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517B1 - 형광 표시관 - Google Patents

형광 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517B1
KR950004517B1 KR1019920023346A KR920023346A KR950004517B1 KR 950004517 B1 KR950004517 B1 KR 950004517B1 KR 1019920023346 A KR1019920023346 A KR 1019920023346A KR 920023346 A KR920023346 A KR 920023346A KR 950004517 B1 KR950004517 B1 KR 95000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support
fluorescent display
support member
met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433A (ko
Inventor
김성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주식회사
박경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주식회사, 박경팔 filed Critical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517B1/ko
Publication of KR94001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 표시관
제1도는 종래 형광표시관의 앞창 유리 및 그라드를 제거하여 추상화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고정측 필라멘트 지지 부재의 측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고정체의 전개도.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고정체의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고정체와 고정측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고정체와 고정측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형광 표시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라멘트의 지지구조를 개선시키므로써 용이하게 하여 작업불량을 줄이면서도 향상된 표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형광 표시관의 필라멘트 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및 문제점]
형광 표시관은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면서도 매우 밝고 여러가지 색깔의 발광 표시가 가능하므로 매우 쓰임새가 넓어 자동차, 음향기기, VTR, 기타 가전제품, 사무 자동화 기기 등 여러 방면에서 쓰이고 있다.
형광 표시관(VFD : VACUUM FLUORESCENT DISPLAY)이란, 적어도 한쪽면이 투명한 진공용기중에 필라멘트라 불리는 캐소드(CATHOD)로 부터 방출된 열전자를 직류(DC) 또는 플러스 전압으로 가속하여 애노드 상에 도포된 형광체에 충돌 발광시켜, 소망의 패턴을 표시하는 전자관으로 통상,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그라드를 갖춘 3극관 구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형광 표시관의 기본 구조는 음극인 필라멘트와, 그리드, 배선층, 및 형광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양극인 표시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개의 경우 양극은 기판상에 직접 인쇄되고 그리드와 필라멘트는 각각의 지지대를 구비하여 기판상에 설치되고, 이때 이들 양극과 음극 및 그리드는 진공으로 유지되는 외위기 안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광 표시관은 600℃ 정도로 가열된 필라멘트로 부터 튀어나온 열전자가 +전위로 유지된 그리드에 끌려갈 경우, 상기 표시층이 +전위로 유지되어 있으면 상기 열전자의 일부가 망상의 그리드를 통과하여 표시층에 도달하게 된다. 이 양극의 표시층에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어 날아온 전자가 형광체에 충돌하여 발광하게 된다.
상기한 형광 표시관은 보기 쉬운 자발광형 소자로서 LED,PDP,EL,LCD등의 자발광형 소자나 비발광형의 평판표시 소자(FLAT PANEL DISPLAY)에 비하여 표시특성이 선명하고, 멀티-칼라(LMULTI-COLOR)표시가 용이하며, 패턴 설계의 자유도가 클뿐 아니라 동작전압이 비교적 낮아 신뢰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자업계의 전반적인 흐름인 경박단소화 또는 고집적화 등 될수 있는 한 작은 크기에 될수 있는데로 많은 기능을 수용하려는 경향은 형광 표시관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형광 표시관의 표시 패턴 밀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예로 VTR의 경우 그 기본적 기능인 녹화, 재생, 시간, 채널 표시외에도 막대 그래프, 음향다중표시등의 기능이 덧붙여지고 있다.
이와같이 부가된 기능의 표시를 종래의 표시 소자와 동일한 면적, 또는 그 이하로 할수 있다면 바람직하겠지만, 집적회로 기술의 경이적인 발달로 이루어진 복잡한 기능의 추가는 이러한 표시 소자의 소형화 노력에 제동을 가하고, 오히려 새로운 다양한 기능의 추가와 함께 표시 소자의 크기는 최근에는 어쩔수 없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형광 표시관의 음극인 필라멘트 역시 표시관이 커짐에 비례하여 길어지지 않을 수 없다. 형광 표시관에는 다수의 필라멘트가 표시된 좌우 양단에 설치된 지지체에 의해 잡아당겨져 장착되어 전원에 연결된다. 이 양단의 필라멘트 지지체의 한쪽은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탄력을 가져 필라멘트가 표시관 안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수 있게끔 휘어진 상태를 갖는다.
