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12B1 - 옷걸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옷걸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12B1
KR950004912B1 KR1019880009574A KR880009574A KR950004912B1 KR 950004912 B1 KR950004912 B1 KR 950004912B1 KR 1019880009574 A KR1019880009574 A KR 1019880009574A KR 880009574 A KR880009574 A KR 880009574A KR 950004912 B1 KR950004912 B1 KR 95000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upport
sleeve
support ro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499A (ko
Inventor
엘. 킹 윌리엄
더블유. 오코너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삼소나이트 코오포레이션
디. 마이클 클레이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1516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49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소나이트 코오포레이션, 디. 마이클 클레이톤 filed Critical 삼소나이트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0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54Dust- or moth-proof garment bags, e.g. with suit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13/03Means for hold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4Foldable garment carrier bag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옷걸이 지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옷걸이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3a도는 닫힌상태의 옷걸이지지장치를 보여주는 제2도의 단면도.
제3b도는 열린상태의 옷걸이지지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4도는 슬리브가 미끄럼이동되게 되는 지지로드 및 옷걸이지지장치의 분리상태저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제6a도는 닫힌상태의 옷걸이지지클립을 보여주는 제5도의 단면도.
제6b도는 설치부로 이동되는 옷걸이에 의해 열려지게 되는 옷걸이지거클립을 보여주는 재6a도의 일부단면도.
제6c도는 옷걸이가 위치된 후 닫힌상태의 옷걸이지지클립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따른 옷걸이지지장치의 정면도.
제8도는 제4도에 따른 옷걸이지지슬리브와 지지로드의 다른 실시예.
제9a도는 제8도의 옷걸이지지슬리브와 지지로드를 결합한 옷걸이지지장치의 단면도.
재9b도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옷걸이지지슬리브를 보여주는 제9a도의 부분단면도.
제9c도는 열린상태의 옷걸이지지슬리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0a도는 닫힌상태의 클립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l0b도는 열린상태의 클립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11a도는 제10a도에 따른 옷걸이지지장치의 정면도.
제11b도는 제10b도에 따른 옷걸이지지장치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옷걸이지지장치 12 :모서리부
14 :옷가방 16 : 상면
18 : 후면 20 : 측면
22 : 덮개 23 : 하면
24 : 연직부 26,144 : 빗면부
28 : 옷걸이 32 : 후크부
34.60,112,150 : 지지로드 36,110 : 슬리브
38.54.114,116,142 : 플랜지 40,72,158 : 곡면부
42,126 : 하우징 44,74 : 상판부
46.76,170 : 전면부 48,80.156 : 스크류
50,78 : 금속판 52,154 : 후면부
56,130 : 홈 58.124 : 멈춤구
60 : 넥크부 62 : 요홈
64,90.92,118 : 아암 66,120 : 탄력부
68,82,84,122,143,146 : 슬롯
86.88,160 : 턱부 94.152 : 클립
100,102 : 안내면 128,132 : 벽
162,164.168 : 개구부 134,136 : 경사부
138 :실린더 140 : 버튼
148 : 핀 160 :수직판
172 : 돌기부
본 발명은 옷가방에 옷걸이를 지지시켜 주기 위한 옷걸이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옷걸이를 제한된 좁은 공간내에다 용이하게 걸어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옷가방을 사용하는 동안 옷걸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된 옷걸이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가방에 있어서는 짧은 후크부를 갖춘 옷걸이가 가방의 상부면에 매달려진 U자형 지지부재 위에 걸려지게 되어 있으며, 짧은 후크부에 의해 옷걸이가 U자형 지지부재의 지지바아와 옷가방의 상부면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하여 가로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바, 이와 같은 옷걸이는 통상 후크가 축회전되게 되어 있고 짧은 후크부의 반대쪽끝에 일반크기의 후크가 갖추어져 있어, 옷장의 지지로드에 옷을 거는데 사용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옷걸이지지장치는 옷걸이를 지지바아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 종래에는 옷가방의 내측상부양측에 갖추어진 모서리부가 너무 가깝게 위치되어 옷걸이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좁게 되므로 인해 옷걸이지지바아에 옷걸이를 가로로 설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더욱 이 모서리부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옷걸이 아암이 모서리부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옷걸이지지장치가 낮게 설치됨으로 인해 옷가방을 사용하는 동안 옷걸이가 윗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만큼 옷가방의 상부면이 옷걸이와 충분히 근접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옷걸이가 