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85B1 - 전기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85B1
KR950004985B1 KR1019870007235A KR870007235A KR950004985B1 KR 950004985 B1 KR950004985 B1 KR 950004985B1 KR 1019870007235 A KR1019870007235 A KR 1019870007235A KR 870007235 A KR870007235 A KR 870007235A KR 950004985 B1 KR950004985 B1 KR 95000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housing
connector
terminal end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292A (ko
Inventor
비. 페퍼 죠지
피. 딘스모어 제프리
Original Assignee
에이 디 씨 텔리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데니스 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디 씨 텔리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데니스 리즈 filed Critical 에이 디 씨 텔리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코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코넥터 장치용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립된 코넥터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 선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상부 하우징 부품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부품의 저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전기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위한 캡 요소의 측면도.
제9도는 제8도 캡 저면도.
제10도는 제8도 캡의 단부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중간 코넥터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 코넥터의 측면도.
제13도는 제11도 코넥터의 제1단부의 단부도.
제14도는 제11도 코넥터의 제2단부의 단부도.
제15도는 설치된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을 도시한 장치의 제2단부의 부분 단면도.
제16도는 설치된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을 도시한 장치의 제2단부의 평면도.
제17도는 비접속된 단자단부와 정렬된 본 발명 장치의 제1단부의 단면도.
제18도는 접속된 단자단부를 도시한 본 발명 장치의 제1단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1단부 14 : 제2단부
16 : 제1하우징 부품 18 : 제2하우징 부품
20 : 슬리브 22 : 포켓
24 : 슬릿 26 : 원주슬릿
27 : 좁은 슬릿재구 30 : 캡
32 : 개구 70 : 제1중간 전기 코넥터
74 : 제1단부 76 : 제2단부
78 : 중앙부 80 : 제2중간 전기 코넥터
84 : 제1단부 86 : 제2단부
88 : 중앙부 96 : 저항기
97 : 캐패시터 98 : 전기 접촉점
100 : 팽출부 110 : 접속수단
118,120 : 슬롯 140 : 포스트
160 : 원통형 바렐 164 : 미늘
200 : 단자단부 201 : 금속 실린더
202 : 포스트 204 : 절연 실린더
206 : 제1노출 전기접촉부 208 : 제2노출 전기 접촉부
208a : 아암 300 :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
301,302 : 전연 피복 도체
본 발명은 두 세트의 도체간을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지된 구조의 잭에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을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코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전기 도체로서 꼬여진 케이블쌍이 널리 사용된다. 때때로 꼬여진 한쌍의 케이블과 잭간을 전기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서, 잭에 케이블 도체를 효율적으로 접속시키고 또 어떤 경우에는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해 필요한 회로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그와같은 회로의 한 기능은, 잭이 접속되는 회로와 꼬여진 케이블쌍 간을 정합하는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 구조의 단자단부를 가지는 잭이 널리 사용된다. 그와같은 표준 단자단부의 예가 미국방 규격 MIL-C-39012에 따라 제조된 BNC 내면이다. 그와같은 잭의 다른 예는 1984년 11월 16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668,75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준 단자단부는 끼움식 단자이다. 그와같은 단자단부는 외부 원통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하는 한쌍의 직경상 대향된 포스트를 가진 중공 외부 원통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1노출 전기 접촉부는 외부 원통부재내에 배치되고 외부 원통부재내에 고정된 중공 내부 원통형 절연체내에 수용되어 그와 동축으로 정렬된다. 제1노출 접촉부와의 접촉은, 절연내부 실린더내의 예정된 크기의 로드형 도체를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단자단부는 내부 원통형 절연부재 바깥의 외부 실린더 부재내에 배치된 제2노출 전기 접촉부를 구비한다. 통상, 제2접촉부는 외부 원통형부재의 내부 원통면에 결합하기 위해 편의되는 탄성 금속 아암을 포함한다.
