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71B1 - 하우징 블럭의 동축 콘넥터 - Google Patents

하우징 블럭의 동축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71B1
KR950004371B1 KR1019890011133A KR890011133A KR950004371B1 KR 950004371 B1 KR950004371 B1 KR 950004371B1 KR 1019890011133 A KR1019890011133 A KR 1019890011133A KR 890011133 A KR890011133 A KR 890011133A KR 950004371 B1 KR950004371 B1 KR 95000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ck
shell
connector
flang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065A (ko
Inventor
제임스 코블러 로버트
클레어 로오딕 로날드
리 스미스 트레시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0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81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cable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우징 블럭의 동축 콘넥터
제1도는 콘넥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콘넥터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기 콘넥터와 그 속에 삽입되는 전기 콘넥터의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기 콘넥터 속으로 삽입되는 콘넥터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콘넥터의 쉘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쉘의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쉘의 저면도,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콘넥터의 단면도,
제9도는 제4도에 도시된 콘넥터의 전기 콘택트의 평단면도,
제10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전기 콘넥터의 절연몸체와 콘택트의 부분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절연몸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넥터 어쌤블리 2 : 쉘
6 : 베이스 9 : 공동부
11 : 러그 26 : 실린더부
30 : 시임
본 발명은 하우징 블럭에 조립되는 동축 콘넥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콘넥터 어쌤블리의 하우징 블럭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동축(coaxial) 콘넥터가 미합중국 특허 제 4,598,96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중앙 콘택트, 중앙 콘택트를 둘러싸는 필연몸체 그리고 절연몸체를 둘러싸는 단일의 전도성 쉘(shelI), 쉘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시임(seam), 및 회로기판의 대응 구멍에 삽입되며 시임에 인접한 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 단자들로 구성된다.
공지의 동축 콘넥터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정면종단부에 페루울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블럭의 공동부에 조립되기 위한 공지의 동축 콘넥터의 응용이며, 특히 공개된 기술 표준을 만족시키는 콘넥터로써 친숙한 전기 콘넥터의 하우징 블럭에의 응용이다. 예를 들면 기술 표준은 전기장치의 부품으로써 사용되는 전기 콘넥터를 특정하는데 유용하다. 특정된 콘넥터는 다른 제조자에 의하여 공급된 전기 장치의 상호접속을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축 콘넥터는 중앙 콘택트, 중앙 콘택트를 동축적으로 둘러싸는 절연몸체, 절연몸체를둘러싸는 단일의 쉘로 구성되며, 상기 쉘은 하우징 블럭의 공동부를 따라 내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쉘의 플랜지는 시임의 각 측면을 따라 제공되며 하우징 블럭에서 공동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동일한 리세스를 따라 내부에 정열되도록, 쉘로부터 방사형으로 외부로 돌출하고, 각각의 대응 단자는 대응 플랜지로부터 리세스를 통하여 하우징 블럭의 외부로 연장된다.
공지의 콘넥터에 의하면, 전도성 쉘은 하우징 블럭의 공동부를 따라 삽입되도록 되어 있지 않으며, 셀의플랜지들은 하우징 블럭의 공통 리세스를 따라 삽입되도록 배열되어 있지 않다. 공지의 콘넥터의 페루울은 하우징 블럭의 공동부로 콘넥터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동축 콘넥터가 하우징 블럭의 공동부를 따라 삽입되는데 있어서, 콘넥터의 각 플랜지는 대응 단자와연결되고, 대응 단자들은 회로 기판의 단일 구멍 속으로 삽입되도록 복합의 단일 포스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나란하게 배열된다.
공지된 콘넥터에 의하면, 각 단자는 서로 분리되며, 구멍속에 장착된다.
첨부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콘넥터 어쌤블리(1)는 전도성 쉘(2), 표준D형 인터페이스로 알려진 정면종단부(3) 및 일부분(5)이 정면종단부(3)로 가로질러 연장하고 프린트 회로 기판에 장착되도록 직각으로 부분(5)과 교차하는 베이스(6)를 가진 전도성 장착플랜지(4)를 포함한다. 전도성 포스트(7)는프린트 회로 기판의 구멍(도시되지 않음) 속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베이스(6)로부터 연장되어있다. 콘넥터어쌤블리(1)는 플랜지(4)를 장착하고, 하우징 블럭(8)의 정면종단부(10)로부터 하우징 블럭(8)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부들(9)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 블럭(8)을 포함한다. 내부에 나사 가공된 장착용 러그(11)는 상보 콘넥터를(도시하지 않음) 정면종단부(3)에 결합하도록 플랜지(4)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공동부들(9)에 공지된 구조의 대응하는 전도성 콘택트들(12)이 설치된다. 상기 콘택트(12)는 하우징블록(8)의 후단부(14)로부터 돌출하는 대응하는 전기 단자들(13)을 구비하며, 대응하는 각들로 굽혀져 하우징(8)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하우징 블럭(8)의 구성부품으로써 조립되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공되는 절연 베이스(15)를 통하여 돌출한다. 콘택트(12)는 상보 콘넥터의 대응하는 콘택트(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된다. 전도성 스트랩(strap,16)은 플랜지(4)의 전도부(5)로부터 연장되며 고정구(7)에 연결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의접지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플랜지(4)를 연결한다.