상술한 원리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구조를 갖는 형광 표시관의 필라멘트 고정체에 관하여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도는 종래 형광 표시관의 앞창 유리 및 그리드를 제거하여 추상화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2도는 종래 고정측 필라멘트 지지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로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1) 위에 양극의 표시 패턴층(2)이 형상되고, 그 바깥쪽의 양단쪽에 필라멘트 지지부재(3),(4)가 설치되어 이들 지지부재(3),(4)에 지지된 다수의 필라멘트(5)가 패턴층(2)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위치한다. 물론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역시 다수의 그리드가 필라멘트(5)와 패턴층(2)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한다.
이들 지지부재(3),(4) 중 (3)은 고정측이며, (4)는 탄력을 가진 지지부재이다. 여기서 특히 고정측 지지부재(3)를 보면 절연기판(1)에 접합되는 지지판(30)으로 부터 다수의 분리된 지지대(31)보다 폭이 좁은 응접면(32)이 기판(1)과 평행한 방향으로 찍어져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대(31) 아래쪽에는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마운트가 기판(1)에 매립 형성되어 지지 부재(3)는 마운트와 용접 결합되어 기판(1)위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한 필라멘트(5)는 항상 장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유리기판의 양측방에 기립 설치된 1쌍의 필라멘트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리트에 의해 부착된 양단부를 제외한 유리기판과의 접촉면은 들뜨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어 왔을뿐 아니라 상기 현상에 의하여 필라멘트(5) 자체가 처지게 되어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상기 필라멘트(5)와 상기 지지 부재(3)와의 종래 고정방식은 상기 지지부재(3)를 이루는 구성 요소중의 하나인 지지대(31)의 일측 단면에 다수의 분리된 상기 지지대(31)보다 폭이 좁고 기판(1)과 평행방향으로 꺽어겨 연장 형성된 용접면(32) 상에서 직접 용접기로 용접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상기 용접 부분(7)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채택한 고정방식은 상술한 사항에서 알수 있듯이 용접면(32)사엥서 직접 필라멘트(5)를 용접결합 시켜야 하므로 상기 지지부재(3)와 필라멘트(5)를 구조적으로 결합시키는 공정이 까다로와 상기 용접과정에서 작업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할뿐 아니라 심하게는 상기와 같은 경우 전극간 쇼트 및 단선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공정상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필라멘트 지지부재의 지지대에 연결된 용접면과 상기 필라멘트를 구조적으로 결합시키므로써, 지지대의 복원력에 의해 필라멘트를 팽팽하게 고정할수 있게되어 향상된 표시특성을 가질수있고 상기 구조의 결합에 필요로 되었던 용접공정을 스킵하여 공정상에서 발생될 수 있었던 전극간 쇼트, 단선 등을 방지할수 있는 형광 표시관의 필라멘트 고정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광 표시관은 필라멘트 지지구조의 고정측이 기판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단부에 다수의 분리된 지지대보다 폭이 좁고 기판과 평행 방향으로 꺽어져 연장 형성된 용접면으로 구성된 형광 표시관의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용접면에 필라멘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라멘트 고정체가 부착된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작용]
본 발명은 상술한 구상에 의해 필라멘트 고정체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측 필라멘트 지지부재의 지지대에 연결된 용접면과 상기 필라멘트를 구조적으로 결합시키므로써, 필라멘트를 고정 부착하기 위한 용접고정이 필요 없게되어 작업불량을 줄일수 있게된다.
<실시예>
이하 첨주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고정체의 전개도를,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고정체의, 사시도를,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고정체와 고정측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4(b)도는 상기 제4(a)도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수 있듯이 상기 형광 표시관는 필라멘트 지지구조의 고정측이 기판에 결합되는 지지판(30)과, 상기 지지판(30)의 상부에 연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31)와, 상기 지지대(31)의 일측단부에 다수의 분리된 지지대(31)보다 폭이 좁고 꺽어져 연장 형성된 용접면으로 구성된 형광 표시관의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용접면(32)에 필라멘트(5)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라멘트 고정체(13)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필라멘트 고정체(13)의 구조에 대해 제3(a)도 및 제3(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면에서 알수 있듯이 금속재로 형성된 연결부(11)를 사이에 두고 사각형 구조의 상측판 금속재(10)와 하측판 금속재(1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체(13)의 상측판 금속재(10)는 연결부(11)에 대해 연직 상향방(a)으로 구부러진 원통형상을, 하측 금속재(12)는 연결부(11)에 대해 연직 하방향(b)으로 구부러진 원통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체(13)의 장착(부착) 상태를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도면에서 알수 있듯이 상기 고정체(13)의 상측판으로 이루어진 원통 고정체(10)로는 필라멘트(5)가 삽입,부착되어 클램핑(10')되고, 하측판으로 이루어진 하측 원통 고정체(12)로는 상기 지지부재(3)의 지지대(31)에 연결된 용접면(32)이 삽입 부착되어 진다.