단자단부의 노출 접촉부와 전기 접속을 시키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단자단부와 그 대응 코넥터가 서로 결합될때 단자단부의 제1 및 제2노출 접촉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어 정렬되는 제1 및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대응 코넥터를 개발해 왔다. 대응 요소는, 전형적으로 제2노출 접촉부의 아암과 외부 원통부재 사이에서 단자단부의 외부 원통부재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된 절연재료의 실린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절연 실린더는, 아암을 단자단부 외부 실린더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지게 고유탄성에 대해 누름으로써 단자단부의 외부 실린더와 아암간의 전기 접속을 끊게된다. 대응 요소의 절연 실린더내의 접촉으로 제2노출 접촉부가 전기 접속 상태로 접촉된다. 또 대응 요소는, 단자단부의 중공 절연 내부 실린더내에 수용할 수 있게 배치되어 단자단부의 제1노출 접촉부와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의 축방향 연장 포스트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단자단부와 꼬여진 케이블 쌍간에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의 장치는 제조비가 많이 들고 사용시 번거롭다. 염가이면서 잭단자단부와 꼬여진 케이블쌍의 신속한 접속을 용이하게 해주는 코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그와 같은 이상적인 코넥터를 아직 개발치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을 잭의 단자단부에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코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잭과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간에 신속한 전기 접속을 용이하게 해주는 전기 코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과 잭을 접속시키면서 잭과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간에 소요의 회로를 제공하는 회로소자를 가지는 전기 코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잭의 단자단부를 해제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단부와 한쌍의 절연, 피복 전기 도체를 가지는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을 수용하는 제2단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코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하우징과 단자단부를 예정된 정렬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단자단부를 하우징 제1단부에 해제가능하게 접속시키는 수단을 가진다. 제1 및 제2중간 전기 코넥터는 하우징내에 있고, 제1전기 코넥터는 단자단부와 하우징이 접속될 때 단자단부의 제1노출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단부를 가진다. 제2중간 전기 코넥터는 단자단부와 하우징이 접속될때 단자단부의 제2노출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단부를 가진다. 각 제1 및 제2중간 전기 코넥터는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이 제1 및 제2절연피복도체에 제2단부를 전기 접속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면서 제2단부를 가진다. 회로소자는 중간전기 코넥터 사이에 완전한 회로를 제공하는 전기 접촉부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구비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공지 구조의 단자단부를 가지는 잭에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668,752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잭의 단부(200)(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에, 꼬여진 한쌍의 케이블(300)(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과 공통 결합된 한쌍의 절연피복도체(301,302)를 접속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단자단부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다. 단자단부(200)는 금속 실린더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직경상 대향된 포스트(202)를 가지는 예정된 치수의 외부 중공 금속 실린더(201)를 포함한다. 절연재료의 내부 중공 실린더(204)는 중공 금속 실린더내에 배치되고 이에 동축으로 정렬된다. 제1노출 전기 접촉부(206)는 중공 절연 실린더(204)내에 배치된다. 한쌍의 전기 접속된 제2노출 접촉부(208)는 절연 실린더의 직경상 대향된 쪽에서 금속 실린더내에 배치된다. 제2전기 접촉부(208)는 아암(208a)을 금속 실린더(201)의 내면과 전기 접촉을 강제하는 중립 바이어스를 구비한 전기 접속된 도전 아암(208a)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단부(200)와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의 절연피복도체(301,302)간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 장치(10)가 제공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원통형상이고, 제1단부(12)로부터 제2단부(14)로 연장하는 종축을 따라 분할선(11)에서 분할되어서 장치(!0)를 제1반원통형 하우징부(16)와 제2반원통형 하우징부(18)로 분리시킨다.
장치(10)는 제1단부(12)에서 접속수단을 포함한다. 장치(10)의 접속수단은, 제1하우징 부품(16)의 제1반원 통형 반쪽부(20a)와 제2하우징 부품(18)의 제2반원통형 반쪽부(20b)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20)이다. 슬리브(20)는 단자단부(200)의 금속 슬리브(201)의 외부 원통면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 원통면을 가진다. 슬리브 반쪽부(20a,20b)는 대칭이고 그 각각에는 단자단부(200)와 장치(10)가 소정의 정렬 상태에 있을때 단자단부(200)의 직경상 대향된 포스트(20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정렬된 원주상 연장 포켓(22)이 구비된다. 이런 위치에서, 금속 단부의 금속 실린더(201)는 슬리브(20)내에 동축적으로 수용된다.