통상 공지된 콘택트(12)는 하우징 블럭(8)내의 콘택트만이다. 그러나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하우징 블럭(8)은 본 발명의 하우징 블럭(8)에 통상적으로 주어지는 여러개의 콘택트(12) 대신에 3개의 동형의전기 콘넥터들(17)는 하우징 블럭(8)의 대응하는 공동부(18)에 장착된다. 각각의 공동부(18)는 콘넥터 어쌤블리(1)의 정면종단부(3)와 하우징 블럭(8)의 정면종단부(10)와 통하는 직경이 큰 축방향 실린더부(19)를구비한다. 각 공동부(18)는 하우징 블럭(8)의 후단부(14)와 통하는 확대부(22)와 협지부(21)를 구비한 축방향으로 연장된 대층하는 리세스(20)와 통한다. 전방을 향한 턱들(23)은 협지부(21)의 대향면을 따라 위치하며, 방을 향한 턱들(24)은 각각의 대응하는 리세스(20)의 확대부(22)와 대응하는 협지부(21)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제4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콘넥터(17)는 대응하는 공동부(18)의 실린더부(19)를따라 그 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단일의 전도성 외부 셀(25)을 포함한다. 쉘(25)은 정면 개방종단(27)을 구비하는 축방향 실린더부(26)를 제공하도록 금속 스트립(strip)으로부터 성형되고, 축방향 슬럿트(28)에 의하여 축방향 핑거들(29)로 분할되며 전방개방종단(27)과 함께 전기 리셉더클을 제공한다.
세로로 개방된 시임(30)은 실린더부(26)를 따라 연장된다. 플랜지(31)는 시임(30)의 대응하는 면을 따라연장되고 하우징 블럭(8)내에서 연장되어 있는 대응하는 리세스(30)를 따라 그 속에 삽입되도록 실(25)로부터 방사형으로 외부로 돌출한다. 각 플랜지(31)를 따라서 잠금 탭(32)을 제공하도록 금속 스트립이 절단된다. 각각의 잠금 탭(32)은 하우징 블럭(8)의 후방으로 셀(25)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응하는 턱(23)에 정합되기 위해 대응하는 플랜지(31)의 평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도록 휘어진다. 대응하는단자(33)는 각각의 플랜지(31)로부터 하우징 블럭(8)의 리세스(20)를 통하여 콘택트(12)의 단자(13)와 같은방향으로 하우징 블럭(8)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대응하는 단자(33)는 나란히 설치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의 단일 구멍(도시되지 않음) 속으로 삽입되도록 복합의 단일 기둥(34)을 제공한다.
각 플랜지(31)와 각 단자(33)의 후방에서, 쉘(25)에는 대응하는 슬릿트(37)에 의하여 실린더부(26)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 정면종단부들(36)을 구비한 이격된 벽들(35)이 제공되어 있다. 벽들(35) 사이에 넓고 연속적인 시이(30)과 실린더부(26)의 후방 개방종단이 형성된다. 실(25)의 종단벽(38)은 실린더부(26)의 후단종단과 연결되며 실린더부(26)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9도 내지 제l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넥터(17)는 후단부에서 전기 단자(42)를 구비한 계단형 직경의 전도성 중앙 콘택트(41), 방사형으로 연장된 바브(barb,43), 방사형으로 연장하는 확대된 칼라(collar,44), 및 정면 개방종단(46)을 구비하고 축방향 슬릿트(47)에 의하여 축방향 핑거들(48)로 분할되어 정면 개방종단(46)과 함께 전기리셉터클을 제공하는 전기 리셉터클(45)을 포함한다. 금속박판 슬리브 또는 시라우드(shroud,49)가 리셉터클을 둘러 싸도록 조립된다.
