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009Y1 - 키 이 - Google Patents

키 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009Y1
KR890005009Y1 KR2019870000368U KR870000368U KR890005009Y1 KR 890005009 Y1 KR890005009 Y1 KR 890005009Y1 KR 2019870000368 U KR2019870000368 U KR 2019870000368U KR 870000368 U KR870000368 U KR 870000368U KR 890005009 Y1 KR890005009 Y1 KR 890005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ayer
present
side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0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116U (ko
Inventor
이은복
Original Assignee
이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복 filed Critical 이은복
Priority to KR2019870000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009Y1/ko
Publication of KR880015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4Key distinguishing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6Gluing or cementing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 이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이 2 : 손잡이부
3 : 삽입부 3' : 개방구
4 : 기판층 5 : 문양층
6 : 투명층 7 : 현출판
본 고안의 키이의 손잡이부에 다양한 그림, 문자, 도형등을 투명하게 표출되는 현출판을 양면으로 부착하여 키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외관을 미려하게 한 키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이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되 이에 단지 구멍만 천설하여 열쇠 고리에 끼우기에 편하게만 되어 있어서, 여러개의 키이를 통상적으로 소지하고 있을시에 그 식별이 곤란하여 이것 저것 열쇠구멍에 직접 맞춰서 돌려보고 맞는 것을 찾아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 도형 및 마크, 문자등을 각인한 것도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그 형태가 엇비슷하여 확연히 식별하는데는 별다른 특징을 갖지 못하여 분간하는데는 번거로움이 있기는 마찬가지였으며, 더우기 상기 것들은 키이의 외관이 미려한 것은 아니며, 그 기능에만 치우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합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키이의 손잡이부에 문자, 그림, 도형등을 투명층으로 표출되게 직층으로 구성된 현출판을 양면으로 부착하여 키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키이의 외관을 월등하게 향상시킨 키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안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키이의 손잡이부에 양면으로 약간 들어간 삽입부를 각각 형성하고, 이 삽입부의 대략 중앙부위에 개방구를 두고, 금속재의 기판층(예컨대, 알루미늄 박판)에 다양한 그림, 문자, 도형등을 인쇄한 문양층을 형성하고 그 상면으로, 즉 표면층으로 투명층(예컨대, 엑폭시 처리층)으로 각층 구성된 현출판을 상기한 손잡이부의 양면의 삽입부에 접착제로서 접착하며, 이때에 상기한 개방구에 접착제가 모여서 양면의 부착되는 현출판의 접착성을 대폭 향상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키이의 손잡이부에 현출되는 그림, 문자, 도형등을 보면 이와 대응되는 잠물쇠 또는 대상물(예컨대, 승용차, 현관문, 각종 캐비넷 및 금고등)을 즉각 판별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부여하고 동시에 표출되는 각양각색의 그림, 문자, 도형등이 색채감있게 투명층을 통하여 부상되는 양상으로 표출되어 키이의 외관을 대폭 향상시킨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키이(1)의 손잡이부(2)에 양면으로 내측으로 약간 들어간 삽입부(3)를 각각 형성하고, 이 삽입부(3)이 중앙 부위에 개방구(3')를 두고, 또한 기판층(4)(예컨대, 알루미늄 박판) 상면에 다양한 그림, 문자, 도형등을 사용 목적에 맞게 인쇄된 문양층(5)을 형성하고, 이 상면에 비교적 두꺼운 투명층(6) (예컨대, 엑폭시 처리층)으로 적층 구성된 현출판(7)을 상기한 키이(1)의 손잡이부(2)에 형성된 양면의 삽입부(3)에 삽입하되, 접착제층(3")을 개재시켜서 부착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키이(1)의 손잡이부(2)에 양면으로 부착된 현출판(7)의 그림을 보고 그 해당 대상물을 즉시 식별할 수 있게 되어지며, 즉, 현출판(7)의 그림이 승용차면 승용차 키이로서, 어린이용의 만화그림이면 어린이 방문 키이로서, 또는 어린이 옷장등으로 식별되고, 또한 이 현출판(7)의 각종 선전물도 표출할 수 있어서 판촉물로서 사용하면 효과적인 판매선전이 되며, 특히 이 현출판(7)의 구성이 비교적 가벼운 기판층(4) (예컨대, 알루미늄 박판)에 각양 각색의 문자, 그림, 도형등을 손쉽게 인쇄를 하여 형성된 문양층(5)으로 되어 있어서 수많은 문양등을 표출할 수 있으며, 이 표면층으로는 비교적 두꺼운 투명층(6)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문양층(5)이 투명층(6)으로 입사되는 광선등에 의하여 그 색감 및 휘도가 다양하게 표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각종 문양이 마치 표면으로 부상되는 듯이 보여져서 그 외관의 심미감을 제고시키면, 특히 본 고안의 키이(1) 손잡이부(2)의 삽입부(3) 내부에 개방구(3')가 형성되어 이에 접착제층(3")이 모여서 응집되어 상기한 양측의 현출판(7)의 부착이 더욱 견고하게 되어 그 내구성을 대폭 증진시킨 것이며, 이 개방구(3')를 형편에 따라서는 없이하여도 되는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며, 키이(1)의 식별이 용이하여 그 취급성을 간결하게함과 동시에 그 외관을 미려하게 표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키이(1)의 손잡이부(2)의 양면으로 중앙부위에 개방구(3')를 가진 삽입구(3)를 각각 형성하고, 이에 기관층(4), 문양층(5)과 비교적 두꺼운 투명층(6)으로 적층 구성된 현출판(7)을 접착제층(3")으로 부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
KR2019870000368U 1987-01-15 1987-01-15 키 이 KR890005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368U KR890005009Y1 (ko) 1987-01-15 1987-01-15 키 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368U KR890005009Y1 (ko) 1987-01-15 1987-01-15 키 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116U KR880015116U (ko) 1988-09-14
KR890005009Y1 true KR890005009Y1 (ko) 1989-07-29

Family

ID=1925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0368U KR890005009Y1 (ko) 1987-01-15 1987-01-15 키 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0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116U (ko) 198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0415A (ja) キ−の製造法
KR890005009Y1 (ko) 키 이
Mosley New Work
JPH0417188Y2 (ko)
KR870000904Y1 (ko) 벽걸이 양면 액자
KR950001895Y1 (ko) 문 패
JPH04386Y2 (ko)
KR930007281Y1 (ko) 파스포장갑의 착탈식 장식표
JPH0524181Y2 (ko)
KR870002545Y1 (ko) 합성수지제 명패
KR100267528B1 (ko) 광고용 차광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87854Y1 (ko) 유리부착용 광고판
JPH0343877Y2 (ko)
KR200278087Y1 (ko) 다용도버튼
USD416575S (en) Appointment book leaf
JPH0430737Y2 (ko)
JPH0470543U (ko)
JPH04384Y2 (ko)
JP2772482B2 (ja) 透視材及び透視材製ドア又は窓等の装飾方法
KR960006729Y1 (ko) 자석 문자판
CN2230456Y (zh) 具有计时功能的可更换画面的钥匙链挂牌
JPS607464A (ja) 表面彫銘板
KR950004406Y1 (ko) 시계 케이스의 구조
JPS60162700A (ja) 装飾用板
KR820001892Y1 (ko) 신 분 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