불필요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공간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옷걸이를 일반적인 가로방향으로 끼우지 않도록 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바, 종래에도 옷걸이가 옷가방의 정면에서 옷걸이지지부재에 끼워지도록 된 옷걸이지지장치가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런 장치는 미국특허 제3,883,00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U자형클립이 옷가방정면쪽으로 개방된 클립단부를 갖추고서 옷가방의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편심결합된 회전판이 열린위치로 회전되면 옷걸이 지지구부위를 열게 되고, 닫힌위치로 회전되면 클립의 개방된 단부를 닫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이 닫힌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걸쇠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옷걸이가 걸려진 후 회전판이 닫혀지기 전에 옷걸이가 빠지지 않도록 옷걸이지지부의 클립에 직립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지지장치는 옷걸이를 가방의 뒷쪽으로 직접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지만 깊은 모서리부가 없어서 옷걸이가 가방의 상부면으로부터 크게 이격되게 될 뿐만 아니라 직립돌기가 옷걸이지지공간을 제한하게 되고, 옷가방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사용된 판형걸쇠를 옷걸이가 끼워진 후 인위적으로 확실하게 닫혀지도록 해야 되며, 또 클립의 형상이 일반 옷걸이의 후크부를 지지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옷걸이가 옷가방의 정면에서 끼워지도록 된 옷걸이지지장치가 미국특허 제4,618,058에도 기재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서는 상부턱이 옷걸이후크부를 결합하기 위해 고정된 하부턱에 접촉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축회전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턱지지부에 축회전 되게 결합된 레버에는 이 레버가 눌려질 때 상부턱이 낮아지도록 동작하는 캠이 형성되어 있어 레버가 닫힌 위치로 완전히 눌려질 때 레버를 닫힌 상태로 유지해 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옷걸이 지지면이 가방의 상부면에서 이격되어 있지만 닫힌상태에서 턱을 지지하는 레버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적소에 레버를 유지하는 지점에 캠이 도달할 때까지 레버를 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가방을 사용하는 동안 레버가 충격을 받게 되면 옷걸이지지구부위에 장애가 발생되어 옷걸이가 적소에 유지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캠 표면으로 인해 옷걸이지지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되므로서, 결과적으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하여 옷가방의 내측공간에 옷걸이를 세로방향으로 걸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종래 장치와 달리 자동으로 옷걸이를 적소에 고정시킬 수 있고, 더욱이 곡면부에 의해 옷걸이후크의 외형에 가깝게 일치되는 상태로 옷걸이를 더욱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후크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비교적 저렴함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된 옷걸이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옷가방의 후면에서 앞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옷걸이지지부재와, 전단부에 결합되어 옷걸이를 걸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옷걸이의 후크부가 지지로드의 전단부로 미끄러져 나오지 않게 되는 닫힌 위치로부터 후크부를 설치시키거나 제거시킬 수 있는 열린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옷걸이유지부재, 사용자가 해제시킬 때까지 적소에 옷걸이유지부재를 고정시키게 되는 멈춤구, 옷걸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플랜지 및, 옷걸이의 후크부가 슬리브로부터 가로방향으로는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곡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의복류나 악세사리를 수장시키는 모서리부(12)가 상면(16)과, 후면(18)의 상측 및 측면(20) 사이에 위치되면서 본 발명 옷걸이지지장치(10)가 옷가방(14)의 양측모서리부(12) 사이에 설치되고, 하면(23)에 연결된 덮개(22)가 가방안에 의복을 수납할 수 있도록 열려져 있는 것을 도시해 놓은 것인데, 덮개(22)의 형태는 닫혔을 때 그 상측가장자리가 모서리부의 하측가장자리에 붙도록 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직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양측모서리부(12)의 연직부(24)는 깊게 형성되면서 비교적 근접이격되어 있고 그 빗면부(26)는 대략 옷걸이(28)의 아암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연직부(24)와 빗면부(26)에 의해 모서리부(12)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연직부(24)에 의해, 긴 넥크부를 갖는 일반적인 옷걸이가 사용될 수도 있고, 빗면부(26)에 의해, 걸려진 옷걸이의 의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 옷걸이지지장치(10)가 지지로드(34)와, 여기에 미끄럼결합된 슬리브(36)로 구성되면서 이 슬리브(36) 위에 옷걸이(28)의 후크부(32)가 걸려져 있는 것을 도시해 놓은 것인데, 상기 옷걸이지지장치(10)는 슬리브(36)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플랜지(38)에 의해 옷걸이(28)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슬리브(36)로부터 근접이격된 곡면부(40)에 의해 옷걸이(28)의 후크부(32)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곡면부(40)는 슬리브(36)를 감싸는 하우징(42)의 저면에 형성되게 된다.
