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639B1 -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639B1
KR950005639B1 KR1019920004379A KR920004379A KR950005639B1 KR 950005639 B1 KR950005639 B1 KR 950005639B1 KR 1019920004379 A KR1019920004379 A KR 1019920004379A KR 920004379 A KR920004379 A KR 920004379A KR 950005639 B1 KR950005639 B1 KR 95000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bus
matching
processing
matc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894A (ko
Inventor
홍현하
박주열
이형호
한치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2000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639B1/ko
Publication of KR93002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교환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도.
제3도는 X.75 전용선 정합부의 내부구성도.
제4도는 패킷버스 정합부(9)의 내부구성도.
제5도는 패킷 공통 메모리부(10)의 내부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X.75 전용선 정합부 8 : 패킷처리 제어부
9 : 패킷처리 정합부 10 : 패킷 공통메모리부
본 발명은 ISDN 교환기의 패킷교환장치에 구현되는 장치내의 패킷 처리 PSPDN(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 전용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ISDN 교환기의 페킷교환장치가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과의 패킷 서비스 시에 CCITT의 X.75 프로토콜에 따른 효율적인 패킷교환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망의 연동 트래픽이 적을 때 X.75 프로토콜에 따라 모뎀을 통한 아날로그 전용회선이나 DSU(데이타 서비스유니트)를 통한 디지틀 전용회선으로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 망을 접속하여 효율적인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패킷처리 PSPDN의 전용선 정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킷교환시스템의 패킷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PSPDN)의 전용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나 디지탈 전용회선을 통해 모뎀이나 데이타 서비스유니트(DSU)를 거쳐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 망과 연결되어 X.75 프로토콜 절차에 의해 링크레벨을 처리하는 X.75 전용선 정합수단과, 상기 X.75 전용선 정합수단과 로컬버스로 연결되고 직렬버스를 통해 패킷버스와 연결되어 패킷처리나 상위 프로세서인 패킷호 제어프로세서와 내부 프로토콜 처리에 따른 데이타 패킷이나 제어패킷 송수신을 상기 패킷버스를 통해 수행하는 패킷버스 정합수단과, 상기 X.75 전용선 정합수단과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을 연결하는 로컬버스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페킷레벨기능, 장애발생시 상위 프로세서인 패킷호 제어프로세서에 통보하는 유지보수 기능, 그리고 상기 패킷 버스 정합수단내의 내부 프로토콜 처리를 위해 프로토콜 처리에 관한 보조 프로세서 기능을 담당하며 패킷버스로부터 패킷버스의 동작/대기 신호를 받아 상기 패킷 버스정합수단내의 패킷버스 정합소자의 운용을 제어하는 패킷처리 제어수단, 및 상기 X.75 전용선 정합수단,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 및 패킷처리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로컬버스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으로 송·수신된 패킷 데이타 및 X.75 전용선 정합 수단으로 송·수신된 패킷 데이타를 상기 패킷처리 제어수단이 패킷처리할 수 있도록 임시저장하고 임시저장에 따른 공유순서를 중재하는 패킷공통 메모리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교환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패킷호 제어프로세서, 2는 패킷버스 장치, 3a와 3b는 패킷버스, 4는 패킷처리 장치, 5a 내지 5n은 페킷처리기, 6a 내지 6k는 본 발명인 패킷처리 PSPDN 전용선 정합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작용되는 패킷교환시스템은, 패킷호 제어 및 루팅 정보처리,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와 패킷처리장치(4)내의 데이터패킷의 전달 및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와 패킷처리장치(4)내의 데이터패킷의 전달 및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와의 제어패킷의 통신을 담당하는 이중화된 패킷버스장치(2)가 있다. 그리고 X.25/X.75 링크레벨 기능, 패킷레벨 기능 및 내부프로토콜 처리기능을 수행하는 패킷처리기(5a 내지 5n)는 동일한 하드웨어 형상에 패킷서비스 특성에 따라 B채널 처리용, D채널 처리용, 패킷교환시스템간의 내부 프로토콜 처리용, 북미방식 및 유럽방식을 통한 공중패킷교환데이타망 처리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팀 용량에 따라 n개까지 확장할 수 있다. 상기 패킷 처리기(5a 내지 5n)는 X.25/X.75링크레벨 정합을 통한 타임스위치와 인터페이스 되어 있다.
