각의 구멍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61)으로부터 구멍(34)까지 구멍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하중플랜저(60)의 몸대(62)까지 이 구멍이 통하여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하우징(61)내에 있는 스프링은 플랜저(60)의 확대머리부에 작용하여 구멍(34)안으로 상기 몸대(62)를 밀어부친다.
또한, 상기 입구헤드(25)가 구멍(34)에 위치할 때 상기 몸대(62)의 팁은 특히 안쪽부분(54)과 입구헤드(25)에 부착된 접합부에 상호 작용하며, 접합부(64)에는 스프링하중플랜저(60)에 의해 연통하는 전후면(66, 65)이 경사져 있되 상기 스프링하중플랜저(60)와 전면(66)이 주입이 시작하기 전에 랜스조립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멈춤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 위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파이프(24)는 통로차단요소(22)로부터 뒤로우퇴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의 선택과 설계변경에 의하여 임의의 수동조작으로서 상기 랜스조립체를 멈춤수단을 지나 앞쪽방향으로 변위시키거나 블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약 1/2(508kg)의 힘이 멈춤수단을 지나 조립체가 전진되는, 즉 전면(66)이 저지구 플랜저를 지나게 되는데에 필요로 하게 되어짐으로써 부주의한 조작으로 통로차단요소(22)은 부주의한 이동을 방지하게된다.
그러나 상기 랜스전진수단(26)은 랜스조립체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힘을 충분히 갖고 있으므로 이 멈춤수단을 지나게 할 수가 있는데, 이렇게 이동될때 상기 전면(66)은 스프링힘에 대하여 하우징(61)에 상대적으로 안쪽방향으로 스프링하중플랜저(60)를 변위시켜서 상기 플랜저의 팁이 접합부(64)의 정지면상에 있는 지점에 도달되어진다.
상기 랜스전진수단(26)에 의한 랜스조립체에 연속적인 운동동안 통로차단 요소(22)는 제거되어서 주입이 시작되어진다.
결국 상기 랜스조립체는 플랜저(60)와 접합부(64)의 후면(65)이 제2멈춤 수단에 함께 작용하면서 주입위치로부터 랜스조립체의 수동후퇴를 방지할 때 완전 전진된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상기 제2멈춤수단은 용융된 금속압력에 의하여 랜스조립체가 뒷쪽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주입이 모두 이행될 때 상기 송출파이프(24)는 이 송출파이프와 통로사이 공간에 응고된 금속에 의해 그들 각각의 주입통로(11)안에서 전진된 위치로 견고하게 용접되어진다.
이와 같이 전진된 위치에 있는 입구헤드(25)와 함깨 후면(65)은 스프링하중 플랜저(60)의 앞쪽을 통과되어지며, 이때 위치블럭(32)은 간섭없이 보울트(33)뒤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서 상기 입구헤드(25)는 송출파이프(24)로부터 풀어져서 상기 송풀파이프(24)에 부착된 적당한 기구에 의하여 이 기구와 내화노즐블럭(2l)이 변위되기 위히여 끌어내려진다.
상기 저지구의 특징은 주입통로(11)의 선단으로부터 통로차단요소(22)를 깨끗이 제거하는 것을 도와주며, 상기 랜스조립체가 앞쪽방향으로 이동되어 통로차단요소를 제거하기 시작할 때 후면(65)이 스프링하중 플랜저(60)에 접근하여 일정지점에 도달되어 상기 수프링하중 플랜저(60)가 후면(65)에 접촉할 때, 스프링하중 플랜저(60)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은 랜스조립체와 항꼐 접합부(64)를 암쏙방향으로 갑작스런 추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후면(65)상에 있는 스프링하중 플랜저의 캔효과에 의해 야기된 갑작스런 전진이동이 송출파이프내에서 통초차단요소(22)를 갑작스럽게 튀어나오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개 혹은 각각의 랜스조립체와 주입장치(10)의 고정부사이에 작용하는 1개의 저지구가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일제히 작용하는 2개의 저지구도 가질 수 있도록 각각의 랜스조립체에는 2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접합부(64)와 2개의 스프링하중 플랜저(60)가 위치블럭(32)내에 내장되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접합부를 고정위치블럭의 일부로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하중플랜저도 랜스조립체에 일제화시킬 수 있지만 설계목적상 이들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히 배열한다.
제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입장치(10)는 제1도와 연관하여 앞서 일부를 설명하여는바,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는 이 주입장치에 이용되는 랜스헤드장치이다.