슬리브 반쪽부(20a,20b)의 대향면은 한쌍의 직경상 대향된 축방향 연장 슬릿(24)을 규정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부(12)에서는 슬릿(24)이 단자단부(200)의 포스트(202)의 직경보다 큰 직경(75)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슬릿(24)의 개구는 제1단부(12)와의 공통축상의 포켓(22) 근방의 점(27)까지 좁아진다. 점(27)에서의 슬릿(24)의 폭은 단자단부의 포스트(202)의 직경보다 작다. 슬릿(24)은 단부(12)로부터 포켓(24)을 지나 연장하고 포켓(22)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원주슬릿(26)은 단부(12) 반대쪽 포켓(22)측의 슬리브 반쪽부(20a,20b)의 각각에 형성된다. 슬릿(26)은 슬릿(24)과 통하고 대향 슬리브 반쪽부로부터 원주상으로 멀어지게 연장한다. 하우징 부품(16,18)은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그 결과, 단자단부가 단부(12)내에 삽입될 때 포스트(202)는 좁은 슬릿 개구(27)쪽으로 슬릿(24)의 확대 개구(25)에 의해 안내된다. 좁은 슬릿 개구(27)에서 포스트(202)는 포켓(22)쪽으로 강제된다. 포켓(22)쪽으로 포스트가 강제되면 슬리브 반쪽부(20a,20b)의 플랩부(29)가 휘어진다. 플랩부(29)의 휨 이동은 원주 슬릿(26)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포스트(202)가 포켓 영역(22)으로 이동하면 플랩(29)은 다시 변형하여 포켓(22)내에서 포스트(202)를 포획하는 이완 상태로 된다. 포켓(22)내의 포스트와 함께, 단자단부(200)와 장치(10)는 예정된 정렬 상태에 있게 된다. 단자단부(20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부(200)를 회전하여 포스트(202)가 플랩(29)을 휘도록 하고 따라서 단부(200)와 포스트(202)가 장치(10)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가능한 캡(30)이 제공되고, 하우징 부품(18)의 제2단부(14) 근방에 형성된 개구(32)를 덮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캡(30)이 제거되면 개구(32)는, 꼬여진 한쌍의 케이블을 수용하고 포획하기 위해 하우징 부품(16)내의 변형 경감기구를 노출시킨다.
제3도, 제8도 내지 제10도, 제15도 및 제16도에서, 변형 경감기구는 하우징 부품(16)내에 형성된 다수의 케이블 수용 플렛포움(36,37,38)을 포함한다. 제2단부(14)에서 하우징 부품(16)에는 반원개구(34)가 구비된다. 부품(18)은 대응 호형 단부(35)를 가진다. 또 캡(30)은 호형단부(39)를 가진다. 부품(16,18)이 결합하고 캡(30)이 설치되면, 반원개구(34)가 단부(35,39)와 협력하여 예정된 치수의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단부(14)를 통해 원형개구를 규정한다.
하우징 부품(16)내에는 3개의 케이블 수용 플랫포옴(36 내지 38)이 개구(32)에 의해 노출된다. 각 플랫포움(36 내지 38)은 개구(32)와 대향하는 오목한 반원형상면을 가진다. 플랫포움(36 내지 38)의 반원형상면은 장치(10)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부품(16,18)을 분리시키는 평면을 규정하는 분할선(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4도 및 제15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면(36, 38)은 분할선(11)으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면(37)은 면(36,38) 사이에 배치되고 면(36,38)의 거리보다 더 큰 거리로 분할선(11)으로부터 이격된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은 하우징 부품(16)에 형성된 마늘 수용 개구(44)와 맞추어지는 4개의 미늘(42)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캡(30)은 하우징 부품(16)의 단부벽(15)에 형성된 미늘 수용노치(48)와 맞추어지는 한쌍의 단부 미늘(46)을 가진다. 개구(44)와 맞추어지는 미늘(42)과 노치(48)와 맞추어지는 미늘(46)이 구비되어, 캡(30)은 개구(44,48)내에 확고히 고정되는 미늘(42,46)에 의해 개구(32)를 덮은 장치(10)에 고정된다.
각각 개구(44,48)내에 고정된 미늘(42,46)을 가져 맞추어진 캡(30)때문에, 캡(30)은 플랫포옴(36 내지 38)에 각각 대향하는 3개의 돌출부(56,57,58)를 제공한다. 돌출부(56 내지 58)는, 캡(30)이 개구(32)를 덮는 장치에 삽입될때 돌출부(56 내지 58)와 플랫포옴(36 내지 38)간의 간격이 장치에 의해 수용되는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되도록 그 돌출부(56 내지 58)의 연장길이가 주어진다. 따라서, 돌출부와 플랫포옴은, 플랫포옴(36 내지 38)의 상부에 케이블(300)을 놓고 그것을 단부벽(15)내의 반원개구(34)를 통해 연장시켜 한쌍의 꼬여진 케이브을 제2단부(14)에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개구(44)와 노치(48)내에 수용된 미늘(42,46)로서 캡(30)을 강제 위치시킴으로써,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은 플렛포옴(36 내지 38) 사이에서 높이가 교대로 바뀌면서 개구(34)를 통해 연장하는 커어브 통로에 억지로 놓이게 된다. 그 결과, 대향하면서 협력하는 돌출부와 플랫포옴의 크립핑 작용으로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은 제2단부(14)내에 확고히 수용되고 따라서 개구(34)로부터 나올려고 하는 케이블에 견인력이 작용하여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의 이동을 억제하게 된다.
