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645Y1 - 전압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전압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645Y1
KR950004645Y1 KR92014669U KR920014669U KR950004645Y1 KR 950004645 Y1 KR950004645 Y1 KR 950004645Y1 KR 92014669 U KR92014669 U KR 92014669U KR 920014669 U KR920014669 U KR 920014669U KR 950004645 Y1 KR950004645 Y1 KR 950004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ource
transistor
reference voltag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589U (ko
Inventor
최고희
Original Assignee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92014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645Y1/ko
Publication of KR940006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압발생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전압발생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의한 전류-전압 출력 파형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전압발생회로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류-전압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준전압발생부 2 : 연산증폭부
3, 4 : 제1, 2 반전증폭부 M1-M12: 모스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항상 일정전압을 얻기 위한 전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하의 변화에 따라 부하전류가 변해도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압발생회로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전압단(Vcc)이 소오스에 연결된 피모스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은 엔모스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및 게이트에 각기 연결되고, 접지측(Vss)이 소오스에 연결된 엔모스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은 피모스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 및 게이트에 각기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M1), (M4)의 게이트 접속점은 상기 트랜지스터(M2), (M3)의 소오스 접속점에 연결되고, 전원전압단(Vcc)이 드레인에 연결된 엔모스트랜지스터(M5)의 게이트는 피모스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과 엔모스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및 게이트에 각각 연결되며, 저항(R1)을 거쳐 접지측(Vss)이 드레인에 연결된 피모스트랜지스터(M6)의 게이트는 피모스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및 드레인과 엔모스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M8)와 엔모스트랜지스터(M5)의 소오스 접속점이 최종출력단(Vout)에 연결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에 있어서, 피모스트랜지스터(M1) 및 엔모스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기준전압(Va)은 피모스트랜지스터(M1)와 엔모스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소오스간 전압(VDS)과, 피모스트랜지스터(M3)와 엔모스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소오스간 전압(VDS)의 분배전압으로 인가되는데, 이는 Va=VDSM3+VDSM4=Vcc-(VDSM1+VDSM2)이 된다.
따라서, 기준전압(Va)이 피모스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킬 만큼 저전위일때 피모스트랜지스터(M1)가 온되므로 전원전압단(Vcc)으로부터의 고전위는 피모스트랜지스터(M1)를 통해 엔모스트랜지스터(M2), (M5)의 게이트로 입력되므로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M2), (M5)가 각각 온되므로 최종출력단(Vout)으로 고전위가 출력되고,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M2)를 통한 피모스트랜지스터(M3)의 소오스측 전위가 그 드레인측의 전위보다 높으므로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M3) 또한 온된다.
이때 기준전압(Va)이 바뀌어 엔모스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킬 만큼 충분한 전위를 갖게되면 피모스트랜지스터(M1)는 턴오프되고 엔모스트랜지스터(M4)는 턴온되므로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M3)를 통한 전류는 엔모스트랜지스터(M4)를 통해 접지측(Vss)으로 흐르게 됨에 따라 피모스트랜지스터(M6)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위는 저전위가 되어 턴온되므로 저항(R1)을 통해 접지축(Vss)으로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최종출력단(Vout)에 나타나는 전위는 저전위가 된다.
이와같이 최종출력단에 나타나는 전압은 Vout=Va+VGSM2-VGSM3+VGSM6이 된다.
따라서 기준전압(Va)을 만들기 위해서 트랜지스터(M1-M4)의 폭/길이(W/L)비를 적당히 선택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출력단측의 트랜지스터(M5), (M6)의 폭/길이(W/L)의 비율은 출력단 부하에 따른 전류구동 능력에 따라서 적당히 정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한 전압과 전류에 대한 출력 파형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러나, 종래 회로에 있어서, 출력단에서 구동해야 할 부하에 따른 출력전류의 변화에 의해 직접적으로 출력전압이 반비례해서 나타나게 되는 단점이 있어서 부하조건이 변화하더라도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회로가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네가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특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기 위해 일정비율의 전압비로 분배하도록 하는 기준전압발생부로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전압발생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전압발생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전압(Vcc)을 일정비율의 전압비로 분배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부(1)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1)의 출력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최종출력에서 피드백된 신호를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연산증폭하는 연산증폭부(2)와, 상기 연산증폭부(2)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반전증폭하여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제1, 2 반전증폭부(3), (4)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버터(X1)에 의해 기준전압을 만들어지고, 이 만들어진 기준전압이 증폭기(OP)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된 상태에서 최종출력단의 부하전류가 감소해서 출력전압이 증가하게 되면 증폭기(OP)의 반전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증폭기(OP)의 출력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반전증폭부(3)의 피모스트랜지스터(M9)가 턴온되고 엔모스트랜지스터(M10)는 오프되어 제 1 반전증폭부(3)의 출력전압은 상승하게 되고, 그 상승되는 전압은 제 2 반전증폭부(4)의 엔모스트랜지스터(M12)를 온시키고 피모스트랜지스터(M11)를 오프시켜 상기 제 2 반전증폭부(4)를 통한 최종출력전압(Vout)은 감소한다.
반대로 부하전류가 증가해서 최종출력(Vout)이 떨어지면 피드백되어 증폭기(OP)의 반전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이 감소하므로 해서 상기 증폭기(OP)의 출력전압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 1 반전증폭부(3)의 엔모스트랜지스터(M10)가 온됨에 따라 제 1 반전증폭부(3)의 출력전압이 감소하여 제 2 반전증폭부(4)의 피모스트랜지스터(M11)가 온됨에 따라 제 2 반전증폭부(4)를 통해 최종출력전압(Vout)은 증가한다.
상기에서 기준전압발생부(1)의 인버터(X1)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고 그 기준전압은 전원전압(Vcc)을 엔모스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로 인가시켜 그 엔모스트랜지스터(M2)의 턴온량을 기준으로 전원전압(Vcc)을 일정 비율의 전압비를 갖도록 하여 피모스트랜지스터(M1)와 엔모스트랜지스터(M3)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설정한다.
그리고 연상증폭부(2)의 증폭기(OP)는 차동증폭기로서 제 4 도에서와 같이 기준전압발생부(1)의 기준전압과 최종출력전압(Vout)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얻어진 전류와 전압의 특성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준전압에 따라 출력전압의 변동없이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하조건이 변화하므로해서 출력전류가 변하게 되어도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여 일정한 출력전압을 발생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하였다.