제8도의 주입장치(l0)에 있어서, 원형덮개판(28)은 위치판(20)에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하여 분리될수 있게 체결되어 있으므로서 이 원형덮개단(28)의 개구가 주입통로(11)를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원형덮개판(28)은 주입개구부(16)내에 위치하는 노즐블럭(21)을 조인다. 그리고 상기 원형덮개판(28)에 장착된 내부스크류는 중앙너트인 보스(130)에 나사결합되고, 위치블럭(32)은 상기 보스(130)위에 끼워 넣어진 위치 블럭(32)의 칼라부(133)와 함께 원형덮개판(28)에 조립되어진다. 상기 위치블럭(32)은 많은 돌출부를 갖는데, 이 돌출부는 주입통로(1l)와 원형덮개판(28) 내에 있는 개구부를 적당히 조절하며, 상기 위치블럭(32)의 주변에 있는 홈(134)에는 입구헤드(25)에 끼워져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포킷이 구비되어 있다.
원형판(136)으로 된 커버(135)와 받침부(137)는 보스(130)에 나사결합된 중앙나사 스핀들(140)에 연결된너트(138)에 의하여 주입장치(10)에 체결되어져 있는데, 상기 스핀들(140)은 위치블럭(32)에 연동되는 확대부를 가지고 있어서 이 스핀들(140)이 보스(130)에 나사결합될 때 덮개판(28)에 위치블럭이 조여진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주입전, 주입하는 동안 및, 주입을 정지시키고자 할 때 랜스조립체의 위치를 적절히조절할 수 있도록 부품의 구조 및 설계의 설비를 갓추고 있다.
제1실시예와 같이 수단들이 주입전에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랜스조립체를 장치내에 계류시키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입이 시작된 후에도 이들을 계류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주입전에 상기 랜스조립체를 계류시키기 위하여 주입장치(10)에 고정된 고정부에 협력하는 접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접합부는 랜스조립체의 입구헤드(25)로부터 돌출되어 체결된 전단핀(142)으로 되어 있으며, 이 전단핀(142)은 위치블럭(32) 내에 있는 슬롯(43)내에 수납되어진다. 그리고 이 전단핀(142)은 체결수단들인 보스, 너트, 스핀들(130, 138, 140)들을 향하여 안쪽 방사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143)은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 상기 전단핀(142)를 수납하며, 이 슬롯(143)의 끝은 인접면(144)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단핀(142)과 위치블럭(32) 상에서 움직일 수 없는 인접면(144)은 용기(13)의 내부와 통로차단요소(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향하여 랜스조립체의 조기이동을 체크하며, 또한 이들은 통로차단요소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후퇴하는 랜스송출파이프의 방출선단에 위치한다.
연관된 상기 통로차단요소(22)를 제거하기 위하여 랜스조립체를 전진시키면 조립체는 전단핀(142)을 밀어블이는 충분한 힘으로 앞쪽방향으로 추력을 받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힘은 근본적으로 랜스조립체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힘보다 더 크게 되어 있으며, 이 힘은 도면에 도시도지 않은 공압이나 유압작동기를 통하여 전달되어 입구헤드(25)와 주입물의 공급을 안내하는 관로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145)에 작용한다.
여기서 작동기는 제1실시예의 전진수단인 장착부재(36)와 제1유압램(48)과 같거나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단핀(142)는 원형판(136)의 안쪽면에 협력하여 상기 주입장치(10) 내에 랜스조립체가 설치된 후와 주입이 시작되기전의 이 랜스조립체의 후퇴를 방지한다.