단자단부(200)를 장치(10)의 제1단부(12)에, 그리고 한쌍의 꼬여진(300)을 장치(10)의 제2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수단을 기술하였고, 이하 본 발명 장치(10)의 전기 접속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에는 제1 및 제2중간 전기 코넥터(70,80)가 제공되어 있다. 각 중간 코넥터(70,80)는 탄성 전기 재료로 형성된다. 하우징 부품(16)내에는 다수의 축방향 벽(62,64,66,68)이 형성된다. 제1의 다수의 채널(72)은 각 벽(62,64,66,68)에 형성되고, 또 축방향 연장핀이나 로드로서 슬리브(20)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코넥터(70)의 제1단부(74)와 예정된 고정 정렬 관계로 제1중간 코넥터(70)를 수용하도록 맞추어진다. 그렇게 맞추어지면, 제1단부(74)는 단자단부(200)의 중공 절연 실린더(204)에 들어가도록 배치되고, 단자단부가 포켓(22)내에 포획된 포스트(202)에 의해 제1단부(12)에 수용될때 제1단부(74)와 단자단부의 제1노출 전기 접촉부(206)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제1중간 코넥터(70)는 캡(30)이 제거될때 개구(32)에 의해 노출된 제1하우징 부품(16)의 영역내에 제2단부(76)에서 끝난다. 유사하게, 슬리브(20)내에 배치된 제1단부(84)와, 캡(30)이 배치되지 않을때 개구(32)에 의해 노출된 제1하우징 부품(16)의 영역내에 배치된 제2단부(86)를 가지는 제1중간 코넥터(70)와 예정된 고정 위치관계로 제2중간 코넥터(80)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치된 제2의 다수의 채널(82)이 벽(62,64,66,68)에 구비된다. 제2중간 접촉부(80)의 제1단부(84)는 전기 접속 관계로 브릿지(84C)에 의해 결합된 한쌍의 호형 접촉부(84a,84b)를 포함한다(제11도 내지 13도 참조). 호형 접촉부(84a,84b)는 핀 단부(74)의 직경상 반대쪽에 배치되고, 포켓(22)에 수용된 단자단부 포스트(202)에 의해 단자단부가 장치(10)에 접속될때 단자단부(200)의 제2노출 접촉부(208)을 수용하도록 맞추어진다.
제3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는 중앙부(78,88)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중앙부는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정렬되고 3개의 지주(90,91,92)에 의해 분리된다. 지주(90 내지 92)는 하우징 부품(1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또 이격된 축방향 정렬관계로 배치되어 전기 회로 부품(96,97)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2개의 캐비티(94,95)를 규정하고 있다.
회로부품(96,97)은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를 접속하는 전기 회로를 제공한다. 양호하게는, 부품(96)은 저항기이고 부품(97)은 캐패시터로 되어 있어 제7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제공한다. 제7도 회로에 의해, 저항기(96)와 캐패시터(97)는 코넥터(70,80)를 가로질러 평행하게 접속된 저항기와 캐패시터를 구비한 회로를 제공하게 된다. 저항기(96)와 캐패시터(97)는 균일한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전기부품의 표면 장착형으로서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의 중앙부(78,88)에 대향하는 전기 접촉점(98)을 포함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코넥터(70,80)의 각각은 외향돌출 팽출부(100)를 가져 중간 전기 코넥터(70,80)의 부분(78,88)과 접촉부(98)간의 확실한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668,752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에 의해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을 잭에 접속하는 경우, 잭은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의 것과는 다른 임피던스를 가지는 회로의 일부로될 것임이 예상된다. 잭 회로와 케이블(300)간에 정합되는 임피던스를 조장하기 위해 밸브(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것)를 가지도록 회로소자(96,97)가 선택된다.
각 중간 코넥터(70,80)의 제2단부(76,86) 각각은 제2단부(76,86)와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로부터의 절연피복 전기 도체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수단(110)을 구비한다. 단부(76,86)의 각 수단(110)은 동일하고 그중 하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접속수단(110)은, 코넥터(70,80)의 제2단부(76,86)에 고정되고 공통저판(116)에 의해 결합된 평행 이격 도전판(112,114)을 포함한다. 평행 이격판(112,114)은 정렬된 슬롯(118,120)을 각각 구비한다. 슬롯(118,120)은 캡(30)이 제거될시 노출되는 개구를 가진다. 슬롯(118)을 규정하는 판(112)의 가장자리는 칼날형이고 그 가장자리가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의 절연피복도체(301,302)의 절연물을 뚫고 도체와 전기 접속으로 접촉되기에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슬롯(118)을 가진판(112)과 같은 코넥터는 절연 해제 코넥터로 언급된다. 슬롯(120)의 크기는 판(114)의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슬롯이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의 절연피복 도체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피복체가 슬롯(118,120)내에 삽입될때 판(112)의 가장자리는 절연물을 뚫어 도체와의 전지 접속을 제공하게 된다. 동시에, 슬롯(120)을 규정하는 판(114)의 가장자리는 절연물을 뚫지 않고 그것을 잡아 판(112)으로부터 판(114)까지 연장하는 와이어를 고정 정열 상태로 유지하여 슬롯(118)에서의 도체의 냉간 가공을 피하게 되고 변형 제거를 제공한다.