제3a도는 제2도의 단면도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하우징(42)이 전면부(46)를 통해 상판부(44)에 연결되고, 이 상판부(44)가 스크류(48)로 옷가방(14)의 상면(16)에 결합되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상판부(44) 밑에는 스크류(48)의 지지력을 보강시키기 위해 금속판(5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로드(34)가 후면부(52)를 통해 하우징(42)에 연결되므로서 지지로드(34)와 곡면부(40) 및 상판부(44)는 몰딩작업시 일체로 형성되게 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장치의 내부가 통공형으로 되어 중량과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3a와 3b도는 슬리브(36)가 닫힌상태 및 열린상태를 각각 도시해 놓은 것인데, 슬리브(36)는 지지로드(34)위에 결합되어 닫히거나 열린위치로 미끄럼이동되게 되며, 슬리브(36)가 열린위치일 때 옷걸이의 후크부(32)를 슬리브(36)위에 용이하게 걸 수 있게 된다. 옷걸이(28)가 슬리브(36)위에 걸려진 다음, 슬리브(36)를 뒷쪽으로 가볍게 밀면 이 슬리브(30)는 옷걸이(28)를 플랜지(54)와 플랜지(38) 사이에 위치시킨채로 내측으로 이동되게 되어 닫힌 상태로 되는데 이때 옷걸이(28)는 플랜지(54)(38)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지지되게 되며 곡면부(40)에 의해 윗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슬리브(36)는 지지로드(34)의 외팔보구조로 인해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으며, 슬리브(36)의 후크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4)는 슬리브(36)가 앞으로 미끄러져 나을 때 옷걸이(28)의 후크부(32)를 앞으로 밀고 나오게 되는데 상기 플랜지(54)가 없으면 옷가방(14)을 풀때 옷걸이후크(32)가 슬리브(36)의 뒷쪽으로 빠져나가게 되어 옷걸이를 슬리브(36)와 함께 앞쪽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제2,3a,3b,4도에 도시해 놓은 것처럼 슬리브(36)의 밑면에는 홈(56)이 형성되면서, 지지로드(34)의 밑 면에는 상기 홈(56)에 끼워지는 멈춤구(58)가 형성되어 있어 멈춤구(58)와 접하는 홈(56)의 단부가 지지로드(34)위의 슬리브(36)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역활을 하게 되는데, 홈(56)에는 그 단부에 인접한 좁은 넥크부(60)가 멈춤구(58)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 멈춤구(58)가 넥크부(60)에 걸리게 되어 있으며, 상기 넥크부(60)의 양측에는 요홈(62)이 형성되어 있어 홈(56)단부의 멈춤구(58)가 이동될 때 넥크부(60)가 요홈(62)쪽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넥크부(60)와 요홈(62) 사이에서 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36)는 인위적으로 밀거나 당겨야만 넥크부(60)부위가, 굽혀지게 되므로 자체 무게나 기타 요동에 의해서는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슬리브(36)가 제3b도의 열린위치일 때 옷걸이(28)의 유무에 관계없이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제3a도의 닫힌 위치 일때도 슬리브(36)가 옷가방(14)을 사용하는 동안 이동되지 않게 되어 정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한편 지지로드(34)위에 슬리브(36)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멈춤구(58)의 외측끝부분을 지지로드(34)의 표면과 평평하게 하고 지지로드(34)의 멈춤구(58)를 안쪽으로 밀어넣게 되는데 이를 위해 멈춤구(58)와 지지로드(34) 사이는 탄력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멈춤구(58)는 지지로드(34)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두께가 얇은 탄력부(66)에 연결된 아암(64)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아암(64)은 제4도에 상세히 도시해 좋은 것처럼, 그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슬롯(68) 때문에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36)가 지지로드(34)위에 위치될 때 탄력부(66)의 탄력에 의해 멈춤구(58)가 지지로드(34)안으로 밀려지게 되며, 멈춤구(58)가 일단 홈(56)으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탄력부(66)의 작용에 의해 다시 튀어나오게 되고, 그로 인해 멈춤구(58)는 정지기능을 위한 제3a,3b도의 정상위치로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는 홈(56)과 멈춤구(58)가 슬리브(36)와 지지로드(34)에 각각 형성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홈(56)을 지지로드(34)에 슬리브(36)를 멈춤구(58)에 각각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의 실시예에는 여러가지 잇점이 있는 바, 열린위치로 빼낼 수 있는 슬리브(36)를 설치하므로서 옷걸이지지장치에 옷걸이를 측면으로 수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닫힌위치의 슬리브(36)를 앞으로 이동시켜 옷가방(14)의 덮개(22)를 닫기 전에 느슨하게 밀어넣는 형태로 슬리브상에 옷을 걸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옷을 구겨지지 않게 걸 수 있으므로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뒷부분의 옷걸이를 다른 옷걸이를 먼저 때내지 않고도 용이하게 빼낼 수 있으며, 또한 슬리브(36)는 옷가방(14)의 덮개(22)가 닫혀지는 위치만큼 밀려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닫힌상태로 고정 유지되게 됨과 함께 슬리브(36)를 당기게 되면 고정유지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게 되어 있고, 아아치형 슬리브(36)의 큰 반경으로 인해 옷의 중량부하를 비교적 큰 표면에 분산시켜 주므로서 옷걸이후크(32)의 찌그러짐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인바, 제5,6a,7도에 있어서, 플라스틱일체형 옷걸이지지장치는 외팔보통공형 지지로드(70)와, 곡면부(72) 및 상판부(7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부(72)는 전면부(76)를 통해 상판부(74)에 연결되고, 이 상판부(74)는 금속판(78)과 스크류(80)로 옷가방의 상면(16)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지지로드(70)가 슬리브를 갖는 대신 옷걸이의 후크부(32)를 직접 수납하도록 형성된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지로드(70)와 곡면부(72) 사이의 거리는 제1실시예와 같이 크지 않아도 되며, 상기 아아치형 지지로드(70)의 반경은 제1실시예의 슬리브(36)와 같은 방법으로 옷걸이부하를 분산시키게 된다.