또한, X.75프로토콜 절차에 의하여 아날로그 전용회선이나 디지탈전용회선으로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을 액세스할 수 있게 X.75 링크레벨 처리기능,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의 제어로 가상호를 설정 및 해제하고 데이타 패킷을 교환 전달하는 패킷레벨 기능 및 패킷처리장치(4) 내의 패킷처리기 다수개(5a 내지 5n)와의 내부프로토콜 처리나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1)와의 내부 프로토콜 처리 기능등을 수행하는 본 발명인 패킷처리 PSPDN 전용선 정합기(6a 내지 6k)가 있다. 상기 본발명인 패킷처리 PSPDN 전용선 정합기(6a 내지 6k)는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을 9600bps급 모뎀이나 56Kbps급 데이타 서비스 유니트를 통해서 패킷서비스를 해줄 때 적용되는 정합기로 망연등 프래픽에 따라 k개 까지 확장가능하게 되어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인 패킷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의 내부 구성도로서, 7은 X.75 전용선 정합부, 8은 패킷처리 제어부, 9는 패킷버스 정합부, 10은 패킷 공통메모리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렬버스를 통해 모뎀이나 데이타 서비스 유니트(DSU)에 연결된 X.75 전용선 정합부(7)와, 상기 X.75 전용선 정합부(7)에 로컬버스로 연결된 패킷 처리제어부(8)와, 상기 로컬버스에 공통으로 연결된 패킷공통 메모리부(10)와, 상기 로컬버스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패킷버스(2)측에 직렬버스로 연결된 패킷버스 정합부(9)로 구성된다.
상기 로컬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X.75 전용선 정합부(7)는 아날로그나 디지탈 전용회선으로 연결된 공중 페킷교환 데이타망과의 X.75 프로토콜 절차에 의해 링크레벨을 처리해주는 기능부이며, 이를 위해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소자들과 전용선 특성에 맞게 구동해주는 V.24, V.35 정합소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패킷처리 제어부(8)는 마찬가지로 상기 로컬버스에 공통연결되어 범용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주변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패킷레벨 기능, 기능장애 발생시 상위 프로세서인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에 통보하는 유지보수 기능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패킷버스 정합부(9)내의 내부 프로토콜 처리를 위해 프로토콜처리 칩인 패킷버스 정합소자의 보조프로세서 역할을 해주고 패킷버스(2)로부터 패킷버스의 동작/대기 신호를 받아 패킷버스 정합부(9)내의 패킷버스 정합소자를 동작/대기 상태로 결정 운용한다.
그리고, 2개의 패킷버스(2)와 직렬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패킷버스 정합부(9)는 패킷버스(2)를 통하여 패킷처리장치(4) 사이간에 그리고 패킷처리장치(4)와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와의 내부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타 패킷이나 제어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컬버스에 연결된 패킷공통 메모리부(10)는 패킷버스 정합부(9)로 송·수신된 패킷 데이타 및 X.75 전용선 정합부(7)로 송수신된 패킷 데이타를 패킷처리제어부(7)가 패킷레벨 처리할 수 있도록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와 각 기능부가 이 메모리를 원활하게 공유하도록 중재해 주는 버퍼와 단일포트 메모리 점유중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X.75 전용선 정합부(7)의 내부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프로토콜 처리부, 12a 내지 12d는 링크레벨 프로토콜소자, 13은 V.24 정합부, 14a와 14b는 V.24 정합소자, 15는 V.35 정합부 16a와 16b는 V.35 정합소자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X.75 전용선 정합부(7)는, 모뎀측에 연결되는 2개의 V.24 정합소자(14a, 14b)로 구성되는 V.24정합부(13)와 데이타 서비스 유니트측에 연결되는 2개의 V.35 정합소자(16a, 16b)로 구성되는 V.35 정합부(15)와, 일측은 상기 V.24 정합부(13) 내의 V.24 정합소자(14a, 14b)와 연결되고, 상기 V.35 정합부(15) 내의 V.35 정합소자(16a, 16b)에 연결되며, 타측은 로컬버스에 연결되는 4개의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소자(12a 내지 12d)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처리부(11)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을 통해 망트래픽이 적은 패킷교환을 해줄때 전용선인 아날로그회선이나 디지탈회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패킷처리 PSPDN 전용선 정합기 내에는 CCITT V.24 물리계층을 만족시키는 V.24 정합소자(14a, 14b) 2개로 9600bps급 모뎀을 통한 아날로그 전용선 2개를 수용하고, CCITT V.35 물리계층을 만족시키는 V.35 정합소자(16a, 16b) 2개로 56Kbps급 데이타 서비스 유니트를 통한 디지탈 전용선 2개를 수용하여 X.75 프로토콜 절차에 의해 각각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을 엑세스할 수 있도록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소자(12a 내지 12d) 4개를 두었다. 이들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소자 4개는 패킷레벨 처리를 위해 로컬버스로 패킷처리 제어부 및 패킷 공통메모리부(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송지연 없는 DMA(Direct Memory Access) 기능을 아울러 해준다.