제2단부(76,86)내에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해서, 와이어를 슬롯(118,120)에 가로 질러 두고 확대 홈부(122)내에 수용한다. 캡(30)에는 단부(76,86) 사이의 폭과 대략 같은 폭과, 판(112,114)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길이를 가진 플런저(124)가 구비되고 미늘(42,46)이 개구(44)와 노치(48)에 각각 수용될시 그렇게 수용될 수 있게 정렬된다. 플런저(124)의 크기는, 캡(30)이 개구(32)를 덮도록 삽입될시 상기 플런저가 슬롯에 가로질러 놓여진 와이어를 슬롯 속으로 밀어 절연해제로 접속하게 되는 깊이를 가지도록 그 치수가 정해진다. 측방 플런저(123,125)는 캡(30)상에서 플런저(124)의 반대쪽에 구비되어 캡(30)이 삽입될시 판(112,114)의 외측에서 도체(301,302)를 하방으로 누르도록 정렬된다. 따라서, 캡(30)은 슬롯(118)내의 도체의 절연해제를 제공하는 동시기능을 가지고 또 플랫포옴(36 내지 38) 상부상에 있는 케이블(300)의 변형 제거의 크림핑을 제공한다.
상부 하우징 부품(18)과 하부 하우징 부품(16)을 접속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구조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 부품(18)의 후방벽(17)에는, 하부 하우징 부품(16)의 후방벽(15)에 형성된 맞춤슬롯(132)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돌출태브(130)가 구비되어 벽(15)과의 적절한 정렬로벽(16)이 고정한다. 제1도, 제3도 내지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 부품(16)에는 분할선(11)에서 부품(16)의 대향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형성 노치(135)가 구비되고 또 그 크기가 상부 하우징 부품(18)의 양쪽으로부터 연장하는 긴 하방 돌출 브릿지(136)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부 하우징 부품(18)과 하부 하우징 부품(16)의 상대적인 측벙 이동을 방지한다. 또 상부 하우징 부품(18)에는 하우징 부품(16)내에 돌출하여 대향단부(12)의 측면상의 벽(64) 근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2포스트(150)가 구비된다.
상부 하우징 부품(18)은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의 팽출부(100)와 결합하기 위해 캠면에 배치된 한쌍의 이격된 연장 포스트(140)를 구비한다. 부품(16,18)이 결합되면 포스트(140)는 서로 팽출부(100)를 밀어 중간 코넥트의 중앙부(78,88)의 서로 팽출부(100)를 밀어 중간 코넥터의 중앙부(78,88)의 도전면과 회로소자(96,97)의 접촉점(98)간에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보장한다(포스트(140)대신에 중앙부(78,88)는 접촉점(90)에 대해 중앙부(78,88)를 미는 스프링으로서 역활을 하는 내향돌출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단부(12)에서 부품(18,16)의 반경 방향의 상대적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공 원통형 슬리브(162)와 슬리브(162)의 제1단부(163)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져 돌출하는 한쌍의 직경상 대향된 미늘(164)을 가지는 원통형 바렐요소(160)가 구비된다. 제1단부(163)에서 미늘(164)은 단면이 정사각형인 정렬 플러그(165)를 구비한다. 하우징 부품(18,16)이 결합될때, 부품(16)의 벽(64)과 하우징 부품(18)의 대향벽(64a)은, 단면이 정사각형이면서 플러그(16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상 대향된 통로(168)를 구비한 동심홈(167)을 가진 완전한 벽을 규정한다. 상부 하우징 부품(18)과 하부 하우징 부품(16)을 서로 결합하면, 플러그(165)가 개구(168)내에 수용되고 원통형 슬리브(162)의 제1단부(163)가 원형 홈(167)내에 수용될 때까지 개구(168)를 통해 미늘(164)을 통과시킴으로써 바렐(160)이 삽입된다. 이 점에서 미늘(164)은 포스트(150)를 지나 고정벽(64)에 대해 포스트(150)를 미는 그 후방측에서 걸리게 된다. 원형 홈(167)내에 수용된 슬리브(162)의 제1단부(163)는 부품(16,18)의 상대적인 반경방향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 슬리브(162)는 단자단부(200)의 외부 실린더(201)의 내면으로부터 단자단부(200)의 제2노출 접촉부(208)의 아암(208a)간의 전기적 접속을 끊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슬리브(162)의 크기는, 단자단부(200)의 금속 실린더(201)의 내면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면서 실린더(201)로부터 아암(208a)을 떨어질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단자단부(200)가 삽입될시, 제2노출 접촉부(208)는 접촉부(84a,84b)와 전기적 접속이 되어 수용된다.