한편, 곡면부(72)에는 전면부(76)에 인접한 슬롯(82)이 형성되고 지지로드(70)의 상면에는 지지로드(70)의 전면에 인접한 슬롯(84)이 형성되어 있는데, 탄력클립(94)의 상,하아암(90,92)의 끝에 형성된 상,하턱부(86,88)가 상기 슬롯(82,84)을 통하여 연장되어 서로 대향되며, 상기 클립(94)의 후면부는 곡면부(72)가 지지로드(70)를 연결하는 벽(98)에 스크류(96)로 부착되어 있으며, 제6a도에 도시된 정상상태에는 클립(94)의 턱부(86,88)가 탄력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제6b도에 있어서, 옷걸이(H)의 후크부가 지지로드(70)의 끝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지지로드(70)위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클립(94) 턱부(86,88)의 탄력을 극복하는 충분한 힘으로 옷걸이(H)를 밀어넣으면 그와 동시에 턱부(86,88)가 탄력적으로 닫혀져 옷걸이(H)가 빠지지 않게 되는바, 턱부(86,88)는 옷걸이(H)가 통과될 수 있도록 열리고 지지로드(70)위에 옷걸이(H)가 지지되도록 닫히게 되는 기능을 하게된다.
제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턱부(86,88)는 옷걸이(H)가 지지로드(70)에서 미끄러져 앞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곡면부(72)에 의해 윗쪽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하게 된다. 지지로드(70)에 옷걸이(H)를 용이하게 걸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로드(70)로부터 옷걸이(H)를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턱부(86,88)의 안내면(100)이 내측안내면(102)보다 완만하게 경사져야 하며, 그로 인해 옷걸이(H)가 지지로드(70)에 끼워질때 용이하게 끼워지면서 잘 빠지지는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닫힌위치로 옷걸이지지용 슬리브(36)를 고정시키거나 옷걸이를 걸기 위해 열린위치로 하기 위한 작동상태는 옷걸이(H)를 넣고 뺌에 따라 작동되게 되는바, 즉 제1실시예에서 옷걸이지지슬리브는 이를 연장된 위치로 끌어내거나 들어간 위치로 밀어줌에 따라 열린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고정되게 되며, 이들 상태의 최대위치에서 슬리브(36)를 고정시키게 되는 멈춤구(58)는 인위적으로 밀거나 당김에 따라 이동되는 슬리브(36)에 의해 자동적으로 고정유지 되거나 해제되게 되며, 제2실시예에서, 옷걸이지지용 탄력클립(90)의 턱부(86,88)는 옷걸이를 인위적으로 밀어 넣거나 당김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두 실시예에 있어서는 옷걸이를 걸거나 빼내기 위한 통상의 동작으로 슬리브의 닫힌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수가 있다.
