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406Y1 - 시계 케이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시계 케이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406Y1
KR950004406Y1 KR92024869U KR920024869U KR950004406Y1 KR 950004406 Y1 KR950004406 Y1 KR 950004406Y1 KR 92024869 U KR92024869 U KR 92024869U KR 920024869 U KR920024869 U KR 920024869U KR 950004406 Y1 KR950004406 Y1 KR 950004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ver body
dial
front cov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4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984U (ko
Inventor
김현화
Original Assignee
김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화 filed Critical 김현화
Priority to KR92024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406Y1/ko
Publication of KR940016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계 케이스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예시된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문자판체에 별도의 시각표시 문자판이나 장식무늬판을 결합시킨 상태의 결합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오부를 발췌한 분해상태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시계 전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계본체 20 : 전면커버체
21 : 호형부 22 : 테두리부
23 : 코팅부 30 : 문자판체
31 : 돌출부 31a : 전면표면부
40 : 후면커버체 50 : 시각표시문자판
60 : 장식무늬판
본 고안은 시계의 전방부에서 시각(時刻)을 볼때, 종래보다 폭 넓은 각도 범위에서 시각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한 시계 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계본체의 저면 커버체를 투명의 합성수지재로서 전면부가 호형을 이루고 외주면부와 일체로 형성되게끔 구성하되, 후면부에 문자판체가 결합되는 전면 중앙부를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호형부로 형성하고, 외주면부를 다시 호형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테두리부로 형성하며, 상기 전면 커버체의 후면부에 결합 설치되는 문자판체는형의 단면 구조로 형성하여서 문자판체 중앙의 돌출부 외주연부가 전면 커버체의 호형부의 내주면부와 일치하도록 결합 구성하므로서 시계의 전방에서 시각을 볼때 투명한 호형부를 통하여 문자판체의 돌출부 전면을 보다 넓은 각도범위, 대략 104°~160° 범위의 어느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시각을 식별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통상의 시. 분 및 초 치침용 시계바늘과 무브먼트(movement)가 결합 설치되는 문자판체의 전면부가 투명의 전면커버체의 전면부가 투명의 전면커버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호형부와 결합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체의 전면부를 전방 180°사방의 어떠한 각도 범위에서도 투시할 수 있으므로서 시각을 볼 수 있는 투시범위가 넓고, 또한 문자판체를 필요한 경우에는 투명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문자판체의 표면부에는 시각표시문자 또는 각종 장식무늬를 형성하거나 별도로 형성한 시각표시문자판 또는 장식무늬판을 접착 또는 결합 수단에 의해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시계는 통상적으로 시계 본체의 전면부에 투명유리 또는 투명합성수지재로 되는 전면투명판을 설치할 때 시계본체의 외주면부를 이루는 커버체가 별도로 구성되어 결합 설치되었던 것으로, 시계의 전방부에서 시각을 볼때 시계 본체의 전면부 외주연이 어느 정도의 폭으로 커버부분이 위치하고 문자판이 전면투명판보다 후방부에 위치하므로서 시각을 볼 수 있는 각도범위가 대략 90°~120° 정도로 매우 좁았던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외주연부와 전면 투명판을 일체로 형성하되 전면부와 외주연부가 호형을 이루도록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고, 문자판체가 상기 전면커버체의 호형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서 호형부의 외주연부가 문자판과 수평을 이룬결과 이를 통하여 보다 넓은 각도에서 시각을 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시.분.초 치침용 시계바늘(11)(12)(13)과 무브먼트(14)를 삽입하여 결합 설치되는 시계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투명의 합성수지재로서 전면커버체(20)를 전면부가 호형을 이루고 외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되게끔 구성하되, 전면 중앙부분을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호형부(21)로 형성하고, 전면커버체(20)의 외주연부를 상기 호형부(21)의 외주연부에서 연이어 다시 호형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테두리부(2)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테두리브(22)의 후면부에는 불투명재질의 코팅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커버체(20)의 호형부(21)의 후면부에는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문자판체(30)를 문자판체(3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31)의 외주연부와 전면커버체(20)의 호형부(21)의 내주면부가 일치하도록 조립하여 체결보울트(32)로서 결합 설치하고, 상기 문자판체(30)의 돌출부(31) 후면에는 후면커버체(40)를 고정되게끔 결합 설치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의 구조이다.