끝으로, 캡(130)과 하우징 부품(16)의 직경상 대향된 면을 조작자에 의한 장치(10)의 용이한 파지를 위해 세레이션 면(190)을 구비한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어떻게 달성되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간의 전기 회로를 제공하기 위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평면 장착 회로소자(96,97)의 신규한 사용을 제공하고 있다. 코넥터(70,80)와 하우징 부품(16)내에 배치된 회로소자(96,97)의 구비로,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은 플랫포옴(36 내지 38) 상부에 놓고 절연해제 코넥터(110)의 슬롯(118,120)의 상부에서 그리고 그것에 가로질러 케이블 절연도체를 연장시킴으로써 조작자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케이블과 그 도체가 설치되면, 캡(30)이 삽입되어 플런저(124)가 절연 피보도체와 절연해제 코넥터(110)간에 전기 접속시키고 또 대향 돌출부(56 내지 58)와 플랫포옴(36 내지 38)는 케이블(300)의 장치(10)에의 크림핑 접속을 제공하게 된다.
하우징(16,18)이 결합하면, 포스트(140)는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와 회로 부품(96,97)간에 확실한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이렇게 부품(16,18,70,80,96,97,30)이 설치되면, 바렐(160)이 삽입되어 미늘(164)이 벽(64)에 대해 포스트(150)를 포획하고 슬리브(162)의 제1단부(163)가 원통형 홈(167)내에 수용된다. 완전히 조립되면, 포스트가 포켓(22)내에 확실히 수용될 수 있도록 플랩(27)을 떨어지게 하는 단자단부 포스트(202)로서 홈(24)내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장치(10)는 단자단부(200)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제17도 및 제18도는 단자단부(200)와 장치(10)가 각각 비접속 및 접속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수용되면, 포스트와 포켓은 장치(10)와 단자단부(200)를 예정된 정렬 상태로 유지하도록 협력하게 된다.
또, 슬리브(162)는, 아암(208a)을 슬리브(201)로부터 떨어지게 함으로써 단자단부(200)의 외부금속 슬리브(201)와 제2노출 접촉부(208)간의 전기적 접속을 끊어준다. 제2노출 접촉부(208)는 전기 도통상태의 중간 코넥터(80)의 제1단부(84)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된다. 동시에, 중간 코넥터(70)의 피단부(74)는 단자단부의 중공 절연 실린더(204)내에 수용되어 제1중간 코넥터(70)와 단자단부(200)의 제1노출 접촉부(206)간에 전기 도통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10)와 그 방법의 사용의 결과, 케이블과 잭의 접속을 이루는 소요의 회로를 제공하는 장치(10)의 회로가 구비되어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과 잭단자단부간에 매우 빠르면서 염가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어떻게 달성되는지를 알았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변경 등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하고자 한다.

Claims (13)

  1. 제1도체(301)와 제2도체(302)를 포함하는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과, 제1노출 전기 접촉부(206)와 제2노출 전기 접촉부(208)를 가지는 잭의 단자단부(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코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단부(200)를 해제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단부(12)와 상기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의 상기 제1 및 제2도체(301,302)를 수용하는 제2단부(14)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단부(200)와 상기 하우징 제1단부(12)가 예정된 정렬 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단자단부(200)를 상기 하우징 제1단부(12)에 해제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20)과, 상기 단자단부(200)가 상기 접속 수단(20)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접속될때 상기 제1노출 전기 접촉부(206)를 전기 접속 상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단부(74)와, 상기 제1의 꼬여진 한쌍의 케이블 도체(301)를 제1중간 전기 코넥터(70)에 전기 접속시키는 수단(110)을 가지며 또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중간 전기 코넥터(70)와, 상기 단자단부(200)가 상기 접속 수단(200)에 의해 상기 하우징 제1단부(12)에 접속될때 상기 제2노출 접촉부(208)를 전기 접속 상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단부(84)와, 상기 제2의 꼬여진 한쌍의 케이블 도체(302)를 제2중간 전기 코넥터(80)에 전기 접속시키는 수단(110)을 가지며 또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2중간 코넥터(8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중간 전기 코넥터(70,80)간에 전기 회로를 설정하는 회로 수단(96,97)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다수의 회로 소자(96,97)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소자의 각각은 제1 및 제2전기 접촉점(98)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기 접촉점은 상기 제1중간 코넥터(20)와 전기 접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전기 접촉점은 상기 제2중간 코넥터(80)와 전기 접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96,97)는 상기 제1접촉점이 상기 제1중간 코넥터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접촉점이 상기 제2중간 코넥터에 대향하여 배치되게 되어 있는 제1 및 제2접촉점을 가지는 평면 장착 회로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중간 코넥터(70)를 상기 제1접촉점과의 전기 접속시키는 수단(100,140)과, 상기 제2중간 코넥터(80)를 상기 제2접촉점과의 전기 