한편, 옷이 무거울 때 옷걸이유지장치 즉 슬리브(36) 및 클립(90)이 저절로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닫힘 및 열림장치를 인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바, 실시예를 통해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8도는 제2도 내지 제4도의 슬리브(36)와 지지로드(34) 대신에 슬리브(110)와 지지로드(112)가 사용된 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인데, 슬리브(110)에는 제2도 내지 제4도의 플랜지(38,54)와 같은 작용을 하는 원형플랜지(114,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도 내지 제4도와는 달리 슬리브(110)에 탄력부(120)를 갖는 아암(118)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아암(118)은 슬릇(122)에 둘러싸여져 제2도 내지 제4도의 아암(64)과 같은 기능을 가지게 되며, 아암(118)단부의 멈춤구(124)는 슬리브(110)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아암(118)의 탄력에 의해 안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제9a도에 있어서, 지지로드(112)가 옷가방의 상면(16)에 연결된 하우징(12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126)은 제2도 내지 제4도의 하우징(42)과 유사하게 되어 있으나 지지로드(34)의 단부는 막혀 있는데 반해 지지로드(112)는 외측단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외측과 내측을 분리하는 벽(128)을 갖추고 있으며, 이 벽(128) 앞에는 아암(118)의 멈춤구(124)에 의해 잠겨진 위치로 연장되게 되는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멈춤구(124)에는 슬리브(110)의 전진을 제한하기 위해 개구부(130)의 전단에 걸리게 되는 전면벽부(132)와 전면경사부(134) 및 후면경사부(1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로드(112)의 외부내측부의 오목부에는 원형플랜지(142)를 갖는 버튼(140)이 형성된 실린더(138)가 설치되고, 이 실린더(138)의 후단에는 멈춤구(124)의 경사부(134)에 인접한 빗면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실린더(138)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원형플랜지(142)는 지지로드(112)의 외측단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38)는 지지로드(112)의 외측통공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핀(148)과, 실린더(138)의 측벽에 형성된 슬롯(146)에 의해 적절한 장치에 놓여지게 되며, 제9a도에 도시된 위치이상 끌려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제9a 및 9b도에 있어서, 슬리브(110)를 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버튼(140)을 밀어야 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집게 손가락으로 플랜지(114)의 뒷쪽슬리브(110) 아래부분을 당기면서 엄지손가락으로 버튼부(140)를 밀면된다. 이런 동작에 따라 멈춤구(124)의 경사부(134)를 빗면부(144)가 밀게 되며, 이 빗면부(144)는 개구부(130)의 전단에 접촉하는 멈춤구(124) 아래로 누르는 캡으로 작동되게 되고, 그에 따라 실린더(138)가 벽(128)쪽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슬리브(110)를 앞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슬리브(110)가 이동됨에 따라 경사부(134, 136) 사이의 멈춤구(124) 꼭지점 또는 경사부(134)가 개구부(130)의 후단과 다시 접하면서 간단하게 미끄러지게 된다.
제9c도는 슬리브(110)가 완전히 빠져 나온 위치를 도시해 놓은 것인데, 이 상태에서 옷걸이를 자유롭게 걸거나 벗겨낼 수 있으며, 지지로드(112)의 뒷쪽으로 슬리브(1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슬리브(110)를 잡아당기게 되면 멈춤구의 경사부(136)가 원형플랜지(142)의 전단하측에 위치되므로 그 위치에서 멈춤구(124)가 개구부(130)으로 튀어올라 제9a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제9a도 및 9c도에 도시된 슬리브(110)의 최대이동거리는 플랜지(116)이 결합되어 슬롯(143)안에 위치되는 스크류(141)의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멈춤구(124)는 사용자가 버튼(10)을 먼저 밀지 않는 상태, 즉 멈춤구(124)가 유동되지 않은상태에서는 슬리브(110)가 연장된 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되는 확실한 고정면역활을 하며, 또 슬리브(110)는 멈춤구아암(118)을 구부리기 위해 충분한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게 된다.
제5도 내지 제7도의 다른 실시예가 제10a, 11a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제5도 내지 제7도의 지지로드(70)와 유사한 지지로드(150)를 갖춘 일체형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5도 내지 제7도의 대향된 턱부(86,88)를 갖는 클립(94) 대신 스크류(156)에 의해 하우징의 후면부(154)에 고정된 클립(152)이 형성되어 있는바, 제5도 내지 제7도의 실시예와 같이 클립(152)은 하우징의 곡면부(158)위에 설치되고, 클립(152)의 단부에는 곡면부(158)의 개구부(162)를 통하여 연장되는 턱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턱부(160)는 비교적 길며 지지로드(15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64)로 연장되게 되어 있어 닫힌상태에서는 지지로드(150)상의 옷걸이가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클립(152)의 탄력에 의해 개구부안으로 눌려지게 된다.
제10a 및 제11a도에 있어서, 턱부(160)에 인접한 탄력클립(152)의 전면에는 하우징의 상부전면부에 형성된 개구부(168)와 나란하게 된 수직판(16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판(166)의 전면부는 유동 될 수 있도록 하우징전면부(170)의 뒷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사용자가 들어올릴 때 사용하도록 돌기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제10b 및 제11b도에 있어서, 수직판(166)을 들어 올릴 때는 턱부(160)를 탄력클립(152)의 탄력방향과 반대쪽으로 들어올리면 되는데 상기 수직판(166)은 옷걸이가 다지게 되도록 턱부(160)가 충분히 올려지게 되는 상태로 이동되며, 선택된 옷걸이를 빼낸 후 손가락을 떼면 탄력클립(152)이 정상상태로 되면서 턱부(160)와 수직판(166)이 원상태로 되게 된다.