제4도는 패킷버스 정합부(9)의 내부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7은 이중화 패킷버스 선택부, 18은 패킷버스 정합소자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버스 정합부(9)는, 패킷처리 제어부(8)와 패킷공통 메모리부(10) 및 X.75 전용선 정합부(7)에 연결되어 있는 로콜버스에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직렬버스를 통해 패킷버스(2)에 연결된 이중화 패킷버스 선택부(17)와, 상기 이중화 패킷버스 선택부(17)에 로컬버스와 직렬버스를 통해 병렬로 연결된 패킷버스 정합소자(18)를 구비한다.
패킷버스(2)와 연결되어 있는 이중화 패킷버스 선택부(17)는 패킷버스(2)로부터 수신되는 동작/대기 신호에 의하여 패킷버스 정합소자(18)가 이중화로 자동 절체 운용되게 한다. 이중화 패킷버스 선택부(17)의 세부동작은 본 출원인이 1991년 제23139호로 특허출원한 "패킷처리 장치의 이중화 패킷버스 선택회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갈음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킷버스(2)와 2개의 데이타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패킷버스 정합소자(18)는 2개의 패킷버스에 정합되는 내부프로토콜 전용칩 2개를 사용하였으며, 패킷처리 제어부(8)가 이중화 패킷버스 선택부(17)의 동작/대기 이중화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2개 패킷버스 정합소자(18)의 동작/대기를 결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내부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버스(2)를 통하여 패킷처리장치(4)내부, 패킷처리장치(4)와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 사이에 패킷데이타를 지점 대 지점, 지점대 다지점, 방송방식으로 효율성 있게 전송하며 DMA기능을 아울러 갖고 있다. 그리고 패킷버스(2)와의 데이타 송·수신이 고속인 관계로 신호간섭이 적은 차등 송수신소자를 사용하여 고품질의 데이타 패킷 송·수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제5도는 패킷 공통 메모리부(10)의 내부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9는 메모리, 20은 패킷처리 제어소자 버퍼, 21은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소자 버퍼, 22는 패킷버스 정합소자 버퍼, 23은 단일 포트 메모리 점유중 재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공통메모리부(10)는 X.75 전용선 정합부(7), 패킷처리제어부(8), 및 패킷버스 정합부(9)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버스에 공통으로 연결된 패킷제어소자 버퍼(20),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소자 버퍼(21), 패킷버스 정합소자 버퍼(22), 및 단일포트 메모리 점유 중재장치(23)와, 상기 패킷제어소자 버퍼(20), 링크레벨 프로토콜처리소자 버퍼(21), 그리고 패킷버스 정합소자 버퍼(22)에 어드레스 및 데이타 버스로 연결된 메모리(19)로 구성된다.
상기 로컬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단일포트 메모리 점유중재장치(23)와 패킷처리 제어소자 버퍼(20), 링크레벨 프로토콜 정합소자 버퍼(21), 패킷버스 정합소자 버퍼(22)는 패킷처리 제어소자인 CPU가 페킷레벨 처리를 위해 메모리(19)를 점유할 때,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소자들(11)이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과의 패킷데이타 송수신을 위해 메모리(19)를 점유할때, 패킷버스 정합소자(18)가 내부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처리장치(4)들 사이나 패킷처리장치(4)와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 사이의 패킷 데이타 송수신을 위해 메모리(19)를 점유할 때 메모리 점유 우선순위를 부여 받도록 각 소자 버퍼를 제어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단일포트 메모리 점유중재장치(23)의 내부구성과 상세 동작에 관한 설명은 본 출원인이 1991년 제5888호로 출원한 "단일포트 메모리 점유중재장치" 출원 명세서에 기술하였으므로 이에 갈음하며, 상기 패킷처리제어소자 버퍼(20), 링크레벨 프로토콜처리소자 버퍼(21), 패킷버스 정합소자 버퍼(22)와 어드레스, 데이타버스로 연결된 메모리(19)는 패킷레벨기능 수행을 위해 데이타를 임시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ISDN 교환기의 패킷교환장치에서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 망과의 패킷 서비스 제공시에 망트래픽이 적은 경우에 전용선을 사용함으로 해서 회선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X.75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 교환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패킷교환시스템의 패킷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PSPDN)의 전용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나 디지탈 전용회선을 통해 모뎀이나 데이타 서비스 유니트(DSU)를 거쳐 공중 패킷교환데이타망과 연결되어 X.75 프로토콜 절차에 의해 링크레벨을 처리하는 X.75 전용선 정합수단(7)과, 상기 X.75 전용선 정합수단(7)과 로컬버스로 연결되고 직렬버스를 통해 패킷버스와 연결되어 패킷처리나 상위 프로세서인 패킷호 제어프로세서(1)와 내부 프로토콜 처리에 따른 데이타 패킷이나 제어패킷 송수신을 상기 패킷버스를 통해 수행하는 패킷버스 정합수단(9)과, 상기 X.75 전용선 정합수단(7)과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9)을 연결하는 로컬버스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패킷레벨 기능, 장애 발생시 상위 프로세서인 패킷호 제어프로세서에 통보하는 유지보수 기능, 그리고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9)내의 내부 프로토콜 처리를 위해 프로토콜 처리에 관한 보조 프로세서 기능을 담당하며 패킷버스(2)로부터 패킷버스의 동작/대기 신호를 받아 상기 패킷 버스정합수단(9)내의 패킷버스 정합 소자의 운용을 제어하는 