접속시키는 수단(100,140)이 제공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는, 절연 피복 도체(301,302)를 수용해서 상기 절연물을 뚫고 상기 도체가 제2단부(76,86)에 접속할 시 상기 도체를 접촉시키는 절연 해제 코넥터 수단(110)을 가지는 제2단부(76,86)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절연 해제 접속 수단(110)은 상기 제1 및 제2도체를 상기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에 접속시키는 접속시키는 상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해제 코넥터 수단 근방에서 상기 제1 및 제2도체를 고정 정렬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변형 제거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공통 케이블(300)을 상기 하우징 제2단부에 확실한 정렬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제2변형 제거 수단(30)과 공통 케이블(300)에 상기 제1 및 제2도체(301,302)가 보유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단부(200)는 반경방향 돌출 포스트(202)를 갖는 노출 원통부(201)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수단(20)은 상기 노출 원통부(201)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된 원통형 내면을 갖는 상기 하우징 제1단부상의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20)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단(200)와 하우징 제1단부(12)가 예정된 정렬 상태에 있을때 상기 포스트(20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어 위치되는 포켓(22)과, 상기 슬리브(20)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자유단부(12)로부터 연장해서 상기 포켓(22)를 지나 상기 포켓과 통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또 상기 자유 단부에서 상기 포스트(202)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포켓 근방의 위치(27)로 치수가 감소하게 되어 있는 축방향 슬릿(24)과, 상기 슬리브(20)에 형성되면서 상기 포켓(22) 반대쪽의 상기 슬릿(24)상의 점으로부터 상기 포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 슬릿(26)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9. 제1도체(301)와 제2도체(302)를 포함하는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과, 예정된 정렬 상태로 배치되는 제1노출 전기 접촉부(206)와 제2노출(208)를 구비하는 단자단부(200)를 가지는 잭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코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단부(200)를 해제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단부(12)와 상기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300)을 수용하는 제2단부(14)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단부가의 종축을 따르면서 제1하우징 부품(16)과 제2하우징 부품(18)으로 분할되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단부(200)를 상기 제1단부에 예정된 정렬 상태로 헤제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 부품(16)은 제1중간 코넥터(70)와 제2코넥터(80)를 예정된 고정 위치로 정렬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는 제1단부(74,84)를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단자단부(200)가 접속 수단(20)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 단부(20)에 접속될때 상기 단자단부(200)의 상기 제1 및 제2노출 접촉부(206,208)와 접촉하고, 상기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는 상기 고정 위치에 있을때 대향하여 이격된 회로 소자 접촉부(78,88)를 가지며, 다수의 회로 소자(96,97)가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간에 상기 회로 소자를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접촉할시에 상기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간에 전기 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중간 코넥터(70,80)는 상기 한쌍의 꼬여진 케이블의 전기 도체에 제2단부(76,86)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절연 해제 코넥터 수단(110)을 구비한 제2단부(76,86)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부품을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코넥터(70,80)의 상기 제2단부(76,86)와 상기 케이블(300)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2하우징 부품(18)내에 있는 수단(32)과, 상기 노출부(32)를 덮어서 상기 도체를 상기 절연해제 코넥터 수단으로 밀어주는 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단부(200)는 원통형 면에 결합하도록 탄성적으로 편의되는 부분(208a)을 가진 상기 제2접촉부(208)를 구비하면서 내부 원통면을 가진 제1중공부(201)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10)는 상기 단자단부(200)와 상기 제1단부(12)가 상기 접속 수단(20)에 의해 접속될때 상기 부분(201)의 상기 내부 원통면과 동축적으로 정렬되는 외부 원통면을 가진 상기 제1단부에 배치된 분리 수단(160)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160)은 상기 부분(208a)이 상기 내부 원통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중공부(201)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160)은 상기 제1하우징 부품을 상기 제2하우징 부품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164)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기 코넥터 장치.