한편 상기 턱부(160)의 뒷면은 옷걸이가 앞쪽으로 치우쳐지더라도 턱부(160)가 밀리면서 열리는 일이 없도록 뒷쪽으로 약간 굽어 있다. 그리고 턱부(160)은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바, 옷걸이를 지지로드(150)에 설치시키기 위해 턱부(160)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옷걸이(H)가 턱부(160)를 지남과 동시에 상기 턱부(160)가 닫혀지게 되므로 옷걸이가 바깥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턱부(160)는 인위적으로 들어올리기 전에는 옷걸이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모서리부의 공간이 작은 옷장에서도 옷걸이를 용이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옷걸이가 슬리브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곡면부가 형성된 값싼 옷걸이지지장치를 제공함과 더불어, 근접된 모서리부 또는 다른 형태의 구조에도 옷가방상면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로 설치시킬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옷가방을 사용하는 동안 옷걸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0)

  1. 전면판과, 후면판 및 이 후면판의 상부에 연결된 상면판을 갖는 형태의 옷가방에 사용되는 옷걸이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옷가방의 내측상부의 전면과 후면(18)에 걸쳐 연장설치됨과 더불어 전면에 개방부를 갖는 옷걸이지지부재 : 옷걸이의 후크부가 하우징(42, 126) 저면과 옷걸이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에 이동되어지도록 하는 충분한 간격으로써 옷걸이지지부재의 아아치형면으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된 곡면부(40,72,158) ; 옷가방에 옷걸이지지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금속판(50,78)과 스크류(48,80) 및, 상기 옷걸이지지부재의 전단부에 설치된 옷걸이유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옷걸이유지부재가 닫힌 위치로 이동되면 옷걸이의 후크부가 옷걸이지지부재의 전단부로 미끄러져 나오지 않게 됨과 동시에 열린위치로 이동되면 옷걸이의 후크부를 옷걸이지지부재에 위치시키거나 그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지지부재는 지지로드(34,70, 112, 150), 곡면부(40,72, 158), 상기 지지로드(34,70,112,150)의 후단부와 곡면부를 연결하는 후면부(52,154) 및, 상기 곡면부(40,72,158)와 상부판(44)을 연결하는 전면부(46,76, 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가방(14)에는 상부모서리에 상면으로부터 연직부(24)를 갖춘 모서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옷걸이지지부재가 두 모서리부(12) 사이에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서리부(12)는 연직부(24)의 하단으로부터 옷가방(14)의 측면(20)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빗면부(26)를 갖춤과 더불어 상기 빗면부(26)는 후크부(32)에 의해 지지되는 옷걸이(28)의 아암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옷걸이지지부재는 지지로드(34,112)와, 이 지지로드(34,112)상에 미끄럼 결합된 슬리브(36,110)로 구성되며, 옷걸이유지부재는 상기 슬리브(36,110)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38,54,114,116)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36,110)가 열린위치일 때 옷걸이의 후크부를 슬리브(36,110)의 양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6,110)는 닫힌 위치와 열린위치일 때 홈(56,130)과 멈춤구(58,124)에 의해 지지로드(34,112)상에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지지부재는 지지로드(70,150)로 구성되고, 상기 옷걸이유지부재는 지지로드(70,150)의 전단에 인접 형성되어 닫힌 위치쪽으로 탄력을 갖게 되는 클립(94,1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립(94,152)에는 양쪽으로 치우쳐 대향된 턱부(86,88)가 형성되면서 상기턱부(86,88)에는 안내면(100,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9. 상면부와 덮개를 갖춘 옷가방에 사용되는 옷걸이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옷가방의 상부에 일단이 개방된 지지로드(34,112) ; 이 지지로드(34,110) 위에 결합되어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열린위치와, 그 내측으로 끼워져 옷걸이의 후크부(32)를 지지하게 되는 닫힌 위치사이를 미끄럼이동하게 되는 슬리브(36) ; 상기 슬리브(36,110)가 닫힌 위치일 때 이 슬리브(36,1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간격으로 지지로드(34,110) 상측에 이격 형성된 곡면부(40) ; 옷가방을 사용하는 동안 옷걸이의 후크부가 상기 슬리브(36,110)의 당부로 미끄러져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36,11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38,54,114,116) ; 상기 슬리브(36,110)가 열림 및 닫힘위치일 때 지지로드(34,112)상에 이 