한편 제4(b)도는 상기 구조로 장착된 상기 형광 표시관의 필라멘트 고정체(13)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일체로 연결된 상기 형광 표시관의 지지부재와, 상기 형광 표시관의 상측에 형성된 필라멘트(5) 및 상기 지지부재(3)와 필라멘트(5)를 구조적으로 결합시키는 필라멘트 고정체(13)가 상기 지지대(31)측에 설치되어 장착시키기 용이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이때 상기 필라멘트 고정체(13)는 고정측 지지부재 및 이와 대향된 위치의 탄력을 가진 지지부재에도 동일 적용하여 상기 상측 원통고정관(10)에 곧 바로 삽입하여 고정 부착시키므로써 상기 용접면(32)상에 직접 필라멘트(5)를 용접시키지 않고도 고정,장착되므로 지지대(31)의 복원력에 의해 필라멘트(5)가 팽팽하게 유지되고 공정상에서 야기될 수 있었던 작업불량을 개선할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라멘트 고정체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 지지부재의 지지대에 연결된 용접면과 상기 필라멘트를 구조적으로 결합시키므로써, 지지대의 복원력에 의해서 필라멘트가 팽팽하게 되어 향상된 표시특성을 가질수 있을뿐 아니라 필라멘트를 고정,부착하기 위한 용접공정을 스킵할수 있어 상기 공정시 야기되었던 작업불량을 줄일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필라멘트 지지구조의 고정측이 기판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에 다수의 분리된 지지대보다 폭이 좁고 기판과 평행방향으로 꺽어져 연장 형성된 용접면으로 구성된 형광 표시관의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용접면에 필라멘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라멘트 고정체가 끼워져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고정체는 금속재로 형성된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사각형 구조의 상측판 금속재와, 하측판 금속재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고정체의 상측판 금속재는 연결부에 대해 연직 상방향으로 구부러진 원통 형상을 갖으며, 하측판 금속재는 연결부에 대해 연직 하방향으로 구부러진 원통 형상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고정체는 상측판으로 이루어진 원통 고정체로는 필라멘트가 삽입 부착되어 클램핑되고, 하측판으로 이루어진 원통 고정체로는 상기 지지부재의 용접면이 삽입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고정측 지지부재 및 이와 대향된 위치의 탄력을 가진 지지부재에도 동일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KR1019920023346A 1992-12-04 1992-12-04 형광 표시관 KR95000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346A KR950004517B1 (ko) 1992-12-04 1992-12-04 형광 표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346A KR950004517B1 (ko) 1992-12-04 1992-12-04 형광 표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33A KR940016433A (ko) 1994-07-23
KR950004517B1 true KR950004517B1 (ko) 1995-05-01

Family

ID=1934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346A KR950004517B1 (ko) 1992-12-04 1992-12-04 형광 표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5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33A (ko) 199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5313A (ko)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및 접지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950004517B1 (ko) 형광 표시관
JP2006047964A (ja) 表示パネルにおけるリード端子の実装構造
US6943487B1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having complex-type filament supports
JP2894263B2 (ja) 蛍光表示管
JP3546860B2 (ja) チップイングラス蛍光表示管
JP3230442B2 (ja) 薄型蛍光表示管
CN1316541C (zh) 具有遮光板阻尼振动器的阴极射线管
KR100312692B1 (ko) 형광 표시관
KR940000247Y1 (ko) 형광표시관
US6452329B1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for minimizing non-use area
JP2771359B2 (ja) 蛍光表示パネル
KR100315231B1 (ko) 형광표시관
KR100436704B1 (ko) 평판표시소자
KR930006739Y1 (ko) 형광표시관
JP2830768B2 (ja) 蛍光表示管用陰極支持板
JP3058824B2 (ja) 蛍光表示管のアンカ
KR200244560Y1 (ko) 형광표시관
KR100805146B1 (ko) 고휘도 구현이 가능한 형광표시관
KR100312693B1 (ko) 직류 구동식 형광표시관
JPH0749508Y2 (ja) 蛍光表示管の取付装置
KR930005831Y1 (ko) 형광 표시관
JPH062196Y2 (ja) 蛍光表示管
KR950002008Y1 (ko) 형광 표시관
KR100477721B1 (ko) 형광표시관및이형광표시관의서포트와라인캐소오드의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