  13. 단자단부(200)가 반경방향 돌출 포스트(202)를 갖는 노출 원통부(201)를 포함하게 되어 있는 잭의 단자단부(200)를 접속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출 원통부(201)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된 원통형 내면을 갖는 슬리브(20)와, 상기 슬리브(20)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단자단부(200)와 하우징 제1단부(12)가 예정된 정열 상태에 있을때 상기 포스트(20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어 위치되는 포켓(22)과, 상기 슬리브(20)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자유단부(12)로부터 연장해서 상기 포켓(22)를 지나 상기 포켓과 통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또 상기 자유 단부에서 상기 포스트(202)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포켓 근방의 위치(27)로 치수가 감소하게 되어 있는 축방향 슬릿(24)과, 상기 슬리브(20)에 형성되면서 상기 포켓(22) 반대쪽의 상기 슬릿(24)상의 점으로부터 상기 포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 슬릿(26)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접속 장치.
KR1019870007235A 1986-07-07 1987-07-07 전기 코넥터 KR950004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2530 1986-07-07
US06/882,530 US4693537A (en) 1986-07-07 1986-07-07 Electrical connector
US882,530 1986-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292A KR880002292A (ko) 1988-04-30
KR950004985B1 true KR950004985B1 (ko) 1995-05-16

Family

ID=2538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235A KR950004985B1 (ko) 1986-07-07 1987-07-07 전기 코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93537A (ko)
EP (1) EP0252460A3 (ko)
JP (1) JPS6372078A (ko)
KR (1) KR950004985B1 (ko)
AU (1) AU599674B2 (ko)
CA (1) CA1281788C (ko)
IL (1) IL83057A (ko)
NZ (1) NZ2209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9793C1 (de) * 1986-11-21 1988-02-04 Krone Ag Kabelmuffe,insbesondere Dropwire-Kabelmuffe fuer Doppelader-Dropwirekabel
US5240436A (en) * 1992-03-19 1993-08-31 Adc Telecommunications, Inc. BNC-RJ conversion connector
JPH0718380U (ja) * 1993-08-31 1995-03-31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2芯ケーブル用アダプタ
US5738546A (en) * 1994-12-01 1998-04-14 Adc Telecommunications, Inc.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jack
US5645456A (en) * 1995-06-02 1997-07-08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attachment
SE535946C2 (sv) * 2010-09-03 2013-02-26 Ego Int Bv Kontakt och signalöverföringsanordning med spridare för tvinnade ledare
JP6358125B2 (ja) * 2015-02-18 2018-07-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043A (en) * 1976-05-14 1978-06-13 Graber-Rogg, Inc. Enclosure with strain relief
US4208083A (en) * 1977-03-04 1980-06-17 Trw Inc.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ZA80400B (en) * 1979-03-12 1981-05-27 Minnesota Mining & Mfg Wire cutting electrical connector
DE3049637A1 (de) * 1979-06-13 1982-02-25 J Taylor Electrical interconnectors
US4310211A (en) * 1979-12-26 1982-01-12 Amp Incorporated High current contact system for solar modules
US4618201A (en) * 1984-07-16 1986-10-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a high count twisted pair cable
US4614399A (en) * 1984-07-23 1986-09-30 At&T Technologies, Inc. Aerial drop wire splicer
US4759729A (en) * 1984-11-06 1988-07-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93537A (en) 1987-09-15
CA1281788C (en) 1991-03-19
IL83057A0 (en) 1987-12-31
KR880002292A (ko) 1988-04-30
EP0252460A2 (en) 1988-01-13
AU7503487A (en) 1988-01-14
AU599674B2 (en) 1990-07-26
IL83057A (en) 1990-11-29
JPS6372078A (ja) 1988-04-01
EP0252460A3 (en) 1990-05-02
NZ220906A (en) 199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9723A (en) Patch connector
EP0154414B1 (en) Round cable adaptor for modular plug
EP0327308B1 (en) Microcoaxial connector family
US4484791A (en)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flat insulated cable
EP062061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585290A (en) Modular test plug adapter
US4824384A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4606599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CA1154511A (en)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EP0607485A1 (en) Modular coaxial cable connector
US3377610A (en) Plug for electrical cord
US5915992A (en) Patch cord connection system
KR950004985B1 (ko) 전기 코넥터
US4087150A (en) Quick connect wiring system for breadboard circuits
US3960425A (en) Harness cable connector
EP0083471A1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EP0109297B1 (en)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JPH076802A (ja) 電気コネクタ装置
EP0354677A1 (en) Modular jack assembly
EP0306975B1 (en) A thin-type coaxial connector and receptacle for mating with the coaxial connectors
EP0251396A1 (en) Branch connector for coaxial cable
EP0282194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3577117A (en) Electrical connector
JPH0550108B2 (ko)
CN210182603U (zh) 用于接线端子的连接元件和桥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