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90B1 -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90B1
KR950004390B1 KR1019920025475A KR920025475A KR950004390B1 KR 950004390 B1 KR950004390 B1 KR 950004390B1 KR 1019920025475 A KR1019920025475 A KR 1019920025475A KR 920025475 A KR920025475 A KR 920025475A KR 950004390 B1 KR950004390 B1 KR 95000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unit
polishing
electric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396A (ko
Inventor
김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웅
김기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466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43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웅, 김기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웅
Priority to KR101992002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390B1/ko
Publication of KR94001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전체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의 개략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동유니트의 측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동유니트와 척유니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동유니트의 평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재정렬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 소재정렬수단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축수부
200 : 척유니트 220 : 척
300 : 전동유니트 310 : 전동수단
311 : 구동모우터 400 : 소재정렬수단
450 : 캠 451 : 캠홈
본 발명은 각종 영상표시기기에 사용되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연마처리하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BRAUN TUBE FACE PLATE GRIND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기계적이고 연속적으로 자동 연마처리할 수 있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텔레비젼수상기 등 그 이외 각종 영상표시기기에 사용되는 브라운관은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금형을 이용하여 적합한 사출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데, 이렇게 사출제작된 브라운관은 그의 표리면이 기포 등으로 평활하지 못하여 투명도가 저조하다. 그리하여 사출된 브라운관을 적당한 투명도 유지를 위해 필연적으로 연마공정을 이루고 있다. 연마공정은 대체적으로 페이스플레이트의 앞면과 내면 그리고 테두리를 연마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연마처리를 위한 연마장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일례를 들어 연마 시스템을 보면 통상 연마작업을 위한 적합한 공정라인을 설계한 후, 이의 공정라인상에 수조의 연마장치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이들의 연마장치들을 거치며 수단계의 연마공정을 이루게 하여서 목적하는 연마가공을 수행하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페이스플레이트를 트랜스퍼 또는 컨베이어밸트를 통하여 운반하며 해당 연마장치에서 반승되오는 페이스플레이트 하나하나를 각 단계의 연마장치에 공급하여 페이스플레이트의 앞면, 내면 그리고 테두리를 순서적으로 연마처리케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마 시스템에서 페이스플레이트의 앞면을 연마하는 연마장치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와 개발을 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으나,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 또는 테두리를 연마시키는 연마장치는 다소 미진한 상대이다. 일례로 가공소재인 페이스플레이트를 잡아주는 배큠헤드에서 과압이 가해져 소재가 파손되는 사레가 빈번히 발생하여 소재의 손실 등 비생산적이고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었다.
또 연마작업중에 소재가 파손시 그 파편과 슬러리가 배큠헤드를 통하여 흡입되어 진공라인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연마공정을 완료한 소재를 다시 반송라인에 반출시 소재의 반출방향이 일정하지 못하고, 이러한 소재의 정확하지 못한 반출, 즉 반송라인에 소재가 엇비스듬이 실어져 반송중 소재가 반송라인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는 등의 소재의 파손과 연마공정에 에러를 발생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공소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적정한 연마를 이룰 수 있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마가공중 가공소재의 파손시 배큠라인을 자동적으로 오프시키어 배큠라인의 오염을 방지시키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공정을 완료한 가공소재의 언로우딩시 로우딩시 방향과 같은 동일방향으로 정렬시키어 반출시키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연마가공 시스덤l은 가공소재를 진공흡착식으로 잡아주는 배큠헤드가 구비되는 수개의 척이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간헐적으로 회전하며 가공소재를 운반하는 척유니트를 갖고 있고, 이의 척유니트의 하부에는 척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가공소재를 단계적으로 가공처리하는 연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척유니트의 척 상부에는 또한 가공소재를 파지한 척에 연마가공을 위한 구동력을 단속하며 전달하는 수조의 전동유니트가 설치된다. 전동유니트는 각 연마수단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곳에 수직면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에 별도의 승강구동용 실린더에 의하여 승강되고, 그 상면에 구동모우터가 탑재된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구동모우터의 회동축에는 배큠헤드측과 직접 접탈되며 구동모우터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가 설치된다. 상기 전동유니트에는 슬라이더가 설정위치 이상으로 하강되어 배큠헤드의 하강이 정상적이지 않을시 그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배큠라인을 자동적으로 오프되게 하는 이상감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동유니트에서 연마공정이 완료되는 가공소재가 반출되는 위치에서 가공소재를 로우딩시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소재 정렬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소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안정되고도 균일하게 연마공정을 이루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연마가공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연마가공 시스템은 베이스(100)와 텐테이블식으로 회전하는 척유니트(200), 그리고 전동유니트(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소재의 운반경로상에 인접설치되어 운반되어오는 가공물을 받아 가공작업을 이루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접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소재의 반송 큰 베이어밸트를 통하여 가공소재를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공급받아 가공공정을 이루게 된다.