제도에 도시된 랜스조립체는 조기주입위치내에 있으며, 전단핀(142)은 인접면(144)에 위치하는 랜스와 접촉한 슬롯(143)내에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위치블럭(32)은 상기 슬록(143)보다 원형덮개판(28)에 더 가깝게 위치한 제2슬롯(l46)을 한정지우되, 이 제2슬롯(146)은 원형덮개판(28)의 끝면에서 바깥쪽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인접면(148)까지 도달하여 있다. 그리고 이 제2연접면(148)은 입구헤드(25)상에 있는 인접면에 협력하여 주입후에 랜스조립체의 돌출이나 후퇴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입구헤드(25)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즉 2개부분 중 제1부분인 헤드부(150)는 공급관으로부터 송출파이프(24)까지 주입물을 운반시키기 위하여 통로(151)를 축방향으로 관통한 원통형 금속바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통로(151)는 제1부분인 헤드부(150)의 대향되는 양선단쪽으로 대응 구멍들 러브어(152, 15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헤드부(150)양쪽으로 공급관과 송출파이프(24)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나사선이 이 대응구멍들(152, 153)에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작은 황동로드인 전단핀(142)은 헤드부(150)에 형성된 방사상 구멍안에 체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150)에는 통로(151)를 가로지른 횡방향의 구멍(154)이 관통되어져 있으며, 이 횡방향의 구멍(154)안에서 이동할 수 있으나 기밀을 유지하는 입구헤드(25)의 제2원통부(155)가 이 구멍(154)에 끼워지고, 이 제2원통부(155)는 중앙통로(l56)를 횡방향으로 놓여진다. 따라서 주입전과 주입하는 동안에 헤드부(150)와 제2원통부(155)는 통로(151)와 중앙통로(156)가 송출파이프(24)로 주입물을 흐르게 조절하도록 배치되어지는데, 이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원통부(155)의 한쪽수단(158)은 헤드부(150)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지지만 이의 반대쪽 선단(159)은 돌출되어지지 않는다.
주입이 시작된 후에 우연히 상기 돌출되는 선단(158)은 주입장치(10)에서 랜스조립체를 계류시키도록 원형판(136)에 협력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에 작용하는 유압이나 공압작동기가 고장날 경우에 조립체의 이동이 제2원통부(155)와 원형판(136)에 의하여 체크될 때까지 용융금속의 압력은 랜스조립체를 단지 바깥방향으로 약간 밀게 된다.
주입은 헤드부(150)은 구멍(154)안에 있는 제2원통부(155)의 이동에 의하여 멈추어지는데, 상기 제2된통부(155)는 통로(151)와 전체적으로 맞추어지지 않은 중앙통로(156)로 이동한다.
상기 제2원통부(155)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커버(135)에 장착된 유압이나 공압램(160)이 작동하게 되며,이 공압램(160)은 랜스조립체가 주입전이나 주입위치에 있을 때 제2원통부(155)의 선단(158)에 일치하는 선상에 위치하는 밀대(161)를 갖추고 있다. 이 밀대(161)는 커버(135)의 받침부(137)내에 형성된 슬롯(162)을 통하여 상기 선단(158)에 접근하게 된다. 또 상기 공압램(160)은 제2원통부(155)를 변위시켜서 다른쪽 선단을 헤드부(150)로부터 방사상방향으로 돌출시키는데, 상기 제2원통부(155)의 이동은 위치블럭(32)의 칼라부(133)상에 설치된 정지면(164)에 의하여 정지되어진다.
한편, 상기 공압램(160)에 의해 주입물의 흐름을 막고자 할 때에는 용융금속이 송출파이프대로 주입되어지고, 이 용융금속의 압력이 랜스조립체를 바깥쪽방향으로 밀어부치게 되며, 이 바깥쪽방향으로의 이동은 고정된 위치불럭(32)상에 있는 제2인접면(148)에 인접되게 이동하는 제2원통부(155)의 돌출선단(159)에 의하여 안전하게 제한되어진다.
한편, 앞선 실시예의 제1도의 중심선 위쪽에 도시된 랜스조립체는 랜스헤드가 확대된 제2도의 상태로 있을때 주입전이나 주입이 완료된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전단핀(142)과 인접면(144)이 입구헤드(25)에 적당히 위치하게 되므로서 랜스조립체는 제9도와 다름을 알 수 있다.
주입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랜스조립체는 용기내부에서 왼쪽방향으로 전진되게 힘을 받아 인접면(144)에 대하여 전단핀(142)을 밀어서 주입통로(11)가 막히지 않게 한다.
제10도는 랜스조립체가 주입위치로 전진되어진 후 인접면(144, 148)에 대한 랜스헤드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1도는 제2원통부(155)가 주입을 끝내기 위하여 변위되어진 후 여전히 전진된 위치에 있는 랜스헤드를 나타낸 것으로, 랜스조립체가 오른쪽 방향이나 바깥방향으로의 돌출이나 후퇴는 제2원통부(155)의 돌출선단에 제2인접면(148)의 장애에 의해서 방지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개의 통로 주입장치에서 여러개의 랜스조립체는 주입장치(10)로부터 분리된 커버(135)를 갖춘 돌출된 위치블럭(32)내에 설치되어지는데, 이 랜스조립체는 멈춤수단인 전단핀(142)과 인접면(144)에 의한 조기주입위치에서 제한을 받게 되며, 이때 상기 커버(135)는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135)는 1개의 랜스조립체가 주입시간에서 전진되어 사용되도록 배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원형판(136)이 선택된 랜스조립체에 접근하는 단일개구부(170)을 갖는 바, 상기 연결부재(145)가 이 개구부(170)을 통하여 통과하여 상기 입구헤드(25)에 접촉하고, 필요에 따라 작동기는 랜스조립체를 전진시키기 위하여 연결부재(145)와 함께 연동한다.