절연몸체(50)는 실린더부(51)와 실린더부(51)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베이스부(52)를 포함한다. 계단형 직경의 축방향 통로(53)는 몸체(50)의 정면종단부(54)로부터 실린더부(5l)에 대하여 동심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52)와 몸체(50)의 후단부(56)와 통하는 가로 통로(55)와 교차한다.
콘넥터(17)의 중앙 콘택트(41)는 정면종단부(54)로부터 칼라(44)가 통로(53)속의 전방을 향한 턱에 걸릴때까지 통로(53)를 따라 그속에 조립된다. 바브(43)는 중앙 콘택트(41)의 운동에 대항하도록 몸체(50)를 통과한다. 중앙 콘택트(41)의 단자(42)는 몸체(50)의 후단부(56)로부터 돌출하게 되고, 중앙 콘택트(41)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가지고 휘어져 베이스(52)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절연몸체(50)와 중앙 콘택트(41)는 쉘(25)의 후방 개방종단을 따라 그속으로 절연몸체(50)의 가로부분(52)이 대응하는 플랜지들(31)의 배면에 닿을때까지 쉘(25)속에 조립된다. 단자(42)는 포스트(34)처럼 같은방향으로 벽들(35) 사이로 돌출한다. 구멍(4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페그(peg,58)가 절연몸체(50)의 후단부(56)로부더 돌출한다. 쉘(25)의 종단벽(38)은 쉘(25)의 실린더부(26)에 접합되어 절연몸체(50)의 후단부(56)와 겹쳐지는 곳에서 절곡된다. 종단벽(38)은 각각의 페그(58)와 대응하는 구멍(40)을 포함하고 각기 대응하는 페그(58)는 대응 구멍(40)을 통하여 연장된다. 각각의 페그(58)는 대응하는 구멍(40)으로부터 돌출하게되고, 절연몸체(50)의 운동에 대하여 저항 하도록 예컨데,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확대된다.
콘넥터(17)는 하우징 블럭(8)의 후단부(14)로부터 벽들(35)이 후방을 향한 턱(24)에 대하여 정합할때까지 콘넥터(17)가 하우징 블럭(8)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에 저항하도록 대응하는 공동부(18)의 실린더부(19)를따라 그속으로 삽입된다. 플랜지(32)는 콘넥터(17)가 하우징 블럭(8)의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에 저항하도록하우징 블럭(8)의 후방을 향한 턱들(23)에 닿을때까지 대응하는 리세스(20)의 협지부(21)를 따라 그속에 삽입된다. 리셉터클(27)은 콘넥터 어쌤블리(1)의 정면종단부(10)에 위치하여 상보콘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된다. 콘넥터(17)의 단자들(33, 42)은 리세스(20)를 통과하고 하우징 블럭(8)의 베이스(15)를 관통하여 프린트 회로 기간의 대응하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도록 단자들(13)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콘넥터(17)의 단자(39)는 대응하는 단자들(33, 42)과 함께 콘넥터어쌤블리(1)의 축방향에 정렬된다.

Claims (10)

  1. 중앙 콘택트(41), 중앙 콘택트(41)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절연몸체(50), 절연몸체(50)를 둘러싸는단일의 전도성 쉘(25), 쉘(25)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시임(30), 회로기판의 대응 구멍에 삽입되도록 시임(30)에 인접한 쉘(25)의 하나이상의 돌출 단자들(33)로 구성되는 동축 콘넥터(17)에 있어서 : 쉘(25)은, 쉘(25)의 플랜지(31)가 시임(30)의 각각의 면을 따라 제공되며 하우징 블럭(8)에서 공동부(18)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동일한 리세스(20)를 따라 그속에 배열되도록 쉘(25)로부터 방사형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하우징 블럭(8)의 공공부(18)를 따라 그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머 ; 각각의 대응하는 단자(33)는대응하는 플랜지(31)로부터 리세스(20)를 통하여 하우징 블럭(8)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랜지(31)는 대응하는 단자(33)에 연결되고, 대응하는 단자들(33)은 회로기판의 단일 구멍에 삽입되기 위하여 복합의 단일 포스트(34)를 제공하도록 나란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축 콘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페그(58)가 절연몸체(50)의 종단부(56)로부터 돌출하고, 쉘(25)의 종단벽(38)은 절연몸체(50)의 종단부(56)와 겹쳐지며, 종단벽(38)은 각각의 페그(58)에 대응하는 구멍(40)을 포함하고, 각각의 대응하는 페그(58)는 대응하는 구멍(40)을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콘넥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쉘(25)의 종단벽(38)은 절연몸체(50)의 종단부(56)와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콘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란스(32)가 하우징 블럭(8)의 리세스(20)에서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대응하는 플랜지(3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콘넥터.