베이스(100)는 그 중앙에 척유니트(200)를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설치시키는 축수부(110)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축수부(110) 일측에는 척유니트(200)에 회전력을 공급시키는 동력부(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축수부(110)의 주위에는 척유니트(200)의 척 회전원주상에 가공소재를 단계적으로 연마처리하는 수조의 연마수단(103)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동력부(120)는 구동모우터(121)와 그 구동모우터(121)로부터 출력되는 둥력을 단속하는 클러치(122)와 변속기(1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모우터(121)는 구동모우터의 동력을 변속기(123)를 통하여 척유니트(200)에 전달하는 척유니트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연마수단(130)은 척유니트(200)로부터 공급되는 가공소재를 수용하여 연마공정을 이루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공부(131)와, 이의 가공부(131)의 직하부에 연마부(1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마수단은 척유니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공소재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공소재의 가장자리를 연마처리하게 될 것이다.
척유니트(200)는 상기 축수부(110)상에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착부(210)와, 이의 축착부(21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조의 척(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척(220)은 상기 연마수단(130) 설치위치와 동일한 원주상에 설치되어 반송 큰 베이어벨트로부터 공급되는 가공소재를 받아 연마수단(130)에 공급과 아울러, 가공이 완료된 가공소재를 다시 반송 큰 베이어벨트로 반출을 수행하는 반송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척(220)의 끝단부에는 제어회로에 의해 온·오프되는 배큠라인에 의해 진공흡착력을 가지는 배큠헤드(221)이 구비되어 있다. 또 척(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동수단(310)의 주동부(311A)와 결합 이탈되는 종동부(222)가 구비된다.
전동유니트(300)는 상기 척유니트(200)와 동측상에 고정설치되고, 그의 외단측에 척유니트의 척 이동경로와 동일한 원주직상부에 전동수단(310)을 구비하고 있다. 이의 전동수단(310)은 가공소재에 연마수단의 연마부(132) 회전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모우터(311)와 그 구동모우터(311)의 희전축에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을 전말하는 주동부(311A)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주동부(311A)는 이후 설명할 척유니트(200)의 척(220)과 마치 클리치식으로 이맞물림식 결합 이탈되며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을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전달하여 척(220)에 회전력을 단속하는 클러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2도에는 연마가공 시스템에서 전동유니트(300)의 개략 평면도를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전동유니트(300)는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암(301)의 각 끝단부에 전동수단(310)을 설치하여 목적하는 가공구동력을 척유니트(200)에 전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동유니트(300)들중 그 어느하나, 즉 반송큰베이어와 인접 설치되는 끝단부의 전동유니트를 삭제하고 가공소재를 반출과 아울러, 소재의 장전과 동일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소재정렬수단(400)을 구비하고 있다.