또한 상기 작동기인 공압램(160)은 선택된 랜스조립체에 일치하는 커버(135)에 고정되도록 부착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랜스조립체를 경유하여 주입이 완료된 후 상기 연결부재(145)는 분리되어짐으로써 너트(138)가 해제되어 커버(135)는 회전되어진다.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자유롭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동기인 공압램은 사용된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커버(135)는 이의 개구부(170)가 다른 선택된 랜스조립체에 정렬될 때까지 회전되어 사용되지 않는 랜스조립체에 커버를 너트(138)에 의해 잠겨진 위치로 있게 한 다음, 연결부재(145)가 끼워 맞추어지고 랜수전진작동기(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적당하게 연동되어진다.
모든 랜스조립체가 다 이용되어질 때, 상기 커버(135)는 내려지고 숫나사인 스핀들(140)은 암나사인 보스(130)로부터 풀어진 다음, 위치블럭(32)이 내려지며 사용된 랜스조립체의 헤드들은 재사용을 위하여 풀어진다.
상기 노즐블럭(21)은 예컨대 덮개판(28)이 분리되어진 후 변위되기 위하여 주입개구부(16)로부터 이동되어지며, 때때로 랜스파이프가 이 내화노즐블럭(21)안에서 용접되어지거나 응고되어진다면 이 내화노즐블럭을 랜스조립체로 당기어 이동시킬 수가 있는데, 랜스파이프를 내화노즐블럭(21)으로부터 당겨 상기 대화노즐블럭이 주입개구부(16)에서 이동되어지며, 이때 상기 내화노즐블럭(21)은 이 내화노즐블럭안에서 구조된 나사앵커(72)에 부착된 적당한 당김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실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대부분의 경우에 이 내화노즐블럭은 매번 랜스조립체가 사용되어지는 새로운 블럭에 의하여 교체되어 청소되어지면, 상기 내화노즐블럭과 낼스파이프는 제사용 되어지지 않는다.
[산업상의 적용]
본 발명은 용융금속과 같이 고온의 활동직연 액체나 용해물에 물질을 주입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장치로서 예컨대, 본 발명은 여러목적으로 위하여 융해된 강철이나 쇠물만으로 가스나 고체 혹은 특수한 채질을 주입시키는 철야금학적으로 이용되어지므로서 본 발명을 사용하여, 특히 알루미늄과 잠재장애를 갖는 휘발성의 물질이나 납과 같은 휘발성의 물질을 합금시킬 수가 있으며, 입자보강내지는 탄화물 형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용된 물질을 유사하게 주입시키면서 금속에서 유황질이나 혹은 인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된 물질을 주입시키는데 이용되어진다.

Claims (16)

  1. 주입물 송출파이프(24)와 주입이 시작되기전에 통로로 주입되는 액체를 방지하기 위해 주입통로(11)의 송출선단내에 일시적으로 위치하는 통로 차단요소(22)를 갖추어 상기 주입통로(11)가 관통되어지니 내화노즐블럭(21)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송풀파이프(24)기 주입을 위해 통로차단요소(22)를 파손이나 제거하여 주입통로911)를 개방시키도록 통로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힘을 받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파이프(24)는 랜스조립체의 일부로서 장착되고 주입장치(10)의 고정블럭인 위치블럭(32)과 랜스조립체 사이에 작용하는 위치수단인 스프링하중플랜저(60), 접합부(64)와 전단핀(142), 인접면(144)은 주입전에 설정된 완료위치에서 랜스조립체를 위치시키는 멈춤수단으로 작용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2. 주입물 송출파이프(24)와 주입이 시작되기전에 통로로 주입되는 액체를 방지하기 위해 주입통로(11)가 송출선단내에 일시적으로 위치하는 통로 차단요소(22)를 갖추어 상기 주입통로(11)가 관통되어진 내화노즐블럭(21)으로 이루어져서, 이 송출파이프(24)가 주입을 위해 통로파단요소(22)를 파손이나 제거하여 주입 통로(11)를 개방시키도록 통로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힘을 받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풀파이프(24)는 랜스조립체의 일부로서 장착되고 상기 랜스조립체와 장치의 우위치블럭(32) 사이에 작용하는 저지구인 스프링하중플래저(60)로 이루어진 위치수단은 주입전에 설정된 위치에서 랜스조립체를 위치시키는 멈춤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수단은 통로차단요소(22)로부터 이격된 출파이프(24)의 방출선단의 위치를 정하면서 상기 통로차단요소(22)와 접촉하는 파이프의 부주의한 변위를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하중 플랜저(60)는 이에 연통되는 접합부(64)와 함께 전진된 주입위치로부터 랜스조립체의 부주의한 후퇴를 방지하는 제2멈춤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구인 상기 스프링하중 플랜저(60)는 한쪽이 다른쪽의 접합부(64)에 접촉하는 즉, 장치의 위치블럭(32)과 랜스조리체상에 장착된 이 접합부(64) 사이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주입시키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64)는 상기 스프링하중플랜저(60)가 2개의 멈춤부로서 협력하는 경사전·후면(66, 65)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멈춤부는 설정된 완료위치에서 