  6. 적어도 하나의 중앙 콘택트(41), 상기 중앙 콘택트(17)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대응하는 절연몸체(50), 및 각 대응하는 절연몸체(50)를 둘러싸며 축방향으로 연장된 시임(30)과 회로기판의 대응하는 구멍에 삽입되도록 시임(30)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단자(33)를 구비하는 단일의 전도성 제1쉘(25)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콘넥터(17)로 구성되는 콘넥터에 있어서 ; 전도성 제2 쉘(2)에 장착된 하우징 블럭(8)이 D형 인터페이스의 정면종단부(3), 상기 정면종단부(3)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부분(5) 및 회로 기판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1 부분(5)과 교차하는 베이스(6)를 구비한 장착용 플랜지(4)로 구성되며 ; 상기 각제1 쉘(25)은 하우징 블럭(8)의 대응하는 제1 공동부(18)를 따라 그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각 제1쉘(25)의 플랜지(31)는 하우징 블럭(8)에서 대응하는 제1 공동부(18)를 가로 질러 연장되어 있는 단일의 리세스(20)를 따라 그속으로 배열되도록 시임(30)의 각 측면을 따라 제공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제1 쉘(25)로부터 방사형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 각각의 대응하는 단자(33)는 대응하는 플랜지(31)로부터 리세스(20)를 통하여 하우징 블럭(8)의 외부로 연장되고 ; 추가의 공동부들(9)은 하우징 블럭(8)의 정면종단부(3)로부터 연장되며 ; 및 대응하는 추가의 공동부들(9)내의 전도성 추가 전기 콘택트들(12)은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추가의 구멍에 연결되도록 하우징 블럭(8)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대응하는 전기 단자들(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덱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6)가 제1 부분(5)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전기 콘택트들(12)중 5개가 상기 하우징 블럭(8)의 대향하는 2개의 종단부들을 향하는 추가의 공동부들(9)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동축 콘넥터(17)들의 각각이 상기 하우징 블럭(8)의 대응하는 제1 공동부(18)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동축 콘넥터들(17)이 하우징 블럭(8)내에서 상호 인접하고, 일군의 5개로 구성되는 상기 추가 전기 콘택트들(12)이 상기 하우징 블럭(8)의 일측면과 상기 3개의 동축 콘넥터들(17) 사이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 블럭(18)의 대응하는 부분의 대응하는 추가의 공동부들(19)에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1019890011133A 1988-08-09 1989-08-04 하우징 블럭의 동축 콘넥터 KR950004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30,403 US4846711A (en) 1988-08-09 1988-08-09 Coaxial connector in a housing block
US230403 1988-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065A KR900004065A (ko) 1990-03-27
KR950004371B1 true KR950004371B1 (ko) 1995-04-28

Family

ID=2286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133A KR950004371B1 (ko) 1988-08-09 1989-08-04 하우징 블럭의 동축 콘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46711A (ko)
EP (1) EP0354678B1 (ko)
JP (1) JP2941854B2 (ko)
KR (1) KR950004371B1 (ko)
CN (2) CN1026044C (ko)
DE (1) DE68915641T2 (ko)
MY (1) MY1050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630Y2 (ko) * 1989-03-31 1993-10-27
DE69029241T2 (de) * 1989-09-25 1997-04-30 Murata Manufacturing Co Steckverbinder
US4990104A (en) * 1990-05-31 1991-02-05 Amp Incorporated Snap-in retention system for coaxial contact
US5102353A (en) * 1991-06-06 1992-04-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s
NL9200272A (nl) * 1992-02-14 1993-09-01 Du Pont Nederland Coax-connectormodule voor montage op een plaat met gedrukte bedrading.