슬리브(36,110)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슬리브(36,110)와 지지로드(34,112)를 결합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지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6)와 지지로드(34)를 결합연결시키는 연결부재는 지지로드(34) 또는 슬리브(36)에 형성된 홈(56)과, 이홈(36)에 끼워지게 되는 멈춤구(58)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36)가 열리거나 닫힌 위치일 때 홈(56)의 양단에서 멈춤구(58)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56)에는 그 끝쪽으로 인접된 좁은 넥크부(60)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넥크부(60)의 양쪽에는 상기 멈춤구(58)가 지지로드(34)의 축방향에 가해지는 힘으로 홈(56)의 좁은 넥크부(6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요홈(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0)와 지지로드(112)를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는 슬리브(110)에 접속된 멈춤구(124)와, 이 멈춤구(124)가 끼워지는 홈(130)를 갖춘 지지로드(112), 상기 슬리브(110)가 지지로드(112)를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로드(112)의 홈(130) 안으로 멈춤구(124)를 탄력적으로 밀어 넣는 아암(118) 및 상기 슬리브(110)가 지지로드(112)에 작동적으로 미끄러지도록 상기 홈(130) 밖으로 멈춤구(124)를 이동시키는 실린더(1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구(124)에는 지지로드(112)의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부(134)가 형성되고, 지지로드(112)의 개방단은 통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멈춤구(124)를 홈(130) 밖으로 이동하기 위해 지지로드(112)에 결합된 상기 실린더(138)는 지지로드(112)의 통공내측에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구성되되, 상기 실린더(138)는 내측단과 외측단을 갖추고서, 그 내측단에는 홈(130)의 외측으로 멈춤구(124)를 밀어내기 위해 멈춤구(124)의 경사부(134)에 접촉되게 되는 빗면부(1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슬리브(110)가 안쪽으로 밀려 지도록 하는 경사부(136)를 갖춘 상기 멈춤구(134)는 슬리브(110)가 열린 위치로 이동되어졌을 때, 실린더(138)의 외측단앞쪽으로 연장되면서, 실린더(138)의 외측에 밀착되어 탄력적으로 힘을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5. 상면부와 덮개를 갖는 옷장에 사용되는 옷걸이지지장치에 있어서, 덮개(22)쪽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개방단을 갖추고서 옷걸이의 후크부(H)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로드(70,150) , 옷가방을 사용하는동안 옷걸이의 후크부(H)가 상기 지지로드(70,150)로부터 가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로드(70, 150)상에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 곡면부(72,158) ; 옷걸이의 후크부(H)가 지지로드(70,150)위에 설치 유지되도록 하면서, 가방을 사용하는 동안 후크부(H)가 지지로드(70,150)의 끝으로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지로드(70,150)의 임의의 끝에 인접구성된 턱부(86,88,160)를 갖는 탄력클립(94,1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72)에는 지지로드(70)의 끝에 인접한 슬롯(82)이 형성되어 상기 턱부(86)가 이 슬롯(82)을 통하여 곡면부(72)와 지지로드(70) 사이의 공간안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70)는 통공형이고, 지지로드(70)와 곡면부(72)의 끝부분에는 대향하는 슬롯(82,84)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클립(94)은 통공지지로드(70)를 통하여 연장되는 제1아암(90)과 곡면부(72)를 따라 연장되는 제2아암(92)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턱부(86,88)는 아암(90,92)의 끝에 형성되어 슬롯(82,84)을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94)의 턱부(86,88)는 그 외측안내면(100)이 그 내측안내면(102)보다 완만하게 경사짐으로서 옷걸이를 옷걸이지지로드(7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보다 그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더 작은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클립(152)에는 곡면부(158)의 슬롯(162)을 통하여 연장되는 턱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150)의 상부면에는 옷걸이가 턱부(160)로부터 미끄러져 나가지 않도록 턱부(160)의 하단을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부(164)가 형성되고, 탄력아암(152)에는 돌기부(1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158)는 하우징전면부(170)에 연결되고, 이 하우징전면부(170)에는 개구부(168)가 형성되므로서 상기 돌기부(172)가 들어올려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지지장치.