랜스조립체를 지지하며, 제2멈춤부는 전진된 주입위치로부터 랜스조립체의 후퇴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블럭(32)은 랜스조립체의 입구헤드(25)가 완료위치 내지는 조기위치와 전진된 주입위치 사이를 미끄럼이동하는 포킷내에 설치되어진 구멍(34)을 갗추고, 저지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프링하중 플랜저(60)는 입구헤드(25)상에 장착된 접하부(640와 협력하기 위하여 상기 구멍(34)에 연정인접되어 이 위치블럭(32) 내에 수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대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블럭(26)은 주입조기위치로부터 전진된 주입위치까지 상키 랜스조립체를 전진시키는 랜스전진수단(26)과 분리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설정된 완료위치 위 멈춤부를 지나도록 입구헤드(35)에 출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 입구헤드(25)에 연결된 제1유압랭(48)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전진수단(26)는 위치블럭(32)에 분리될 수 있게 축선회되면서 입구헤드(25)를 지지하는 작동몸체(45)로 이루어진 단일체로 되어 있되, 상기 의치블럭에 있는 인접부(50)에 대하여 출력을 가하는 유압램에 설치된 몸체는 주입위치로 랜스조립체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축선회 변위되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10. 제8항 혹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헤드(25)는 송출파이프(24) 내로 주입물질을 운반하기 위해 관통통로를 제공하는 정렬된 통로(24', 56')들을 갖춘 안쪽 및 바깥쪽 헤드부분(54, 56)으로 결합되되, 상기바깥쪽 헤드부분(56)는 안쪽헤드부(54)에 대해 축선회되면서 주입진행중을 중지할 때 파이프대로 물질의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해 이 통로들이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변위되어지고, 상기 제2유압램(52)은 안쪽헤드부분(54)에 대하여 바깥쪽헤드부분(56)을 변위시키도록 축선회시키도록 이 유압램이 랜스전진수단에 걸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대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수단중 상기 전단핀(142)은 상기 렌드조립체에 고착외어진 핀으로 되어있으면서 이 전단핀(142)이 주입위치로 랜드조립체의 전지에 따라 전달되어진 이 전단핀을 전단시키는 힘이 랜스조립체를 수동으로 작용시키는 힘보다 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헤드(25)에는 주입후에 렌스조립체의 돌출이나 후퇴를 방지하는 수단을 갖추되, 이 방지수단을 위치블럭(32)에 있는 제2인접면(148)과 랜스조립체의 제2원통부(15)로 이루어진 멈춤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스조립체의 제2인접면(148)은 랜스조립채의 일부로 형성되어 통로(151)를 막도록 상기 헤드부(150)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2원통부(155)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151)를 막도록 이동될 때 이 제2원통부(155)가 헤드부(150)로부터 제2인접면(l48)에 협력하는 위치가지 돌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14. 주입물 송출파이프(24)와 주입이 시작되기전에 통로로 유입되는 액체를 방지하는 위해 주입통로(11)의 송출선단내에 일시적으로 위치하는 통로 차단요소(22)를 갖추어 이 주입통로(11)가 관통되어진 대화노즐블럭(21)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송출파이프(24)가 주입을 위해 통로차단요소(22)를 파손하거나 제거하여 주입통로(11)를 개방시키도록 통로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힘을 받는 용탕대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파이프(24)는 랜스조립체의 일부로서 이루어지고, 멈춤수단을 주입이 완료된 후 렌스조립체의 후퇴나 돌출을 방지하되 상기 랜스조립체의 각각의 제2인접면(148)과 제2원통부(155) 및 장치의 위치블럭(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대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조립체는 입구헤드(25)의 제2원통부(155)에 의해서 막혀지는 통로(151)를 갖추고, 상기 제2원통부(155)는 이 통로(151)가 막혀지도록 이동될 때 입구헤드로부터 슬롯(143)상에 있는 제2연접면(148)에 협력하는 위치까지 돌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파이프(24)는 주입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선단에 부착된 입구헤드(25)를 갖추고, 상기 입구헤드(25)는 이 송출파이프(24)에 주입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통로(151)와 이 통로(151)를 가로지른 구멍(154)이 관통된 헤드부(150)로 이루어지며, 이 제2원통부(155)는 입구헤드(25)를 통하여 주입물을 흐르게 하는 통로(151)에 중앙통로(156)가 연결되는 제1위치로부터 이 통로(151)를 조절하여 플러그에 의해 통로로 흐르는 주입물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제2위치까지 구멍(154)을 따라 변위되어지는 개구된 플러그로 구성되고, 상기 제2원통부(155)가 흐름차단위치에 있는 헤드부(150)로부터 축면방향으로 돌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KR1019880700198A 1986-06-25 1987-06-22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KR950005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615481 1986-06-25