제3도에는 전동수단(310)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전동수단(310)은 구동모우터(311)와 전동유니트(300)상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베이스(312)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구동모우터(311)의 회동축에는 척유니트(200)의 척(220)에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을 단속하며 전달하는 주동부(311A)가 설치되어, 베이스(312)에는 구동모우터(311)가 납재되고 제어회로에 의해 구동하는 승강구동용 실린더(313)에 의하여 승강조정되는 슬라이더(31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너(314)의 승강조절은 전동수단(310)의 주동부(311A) 높이, 다시 설명하면 가공소재의 두께에 따라 그 위치가 조정되게 하여 가공소재에 따른 호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연마를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상기 베이스(312)에는 또 척유니트(200)의 척(220)을 승강시키며 전동수단(300)의 주동부(311A)와 종동부(222)를 결합 이탈시키는 작동암(320)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작동암(320)은 제어회로에 의해 구동하는 실린더(330)에 의해 시이소식으로 구동하면서 척(220)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승강력을 제공한다. 이때 작동암(320)의 이상하강시, 다시 설명하면 척(220)에 흡착되는 가공소재가 파손 등으로 인하여 척의 하강동작이 정상적이지 못한 것을 감지하여 배큠라인 등 그 이의 동작을 정지케 하는 감지수단(340)을 작동암(320)의 구동반경내에 구비하고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는 척유니트(200)의 척(220)과 전동유니트(300)의 전동수단(310)들이 상호결합 이탈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제4도에서는 척유니트(200)의 주동부(311A)와 척(220)의 종동부(222)가 분리되어 다음공정으로 운반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연마가공공정이 완료되면 그 완료신호가 감지됨과 동시에 제어회로에서 실린더(330)에 구동신호를 주어 작동암(320)을 작동시킨다. 이때 작동암의 일단은 하강하여 이맞물림식으로 결합되어 있던 상태에서 주동부와 종동부를 이탈시키어 구동모우터(311)의 회전력이 척(22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척(220)을 다음공정의 연마수단(130)으로 운반하게 된다. 그리고 제5도에서는 척유니트(200)의 척(220)과 전동유니트(300)의 전동수단(310)들이 상호결합되어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척(220)의 배큠헤드(221)에 구동모우터(311)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또 이때에는 연마수단(130)에 가공소재(B)가 압접되어 목적하는 연마공정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제7도에는 전동유니트(300)의 전동수단(310)들중 그 어느하나, 즉 소재반송라인과 접하여져 있는 그 어느하나를 부분적으로 개조하여 가공이 완료된 가공소재를 반출시키는 소재정렬수단(400)이 상세히 도시되어있다. 소재정렬수단(400)은 상기 전동수단(310)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이루어지는데, 두 구조간에 다르다고 하는 차이점은 전동수단에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우터와 그의 회동축에 구비되는 주동부를 삭제하고 이의 장소에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반입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출시키는 정렬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다르다할 수 있다. 소재정렬수단(400)은 전동유니트(300)상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베이스(410)과, 이의 베이스(410)에 제어회로에 의해 구동하는 승강구동용 실린더(420)에 의하여 베이스상하측으로 승강하는 슬라이더(430)와, 또 이의 슬라이더(430)상에 탑재되고 제어회로에 의하여 승강하는 승강실린더(440)와 협동하면서 반출위치에 도달한 척(220)을 반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관체형상의 캠(4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재정렬수단(400)은 반출위치에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파지한 척이 도달하게 되면 별도의 위치감지센서 등으로 이를 감지하고 척이 도달한 신호가 감지됨과 동시에 상승되어있던 캔(450)이 하강하고 이의 캠(450)에 구비되어 있는 원추형상의 캠홈(451) 내주면에 척(220)의 외주벽 적당한 장소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돌기(220A)가 미끄럼접촉되어 척을 반입시의 방향과 같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어 반출되는 소재의 방향을 정렬시키게 된다. 또 소재정렬수단(400)의 베이스(410)에는 상기 전동유니트(300)의 전동수단(310)과 같은 척(220)의 이상하강을 감지하는 이상하강감지센서(460)을 구비하고 있다.