패킷처리 제어수단(8), 및 상기 X.75 전용선 정합수단(7),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9), 및 패킷처리 제어수단(8)을 연결하는 로컬버스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9)으로 송·수신된 패킷 데이타 및 X.75 전용선 정합 수단(7)으로 송·수신된 패킷 데이타를 상기 패킷처리 제어수단(7)이 패킷처리할 수 있도록 임시저장하고 임시저장에 따른 공유순서를 중재하는 패킷공통 메모리수단(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의 전용선 정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75 전용선 정합수단(7)은, 아날로그 전용선을 거쳐 모뎀과 연결되므로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을 액세스하여 CCITT V.24 물리계층을 만족시키는 V.24 정합수단(13)과, 디지탈 전송선을 거쳐 데이타 서비스 유니트(DSU)에 연결되므로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을 액세스하여 CCITT V.35 물리계층을 만족시키는 V.35 정합수단(15)과, 상기 V.24 정합수단(13)과 상기 V.35 정합수단(15)에 연결되고 상기 로컬버스에 연결되어 X.75 프로토콜에 따른 링크레벨의 기능을 처리하는 링크레벨 프로토콜 처리수단(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의 전용선 정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버스 정합수단(9)은, 상기 로컬버스에 연결되고 상기 패킷버스(2)에 연결되어 패킷버스(2)로부터 수신되는 동작/대기 신호에 의하여 패킷버스와의 정합을 이중화로 자동절체 운용되게 하는 패킷버스 선택수단(17)과, 상기 패킷버스 선택수단(17)에 연결된 2개의 패킷버스 정합소자(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의 전용선 정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공통 메모리 수단(10)은, 상기 로컬버스에 연결되어 메모리 점유 우선순위를 중재하는 단일포트 메모리 중재수단(23)과, 상기 로컬버스에 연결되어 패킷처리 제어수단(8), X.75 전용선 정합수단(7) 및 패킷버스 정합수단(9)의 메모리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버퍼(20 내지 22)와, 상기 버퍼(20 내지 22)에 어드레스/데이타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패킷 레벨 기능의 수행을 위해 데이타를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패킷교환 데이타망의 전용선 정합장치.
KR1019920004379A 1992-03-17 1992-03-17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KR95000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379A KR950005639B1 (ko) 1992-03-17 1992-03-17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379A KR950005639B1 (ko) 1992-03-17 1992-03-17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894A KR930020894A (ko) 1993-10-20
KR950005639B1 true KR950005639B1 (ko) 1995-05-27

Family

ID=1933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379A KR950005639B1 (ko) 1992-03-17 1992-03-17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6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894A (ko) 199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0114A (en) High speed interconnection network for a cluster of processors
US5274634A (en) PABX common channel relay system
US5430442A (en) Cross point switch with distributed control
EP0885498B1 (en) Network switch with broadcast support
US6373848B1 (en) Architecture for a multi-port adapter with a single media access control (MAC)
US4340776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JP2524801B2 (ja) 通信システム
JP3130928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とその制御方法
US4672604A (en) Time slot polling arrangement for multiple stage time division switch
Ahuja S/Net: A high-speed interconnect for multiple computers
US61953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data transfer in a network switch in response to a detected collision
KR950005639B1 (ko) Isdn 패킷 처리 장치의 패킷 처리 pspdn 전용선 정합장치
JPH0879309A (ja) Lan間接続装置及びlan間接続システム
GB2301995A (en) Software driver for a system bus
US625669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processors
US6618376B2 (en) ATM utopia bus snooper switch
KR940010847B1 (ko) 버스 점유 중재장치
US6233233B1 (en) Distributed packet handling apparatus for use in a packet switch
KR100221303B1 (ko)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KR0183320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프레임 릴레이망 정합장치
KR100455106B1 (ko) 무선 가입자 망 기지국의 중앙 제어 장치
KR100221302B1 (ko) 패킷 핸들러의 제어보드 정합회로
KR100391712B1 (ko) 교환기의 아이피시 정합 장치
KR950013115B1 (ko) 신호 정합 통신프로세서
JP2004515161A (ja) データパケットを分配および処理するための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