본 고안은 그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체(20)의 테두리부(22)에 코팅부(23)를 형성하지 않고 전면커버체(20)를 전체적으로 투명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자판체(30)의 돌출부(31)의 전면표면부(31a)에는 시각표시문자와 함께 각종 장식무늬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 형성한 시각표시문자판(50)이나 각종 장식무늬판(60)을 접착 또는 각종 결합수단에 의해 부착하여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 부호 25는 전면커버체(20)의 후면부에 형성된 결착고정부이며, 33은 문자판체(30)의 후방에 결착하는 후면커버체(40)의 삽착요홈부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시계케이스가 전면유리 또는 투명판과 그 외주연부를 결착시켜 주는 커버링등의 커버로 분리 구성되어 시계 케이스의 전면부 외주연부가 일정한 폭으로 가려짐은 물론, 전면유리 또는 투명판보다 식가 시 문자부가 후방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시계의 전방부에서 시각을 볼때 일정 각도범위가 가려지고 시각을 볼 수 있는 각도범위가 대략 90°~120°정도의 범위로 좁았던 결점을 해소하여 140°~160° 각도범우에서 시각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시계의 투시각도를 확대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문자판체를 투명체로 형성하여 미적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간단한 결합구조에 의해 필요에 따라 시계의 사용장소, 사용자나 사용용도에 맞춰서 다양한 장식무늬판을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서 미적효과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권태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통상의 시.분.초 치침용 시계바늘(11)(12)(13)과 무브먼트(140를 삽입하여 결합 설치되는 시계본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투명의 합성수지재로서 전면커버체(20)를 전면부가 호형을 이루고 외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되게끔 구성하되, 전면 중앙부분을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호형부(21)로 형성하고, 전면커버체(20)의 외주면부를 상기 호형부(21)의 외주연부에서 연이어 다시 호형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테두리부(22)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테두리부(22)의 훈부에는 불투명재질의 코팅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커버체(20)의 호형부(21) 후면부에는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문자판체(30)를 문자판체(3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31)의 외주연부와 전면커버체(20)의 호형부(21)의 내주면부가 일치하도록 조립하여 체결보울트(32)로서 결합 설치하고, 상기 문자판체(30)의 돌출부(31) 후면에는 후면커버체(40)를 고정되게끔 결합 설치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체(30)의 돌출부(31)의 전면표면부(31)의 전면표면부(31a)에는 시각표시문자와 함께 각종 장식무늬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케이스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체(30)의 돌출부(31) 전면에 별도로 형성한 시각표시문자판체(50)이나 각종 장식무늬판(60)를 결합 살치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체(20)의 호형부(21)와 테두리부(22)가 전부 투명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케이스의 구조.
KR92024869U 1992-12-09 1992-12-09 시계 케이스의 구조 KR950004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869U KR950004406Y1 (ko) 1992-12-09 1992-12-09 시계 케이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869U KR950004406Y1 (ko) 1992-12-09 1992-12-09 시계 케이스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84U KR940016984U (ko) 1994-07-25
KR950004406Y1 true KR950004406Y1 (ko) 1995-05-30

Family

ID=1934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869U KR950004406Y1 (ko) 1992-12-09 1992-12-09 시계 케이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4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84U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4040B2 (ja) 時計ケース
KR100880959B1 (ko) 베젤을 통해 조립된 시계케이스
US20150029829A1 (en) Timepiece Comprising An Analog Display and a Digital Display
US3595009A (en) Timepiece for achieving special visual effects
US2160762A (en) Combination integral transparent member and escutcheon frame
KR950004406Y1 (ko) 시계 케이스의 구조
US3633355A (en) Watch crystal and hands with reflective mirror dial
JPH05188160A (ja) 腕時計の側
JPS6038232Y2 (ja) 時計
KR0135193Y1 (ko) 양면시계
CN220064637U (zh) 一种可替换腕表表壳表面的腕表
US20020097568A1 (en) Wall lamp structure with projective clock
JP2513801Y2 (ja) 時 計
JPS60179683A (ja) 時計
KR200168965Y1 (ko) 시계
JP2552716Y2 (ja) アナログ時計における時字の構造
KR880003166Y1 (ko) 액자
KR910003832Y1 (ko) 시계
KR0128182Y1 (ko) 손목시계
JPS6339662Y2 (ko)
JPS5928390Y2 (ja) ハイブリツド表示装置
KR890005009Y1 (ko) 키 이
JPS6033419Y2 (ja) 時計
JPH019033Y2 (ko)
JPS61174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