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503Y1 - 관조인트 - Google Patents
관조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5503Y1 KR950005503Y1 KR2019910018899U KR910018899U KR950005503Y1 KR 950005503 Y1 KR950005503 Y1 KR 950005503Y1 KR 2019910018899 U KR2019910018899 U KR 2019910018899U KR 910018899 U KR910018899 U KR 910018899U KR 950005503 Y1 KR950005503 Y1 KR 9500055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annular
- thin piece
- annular groove
- pipe joi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관조인트의 단면도.
제 2 도는 상기 관조인트의 분해도.
제 3 도는 종래의 관조인트의 부분단면도.
제 4 도는 종래의 관조인트에 외력이 작용해서 주체가 변형한 상태를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체 3 : 장착체
10 : 고리형상 얇은편 32 : 걸림편
33 : 확대직경부 34 : 고리형상홈
본 출원의 고안은, 공기관 접속용의 관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공기관 접속용의 관조인트로서는, 예를들면,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으며, 이것은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탄성합성수지로 구성된 통형상의 주체(1)와, 이 주체(1)의 일단부에 구비시킨 관접속부(2)와, 주체(1)의 타단부에 구비시킨 장착체(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장착체(3)는,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타부로부터 큰직경의 공구대응부(30)을 가진 통형상의 것으로서, 일단부에 장착용 나사부(31)를 형성하는 동시에 타단부쪽 둘레면에 걸림편(32)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은, 장착체(3)에 있어서의 걸림편(32)쪽부분에 O링을 밖으로 장치한 상태에서, 이 단부쪽을 주체(1)의 개구단부로부터 압입하도록해서 장착한다. 이 장착 상태에서는, 걸림편(32)의 주체(1)에의 파고 들기에 의해, 장착체(3)는 주체(1)에 대해서 이탈방지상태로 되어 있으며, 또, O링의 존재에 의해 주체(1)와 장착체(3)와의 사이의 기밀성은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전자공학산업계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소직경의 관을 접속하기 위한 소형의 관조인트가 요망되고, 상기 관조인트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 즉, 서로 닮게 축소한 것이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것에서는, 주체(1)쪽에 예를들면,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방향의 외력(F)이 작용하면, 장착체(3)가 압입되어 있는 주체(1)부분(특히 개방 단부)이 변형하고, 주체(1)의 내주면과 장착체(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틈(g)이 생겨 버린다. 이 현상은, 경우에 따라서는 O링의 기능저하에 의한 유체누설을 초래한다.
또한, 주체(1)에 있어서의 장착체(3)의 압입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상기 부분의 길이를 길게 하면 상기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전체의 형상을 가능한한 작게 하고 싶기 때문에 이 고안은 채용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출원의 고안에서는, 주체(1)에 있어서의 장착체(3)의 압입부분의 두께가 얇고 또한 그것의 길이가 짧은 것이라고 해도, 주체(1)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주체(1)의 상기 부분이 변형이 잘안되는 관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출원의 제 1 고안에서는 탄성합성수지로 구성된 통형상의 주체(1)와 확대직경부(33)를 가지고 또한 상기 주체(1)에의 삽입부쪽에 걸림편(32)을 가진 통형상의 장착체(3)를 구비하고, 상기 주체(1)의 개방단부에 장착체(3)의 삽입부쪽을 압입해서 구성된 관조인트에 있어서, 주체(1)의 개방단부에 고리형상 얇은편(10)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확대직경부(33)에서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과 대응하는 고리형상홈(34)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형상 얇은 편(10)을 고리형상홈(34)에 삽입하고 있다.
또, 본 출원의 제 2 고안에서는, 탄성합성수지로 구성된 통형상의 주체(1)와, 확대직경부(33)를 가지고 또한 상기 주체(1)에의 삽입부쪽에 걸림편(32)을 가진 통형상의 장착체(3)를 구비하고, 상기 주체(1)의 개방단부에 장착체(3)의 삽입부 쪽을 압입해서 구성된 관조인트에 있어서, 주체(1)의 개방단부에 고리형상 얇은편(10)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확대직경부(33)에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과 대응하는 고리형상홈(34)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을 고리형상홈(34)에 압입하고 있다.