Claims (3)

  1. 전원전압(Vcc)을 일정비율의 전압비로 분배하고 그 분배가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1)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1)에서 발생된 기준전압과 최종출력에서 피드백된 출력전압과의 전압차이를 증폭하는 연산증폭부(2)와, 상기 연산증폭부(2)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반전증폭하여 일정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2 반전증폭부(3), (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전압발생부(1)는 전원전압단(Vcc)이 소오스에 연결된 피모스트랜지스터(M1)와 접지측(Vss)이 소오스에 연결된 엔모스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접속점을 피모스 및 엔모스트랜지스터(M1), (M2)의 드레인 접속점에 연결하고, 전원전압단(Vcc)이 게이트에 연결된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M2)의 소오스는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과 연결하는 전압발생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연산증폭부(2)는 전원전압단(Vcc)을 소오스에 연결한 피모스트랜지스터(M6), (M7)의 게이트 접속점은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M6)의 드레인에 연결하고,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M6), (M7)와 엔모스트랜지스터(M4), (M5)의 드레인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M4), (M5)의 소오스 접속점은 소오스가 접지측(Vss)에 연결된 엔모스트랜지스터(M8)의 드레인에 연결하고,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는 기준전압발생부(1)의 출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M5)의 게이트는 피드백되는 최종출력단(Vout)에 연결하여 구성된 전압발생회로.
KR92014669U 1992-08-05 1992-08-05 전압발생회로 KR950004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669U KR950004645Y1 (ko) 1992-08-05 1992-08-05 전압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669U KR950004645Y1 (ko) 1992-08-05 1992-08-05 전압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589U KR940006589U (ko) 1994-03-25
KR950004645Y1 true KR950004645Y1 (ko) 1995-06-12

Family

ID=1933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669U KR950004645Y1 (ko) 1992-08-05 1992-08-05 전압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6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589U (ko) 199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6887A (en) Bidirectional voltage to current converter
US5631607A (en) Compact GM-control for CMOS rail-to-rail input stages by regulating the sum of the gate-source voltages constant
KR960019289A (ko) 온도의 변화에 대하여 보상 기능이 있는 기준전압 발생기
KR970063901A (ko) 연산증폭회로
KR930003522A (ko) 슬루우레이트 스피드엎 회로
KR960039603A (ko) 전위-전류 변환기
US4524328A (en) MOS Power amplifier circuit
US6242980B1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US6285256B1 (en) Low-power CMOS voltage follower using dual differential amplifiers driving high-current constant-voltage push-pull output buffer
KR0177511B1 (ko) 선형 cmos 출력단
EP0643478A1 (en) Cascode circuit operable at a low working voltage and having a high output impedance
US6208199B1 (en) Pulse amplifier with low duty cycle errors
KR920010237B1 (ko) 증폭회로
US5801584A (en) Constant-current circuit using field-effect transistor
KR920013704A (ko) 차동출력 파우워 cmos 연산증폭기
US7414474B2 (en) Operational amplifier
US5500624A (en) Input stage for CMOS operational amplifier and method thereof
KR950004645Y1 (ko) 전압발생회로
KR940023028A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압/전류 변환 회로
KR20010071056A (ko) 증폭기 출력단
JPH0269007A (ja) 差動増幅器
KR920022649A (ko) 제어가능한 증폭기 회로
KR900011132A (ko) 전류미러(current mirror)
JP4020220B2 (ja) プッシュプル増幅回路
JP3644156B2 (ja) 電流制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