KR1019880009574A 1987-07-30 1988-07-29 옷걸이 지지장치 KR950004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79,608 1987-07-30
US07/079,608 US4736854A (en) 1987-07-30 1987-07-30 Garment receptacle clothes hanger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499A KR890001499A (ko) 1989-03-27
KR950004912B1 true KR950004912B1 (ko) 1995-05-16

Family

ID=2215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574A KR950004912B1 (ko) 1987-07-30 1988-07-29 옷걸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36854A (ko)
JP (1) JP2613791B2 (ko)
KR (1) KR950004912B1 (ko)
CN (1) CN1021422C (ko)
CA (1) CA1296303C (ko)
ES (1) ES2010006A6 (ko)
MX (1) MX1643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5826A (en) * 1988-10-18 1990-03-06 Martin Eric J Garment bag having telescoping rod
GB2235129A (en) * 1989-08-14 1991-02-27 Julia Joyce Hawes Organised wardrobe system
US5180057A (en) * 1991-03-15 1993-01-19 Samsonite Corporation Expandable garment bag and hanger bar therefor
FR2731892B1 (fr) * 1995-03-20 1997-05-30 Delsey Soc Dispositif pour le maintien de cintres dans un bagage et bagage equipe d'un tel dispositif
US6076666A (en) * 1998-10-08 2000-06-20 Santa-Maria; Toni M. Garment bag
US6905035B2 (en) * 2001-05-21 2005-06-14 Sharper Image Corporation Accessory organizer
US6591950B1 (en) * 2002-04-03 2003-07-15 Tumi, Inc. Multiple expansion luggage item
US7140479B2 (en) * 2003-09-03 2006-11-28 Ingenious Designs Llc Luggage bag having a removable garment bag
US8657124B2 (en) * 2010-08-30 2014-02-25 Shatikwa Brown Shoe hanging rack system
US9961975B1 (en) * 2017-03-28 2018-05-08 Joy Tong Side opening, side hanging luggage
US11253036B1 (en) 2018-07-09 2022-02-22 Litz Dance Company, Inc. Suitcas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7129A (en) * 1928-03-14 1928-10-09 Henninger Nicholas Necktie holder
US2072685A (en) * 1936-02-03 1937-03-02 Richter Gus Garment support
US2348271A (en) * 1942-02-06 1944-05-09 Vonschott William Necktie rack
US2352102A (en) * 1942-09-30 1944-06-20 Warren Featherbone Co Garment bag
US2689631A (en) * 1953-04-21 1954-09-21 Phoenix Closet Accessories Inc Collapsible luggage
US2860788A (en) * 1955-05-12 1958-11-18 Albert H Hardman Necktie rack
US2893545A (en) * 1957-03-25 1959-07-07 Continental Can Co Shipping container for clothing
US3221848A (en) * 1962-09-14 1965-12-07 Hartmann Luggage Company Garment-carrying bag hook assemblages
US3249233A (en) * 1964-03-12 1966-05-03 Beam Metal Specialties Inc Telescopic curtain rod
US3322288A (en) * 1966-04-25 1967-05-30 Capitol Hardware Mfg Co Clothing display rack assembly
US3527352A (en) * 1967-11-14 1970-09-08 Giovanni De Lapa Garments hanger means
US3542170A (en) * 1968-04-30 1970-11-24 Walter Bialo Article of luggage
US3735875A (en) * 1971-03-17 1973-05-29 Stores B Inc New York Security device for clothes racks
US3876076A (en) * 1972-12-11 1975-04-08 Gerald D Hazelhurst Holder for fishing rods and the like
US3880290A (en) * 1973-10-29 1975-04-29 Edward Hughes Necktie holder
US3981404A (en) * 1975-01-20 1976-09-21 Goeke John C Telescoping garment hanger
US4155465A (en) * 1976-09-27 1979-05-22 Baublitz Harvey W Auxiliary clothes hanger support
US4266705A (en) * 1978-06-06 1981-05-12 Wheeler Raymond R Carrier for garment hangers
US4316547A (en) * 1980-03-14 1982-02-23 Crown Metal Manufacturing Co. Hang rail support and hang 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10006A6 (es) 1989-10-16
CA1296303C (en) 1992-02-25
CN1030898A (zh) 1989-02-08
JPS6449503A (en) 1989-02-27
US4736854A (en) 1988-04-12
MX164364B (es) 1992-08-06
KR890001499A (ko) 1989-03-27
JP2613791B2 (ja) 1997-05-28
CN1021422C (zh) 199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912B1 (ko) 옷걸이 지지장치
US4701983A (en) Clothes clip for a hanger
KR930004498B1 (ko) 여행용 옷가방의 옷걸이 체결용 트롤리장치
US4618058A (en) Locking trolley for garment bag
US4515338A (en) Combination easel hinge and hanging device
JP2562806B2 (ja) 傘の袋収納装置
JPH068811U (ja) なす環
WO1994014660A1 (en) Apparatus for getting an umbrella received into an umbrella cover
KR940005945Y1 (ko) 걸이구
JP3011180U (ja) 傘袋装着器及び傘袋
US5062534A (en) Fabric sample display
JPH08112216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
US20030089747A1 (en) Hanger
KR102238995B1 (ko) 옷걸이
JP3905612B2 (ja) ハンガー支持棒
KR200228857Y1 (ko) 바인더
JP2813292B2 (ja) 傘の袋収納装置
JPH0744220Y2 (ja) 円形レール止め具
JP3800442B2 (ja) ハンガー
KR200185100Y1 (ko) 옷걸이
KR910006723Y1 (ko) 넥타이 걸이대
JPH0713579Y2 (ja) 揺振箇所用フック
JPH072237A (ja) 傘の袋収納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傘収納袋
JPS585574Y2 (ja) ハンガ−
JPH0752872Y2 (ja) 床下収納庫の蓋体の自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