DE4309155C2 (de) * 1993-03-22 1995-06-01 Itt Cannon Gmbh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ein Mobiltelefon
US5304069A (en) * 1993-07-22 1994-04-19 Molex Incorporated Grounding electrical connectors
US5558542A (en) * 1995-09-08 1996-09-2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receiving passage means
US5645454A (en) * 1995-11-24 1997-07-08 Itt Corporatio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276585B2 (ja) * 1997-06-02 2002-04-22 エムデン無線工業株式会社 電線接続装置
IT243538Y1 (it) * 1997-12-05 2002-03-05 Ipm Ind Plastica Monregalese Telone di foglia di materia plastica impermeabile all'aria percoprire prodotti in particolare prodotti agricoli insilati, come
JP3355567B2 (ja) * 1998-02-04 2002-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GB9927925D0 (en) * 1999-11-25 2000-01-26 Radiall Limited Coaxial connector link
CN100367576C (zh) * 2004-04-28 2008-02-06 广濑电机株式会社 同轴连接器
CN1728459B (zh) * 2004-07-30 2010-12-08 威德米勒界面有限公司及两合公司 接触装置
US7563103B1 (en) * 2008-05-15 2009-07-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bent in place contact
ITTO20080974A1 (it) * 2008-12-23 2010-06-24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ttore elettrico maschio del tipo smd e procedimento per il suo assemblaggio
TWI425719B (zh) * 2010-11-16 2014-02-01 Compal Electronics Inc 連接埠
CN102593666B (zh) * 2012-03-19 2014-04-09 东莞中探探针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CN102760994B (zh) * 2012-07-23 2014-06-04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源连接器
CN104184405A (zh) * 2014-08-07 2014-12-03 英利能源(中国)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输出连接装置
JP2016072170A (ja) * 2014-10-01 2016-05-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ホルダ
JP6160844B2 (ja) * 2015-04-08 2017-07-12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201234A (ja) * 2015-04-09 2016-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6542921B2 (ja) * 2018-01-19 2019-07-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051634B2 (ja) * 2018-07-30 2022-04-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66596B2 (ja) * 2018-11-16 2022-05-1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12803A (ko) * 1963-02-08
US3366920A (en) * 1965-11-22 1968-01-30 Amp Inc Coaxial connector
US3383457A (en) * 1966-04-05 1968-05-14 Amp Inc Connector means for connecting coaxial cable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3915535A (en) * 1974-02-21 1975-10-28 Amp Inc Coaxial cable receptacle for printed circuit boards
SE419491B (sv) * 1979-12-05 1981-08-03 Bo Strandfeldt Honkontaktdon
JPS639107Y2 (ko) * 1981-04-15 1988-03-17
JPS59141678U (ja) * 1983-03-11 1984-09-21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
US4598961A (en) * 1983-10-03 1986-07-08 Amp Incorporated Coaxial jack connector
JPS6097577A (ja) * 1983-10-03 1985-05-31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同軸ジヤツク・コネクター
US4605269A (en) * 1984-06-20 1986-08-12 Amp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header having coaxial sockets therein and matable coaxial plug housing
US4759729A (en) * 1984-11-06 1988-07-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US4659156A (en) * 1985-06-24 1987-04-21 Amp Incorporated Coaxial connector with circuit board mounting features
US4756696A (en) * 1985-12-06 1988-07-12 Amp Incorporated Solder joint inspection feature for surface mount connectors
JPS62285378A (ja) * 1986-06-04 1987-12-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雌形同軸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US4666231A (en) * 1986-06-26 1987-05-19 Amp Incorporated Switching coaxi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41854B2 (ja) 1999-08-30
CN1037217C (zh) 1998-01-28
CN1040289A (zh) 1990-03-07
JPH02100276A (ja) 1990-04-12
DE68915641D1 (de) 1994-07-07
KR900004065A (ko) 1990-03-27
EP0354678A1 (en) 1990-02-14
US4846711A (en) 1989-07-11
MY105018A (en) 1994-07-30
CN1026044C (zh) 1994-09-28
CN1083978A (zh) 1994-03-16
DE68915641T2 (de) 1995-01-12
EP0354678B1 (en) 199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371B1 (ko) 하우징 블럭의 동축 콘넥터
US4946392A (en) Coaxial connector in a housing block
US4637669A (en) Connector socket
US6482045B2 (en) Connector socket,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US559550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ductive leads
US5009614A (en) Shielded cable assembly with floating ground
US5897396A (en) Waterproof rubber plug
JP2570939Y2 (ja)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金具
US4486059A (en) Receptacle assembly
US5611711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210399480A1 (e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2869027B2 (ja) 接続ピンのアラインメント装置及びこれと電気コネクタとの組み合わせ
CA2199069C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module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WO1983003717A1 (en) Interface connector
AU612478B2 (en) A coaxial connector
JP2572527Y2 (ja) 分岐接続用コネクタ
JP3082068B2 (ja) 電気ピンフィールドコネクタ装置
JP2838138B2 (ja) 保持手段を備えた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2141124A (ja) 基板取付型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基板取付構造
JP3089189B2 (ja) 同軸コネクタ
JP3166084B2 (ja) 2つのシールド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CA1203591A (en) Wir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 assembly
KR20010021209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S60240072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2604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