본 출원의 고안은 다음의 작용을 가진다.
[제 1 고안의 작용]
본 관조인트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제 3 도 및 제 4 도에 의한 종래예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외력이 주체(1)등에 작용하였을 경우, 주체(1)의 고리형상 얇은 편(10)의 내주면이나 외주면이 장착체(3)의 고리형상홈(34) 구성벽면에 맞닿게 되고, 이에 의해, 주체(1)의 개방단부 전체둘레가 장착체(3)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제 2 고안의 작용]
본 조인트에서는, 고리형상 얇은 편(10)을 고리형상홈(34)에 압입하고 있으므로, 장착체(3)에 의한 주체(1)의 개방단부 전체둘레의 지지상태는, 제 1 고안의 것과 비교해서, 더 우수한 것이 된다.
이하, 본 출원의 고안의 구성을 일실시예로서 표시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관조인트는, 기본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제 3 도 및 제 4 도에 의한 종래예의 설명에서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탄성합성수지로 구성된 L형 통형상의 주체(1)와, 이 주체(1)의 일단부에 구비시킨 관접속부(2)와, 주체(1)의 타단부에 구비시킨 장착체(3)로 구성되어 있다.
주체(1)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개방단부에 고리형상 얇은편(10)을 연장시키고 있는 동시에, 이 고리형상 얇은편(10)의 직경을 주체(1)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하고 있다.
상기 관접속부(2)로서는,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입통(20)을 진퇴시켜서 고리형상클릭(21)에 의해 관을 붙이고 떼게하는 형식의 공지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한 장착체(3)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확대직경부(33)와 대응하는 공구대응부(30)를 가진 통형상의 것으로서, 일단부에 장착용 나사부(31)를 형성하는 동시에 타단부쪽 둘레면에 걸림편(32)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구대응부(30)의 걸림편(32) 형성쪽면에,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을 삽입하기 위한 고리형상홈(34)(홈폭을 고리형상 얇은편(10)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하고 있다)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장착체(3)에 있어서의 걸림편(32)쪽 부분에 O링(4)을 밖에서 장치한 상태이고, 이 단부쪽을 주체(1)의 개구단부로부터 삽입하는 동시에 고리형상 얇은편(10)을 고리형상홈(34)에 삽입하도록 해서 장착한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걸림편(32)의 주체(1)에의 파고들기에 의해, 장착체(3)는 주체(1)에 대해서 이탈방지 상태로 되어 있으며, 또, O링의 존재에 의해 주체(1)와 장착체(3)와의 사이의 기밀성은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관조인트에서는,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란에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의 외력(F)이 주체(1)등에 작용하였을 경우, 주체(1)의 고리형상 얇은편(10)의 내주면이나 외주면이 장착체(3)의 고리형상홈(34) 구성벽면에 맞닿게 되고, 이에 의해, 주체(1)의 개방단부 전체둘레가 장착체(3)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조인트에서는, 주체(1)에 있어서의 장착체(3)의 압입부분의 두께가 작고 또한 그것의 길이가 짧은 것이었다고 해도, 주체(1)에 외력이 작용해도 주체(1)의 상기 부분은 변형이 잘되지 낳게 되고, 그 결과, O링(4)의 기능이 저하되는 일도 적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리형상홈(34)의 홈폭을 고리형상 얇은편(1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였으나 동일이어도 되고, 또는, 고리형상홈(34)의 홈폭을 고리형상 얇은편(10)의 두께보다도 약간 얇게 설정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고리형상 얇은편(10)은 고리형상홈(34)을 구성하는 양벽에 의해 끼워지지 않게 되고, 변형 방지기능은 더욱 뛰어난 것으로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한 고리형상홈(34)을, 홈저면을 향해서 확대직경, 또는, 축소직경이 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이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변형방지기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이탈방지기능에 대해서도 뛰어난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체(1)를 L 자형상의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T자 Y자등의 형상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본 출원의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제 1 고안의 효과]
주체(1)의 개방단부 전체둘레가 장착체(3)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로 되므로, 주체(1)에 있어서의 장착체(3)의 압입부분의 두께가 얇고 또한 그것의 길이가 짧은 것이었다고 해도, 주체(1)의 외력에 대한 변형은 잘안되는 것이 된다.