GB868615481A GB8615481D0 (en) 1986-06-25 1986-06-25 Injecting substances into liquids
GB8624322 1986-10-10
GB868624322A GB8624322D0 (en) 1986-06-25 1986-10-10 Injecting substances into liquids
PCT/GB1987/000431 WO1988000246A1 (en) 1986-06-25 1987-06-22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injecting substances into liqu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293A KR880701293A (ko) 1988-07-26
KR950005787B1 true KR950005787B1 (ko) 1995-05-31

Family

ID=1060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198A KR950005787B1 (ko) 1986-06-25 1987-06-22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950005787B1 (ko)
AT (1) ATE58178T1 (ko)
DD (1) DD261810A5 (ko)
GB (2) GB8615481D0 (ko)
ZA (1) ZA874564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624322D0 (en) 1986-11-12
ATE58178T1 (de) 1990-11-15
DD261810A5 (de) 1988-11-09
GB8615481D0 (en) 1986-07-30
KR880701293A (ko) 1988-07-26
ZA874564B (en) 198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022B1 (ko) 용탕등의 유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JPH0776031A (ja) ガス補助式射出成型用金型とそれを使用する成型方法
JPS582319B2 (ja) さく岩機の切削工具のカツタ歯を冷却するためおよびあご面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CA1292119C (en) Apparatus for injecting substances into liquids
KR950005787B1 (ko) 용탕내로 물질을 주입시키는 장치
EP0022373A1 (en)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DE102006008384B4 (de) Feuerlöscheinrichtung mit pyrotechnischer Druckerzeugungseinheit und pyrotechnische Druckerzeugungseinheit
CN1008541B (zh) 向液体中喷射物质的改进的喷嘴
EP0159229B1 (fr) Dispositif autonome et automatique de production rapide de mousse polyuréthane
JP3087603B2 (ja) 取鍋溶鋼排出用ノズル孔詰まり除去ランス
GB2192565A (en) Spray nozzle for cutting head
JPH01166877A (ja) スライドバルブ装置用インサートノズル開口具及び開口方法
JPH105851A (ja) ショートストローク用押出プレス装置
USRE34418E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roducing substances into liquid metal
KR960003172B1 (ko) 용탕에 각종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밀봉주입장치
KR101998767B1 (ko)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융물 처리 설비
RU2233824C2 (ru) Смеситель для смеше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взрывчатых составов
DE1172123B (de) Katapultschleudersitz zum Auswerfen eines Sitzes aus einem Flugzeug
NO880818L (no) Forbedringer i utstyr for injeksjon av stoffer inn i vaesker.
JPH025502B2 (ko)
JP2001056185A (ja) 出湯装置及び出湯方法
SU986607A1 (ru)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и зажима прутка
DE2356292A1 (de) Vorrichtung zur abgabe eines thermoplastischen werkstoffes, der von einem festen in einen fluessigen zustand umgewandelt wird
EP0214165A1 (de) Kammer für explosive Werkstückbearbeitung, insbesondere für thermische Entgratanlagen.
JPH08168816A (ja) フィックスダミイブロックの脱落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