제7도에서는 소재정렬수단(400)이 반출되는 소재를 대기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고, 제8도에서는 소재가 소재정렬수단(400)에 도달되어 촉(220)이 정렬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 제1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연마가공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소재반송라인에 접하여 있고 이의 소재반송라인상으로 척유니트(200)가 회전하며 그의 반송라인상으로 반송되어오는 소재를 척(220)이 날개로 받아드리어 시스템의 가공공정라인상으로 반입시킨다. 이렇게 공정라인으로 반입된 소재(B)는 척유니트의 회전반경의 원주상에 적당히 배열되어 있는 연마수단(1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제1연마가공·제2연마가공을 거쳐 목적하는 소재의 연마가공을 수행하게 되는데, 각 연마공정시 파기된 소재가 공급되거나 연마가공시 소재가 파손되면 척유니트(200)의 척(220)이 이상하강되고, 다시 설명하면 소재의 파손으로 척의 위치가 설정위치 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척의 이상하강상태를 감지센서가 감지하고 척(220)의 배큠헤드(221)에 소재의 흡착력을 작용케 하는 배큠라인을 오프시키어 파손된 소재의 파편들이 배큠라인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배큠라인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공이 완료되어 다시 소재반송라인측으로 반출시, 더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공정의 연마수단(130)들을 거쳐 최종위치에 소재가 도달하면 이때 소재를 파지하여 운반한 척(220)은 소재반송라인의 직상부에 위치된 소재정렬수단(400)의 직하부에 위치된다 이렇게 척(220)이 소재정렬수단(400)에 도달하면 별도의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와동시 소재정렬수단(400)의 캠(450)이 하강하여 불규칙하게 나오는 척(220)의 방향을 반입과 같은 방향으로 정렬하여 소재반송라인상으로 소재를 낙하시키게 하므로서, 소재의 반출이 일정하고 정확하여 소재가 소재반출라인으로부터 낙하되어 파손되는 사레를 완전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연마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동력부와 적당한 회전반경의 원주상에 제1 및 제2‥연마수단을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 중앙부에 설치되는 축수부에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암의 끝단부에 진공흡착식으로 파지하는 척을 가지고 소재를 각 연마가공수단에 운반하는 척유니트와, 연마가공수단과 일치되는 직상부에 설치되어 가공소재를 운반하는 척유니트의 척에 동력전달을 단속하며 전달하는 전동유니트와, 상기 전농유니트의 최종위치에 가공이 완료인 소재를 반입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반출시키는 소재정렬수단을 갖추어서 가공소재를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연마처리할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시 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유니트와 척유니트의 사이에 이맞물림식으로 결합 이탈되는 주동부와 종동부를 구비하여 전동유니트의 구동모우터 회전력 전달을 단속되게 한 것을 포함하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유니트에 척의 이상하강을 감지하여 척의 배큠라인을 자동적으로 오프하는 감지센서를 갖춘 것을 포함하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정렬수단은 제어희로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의 승강동작과 협동하는 캠의 수직승강운동을 가지고 반출되는 척의 방향을 일방향으로 정리되게 한 것을 포함하는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KR1019920025475A 1992-12-24 1992-12-24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KR95000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475A KR950004390B1 (ko) 1992-12-24 1992-12-24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475A KR950004390B1 (ko) 1992-12-24 1992-12-24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396A KR940016396A (ko) 1994-07-23
KR950004390B1 true KR950004390B1 (ko) 1995-04-28

Family

ID=1934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475A KR950004390B1 (ko) 1992-12-24 1992-12-24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3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396A (ko) 199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610B2 (en) Double sid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EP01500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JPH0637025B2 (ja) ウエハの鏡面加工装置
CN109848814A (zh) 一种全自动晶圆减薄抛光装置
EP1375065B2 (en) Lens processing system with a lens stocking device
KR20120068922A (ko) 연마방법 및 그 장치
KR950004390B1 (ko) 브라운관 페이스플레이트의 연마가공 시스템
CN212071388U (zh) 全自动刮边机
JP2018176323A (ja) 加工装置
CN114193318B (zh) 一种蓝宝石衬底研磨自动上下料生产线及其控制方法
JP4294162B2 (ja) 両面研摩装置
CN111408990B (zh) 全自动刮边机
CN209831182U (zh) 光学冷加工设备脱平台机、磨边机通用自动上下料装置
JP3028310B1 (ja) 板状体の端面研磨装置
JPS59156666A (ja) 平面研削装置におけるワ−クの自動装填機構
CN209793351U (zh) 一种全自动打磨机
JP2651479B2 (ja) ウエハの鏡面加工装置
JP2002321132A (ja) ワークの搬送装置
JP4235313B2 (ja) 両面研摩装置
EP1291132A2 (en) Semiconductor wafer polishing apparatus and polishing method
JP4620898B2 (ja) 研磨装置システム
KR100360703B1 (ko) 음극선관용평면패널의평면가공설비및평면가공방법
CN211681271U (zh) 双端面磨床
CN218875024U (zh) 一种关节轴承外圈用抛光装置
CN218017620U (zh) 一种光学透镜抛光加工台原材料快速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