[제 2 고안의 효과]
장착체(3)에 의한 주체(1)의 개방단부전체둘레의 지지상태는, 제 1 고안의 것과 비교해서, 더욱 뛰어난 것으로 되므로, 변형저지기능은 더욱 증대하게 된다.
Claims (5)
- 탄성합성수지로 구성된 통형상의 주체(1)와, 확대직경부(33)를 가지고 또한 상기 주체(1)에서의 삽입부쪽에 걸림편(32)을 가진 통형상의 장착체(3)를 구비하고, 상기 주체(1)의 개방단부에 장착체(3)의 삽입부쪽을 압입해서 구성된 관조인트에 있어서, 주체(1)의 개방단부에 고리형상 얇은편(10)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확대직경부(33)에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과 대응하는 고리형상홈(34)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을 고리형상홈(34)에 삽입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의 고리형상홈(34)에의 삽입은, 압입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홈(34)을, 홈저면을 향해서 확대직경이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홈(34)을, 홈저면을 향해서 축소직경이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얇은편(10)의 고리형상홈(34)에의 삽입은, 고리형상 얇은편(10)과 고리형상홈(34)사이에 간격이 있는 상태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0117924U JPH0616211Y2 (ja) | 1990-11-08 | 1990-11-08 | 管継手 |
JP90-117924 | 1990-1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9740U KR920009740U (ko) | 1992-06-16 |
KR950005503Y1 true KR950005503Y1 (ko) | 1995-07-12 |
Family
ID=1472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8899U KR950005503Y1 (ko) | 1990-11-08 | 1991-11-08 | 관조인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616211Y2 (ko) |
KR (1) | KR950005503Y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88137A (ja) * | 1982-11-15 | 1984-05-22 | 株式会社東芝 | 超音波診断装置 |
JPS61262292A (ja) * | 1985-05-15 | 1986-11-20 | 株式会社 日本ピスコ | 管継手 |
JPS6413902U (ko) * | 1987-07-17 | 1989-01-24 | ||
JP3068694U (ja) * | 1999-11-01 | 2000-05-16 | 滋 笹森 | 缶 |
-
1990
- 1990-11-08 JP JP1990117924U patent/JPH0616211Y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
- 1991-11-08 KR KR2019910018899U patent/KR95000550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473694U (ko) | 1992-06-29 |
JPH0616211Y2 (ja) | 1994-04-27 |
KR920009740U (ko) | 1992-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72940A (en) |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small diameter pipe | |
US5112084A (en) | Connector for small-diameter piping | |
KR950006383Y1 (ko) | 시일 링 | |
US4875709A (en) | Controlled leak path | |
EP0797041B1 (en) | Pipe joint | |
EP1065425B1 (en) | Tube joint | |
EP0646738B1 (en) | Fluid sealing means | |
US4114898A (en) | Oil seal with permanently deformable locking member | |
KR940009688B1 (ko) | 세경배관 접속용 커넥터 | |
US4564221A (en) | Hose coupling | |
KR910001304A (ko) | 작은 직경의 파이프 커넥터 | |
KR960006181B1 (ko) |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 |
KR100329242B1 (ko) | 관조인트 | |
US5792990A (en) | Coupling for metal tubes | |
US5127682A (en) | Joint | |
KR930006021B1 (ko) | 가요성 신축관 커플링 | |
EP0027130A1 (en) | Splined shaft seal article and apparatus | |
US4714278A (en) | Plastic part provided with a metal threaded element | |
EP0009368B1 (en) | Pipe coupling and pipe joint connection | |
KR950005503Y1 (ko) | 관조인트 | |
JP2002106766A (ja) | 管継手 | |
JP4070045B2 (ja) | 流体管の抜出防止装置 | |
US5924813A (en) | Gasket clamp structure | |
JP2588683Y2 (ja) | 管継手 | |
KR100305085B1 (ko) | 파이프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708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